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764A - 박형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박형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764A
KR20030005764A KR1020010041211A KR20010041211A KR20030005764A KR 20030005764 A KR20030005764 A KR 20030005764A KR 1020010041211 A KR1020010041211 A KR 1020010041211A KR 20010041211 A KR20010041211 A KR 20010041211A KR 20030005764 A KR20030005764 A KR 20030005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recording medium
optical axis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045B1 (ko
Inventor
연철성
성평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045B1/ko
Priority to TW091112318A priority patent/TW588343B/zh
Priority to CN02125141A priority patent/CN1396588A/zh
Priority to US10/188,860 priority patent/US6873592B2/en
Priority to JP2002200565A priority patent/JP2003085821A/ja
Publication of KR20030005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박형 광픽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픽업장치에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학소자와, 상기 광학소자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도록 상기 광학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이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상기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반사미러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가 구비된다. 광학평판을 채용하여 광픽업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크기를 가진 광원과 광검출기를 이용할 수 있는 박형 광픽업장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박형 광픽업장치{Slim optical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일반적인 크기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를 채용할 수 있는 소형의 박형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픽업장치는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오디오나 비디오용 광디스크 플레이어등의 기기에 사용된다. 광픽업장치는 이를 채용하는 기기 내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휴대용 또는 차량용 오디오나 비디오용 광디스크 플레이어등과 같은 경량의 소형기기를 위해, 소형화되고 박형화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장치의 크기는 대물렌즈의 두께와 작동거리에 의해 결정되고, 이로부터 광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광효율이 결정된다. 소형의 박형 광픽업장치를 위해, 대물렌즈 및 기타 광픽업장치에 사용되는 광부품의 크기는작아질 필요가 있으므로, 광원 및 광검출기도 그 크기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광원 및 광검출기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하로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광원의 경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방열판등의 히트 싱크 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광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광원부(광원 및 히트싱크장치를 구비함)의 크기를 일정크기 이하로 줄이는 것을 어렵게 한다.
광검출기의 경우, 이를 기존의 것보다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작하려면 별도의 경비가 들어가게 되어 부품값이 올라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광원과 광검출기를 하나의 광모듈에 채용한 형태가 많이 사용되는데, 광픽업장치의 고배속, 고밀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높은 광파워를 가진 광원이 요구되어 광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98-4432호에 개시된 종래의 박형 광픽업장치는, 발광수단에서 수평방향의 빔을 하방으로 굴절시키는 굴절장치를 광경로상에 구성함으로써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박형 광픽업장치에는, 수평방향의 광을 발사하기 위한 광원(11),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하방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굴절수단(13), 상기 굴절수단(13)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하기 위한 미러(15), 반사된 광을 기록매체(19)의 기록면에 집광시키기 위한 집광수단(17), 및 기록매체(19)의 기록면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광로를 거쳐 수광하기 위한 광검출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박형 광픽업장치에는,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굴절수단(13)으로 홀로그램이 사용되어 광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입사광이 미러(15)에 경사지게 입사되어 집속수단(17), 즉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홀더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국내특허공보 제96-2205호에 개시된 다른 종래의 박형 광픽업장치는, 입사광의 입사면상의 직경을 축소하여 광을 정형하고 출사광이 출사면에 대해 45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입사광에 수직하도록 설계된 프리즘(3a, 3b)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박형 광픽업장치에는, 수직/수평방향의 강도 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입사광의 강도분포를 변화시켜 일정한 형태(원형상)가 되도록 정형하면서, 출사광이 최초의 입사광축에 수직하게 되도록 하여 광디스크용 광픽업장치의 구조를 수직/수평하게 하는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3a, 3b)이 구비되어 있다.
참조번호 1은 광원, 참조번호 2는 시준렌즈, 잠조번호 5는 미러, 참조번호 6은 대물렌즈, 참조번호 7은 기록매체, 참조번호 8은 수차보정렌즈, 참조번호 9는 빔스프리터, 참조번호 10은 광검출기이다.
상기 종래의 광픽업장치에는, 빔정형 프리즘이 쌍으로 구비되어 균일한 광도분포를 가진 소형 광픽업장치의 제작이 가능하지만, 상기 빔정형 프리즘 쌍에 의해 온도에 따른 광의 색수차가 발생될 수 있고, 빔정형 프리즘 쌍의 조립공차가 엄격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일반적인 크기의 광원과 광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박형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광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에서 광축이 시프트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1 : 광원 2, 33, 33a, 33b : 시준렌즈
3a, 3b : 프리즘 5, 15, 37 : 미러
6, 39 : 대물렌즈 7, 19, 41 : 기록매체
8 : 수차보정렌즈 9, 43 : 빔스프리터
10 : 광검출기 13 : 굴절수단
17 : 집광수단 18, 28, 38 : 베이스
31 :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
31a : DV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
31b : C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
35 : 광학평판 45 : 모니터 포토다이오드
47 : 액츄에이터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학소자;와 상기 광학소자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도록 상기 광학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이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상기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반사미러;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소자와 상기 광축이동수단 사이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의 광로를 변환시키는 광로변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로변환수단은 빔스프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파장의 제1광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각각 평행광으로 바꾸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광학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이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상기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반사미러;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의 광로를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와 상기 광축이동수단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로변환수단;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기록매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광축이동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평행한 평행사변형 모양의 광학평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는 시준렌즈 또는 홀로그램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시프트(shift)'의 의미는, 광학평판에 대한 입사광과 출사광의 광축이 나란하도록 광이 진행하되, 높이방향으로만 광축 변위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에는, 기록매체(41)의 평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홀로그램 레이저모듈(31)과,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로부터 입사된 광을 기록매체(41)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39)가 구비된다.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과 대물렌즈(39) 사이의 광로상에는,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로부터 입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는 시준렌즈(33)와, 시준렌즈(33)와 대물렌즈(39) 사이의 광로상에 배치되어, 시준렌즈(33)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을 그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는 광학평판(35)이 구비된다.
