KR101849565B1 -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565B1
KR101849565B1 KR1020160089105A KR20160089105A KR101849565B1 KR 101849565 B1 KR101849565 B1 KR 101849565B1 KR 1020160089105 A KR1020160089105 A KR 1020160089105A KR 20160089105 A KR20160089105 A KR 20160089105A KR 101849565 B1 KR101849565 B1 KR 10184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storage room
dat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784A (ko
Inventor
최수인
Original Assignee
최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인 filed Critical 최수인
Priority to KR102016008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5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4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hem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실과; 보관실 내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제1 온도 데이터와 보관실 내부의 습도에 대응하는 제1 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와;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보관실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제1 온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조정되도록 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제1 습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크면, 조절장치가 보관실 내부의 습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곶감이 수용되는 보관실 내부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하기 때문에, 수용되는 곶감에 곰팡이가 잘 슬지 않아, 곶감을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Dried persimmon production equipment, controller for dried persimmon production equipment, dried persimmon production system, dried persimmon production equipment control method, dried persimmon production equipment of drying method dried persimmon production equipment of ripening method and dried persimmon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곶감을 제조할 때, 곶감에 곰팡이가 슬지 않도록 하여 곶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곶감의 제조방법은 감을 깎아서 높은 온도로 일정시간 건조를 하는 건조기간을 거치고, 건조되는 감에서 과즙이 나오지 않으면 온도를 낮춘 이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약 50일정도의 장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숙성기간을 거친다. 숙성기간 중, 감을 보관할 때, 감 표면에 곰팡이가 슬지 않도록 겉 표면에 이슬 또는 물이 닿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곶감은 12월부터 1월이 제철이기 때문에, 곶감의 맛과 품질을 위해 숙성기간 중 감은 섭씨 20도보다 아래로 관리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건조가 끝난 감을 숙성기간인 50일동안 곶감을 보관 또는 숙성을 하기 위해 야외에서 자연건조를 하였다. 하지만, 야외에서 자연건조중인 곶감은 우천 또는 안개로 인한 습기에 쉽게 노출될뿐더러, 온난화문제로 평균온도가 상승하여 곶감이 생산되는 가을, 겨울에도 곶감에 습기는 문제가 있다. 숙성중인 곶감이 습기에 노출되면, 곶감 표면에 곰팡이가 슬기 때문에, 곰팡이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고, 식용 또는 판매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숙성중인 감 표면에 곰팡이가 슬지 않고, 곶감의 색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곶감 제조 중 유황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황 중, 광물성 유황을 태워서 그 연기가 건조중인 감에 스며들게 하여 곶감의 색을 좋게 하고, 곶감의 표면에 곰팡이가 슬지 않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광물성 유황을 태울 때, 광물성 유황이 산소와 결합하고, 산소와 결합된 유황은 이산화황으로 화학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산화황은 대기중의 수분과 만나 산성비의 주범이 되고, 이산화황이 곶감 표면에 달라붙어, 곶감을 먹는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곶감의 생산 시, 유황의 사용을 지양하며, 숙성중인 곶감을 우천 또는 안개로 인한 습기에 노출되지 않게 관리하고, 섭씨 20도보다 낮은 온도로 관리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30004269 공개 (2003년 01월 14일 공개)
본 발명은 곶감을 제조할 때, 외부 환경을 이용하여 최대의 에너지 효율로 곶감을 건조 및 숙성되게 관리하는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장치 제어방법, 곶감 제조방법, 곶감제조시스템, 곶감 건조방법, 곶감 숙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는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실과;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 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에 대응하는 제1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제1온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습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크면, 상기 조절장치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는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보관실과; 상기 보관실의 상부에 통과되게 배치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환기구와; 상기 보관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보관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 내부로 흡입하는 환기팬과; 상기 보관실 내부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와 건구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상대습도와 상기 건구온도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이슬점보다 높은 상태에 이르도록 상기 환기팬 또는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는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 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2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센서; 및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가 포함되는 곶감제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온도 데이터 및 상기 제1습도 데이터를 입력 받는 내부센서 입력부와; 상기 제2온도 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 데이터를 입력 받는 외부센서 입력부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연결된 상기 조절장치로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와;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온도 데이터와, 상기 제1습도 데이터, 상기 제2온도 데이터, 상기 제2습도 데이터, 및 상기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하여 상기 전원 출력부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를 공급 하거나, 스위칭 오프하여 상기 전원 출력부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칭동작을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시스템은 곶감이 수용되는 보관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장치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2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센서;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설정신호와, 상기 제1온도데이터, 상기 제1습도데이터, 상기 제2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조절장치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곶감수동모드; 상기 곶감을 건조하는 곶감건조모드; 및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후에 수행되는 상기 곶감을 숙성시키는 곶감숙성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은 모드입력신호를 입력받아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에 대응되도록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곶감수동모드, 상기 곶감건조모드 및 상기 곶감숙성모드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 제습기, 환기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는 운전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운전단계는 내부 센서로부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1온도데이터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1습도데이터 및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2온도데이터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2습도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이슬점과, 상기 제2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 상기 제습기, 및 상기 환기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는 것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을 입력받는 모드설정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온도설정 및 시간설정을 입력받는 조건입력단계; 및 히터를 상기 온도설정에 따른 온도와, 상기 시간설정에 따른 시간에 대응되게 동작하는 건조시작단계;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시작단계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건조시작 단계 이후, 상기 내부이슬점이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환기팬 또는 제습기를 동작하는 습기제거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을 입력받는 모드설정단계와;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는 이슬점산출단계; 및 상기 보관실 외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습도를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와 비교하여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방법은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입력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과 기설정된 제1온도로 히터를 동작하는 제1건조단계와; 곶감의 건조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곶감의 건조 상태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제2시간과 기설정된 제2온도로 동작하는 제2건조 단계; 및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숙성모드로 전환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곶감이 수용되는 보관실 내부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하기 때문에, 수용되는 곶감에 곰팡이가 잘 슬지 않아, 곶감을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순환팬, 환기팬이 구비되어 보관실 내에 와류를 발생하기 때문에, 곶감이 일부만 썩거나 상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팬과 온도조절장치가 동시에 구비되고, 외부의 조건에 따라 환기팬을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조절장치만 사용했을 때 보다 경제적으로 곶감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곶감제조방법에서 유황을 사용하지 않고, 건조 및 숙성을 진행하기 때문에, 유황을 사용하여 제조했을 때에 비해 건강에 이로운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되는 곶감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온도 가 변화되기 때문에, 곶감제조장치의 운영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온도습도 조절장치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 실시예 따른 온도조절장치와 제습기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히터, 쿨러 및 제습기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순환팬, 곶감수용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가 도면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환기팬, 환기구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습증기선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6 실시예의 곶감제조장치 제어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6 실시예의 제어기의 수동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7 실시예의 제어기의 수동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8 실시예의 제어기의 건조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8 실시예의 제어기의 숙성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내부/외부 조건에 따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9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10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방법의 숙성모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제2환기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운전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제3환기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12 실시예에 따른 곶감 건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12 실시예에 따른 곶감 숙성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13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온도시간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온도습도 조절장치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곶감제조장치(1)는 보관실(2), 내부 센서(4), 조절장치, 및, 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실(2)은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을 제공할 수 있다.
보관실(2)은 베이스(23), 둘레벽(22), 및 상판(2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는 곶감제조장치(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바닥에 해당될 수 있다.
둘레벽(22)은 베이스(23)를 둘러싸며, 베이스(23)와 함께 곶감제조장치(1)의 수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벽(22)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될 수 있고, 둘레벽(22)의 상부와 둘레벽(22)의 하부 중, 둘레벽(22)의 하부가 베이스(23)와 더 가까울 수 있다.
상판(21)은 둘레벽(2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둘레벽(22)을 덮어 수용공간(A)을 밀폐할 수 있다. 상판(21)은 둘레벽(22)의 상부와 하부 중, 상부와 가까울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보관실(2) 내부의 습도에 대응하는 제1습도데이터(410)를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내부 센서(4)가 센싱한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데이터와 습도에 대응되는 습도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상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400)를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410)를 출력할 수 있다.
조절장치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와 보관실(2)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장치는 온도를 상승하거나 낮출 수 있고, 제습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조절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온도조절 기능과 습기제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장치는 온도/습도 조절장치(3),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 히터(33), 쿨러(34)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장치는 환기팬(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환기팬(6)은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조정되도록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5℃ 에서 45℃까지, 바람직하게는 5℃에서 20℃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5℃에서 18℃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온도데이터(400)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보다 낮으면, 제어기(10)는 조절장치를 제어하여 보관실(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보관실(2) 내부의 온도는 조절장치에 의해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들어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2 실시예 따른 온도조절장치와 제습기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곶감제조장치(1)는 본 발명 1실시 예의 내부 센서(4), 보관실(2), 조절장치가 제어기(10)의 구성을 포함하며, 조절장치가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2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1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장치는 온도조절장치(31)와 제습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31)는 온도상승과 온도 하강을 할 수 있다.
제습기(32)는 보관실(2)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제습기(32)는 보관실(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상대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온도/습도조절장치(3)를 사용하여 보관실(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경우, 제습기(32)보다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온도/습도조절장치(3)를 사용하면, 온도와 습도를 한번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보관실(2)의 원만한 관리가 힘들 수 있다.
때문에, 온도조절장치(31)와 제습기(32)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10)는 온도조절장치(31)및 제습기(32)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조절장치(31)및 제습기(3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온도조절장치(31)와 제습기(32) 각각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고, 온도조절장치(31)및 제습기(32)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히터, 쿨러 및 제습기가 도시된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곶감제조장치(1)는 본 발명 1실시예의 내부 센서(4), 보관실(2), 조절장치가 제어기(10)의 구성을 포함하며, 조절장치가 쿨러(34), 히터(33), 및 제습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3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1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절장치는 쿨러(34), 히터(33) 및 제습기(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와 연결될 수 있고,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 각각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고,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조절장치(31)가 보관실(2)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나, 온도조절장치(31)는 쿨러(34)와 히터(33)에 비해 보관실(2)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보관실(2)의 효과적인 온도 관리를 위해 쿨러(34)와 히터(33)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순환팬, 곶감수용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관실(2)은 곶감수용부(9)와 순환팬(5)을 수용할 수 있다.
곶감수용부(9)는 복수개의 곶감을 고정하여 보관실(2)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A)에 수용될 수 있다. 곶감수용부(9)는 보관실(2)의 벽면에 해당하는 둘레벽(22)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벽(22)과 곶감수용부(9)의 이격되는 거리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으나, 곶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곶감수용부(9)가 둘레벽(22)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곶감수용부(9)는 보관실(2)의 상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곶감수용부(9)는 상판에 배치되는 순환팬(5)과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순환팬(5)은 보관실(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5)은 보관실(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는 따듯한 공기는 위로 향하고, 차가운 공기는 따듯한 공기보다 아래로 향하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순환팬(5)이 보관실(2)의 하부에 배치되면, 순환팬(5)이 보관실(2)의 하부에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하면, 따듯한 공기가 보관실(2)의 상부에 집중되어 보관실(2)의 내부 공기를 순환하는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순환팬(5)은 보관실(2)의 상부와 하부 중,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5)은 보관실(2)의 벽에 해당되는 둘레벽(22)과, 보관실(2)의 천장에 해당되는 상판(21)중, 상판(21)에 배치될 수 있다. 곶감제조장치(1)는 곶감제조장치(1)의 높이보다 너비가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순환팬(5)이 둘레벽(22)에 배치되면, 둘레벽(22)에 배치된 순환팬(5)이 기류를 발생시킬 때, 발생한 기류가 반대편 둘레벽(22)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고, 이는 보관실(2) 내부 공기를 순환하는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순환팬(5)은 보관실(2)의 상판(2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5)은 회전동작을 통해 보관실(2) 내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순환팬(5)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순환팬(5)은 팬(51), 모터(52), 및 상부 에어가이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팬(51)은 회전운동을 하여 보관실(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펜(51)은 회전운동을 하여 보관실(2)의 상부에서 보관실(2)의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모터(52)는 팬(51)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며, 팬(51)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52)는 보관실(2)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53)는 팬(5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53)의 형상은 원뿔모양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부 에어가이드(53)는 팬(51)의 회전운동을 통해 보관실(2) 하부 방향으로 발생되는 기류를 분산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53)는 팬(51)의 회전운동을 통해 발생되는 기류가 보관실(2)의 벽면을 형성하는 둘레벽(22)으로 도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부 에어가이드(53)는 팬(51)의 회전운동을 통해 발생되는 기류가 둘레벽(22)과 부딪혀 반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팬(51)이 회전운동을하여, 보관실(2)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되고, 상부 에어가이드(53)가 형성된 기류를 둘레벽(22)방향으로 유도 또는 분산하기 때문에, 순환팬(5) 바로 하부에 배치된 곶감으로 기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에어가이드(53)로부터 유도 또는 분산된 기류가, 둘레벽(22)과 부딪혀 반사가 되기 때문에, 곶감수용부(9)에 상부에 가깝게 수용된 곶감과, 하부에 가깝게 수용된 곶감 모두, 기류가 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가 도면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환기팬, 환기구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곶감제조장치(1)는 환기팬(6)과 환기구(7)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팬(6)은 보관실(2)의 벽에 해당되는 둘레벽(22)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팬(6)은 둘레벽(22)에 통과되게 설치될 수 있다. 둘레벽(22)에 통과되게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인 흡입구(A1)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팬(6)은 보관실(2) 외부의 공기를 보관실(2)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환기팬(6)은 회전운동을 하여, 환기팬(6)이 설치된 둘레벽(22)의 반대되는 위치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팬(6)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환기팬(6)은 팬(61), 환기차단셔터(62), 모터(63), 하부 에어가이드(64), 및 필터(65)를 포함할 수 있다.
팬(61)은 회전운동을 하여 보관실(2) 외부의 공기를 보관실(2)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팬(61)은 흡입구(A1)를 통해 유입되는 보관실(2) 외부의 기류를 보관실(2) 내부의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환기차단셔터(62)는 팬(61)이 회전운동을 정지할 때, 보관실(2)의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차폐할 수 있다. 환기차단셔터(62)는 환기팬(6)이 흡입하는 외부의 공기를 차페할 수 있다. 환기차단셔터(62)는 흡입구(A1)를 차폐하여 외부의 공기를 차폐할 수 있다.
환기팬(6)의 흡입구(A1) 차폐에 따른 동작방법은 차폐셔터와 셔터흰지가 포함되어 셔터흰지의 회전운동을 통해 차폐셔터가 움직여 통과공간을 차폐하는 방법과, 차폐셔터와 동력원, 및 가이드라인이 포함되어, 동력원에 따라 차폐셔터가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미닫이 방식으로 통과공간에 위치되어 차폐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의 환기차단셔터(62)는 차폐셔터(622)와 셔터흰지(621)를 포함한 차폐방법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미닫이 방식으로 차폐되는 방법보다 설치공간이 적게 들기 때문에 환기팬(6)의 흡입구(A1) 차폐에 따른 동작방법은 회전운동을 통해 차폐되는 방법으로 설명한다.
환기차단셔터(62)는 셔터흰지(621)와 차단셔터(62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셔터(622) 및 셔터흰지(62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환기차단셔터(62)의 셔터흰지(621)는 구동원인 모터(63)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차단셔터(6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팬(61)의 회전운동이 멈추면, 셔터흰지(621)는 모터(63)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차단셔터(622)를 이동시켜 흡입구(A1)를 차폐할 수 있다.
모터(63)는 팬(6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63)는 환기차단셔터(62)가 팬(61)의 회전운동이 멈추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폐하도록 셔터흰지(621)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64)는 팬(6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64)는 팬(61)이 발생하는 기류를 보관실(2) 바닥에 해당되는 베이스(23)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하부 에어가이드(64)는 팬(61)이 발생하는 기류가 베이스(23)에 부딪히게 유도할 수 있다. 베이스(23)에 부딪힌 기류는 보관실(2)의 상부방향으로 반사가 될 수 있다.
필터(65)는 팬(61)이 흡입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65)는 흡입구(A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보관실(2)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보관실(2)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필터링 할 수 있다.
환기팬(6)은 보관실(2)의 상부와 보관실(2)의 하부 중, 보관실(2)의 하부에 통과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환기팬(6)이 보관실의 상부에 통과되게 배치되면, 순환팬(5)과 환기팬(6)이 모두 보관실(2)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관실(2)의 하부에 순환되는 기류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보관실(2) 내부의 공기순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환기팬(6)은 보관실(2)의 상부와 보관실(2)의 하부 중, 보관실(2)의 하부에 통과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구(7)는 보관실(2)의 벽면에 해당되는 둘레벽(22)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구(7)는 둘레벽(22)에 통과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환기구(7)는 둘레벽(22)을 통과하여 보관실(2)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7)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환기구(7)는 덕트(71), 덮개(72), 필터(74) 및 흰지(7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71)는 보관실(2)의 상부를 기준으로 외부 방향으로 통과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덕트(71)는 보관실(2) 내부와 보관실(2)의 외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보관실(2) 내부의 공기가 보관실(2) 외부로 흐르도록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덕트(71)는 공기가 흐르도록 배출구(A2)를 제공할 수 있다. 보관실(2) 내부의 공기는 덕트(71)의 배출구(A2)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덕트(71)는 상부의 길이보다 하부의 길이가 더 길수 있다. 덕트(71)는 지면과 가까운 덕트(71)의 하부와, 천장과 가까운 덕트(71)의 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덕트(71)의 하부의 길이가 덕트(71)의 상부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덕트(71)는 둘레벽(22)에서부터 보관실(2)의 외부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치되고, 둘레벽(22)부터 덕트(71)의 하부의 길이는 둘레벽(22)부터 덕트(71) 상부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덮개(72)는 덕트(71)를 통해 통과되는 공간인 배출구(A2)를 덮을 수 있다. 덮개(72)는 덕트(71)의 끝 단에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A2)를 덮을 수 있다. 덮개(72)는 배출구(A2)를 덮기 때문에, 보관실(2) 내부의 공기가 보관실(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관실(2) 외부의 공기가 보관실(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덮개(72)는 보관실(2)의 내부 기압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덮개(72)는 보관실(2) 내부의 기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구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다.
필터(74)는 덮개(72)와 덕트(71) 사이에 배치되며, 배출구(A2)를 덮어 보관실(2) 외부에서 보관실(2)의 내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74)는 덮개(72)와 덕트(71)중 덕트(71)의 끝 단에서 배출구(A2)를 덮도록 고정될 수 있다.
흰지(73)는 덕트(71)와 덮개(72)를 연결할 수 있고, 덕트(71)의 상부에 배치되어 덮개(72)와 덕트(71)를 연결할 수 있다. 흰지(73)는 덮개(72)가 배출구(A2)를 차폐할 때 또는 개방할 때, 덮개(72)를 고정할 수 있다.
환기팬(6)이 작동하여, 보관실(2) 외부의 공기를 보관실(2) 내부로 흡입할 경우, 보관실(2) 내부의 기압은 상승할 수 있다. 보관실(2)의 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환기구(7)가 배치되고, 환기팬(6)이 발생한 기류가 보관실(2)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도록 환기구(7)는 보관실(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구(7)는 환기팬(6)이 동작하지 않을 때, 보관실(2)의 외부의 공기가 보관실(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기구(7)에 포함된 덕트(71)의 하부는 덕트(71)의 상부보다 길게 성형되고, 덮개(72)는 흰지(73)를 통해 덕트(71)의 상부에 고정되어 배출구(A2)를 덮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후, 보관실(2) 내부의 기압이 상승할 경우, 덮개(72)가 내부 기압에 의해 흰지(73)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배출구(A2)를 개방하고, 이후, 보관실(2) 내부의 기압이 하강하면, 덮개(72)의 하중으로 인해, 배출구(A2)가 차폐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곶감제조장치(1)는 순환팬(5), 환기팬(6), 및 환기구(7)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5), 환기팬(6), 및 환기구(7)는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환기팬(6)은 보관실(2)의 외부의 공기를 보관실(2)의 내부방향으로 흡입하여 제1기류(W1)를 발생할 수 있다. 제1기류(W1)는 하부 에어가이드(64)로 인해 베이스(23)에 부딪혀 보관실(2)의 상부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1기류(W1)는 보관실(2) 상부에 배치된 순환팬(5)을 통과하여, 순환팬(5)의 상부 에어가이드(53)로 인해 보관실(2)의 수용공간(A)으로 분산되는 제2기류가 될 수 있다. 환기팬(6)은 지속해서 제1기류(W1)를 보관실(2) 내부로 흡입할 수 있고, 순환팬(5)은 지속해서 제2기류(W2)를 수용공간(A)으로 분산되게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제1기류(W1)와 제2기류(W2)가 만나 복수개의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류는 곶감수용부(9)에 수용된 다수의 곶감과 부딪히며 일부 곶감에 집중될 수 있는 온도를 분산하기 때문에, 곶감이 골고루 숙성되게 할 수 있고, 수용공간(A) 내부의 온도를 평균화 할 수 있다.
한편, 환기팬(6)과 순환팬(5)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 수용공간(A)의 기압이 상승할 수 있다. 수용공간(A)의 기압이 상승하면서, 환기구(7) 외부의 기압보다 수용공간(A)의 기압이 더 높아지고, 기압에 대응되는 힘의 차이로 인해 환기구(7)에 포함된 덮개(72)가 상측방향으로 열리면서, 수용공간(A) 내부의 공기가 보관실(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수용공간(A)의 기압에 대응되는 힘이 보관실(2) 외부의 기압에 대응되는 힘과 덮개(72)의 하중보다 작을 경우, 덮개(72)가 다시 배출구(A2)를 덮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곶감제조장치(1)는 보관실(2), 히터(33), 쿨러(34), 제습기(32), 환기팬(6), 내부 센서(4), 외부 센서(45) 및 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실(2)과 환기팬(6)의 구성 및 작용이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히터(33)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쿨러(34)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제습기(32)는 보관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는 온도/습도 조절장치(3)에 포함될 수 있고, 히터(33), 쿨러(34)는 온도 조절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온도/습도 조절장치(3) 또는 온도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히터(33), 쿨러(34)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게 되면, 제4기류(W4)를 발생할 수 있다. 제4기류(W4)의 온도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환기팬(6)은 보관실(2)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기류(W1)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류(W1)의 온도는 제4기류(W4)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보관실(2)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온도와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온도중에서 건구온도를 센싱할 수 있고, 습도중에 상대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제1내부센서(41), 제2내부센서(42),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부센서(41), 제2내부센서(42),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 각각은 보관실(2) 내부에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내부센서(41), 제2내부센서(42),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 각각은 보관실(2) 내부에 배치되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보관실(2) 수용공간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내부센서(41), 제2내부센서(42),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 각각은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내부 센서(4)는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400)를 연결된 제어기(10)로 출력하고,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410)를 연결된 제어기(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1온도데이터와 제1습도데이터 참조.)
제1내부센서(41) 및 제2내부센서(42)는 히터(33) 또는 쿨러(34)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33)가 동작중이고, 제1기류(W1)의 온도가 히터(33)로부터 발생되는 제4기류(W4)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1내부센서(41)및 제2내부센서(42)가 센싱하는 건구온도는 제3내부센서(43)및 제4내부센서(44)가 측정하는 건구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쿨러(34)가 동작중이고, 제1기류(W1)의 온도가 쿨러(34)로부터 발생되는 제4기류(W4)의 온도보다 온도가 높을 경우, 제1내부센서(41)및 제2내부센서(42)가 센싱하는 건구온도는 제3내부센서(43)및 제4 내부센서(44)가 측정하는 건구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습기(32)가 작동할 경우, 제습기(32)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내부센서(41)와 제2내부센서(42)는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가 센싱하는 상대습도보다 낮은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보관실(2)의 내부는 환기팬(6)으로부터 발생되는 제1기류(W1)의 온도 또는 습도가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로부터 발생하는 제4기류(W4)의 온도 또는 습도와 상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센서만 구비되어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를 센싱할 경우, 정확한 측정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내부 센서(4)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센서(45)는 보관실(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센서(45)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외부는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 개방된 공간이므로 온도 및 습도가 집중될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외부 센서(45)는 한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센서(45)는 보관실(2)의 외부에서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센서(45)는 외부의 온도 중에서도 건구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센서(45)는 외부의 습도 중에서도 상대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센서(45)는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와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500)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센서(45)는 보관실(2) 외부의 상대습도와 대응되는 제2습도데이터(51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2온도데이터(500)와 제2습도데이터(510) 참조.)
제어기(10)는 보관실(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10)는 보관실(2)의 외부에서, 둘레벽(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10)는 히터(33), 쿨러(34), 제습기(32), 환기팬(6), 내부 센서(4), 및 외부 센서(45)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10)는 보관실(2)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기(32), 히터(33), 쿨러(34), 및 환기팬(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도8 에 도시된 순환팬(5)과 연결될 수 있고, 순환팬(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내부 센서(4)로부터 제1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기(10)는 내부센서(4) 및 외부센서(45)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부센서(4) 및 외부센서(45) 각각이 내부통신모듈(미도시), 외부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하여 제어기(10)와 신호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내부센서(4) 및 외부센서(45)으로부터 무선으로 제1온도데이터(400), 제1습도데이터(410),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기(10)와 내부센서(4), 제어기(10)와 외부센서(45)의 연결방법 및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기(10)는 제1내부센서(41)와 제2내부센서(42)는 제3내부센서(43) 및 제 4 내부센서(44) 각각으로부터 온도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1내부센서(41)와 제2내부센서(42)는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로부터 입력된 온도데이터를 평균화 하여, 보관실(2) 내부의 평균 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400)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1내부센서(41)와 제2내부센서(42)는 제3내부센서(43) 및 제4내부센서(44)로부터 입력된 습도데이터를 평균화 하여, 보관실(2) 내부의 평균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410)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외부 센서(45)로부터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 제1습도데이터(410),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기초하여 히터(33), 쿨러(34), 제습기(32), 및 환기팬(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면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조정되도록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장치는 히터(33), 쿨러(34), 제습기(32), 온도/습도 조절장치(3), 온도 조절장치(31), 환기팬(6) 중 하나이고, 기 설정된 온도의 범위는 5℃에서 5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3℃ 에서 18℃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을 통해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기(10)는 제1습도데이터(410)에 대응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크면, 조절장치가 보관실(2) 내부의 습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습도는 상대습도 기준으로, 공기중 수증기 양이 80%일 때 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습도는 사용자가 설정을 통해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보관실(2)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내부이슬점보다 높은 온도가 되도록 조절장치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 제2온도데이터(500), 제1습도데이터(410) 및 제2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조절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2온도데이터(500)에 해당되는 온도가 제1온도데이터(400)에 해당하는 온도보다 낮고, 제2습도데이터(510)에 해당되는 습도가 제1습도데이터(410)에 해당되는 습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팬(6)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제2온도데이터(500)에 해당되는 온도가 제1온도데이터(400)에 해당하는 온도보다 높고, 제2습도데이터(510)에 해당되는 습도가 제1습도데이터(410)에 해당되는 습도보다 낮은 경우 환기팬(6)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환기팬(6)을 동작한 이후,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상기 내부이슬점에 가까워지면 환기팬(6)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쿨러(34), 히터(33), 및 제습기(32)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게 제어하여 내부 온도가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온도(T2)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도이다. 내부 온도가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높게 유지되면, 곶감의 표면에 습기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제어기(1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곶감제조장치(1)는 보관실(2), 순환팬(5), 환기팬(6), 환기구(7), 및 온도/습도 조절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실(2), 순환팬(5), 환기팬(6), 및 환기구(7)의 구성 및 작용이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과,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환기팬(6)은 제1기류(W1)를 발생할 수 있고, 순환팬(5)은 제2기류(W2)를 발생할 수 있다. 제1기류(W1)와 제2기류(W2)를 통해 제3기류(W3)가 발생될 수 있고, 온도/습도 조절장치(3)는 작동되면, 기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제4기류(W4)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실(2)의 수용공간(A)에는 제1기류(W1)와 제2기류(W2) 및 제4기류(W4)의 영향을 받아 제5기류(W5)가 발생될 수 있다.
제5기류(W5)가 발생되므로 인해, 수용공간(A) 전체의 온도 및 습도가 평균화가 될 수 있고, 온도/습도 조절장치(3)가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경우, 수용공간(A)의 전체의 온도 및 습도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전체의 곶감 중에서, 일부의 곶감만 온도 및 습도가 달라지지 않도록 보관실(2) 내부에 구비된 환기팬(6), 순환팬(5) 및 온도/습도 조절장치(3)가 제1기류(W1) 내지 제5기류(W5)를 발생하여 수용공간(A)에 수용된 곶감 모두 평균온도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곶감만 상하거나 곰팡이가 슬지 않기 때문에, 곶감의 수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10)는 입력부(110), 외부센서 입력부(120), 내부센서 입력부(130), 스위치부(140), 전원입력부(110), 전원출력부(150),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모드설정신호는 곶감제조장치에 포함된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된 신호이다.
모드설정신호는 제1모드설정신호(S1), 제2모드설정신호(S2), 및 제3 모드설정신호(S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센서 입력부(120)는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외부센서 입력부(120)는 제2온도데이터(500)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센서 입력부(120)가 제2 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유선으로 입력 받 을 수 있고, 외부센서 입력부(120) 내부에 외부센서통신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2 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무선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외부센서 입력부(120)가 제2 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유선으로 입력 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내부센서 입력부(130)는 제1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내부센서 입력부(130)는 제2온도데이터(400)및 제2습도데이터(410)를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내부센서 입력부(130)가 제1 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를, 유선으로 입력 받 을 수 있고, 내부센서 입력부(130) 내부에 내부센서통신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1 온도데이터(400) 및 제2습도데이터(410)를 무선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내부센서 입력부(130)가 제1 온도데이터(400) 및 제2습도데이터(410)를 유선으로 입력 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입력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 입력부(110)는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0)는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10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원 출력부(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 제2온도데이터(500), 제2습도데이터(510), 및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하여 전원출력부(150)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를 공급 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스위칭 오프하여 전원출력부(150)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스위칭동작으로 연결된 장치로 전류가 차단되거나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스위치부(1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출력부(15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연결된 조절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전원출력부(15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로 구비된 전원출력부(150) 각각은 장치와 연결되어 연결된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조절장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전원출력부(150)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조절장치와 복수개의 전원출력부(15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센서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제1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와 외부센서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스위치부(14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내부이슬점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온도데이터(500)와 제2습도데이터(5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외부이슬점을 산출할 수 있다.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이슬점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내부이슬점과, 제1온도데이터(400), 제1습도데이터(410),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전원출력부(150)에 연결된 조절장치의 운전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조절장치의 운전을 판단한 이후, 스위칭부(140)를 동작하여 전원출력부(150)가 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습증기선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습증기선도는 가로축이 건구온도(D1)이고, 세로축이 절대습도(H1)인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건구온도(D1)는 죄측을 0℃ 이하로 볼 수 있고, 우측으로 갈수록 건구온도(D1)가 높아진다. 절대습도(H1)는 하측을 0이라고 볼 수 있고, 상측으로 올라갈 수록 절대습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건구온도(D1)는 현재온도에 해당하는 온도이고, 절대습도(H1)는 공기 1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1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이다. 절대습도(H1)의 양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변하지 않는다.
한편, 건구온도(D1)와 절대습도(H1)의 그래프에서 제곱그래프 형상으로 상대습도(B)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습도(B)는 현재 포함한 수증기량과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의 비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즉, 일정한 범위의 공기중에 포함된 물의 양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습증기선도에서 상대습도(B)가 100%인 그래프가 이슬점을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이슬점그래프(C)는 상대습도(B)가 100%일때의 그래프와 일치할 수 있다. 즉, 상대습도(B)가 100%이면 일정한 범위의 공기내에 포함된 물의 양이 100%인 것이고,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을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슬점(C)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이다.
습증기선도를 기초하여 상대습도(B)와 건구온도(D1) 또는 절대습도(H1)와 건구온도(D1)를 알면 그에 대응되는 이슬점그래프(C)로 이슬점을 산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내부 센서(4) 및 외부 센서(45)는 건구온도(D1)와 상대습도(C)를 센싱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슬점은 건구온도(D1)와 상대습도(B)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구온도가 E점이고, 상대 습도가 B 그래프에 해당되는 상태라고 가정하면, 습증기선도에 E점과 B 그래프의 교차지점을 찾을 수 있고, 교차점은 건구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나타낸다. 교차점의 공기가 포함한 절대습도(H1)는 일정하므로, 교차점 의 이슬점을 알아내기 위해, 이슬점그래프(C)와 교차점을 포함하는 가상선(G2)을 그을 수 있다. 가상선 (G2)와 이슬점그래프(C)가 만나는 점에 해당되는 건구 온도인 G2를 찾을 수 있고, G2는 E점과 상대습도 B의 이슬점이 된다.
도 13는 본 발명의 6 실시예의 곶감제조장치 제어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전원출력부(150)와 연결된 조절장치는 제1조절장치, 및 제2조절장치, 제3 조절장치, 및 제4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출력부(150)는 연결된 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출력부(15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출력부(150)가 4개인것으로 설명한다.
전원출력부(150)는 제1전원출력부(151), 제2전원출력부(152), 제3 전원출력부(153) 및 제4전원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출력부(151)는 제1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제1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2전원출력부(152)는 제2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제2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3전원출력부(153)는 제3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제3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4전원출력부는 제4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제4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실시예의 제1조절장치는 히터(33)로, 제2조절장치는 제습기(32), 로, 제3조절장치는 환기팬(6)으로, 제4조절장치는 쿨러(34)로 설명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위치부(140)는 제1스위치부(141)와 제2스위치부(142), 제3 스위치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부(141)는 제1전원출력부(1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스위치부(141)는 제1조절장치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스위칭동작 할 수 있다.
제2스위치부(142)는 제1전원출력부(1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스위치부(142)는 제2조절장치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스위칭동작 할 수 있다.
제3스위치부(143)는 제1전원출력부(15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스위치부(143)는 제3조절장치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스위칭동작 할 수 있다.
제4스위치부(144)는 제1전원출력부(154)와 연결될 수 있다.
제4스위치부(144)는 제4조절장치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스위칭동작을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스위치부(141)내지 제4스위치부(144)와 연결될 수 있고, 제1스위치부(141)내지 제4스위치부(144)가 스위칭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센서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제1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와 외부센서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제1스위치부(141)내지 제4스위치부(141)의 스위칭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설정신호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신호이고,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중 어느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다.
모드설정신호는, 제1모드설정신호(S1), 제2모드설정신호(S2) 및 제3 모드설정신호(S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설정신호에 따른 제어부(100)의 동작은 추후, 도 15 내지 도 17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6 실시예의 제어기의 수동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기(10)는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곶감 곶감숙성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곶감수동모드에 따른 6 실시예를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제1모드설정신호(S1)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로부터 제1모드설정신호(S1)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
제1모드설정신호(S1)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곶감수동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스위치부(141)로 리셋명령을 출력하여 제1스위치부(141)를 리셋할 수 있다(S11).
여기서 리셋명령은, 스위치부가 스위칭 온 이후, 스위칭 오프하여 전원출력부(150)와 연결된 조절장치를 온 이후 오프하는 것과, 리셋명령은 스위치부가 스위칭 오프한 이후, 스위칭 온하여 전원출력부(150)와 연결된 조절장치를 오프한 이후, 온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스위치부(141)가 리셋동작을 완료하면, 이후 제2스위치부(142)로 리셋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스위치부(142)가 리셋동작을 완료하면, 제3 스위치부(143)로 리셋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3 스위치부(143)가 리셋동작을 완료하면, 제4 스위치부(144)로 리셋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4 스위치부(144)가 리셋동작을 완료하면 수동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S12).
제어부(100)는 리셋동작을 완료하면 수동동작을 완료하기 이전에, 리셋완료에 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7 실시예의 제어기의 수동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제어부(100)는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곶감 곶감숙성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곶감수동모드에 따른 7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제1모드설정신호(S1)를 입력 받을 수 있다(S10).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스위치부(140)를 제어하도록 수동동작신호의 입력을 활성 할 수 있다(S13).
제어부(100)는 제1모드설정신호(S1)를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곶감수동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스위치부(140)를 제어하도록 하는 수동동작신호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스위치부(140)를 제어하도록 하는 수동동작신호입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
여기서, 수동동작신호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절장치를 온 또는 오프하기위하여 각 조절장치와 연결된 스위치부를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동동작 선택을 받으면, 수동동작 선택에 따른 수동동작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동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수동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치부(140)가 스위칭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15).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조절장치를 동작을 원할 경우, 입력부(110)를 통해 제2조절장치를 동작하는 수동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입력부(110)는 상기 수동동작에 대응되는 수동동작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수동동작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치부(142)를 스위칭 온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2 조절장치는 제2 전원출력부(15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8 실시예의 제어기의 건조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3, 도 16을 참조하면, 곶감건조모드는 입력부(110)로 제2모드설정신호(S2)가 입력 되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모드설정신호(S2)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제어부(100)는 제2모드설정신호(S2)를 입력 받으면, 모드를 곶감건조모드(M2)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스위치부(141)를 제어하여 제1전원출력부(151)와 연결된 제1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S1).
여기서, 제1조절장치는 온도를 상승할 수 있는 온도/습도조절장치(3), 온도 조절장치(31), 및 히터(33)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스위치부(141)가 스위칭 온 하여 제1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면 보관실(2) 내부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용공간(A)에 수용된 곶감은 건조가 될 수 있다. 곶감이 건조가 되면, 내부의 과즙이 추출될 수 있다. 과즙이 일정치 이상 추출되면, 보관실(2) 내부의 상대습도가 상승할 수 있고, 상대 습도가 상승하여, 곶감 표면에 과즙이 건조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모드일 때,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제1습도데이터(410)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S22).
제어부(100)는 제1습도데이터(410)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을 경우, 제2스위치부(142)를 스위칭 온하여 제2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S23).
제2조절장치는 제습기(32)일 수 있다.
제2조절장치가 동작하여 보관실(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서, 보관실(2)내부의 상대습도는 낮아지고, 곶감에 과즙이 정상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이후, 곶감의 상태에 따라 건조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곶감의 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지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과즙의 추출 상태로 알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00)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이후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8 실시예의 제어기의 숙성모드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3,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로부터 제3 모드설정신호(S3)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입력부(110)로부터 제3모드설정신호(S3)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보관실(2)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한 이후, 내부이슬점 보다 일정온도(T2) 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S31).
여기서, 일정온도(T2)는 사용자가 기 기 설정한 온도이고, 2℃ 내지 4℃가 바람직하다. 또한, 목표온도는 내부이슬점 + 일정온도(T2)의 값이다.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목표온도로 관리되면, 목표온도가 기체의 액화가 발생할 수 있는 이슬점보다 항상 높기 때문에, 곶감의 표면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보관실 내부의 온도는 목표온도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와 기 설정된 최적온도(T1)를 비교하고,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와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스위치부(140)의 스위칭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
여기서, 최적온도(T1)는 곶감의 맛이 맛있을 수 있는 최적의 온도이다. 곶감은 가을에서 겨울이 제철이며, 곶감이 생산되는 지역의 평균 온도는 18℃ 아래일 수 있다. 때문에, 최적온도(T1)는 18℃로 설정될 수 있다. 최적온도(T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므로, 18℃인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온도(T1)이 18℃인것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거나 같고, 최적온도보다 낮으면 일정시간 이후에 다시 목표온도를 계산하는 단계(S31)를 진행할 수 있다(S33).
한편,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거나, 최적온도보다 높을 경우, 외부의 건구온도를 최적온도와 비교하고, 외부의 건구온도를 목표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S34).
제어부(100)는 외부의 건구온도를 목표온도 및 최적온도와 비교를 통해 환기팬(6), 온도조절장치(31), 및 제습기(32)의 동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은 환기팬(6)과 온도조절장치(31)중, 환기팬(6)의 에너지효율이 좋기 때문에, 보관실 내부보다 보관실 외부의 공기 상태가 좋다면, 환기팬(6)을 사용하여 보관실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보내는 것을 통해 전력을 아낄 수 있어 경제적으로 부담을 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100)는 스위치부(140)의 스위칭동작여부가 판단되면,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거나,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1스위치부(141) 또는 제2 스위치부(142)를 스위칭 동작하여 온도조절장치(31) 또는 제습기를 동작할 수 있다(S36).
제어부(100)는 보관실의 외부 공기가 보관실 내부보다 좋지 않다는 것을 판단하고, 보관실 내부의 장치를 활용하여 온도 또는 습도를 최적상태로 유지 해야 하기 때문에 온도조절장치(31) 또는 제습기(32)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으면, 더 이상 온도를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제습기(32)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39).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으면,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도달하도록 높이기 위해 온도조절장치(31)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38).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으면, 환기팬(6) 및 온도조절장치(31)의 동작을 중지 또는 중지상태를 유지하고, 제습기(32)를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31)가 동작되게 제1스위치부(141)를 스위칭동작할 수 있다(S38).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으면 제습기가 동작되게 제2스위치부(142)를 스위칭동작할 수 있다(S39)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을 경우, 보관실 외부의 공기가 보관실 내부의 공기보다 좋다고 하더라도,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도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습기(32)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9).
한편, (S34)단계에서, 외부건구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고, 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외부의 온도인 외부건구온도가 최적온도(T2)보다 낮고, 외부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으면 내부/외부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S35).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2온도데이터(500)를 비교하고, 제1습도데이터(410)와 제2습도데이터(510)를 비교할 수 있다(S35).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따른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높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 제2스위치부(142) 또는 제3 스위치부(143)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S35).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따른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낮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2스위치부(142) 또는 제3 스위치부(143)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S35).
여기서, 내부/외부 조건은 환기팬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이고,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 와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를 비교하고,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와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를 비교하여 알아낼 수 있다. 내부/외부 조건은 이후, 도 18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S36)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100)는 목표온도와 최적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S37).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00)는 제습기(32)가 동작되도록 제2스위치부(142)를 스위칭동작 할 수 있다(S39).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을 경우, 보관실 외부의 공기가 보관실 내부의 공기보다 좋다고 하더라도,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도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습기(32)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9).
한편,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100)는 환기팬(6)이 동작되게 제어하여 보관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S40).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00)는 환기팬(6)이 동작되도록 제3스위치부(143)를 스위칭동작 할 수 있다(S40).
이후, 제어부(100)는 온도 조절장치동작(S38), 제습기 동작(S39), 및 환기팬 동작(S40)이 후 입력부(110)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곶감숙성모드를 종료할 수 있고, 입력부(110)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내부 이슬점을 산출하여 목표온도를 계산하는 단계(S31)로 돌아가서,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의 내부/외부 조건에 따른 그래프이다.
도 13 및 도 18을 참조하면, 내부/외부 조건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와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가로축은 온도(D1)이고, 세로축은 상대습도(H2)이다. 여기서 온도(D1)는 건구 온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건구온도(D1)로 설명한다.
건구온도(D1)는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2
를 1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는 곶감을 수용하는 보관실의 내부의 건구온도를 나타내고, 외부는 곶감을 수용하는 보관실의 외부 또는 밖의 건구온도을 나타낸다.
가로축인 건구온도(D1)에서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3
가 1인것은, 내부의 건구온도와 외부의 건구온도가 같은 것을 나타낸다. 건구온도(D1)가 1보다 낮은 값이면, 외부의 건구온도가 내부의 건구온도보다 높고, 건구온도(D2)가 1보다 높은 값이면 외부의 건구온도가 내부의 건구온도보다 낮은 것이다.
상대습도(H2)는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4
를 1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는 곶감을 수용하는 보관실의 내부의 상대습도를 나타내고, 외부는 곶감을 수용하는 보관실의 외부 또는 밖의 상대습도를 나타낸다.
세로축 상대습도(H2)의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5
가 1인것은, 보관실의 내부 상대습도와 보관실의 외부 상대습도가 같은 것을 나타낸다. 상대습도(H2)가 1보다 낮은 값이면, 외부의 상대습도가 내부의 상대습도보다 높고, 상대습도(H2)가 1보다 높은 값이면 외부의 상대습도가 내부의 상대습도보다 낮은 것이다.
건구온도(D1)가 일정할 때, 보관실 내부 및 외부의 상대습도(H2)가 같을경우, 건구온도(D1)와 평행으로 상대습도(H2)의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6
가 1인 점을 지나는 선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대습도(H2)가 일정할 때, 보관실 내부 및 외부의 건구온도(D1)가 같을 경우, 상대습도(H2)와 평행으로 건구온도(D1)의
Figure 112016068146073-pat00007
가 1인 점을 지나는 선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 선의 교차점은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 및 건구온도와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 및 건구온도가 같은 지점이다.
한편, 환기팬(6)은 보관실 외부의 공기를 보관실 내부로 흡입할 수 있고, 보관실 외부의 공기가 보관실 내부로 들어오면,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는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에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환기팬(6)은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가 내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보다 조건이 좋을 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실 내부는 18℃ 이하인 최적온도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이슬점에 기설정된 일정온도(T2) 더한 목표온도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관실 내부는 목표온도가 18℃ 이하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외부의 온도가 보관실 내부의 온도보다 낮고, 보관실 외부의 습도가 보관실 내부의 습도보다 높을 경우, 환기팬(6)이 동작되게 스위치부(140)를 스위칭 온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외부의 온도가 보관실 내부의 온도보다 높고, 보관실 외부의 습도가 보관실 내부의 습도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100)는 환기팬(6)이 동작되게 스위치부(140)를 스위칭 온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 제2온도데이터(410),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를 보관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방법은 무선, 유선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대응될 수 있고,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는 제2온도데이터(500)에 대응될 수 있다.
보관실 내부의 상대 습도는 제1습도데이터(410)에 대응될 수 있고, 보관실(2)외부의 상대습도는 제2습도데이터(5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보관실(2) 제1온도데이터에(400) 따른 내부의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높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 환기팬(6)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온도데이터(400)에 따른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낮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9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곶감제조시스템은 조절장치, 내부 센서(4), 외부 센서(45), 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가 건조모드로 전환되되면(S100), 히터(33)로 전원공급을 할 수 있다(S101). 여기서 건조모드는 곶감건조모드이다.
이후, 제어기(10)는 히터(33)가 동작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히터(33)가 동작하여 보관실(2) 내부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인 건조온도까지 높일 수 있다(S102).
내부센서(4)는 제어기(10)로 보관실의 내부 습도와 온도를 출력할 수 있다(S104). 여기서 내부 습도와 온도는 상대습도와 건구 온도일 수 있고, 제어기(10)로 출력하는 출력 형식은 데이터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내부 센서(4)로부터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기(10)는 입력된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보관실(2)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와 내부이슬점을 비교한 결과가 일정온도(T2) 이하이면, 보관실(2) 내부의 습기를 제거 하도록 제습기가 동작되게 제습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105).
제어기(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제습기는 보관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S106).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인 건조시간 동안 히터(33)를 통해 건조온도로 유지하고, 건조시간이 경과 하면, 히터(33) 및 제습기의 운전이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제습기(32)는 히터(33)의 운전이 종료되기 전에 종료할 수 있고, 종료 시점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후, 제어기(10)의 제어상태는 곶감숙성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10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곶감숙성모드는 곶감의 맛과 습기 맺힘 방지를 위하여, 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높은 목표온도로 관리되며, 곶감의 맛을 위해 기 설정된 최적 온도(T1)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곶감숙성모드는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와 최적온도 및 목표온도에 따라서, 조절장치를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10)의 사용자로부터 곶감숙성모드 전환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숙성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200).
이후, 제어기(10)는 내부 센서(4)로부터 제1 온도데이터(400), 제1 습도데이터(4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S201).
제어기(10)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보관실(2)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한 이후,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S202).
제어기(10)는 외부 센서로부터(45)로부터 제2 온도데이터(500), 제2 습도데이터(510)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04).
또한, 내부 센서(4)는 제어기(10)로 현재의 내부 건구온도를 출력할 수 있다(S205).
제어기(10)는 내부센서(4)와 외부센서(45)로부터 입력된 제1온도데이터(400), 제1습도데이터(410), 제2 온도데이터(500), 및 제2 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내부/외부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S206). 내부/외부 조건은 도 18에서 설명한바와 같고,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제어기(10)는 외부의 건구온도가 내부/외부조건을 만족함에 따라서 히터, 제습기, 환기팬, 및 쿨러 중 하나를 동작할 수 있다(S207).
제어부(10)는 내부/외부조건에 기초하여, 히터, 제습기, 환기팬, 및 쿨러 중 하나를 동작하게 제어하여, 보관실 내부의 현재 건구온도가 S202단계에서 계산한 목표온도에 가까워지도록, 또는 보관실 내부의 현재 건구온도가 S202단계에서 계산한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보관실 내부의 건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모드입력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S301). 모드신호 입력은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를 포함 하는 제어상태를 포함하고, 입력부(110)로부터 모드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환될 수 있다(S302). 제어부(100)는 모드의 선택에 대응되도록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 환기팬(6)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 센서(4)로부터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1온도데이터(400)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1습도데이터(410) 및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2온도데이터(500)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2습도데이터(510)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제1온도데이터(400) 및 제1습도데이터(410)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보관실(2)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내부이슬점과, 제2온도데이터(500), 및 제2습도데이터(510)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 및 환기팬(6)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할 수 있다(S303).
제어부(100)는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 및 환기팬(6)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할 때, 판단을 통해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장치 제어방법의 숙성모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곶감숙성모드 입력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S401).
제어부(100)는 곶감숙성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02).
제어부(100)가 곶감숙성모드로 전환되면,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해당되는 온도조절장치(31), 환기팬, 및 제습기중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장치의 동작을 판단할 때, 운전대기조건, 제1환기조건판단, 제2환기조건판단, 제3환기조건판단, 운전조건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를 최적온도와 목표온도를 비교하는 운전대기조건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S403).
운전대기조건은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고, 최적온도(T1)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00)는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하고, 보관실(2) 내부의 건구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인 최적온도(T1)와 목표온도로 비교하는 운전대기조건을 실행 할 수 있다.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운전대기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후, 제어부(100)는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를 최적온도(T1)와 목표온도로 비교하는 제1환기조건판단을 할 수 있다(S404).
제1환기조건판단은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은지,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지 비교하는 판단이다.
제어부(100)는 목표온도와 최적온도(T1)를 비교하는 운전조건 판단을 할 수 있다.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제1환기조건판단을 만족하면, 목표온도와 최적온도를 비교하는 운전조건판단을 가질 수 있다(S405).
운전조건판단은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은지 비교하는 판단이다.
이후, 제어부(100)는 운전조건판단에 따라서 온도조절장치(31), 제습기(32)중 하나를 운전할 수 있다(S406).
도 23은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제2환기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환기조건판단은 제1환기조건판단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 건구온도가 운전대기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환기조건판단을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외부 건구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고, 외부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 때, 제1습도데이터(410)와 제2습도데이터(510)를 비교하여 환기팬(6)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1환기조건판단을 진행할 수 있다(S501).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비교결과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제2환기조건판단을 할 수 있다(S502).
제2환기조건판단으로 환기팬(6), 온도 조절장치, 및 제습기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외부 조건에 따라 제1온도데이터(400)에 따른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높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 환기팬(6)의 운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외부 조건에 따라 제1온도데이터(400)에 따른 건구온도가 제2온도데이터(500)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낮고, 제1습도데이터(410)에 따른 상대습도가 제2습도데이터(510)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3환기조건판단단계를 통해 상기 환기팬의 운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내부/외부 조건은 도 19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 내부/외부 조건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운전조건판단으로 넘어가고, 제어부(100)는 목표온도와 최적온도를 비교하는 운전조건 판단을 할 수 있다. (S503).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은, 보관실 내부의 공기상태 즉, 온도 및 습도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보다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하고, 에너지 효율 또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조절장치(31) 또는 제습기(32)중 하나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으면 온도 조절장치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고(S505),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으면 제습기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506).
한편,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면, 제3환기조건판단을 할 수 있다(S504).
제3환기조건판단은 목표온도와 최적온도를 비교하는 판단이다.
이후,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제3환기조건판단을 만족하면 환기팬(6)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507).
도 24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운전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제1환기조건판단 이후, 목표온도와 상기 최적온도(T1)를 비교하는 운전조건 판단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제1환기조건판단이 외부건구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거나, 외부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경우(S601), 제어부(100)는 운전조건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S602).
제어부(100)는 제1환기조건판단을 통해 보관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공기보다 좋지 않다는 것을 판단했다. 제어부(100)는 환기팬(6)의 운전 없이 보관실 내부의 온도조절장치(31) 또는 제습기를 동작하여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도록 유지해야 한다.
제어부(100)는 운전조건판단을 통해 제습기(32)와 온도조절장치(31) 중 어느 하나를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운전판단조건은 목표온도와 최적온도를 비교하는 것이고,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을 경우 제습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으면 제습기(32)를 동작시킬 수 있다(S505). 목표온도는 최적온도(T1)보다 아래로 관리되어야 하고,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을 경우, 제어부(100)는 쿨러(34) 또는 제습기(32)중 하나를 동작시켜야 한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쿨러(34)를 동작시키면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증가할 수 있다. 절대습도가 일정한데 온도만 내려가게 되면 상대습도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100)는 쿨러(34)와 제습기(32)중 제습기가 동작되게 제어하는 것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31)가 동작되게 제어한다. 이때, 환기팬의 동작은 하지 않는다. 혹시, 환기팬(6)이 열려있으면 동작을 중지한다(S506).
제어부(100)는 제습기(32), 온도조절장치(31), 및 환기팬(6)중 적어도 하나를 운전하는 운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거나, 보관실(2) 외부의 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을 때, 운전조건 판단 단계에 의해 온도조절장치(31) 또는 환기팬(6) 중 어느 하나를 동작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11 실시예에 따른 제3환기조건판단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외부건구온도가 제1환기조건판단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2환기조건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건구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낮고, 외부건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으면 제2환기조건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S607).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가 보관실외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운전조건판단을 실행할 수 있으나, 제2환기조건판단 설명을 위해 제2환기조건판단을 만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내부 건구온도가 외부 건구온도보다 높고, 내부 상대습도가 외부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나, 내부 건구온도가 외부 건구온도보다 낮고, 내부 상대습도가 외부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3 환기조건판단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S608).
제어부(100)는 목표온도와 최적온도(T1)을 비교하는 제3환기조건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S504)
제3환기조건판단은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은가를 비교하는 것이고,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을 경우, 제어부(100)는 제습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S506) 또한,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100)는 환기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S507).
목표온도가 최적온도보다 높을 때, 목표온도는 최적온도(T1) 이해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온도를 내리기 위해 환기팬을 동작시키면, 목표온도는 낮아지지만, 온도에 따른 절대습도가 일정하므로,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상승하게 되어 곶감 표면에 수증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목표온도가 최적온도(T1)보다 높을 때에는, 상대습도만 낮춰주는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12 실시예에 따른 곶감 건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곶감을 건조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히터(33)를 기설정된 온도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701).
이후, 내부 센서(4)가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를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제어부(100)는 내부 센서(4)로부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해당되는 제1온도데이터(400)와 제1습도데이터(410)를 입력 받을 수 있다(S702). 내부 센서(4)는 제어부(100)로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410)만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 상대습도가 증가하여 기설정범위에 해당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703). 이는, 히터(33)를 통해 곶감의 건조가 진행됨에 있어서, 곶감 내부에 있는 과즙이 빠져나올 수 있고, 과즙으로 인해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주기적으로 상대습도가 기 설정범위를 넘지 않는지 판단하여야 한다.
보관실의 내부 상대습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제어부(100)는 제습기(32)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S704). 여기서, 기설정된 상대습도의 범위는 70% 내지 100%일 수 있고, 기설정된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환기팬(6)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환기팬(6)을 사용하면 보관실 외부로부터 건구온도가 낮은 공기가 보관실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힘든 문제와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제습기(32)의 동작이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S706).
이후, 제어부(10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히터(33)의 동작을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S706).
이후, 제어부(100)는 곶감건조모드가 중지되면, 보관실의 내부 온도를 18℃ 이하로 유지하여 건조된 곶감을 숙성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100)는 환기팬(6), 쿨러(34), 히터(33), 및 제습기(32)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여 보관실(2) 내부 온도를 18℃ 이하가 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12 실시예에 따른 곶감 숙성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내부센서(4) 및 외부센서(45)로부터 센싱된 보관실 내부와 외부의 건구온도 및 상대습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S801).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목표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S802) 여기서, 목표온도는 내부이슬점 + 기설정된 일정온도(T2)에 해당되고, 목표온도는 보관실 내부의 현재 온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외부의 건구온도를 최적온도 또는 외부의 건구온도를 목표온도와 비교하여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3).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보관실 외부의 온도보다 높고, 보관실 내부의 습도가 보관실 외부의 습도보다 낮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할 경우 환기팬(6)을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보관실(2) 내부의 온도가 보관실(2) 외부의 온도보다 낮고, 보관실(2) 내부의 습도가 보관실(2) 외부의 습도보다 높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면 환기팬(6)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보관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와 보관실 외부의 온도 및 습도가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운전조건판단으로 넘어갈 수 있다.
제어부(100)는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환기팬(6)의 운전을 중지하거나 환기팬(6)의 운전중지를 유지할 수 있고, 내부이슬점이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운전조건판단에 따라 히터(33), 쿨러(34), 및 제습기(32)중 하나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목표온도를 최적온도와 비교하여 제습기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04).
제어부(100)는 결정에 따라 온도 조절장치, 환기팬, 및 제습기중 어느 하나를 동작할 수 있다(S805).
도 28은 본 발명의 13 실시예에 따른 곶감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온도시간 그래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곶감건조모드로 전환되면, 히터를 동작시켜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전에,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입력하면서, 또는 입력하기 전에 기 설정된 제1시간(X), 제1온도(T3), 제2시간, 및 제2온도(T4)를 기억할 수 있다.
곶감건조방법은 제1건조단계와 제2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건조단계는 기설정된 제1시간(X)과 기설정된 제1온도(T3)로 히터를 동작하는 단계이다.
제2건조단계는 운전 종료시간인 제2시간과 기 설정된 제2온도(T4)로 히터를 동작하는 단계이다.
제1건조단계에서 제1시간(X)이 경과하면 제2건조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제1시간(X)은 건조모드를 진행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일 수 있고, 히터가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제1온도(T3)로 유지하는 시간이다.
제1온도(T3)는 보관실 내부의 희망 온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시작하면 보관실 내부는 제1시간(X)동안 제1온도(T3)를 유지한다.
제2시간은 제1시간(X)부터 건조모드의 종료까지의 시간이다.
제2온도(T4)는 보관실 내부의 희망온도이고, 제2시간 이후부터 제2온도(T4)로 변경된다.
즉, 제2온도(T4)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시작하고, 제1시간(X)이 경과하면, 제1온도(T3)에서 제2온도(T4)로 전환되어 제2온도(T4)가 제2시간까지 유지되는 것이다.
제1온도(T3)는 제2온도(T4)보다 높을 수 있다. 제1시간은 제2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곶감건조방법은 제1건조단계 이후, 제2건조단계를 마치면 종료가 된다.
제1건조단계의 제1온도(T3)가 제2건조단계의 제2온도(T4)보다 높을 수 있다.
이는, 곶감이 처음에 높은 온도인 제1온도(T3)로 건조가 되면, 과즙이 빠르게 빠져나오면서, 과즙내에 포함된 탄닌이 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곶감의 식감을 더 좋게 한다. 이후, 제2온도(T4)로 곶감을 천천히 알맞게 건조시키는 것이다.
제어부(100)는 곶감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곶감의 건조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곶감의 건조에 따라 추출되는 과즙의 양이 단위 시간이 추출되는 과즙의 양이 일정수준 이하일 때, 곶감의 건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곶감의 건조 상태가 기설정된 범위 즉, 곶감으로부터 추출된 과즙의 양이 단위 시간이 추출되는 과즙의 양이 일정수준 이하인 범위에 해당되면, 히터(33)를 기설정된 제2시간과 기설정된 제2온도(T4)로 동작하게 제어하는 제2건조단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시간은 건조모드의 종료시간이다.
즉 제1건조단계에서 제1시간(X)가 경과하면 제2건조단계로 넘어가는 방법과, 제1건조단계 진행중에, 곶감의 건조상태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범위를 넘으면 제2건조단계로 넘어가는 방법이 있다.
이후, 제2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00)는 건조모드를 숙성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곶감제조장치, 2: 보관실
3: 온도/습도조절장치, 4: 내부 센서
5: 내부팬, 6: 외부팬
7: 환기구, 10: 제어기
45: 외부센서, 100: 제어부
110: 입력부, 120: 외부센서 입력부
130: 내부센서 입력부, 140: 스위치부
150: 전원출력부, 160: 전원입력부
170: 디스플레이부

Claims (51)

  1.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에 대응하는 제1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으로 조정되도록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크면, 상기 조절장치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습도에 대응하는 제2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 상기 제2온도데이터, 상기 제1습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보관실의 외부 공기를 상기 보관실 내부로 흡입하는 환기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순환팬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온도가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해당하는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습도가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습도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온도가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해당하는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습도가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해당되는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환기팬이 동작되게 제어하는 곶감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온도 조절장치; 및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해당되도록 상기 온도 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크면, 상기 제습장치를 제어하는 곶감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장치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쿨러; 및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이상이면, 상기 쿨러를 제어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대응되는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상기 히터를 제어하여 상기 보관실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곶감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데이터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 온도이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 습도인 곶감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이슬점보다 높은 온도가 되도록 상기 조절장치가 동작되게 제어하는 곶감제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기팬을 동작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내부이슬점에 가까워지면 상기 환기팬을 중지하고,
    상기 쿨러, 상기 히터, 및 상기 제습기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여 상기 내부 온도가 상기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높게 유지하는 곶감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의 상부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
  11.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의 상부에 통과되게 배치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압력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환기구;
    상기 보관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
    상기 보관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보관실 내부로 흡입하는 환기팬;
    상기 보관실 내부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와 건구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상대습도와 상기 건구온도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이슬점보다 높은 상태에 이르도록 상기 환기팬 또는 상기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팬은,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보관실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
    상기 팬이 회전운동을 정지할 때, 상기 보관실의 외부의 공기를 차폐하는 환기차단셔터;
    상기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팬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하부 에어가이드; 및
    상기 팬이 흡입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보관실 상부를 기준으로 외부 방향으로 통과되게 배치되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해 통과되는 공간인 배출구를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덕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을 덮어 상기 보관실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상부의 길이보다 상기 덕트의 하부의 길이가 더 길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기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구 차단 또는 개방하는 곶감제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상기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팬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팬은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곶감제조장치.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보관실의 하부에 통과되게 배치되는 곶감제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2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외부센서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센서는 복수개로 구비되면,
    상기 내부 센서 각각은 어 상기 보관실 내부에 이격 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 센서 각각은 상기 제어기로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습도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해 제1온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입력된 습도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해 제1습도데이터를 산출하는 곶감제조장치.
  18. 곶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보관실;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2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센서; 및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절장치가 포함되는 곶감제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1습도데이터를 입력 받는 내부센서 입력부;
    상기 제2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를 입력 받는 외부센서 입력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연결된 상기 조절장치로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제1습도데이터, 상기 제2온도데이터, 상기 제2습도데이터, 및 상기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하여 상기 전원 출력부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를 공급 하거나, 스위칭 오프하여 상기 전원 출력부와 연결된 장치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칭동작을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모드설정신호에 따라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신호는,
    제1모드설정신호, 제2모드설정신호 및 제3 모드설정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제1조절장치, 및 제2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조절장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치부; 및
    상기 제2조절장치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하는 제2스위치부;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건조모드는,
    상기 입력부로 상기 곶감건조모드가 실행되게 제2모드설정신호가 입력 되면,
    상기 제1스위치부가 스위칭 온 하여 상기 제1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가 스위칭 온하여 상기 제2조절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숙성모드는,
    상기 입력부로 상기 곶감숙성모드가 실행되게 제3 모드설정신호가 입력 되면,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한 이후, 상기 내부이슬점 보다 일정온도(T2) 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와 기 설정된 최적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와 상기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3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3 조절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거나,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3 스위치부를 스위칭 동작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3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3 조절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3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낮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와 상기 제2습도데이터를 비교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 또는 상기 제3 스위치부를 스위칭 동작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는
    상기 곶감수동모드, 상기 곶감건조모드 및 상기 곶감숙성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26. 곶감이 수용되는 보관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조절장치;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1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부 센서;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대응되는 제2온도데이터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상대습도에 대응되는 제2습도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 센서;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설정신호와, 상기 제1온도데이터, 상기 제1습도데이터, 상기 제2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상태를 결정하는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조절장치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곶감수동모드;
    상기 곶감을 건조하는 곶감건조모드; 및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후에 수행되는 상기 곶감을 숙성시키는 곶감숙성모드를 포함하는 곶감제조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건조모드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인 건조온도까지 높이고,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내부이슬점과 비교한 결과가 일정온도(T2) 이하이면,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곶감제조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건조모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인 건조시간 동안 상기 건조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건조시간 이후, 상기 제어상태가 상기 숙성모드로 전환되는 곶감제조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온도조절장치, 제습기, 및 환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곶감숙성모드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한 이후, 상기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를,
    상기 목표온도와 같거나,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아지도록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를 제어하는 곶감제조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숙성모드는,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온도조절장치 또는 제습기를 동작하는 곶감제조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숙성모드는,
    기 설정된 최적온도(T1)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고,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낮을 때,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습도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고,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낮을 때,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습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환기팬을 동작하는 곶감제조시스템.
  32. 제29항 내지 제 31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 및 상기 목표온도는 기 설정된 최적온도(T1)보다 낮은 곶감제조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온도(T1)는 15℃ ~ 20℃로 설정되고,
    상기 곶감숙성모드는,
    상기 목표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환기팬 및 상기 온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중지 또는 중지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습기를 동작하는 곶감제조시스템.
  34. 모드입력신호를 입력받아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에 대응되도록 곶감수동모드, 곶감건조모드 및 곶감숙성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단계; 및
    상기 곶감수동모드, 상기 곶감건조모드 및 상기 곶감숙성모드에 기초하여 온도조절장치, 제습기, 환기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는 운전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운전단계는,
    내부 센서로부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1온도데이터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1습도데이터 및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에 따른 제2온도데이터와 상대습도에 따른 제2습도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
    상기 제1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1습도데이터를 습증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이슬점과, 상기 제2온도데이터, 및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 상기 제습기, 및 상기 환기팬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는 것이 포함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단계는,
    입력된 상기 모드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곶감수동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곶감수동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 상기 제습기 및 상기 환기팬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동작입력이 활성화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모드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곶감수동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곶감수동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환단계 이후,
    상기 온도조절장치, 상기 제습기 및 상기 환기팬이 순차적으로 재부팅되는 재부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37. 제 34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모드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곶감건조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곶감건조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환 단계 이후,
    상기 히터를 동작하는 단계;
    상기 내부이슬점이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보다 높거나 같을 때 제습기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38. 제 34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모드입력신호를 통해 상기 곶감숙성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곶감숙성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숙성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이후,
    상기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높은 목표온도를 계산하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인 최적온도(T1)와 상기 목표온도로 비교하는 운전대기진단 단계;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를 상기 최적온도(T1)와 상기 목표온도로 비교하는 제1환기조건판단 단계;
    상기 목표온도와 상기 최적온도(T1)를 비교하는 운전조건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습기, 상기 온도조절장치, 및 상기 환기팬중 적어도 하나를 운전하는 운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거나,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을 때, 상기 운전조건 판단 단계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장치 또는 상기 제습기 중 어느 하나를 동작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기조건판단 단계이후,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인 최적온도(T1)보다 낮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1온도데이터와 상기 제2온도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와 상기 제2습도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2환기조건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제2환기조건판단단계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제1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가 상기 제2온도데이터에 따른 건구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1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가 상기 제2습도데이터에 따른 상대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3환기조건판단단계를 통해 상기 환기팬의 운전여부가 결정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기조건판단단계이후,
    상기 목표온도와 상기 최적온도(T1)를 비교하는 제3환기조건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높으면, 상기 제습기를 동작하고, 상기 목표온도가 상기 최적온도(T1)보다 낮으면 상기 환기팬을 동작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42. 삭제
  43. 삭제
  44. 사용자로부터 모드설정을 입력받는 모드설정단계;
    보관실 내부의 이슬점인 내부이슬점을 산출하는 이슬점산출단계; 및
    상기 보관실 외부의 온도와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보관실 외부의 습도를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와 비교하여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온도보다 높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습도보다 낮을 경우, 또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온도보다 낮고, 상기 보관실 내부의 습도가 상기 보관실 외부의 습도보다 높을 경우인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환기팬을 동작시키는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외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환기팬의 운전을 중지하거나 상기 환기팬의 운전중지를 유지하고,
    상기 내부이슬점이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히터, 쿨러, 및 제습기중 하나를 동작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는,
    상기 보관실 내부의 건구온도가 상기 내부이슬점보다 일정온도(T2) 위인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환기팬, 상기 쿨러, 상기 히터, 및 상기 제습기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여 상기 보관실 내부 온도는 섭씨 18도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는 습도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49.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입력하면, 기설정된 제1시간과 기설정된 제1온도로 히터를 동작하는 제1건조단계;
    곶감의 건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곶감의 건조 상태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면, 상기 히터를 기설정된 제2시간과 기설정된 제2온도로 동작하는 제2건조 단계; 및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숙성모드로 전환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곶감제조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의 건조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곶감의 건조에 따라 추출되는 과즙의 양이 단위 시간이 추출되는 과즙의 양이 일정수준 이하일 때, 곶감의 건조상태를 판단하는 곶감제조방법.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2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보다 짧은 곶감제조방법.
KR1020160089105A 2016-07-14 2016-07-14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KR10184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05A KR101849565B1 (ko) 2016-07-14 2016-07-14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105A KR101849565B1 (ko) 2016-07-14 2016-07-14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84A KR20180007784A (ko) 2018-01-24
KR101849565B1 true KR101849565B1 (ko) 2018-04-17

Family

ID=6102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105A KR101849565B1 (ko) 2016-07-14 2016-07-14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86B1 (ko)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KR102368424B1 (ko) * 2021-04-22 2022-02-25 정이영 농수산물 건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15B1 (ko) * 2018-02-02 2019-07-02 조두만 온풍 송풍을 위한 컴프레셔와 냉풍 송풍을 위한 에어컨이 설치된 낚시용품 자판기
CN109449767B (zh) * 2018-09-18 2020-08-1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紧水滩水力发电厂 一种防冷凝配电箱及其控制方法
CN110377067A (zh) * 2019-06-17 2019-10-25 国网上海市电力公司 用于箱式变压器的除湿一体化系统
CN113154816A (zh) * 2021-03-12 2021-07-23 白乐乐 鼓风干燥机械操控系统及方法
CN114234621B (zh) * 2021-12-28 2023-04-07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扫地机的烘干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596449B1 (ko) * 2022-08-19 2023-11-02 손창규 건조 잎담배 자동가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67B1 (ko) 2013-02-01 2013-06-20 인버터기술(주)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0024B1 (ko) * 2013-09-27 2014-11-11 에스더블유이엔지(주) 제습장치가 내장된 풍향 전환형 감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67B1 (ko) 2013-02-01 2013-06-20 인버터기술(주)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0024B1 (ko) * 2013-09-27 2014-11-11 에스더블유이엔지(주) 제습장치가 내장된 풍향 전환형 감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86B1 (ko) 2019-11-26 2020-05-15 (주)제이피텍 곶감 건조장치
KR102368424B1 (ko) * 2021-04-22 2022-02-25 정이영 농수산물 건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84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565B1 (ko) 곶감제조장치, 곶감제조장치의 제어기, 곶감제조시스템, 곶감제조장치의 제어방법, 곶감제조장치의 건조방법, 곶감제조장치의 숙성방법, 및 곶감제조방법
CN108603670B (zh) 可变制冷剂封装
US10436457B2 (en) Variable refrigerant package
US8214085B2 (en) Ventilator control optimizer
US11859857B2 (en) Modular fan assembly with articulating nozzle
US9266118B2 (en) Air purifier
RU258451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WO2016047103A1 (ja) 制御装置、通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3217822U (ja) 蜜蜂巣箱用換気断熱箱
KR20180038701A (ko) 애완동물의 모발 건조 장치
CN110645645A (zh) 一种防结露除湿装置的控制方法
JP2016183799A (ja) 空気調和機
JP2020085375A (ja) 換気装置
JP6690946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CN111742182A (zh) 空调机的室内机以及室内系统
KR101769209B1 (ko)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
CN106972360A (zh) 一种对柜内微环境调控的环网柜
CN107093858A (zh) 一种环网柜内微环境的控制方法
CN215958182U (zh) 熟成柜
CA3047085A1 (en) Variable refrigerant package
KR101259055B1 (ko) 발코니 결로방지 및 제습장치
CN205332460U (zh) 基于wifi控制的智能除湿机
KR20180070373A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 환기장치
EP1026452B1 (en) Ventilating system
CN113405210B (zh) 用于调湿机的控制方法、装置及调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