광학평판(35)과 대물렌즈(39) 사이의 광로상에는, 광학평판(35)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평행광을 기록매체(41)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미러(37)가 구비되어 있다.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에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기록매체(41)에서 반사되고 광학평판(35)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에는, CD(Compact disc)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780nm 파장을 가지는 CD용 레이저 다이오드나,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650nm 파장을 가지는 DVD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에는 모서리 발광 레이저(Edge emitting laser) 또는 표면 발광 레이저(Surface emitting lase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물렌즈는, 광픽업장치를 최대한 박형화하기 위해 0.6이상의 고개구수를 가지며 짧은 작동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평판(3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사광의 광축을 기록매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킨다. 상기 광학평판(35)의 기울기는, 상기 시준렌즈(33)로부터 입사된 평행광의 광축이 그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시프트되어 광픽업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는,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이 광원부(히트싱크를 포함)및 광검출기를 모두 구비하여 소형화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것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광픽업장치의 베이스(38)로부터 대물렌즈(39)까지의 높이를 낮추는 방법을 제안한다.
광픽업장치에서, 대물렌즈(39)와 반사미러(37)간의 간격은 설계상 더 이상 좁힐 수 없는 최소의 값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평판(35)에 의해 광축을 시프트시킴으로써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을 최대한 기록매체(41)로 근접시킨 박형 광픽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서 광축이 시프트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준렌즈(33)에서 출사된 광(21)은 입사각 θ1로 광학평판(35)에 입사되고 스넬의 법칙, 즉 수학식 1에 의해 굴절각 θ2로 굴절되어 진행한다. 굴절광(23)은 다시 수학식 1에 따른 굴절각 θ2로 굴절되어 광학평판(35)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광(25)은 평행광으로 입사광(21)에 대해 광축만이 Δh 만큼 시프트되어 진행한다. 광학평판(35)으로부터 출사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이 시프트되는 거리(Δh)는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에서 출사된 광은, 시준렌즈(33)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바뀐 다음, 광학평판(35)을 통과하면서 광축이 연직 하방으로 Δh 만큼 시프트된다. 상기 시프트 거리(Δh)에 의해 광픽업장치의 베이스(38)로부터 대물렌즈에 이르는 광픽업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박형 광픽업장치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광학평판(35)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은 반사미러(37)에서 대물렌즈(39)를 향해 연직 상방으로 반사된 다음, 대물렌즈(39)를 통과하면서 집속되어 기록매체(41)에 광스폿이 맺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에는, 기록매체 평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DVD용 레이저(이하 제1광이라 한다)를 출사하는 DV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과 CD용 레이저(이하 제2광이라 한다)를 출사하는 C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b)과,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 31b)로부터 입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47)와,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 31b)과 액츄에이터(47)사이의 광로상에 배치되어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 31b) 각각으로부터 입사되는 상기 제1 및 제2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는 시준렌즈(33a, 33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시준렌즈(33a, 33b)와 액츄에이터(47)사이의 광로상에는 시준렌즈(33a, 33b)로부터 입사된 평행광인 상기 제1 및 제2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는 광학평판(35)과, 광학평판(35)을 통과한 상기 제1 및 제2광이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미러가 광학평판(35)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광학평판(35)사이의 광로상에는, 기록매체(41)에서 반사되고 광학평판(35)을 경유한 광의 광경로를 변환시키는 빔스프리터(43)와, 시준렌즈(33a)와 빔스프리터(43) 사이에는 시준렌즈(33a)로부터 입사된 평행광의 광로가 변환되도록 상기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미러(37)와, 기록매체(41)에서 반사되고 광학평판(35)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모니터 포토다이오드(45)가 더 구비되어 있다.
DV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에는, DVD용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DVD용 광검출기(미도시)와 기록매체(41)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회절시키는 홀로그램소자(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C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에(31b)에는, CD용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CD용 광검출기(미도시)와 기록매체(41)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회절시키는 홀로그램소자(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7)에는, 대물렌즈(39)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등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의 구성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바, 여기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물렌즈(39), 광학평판(35)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모니터 포토다이오드(45)는, 기록매체(41)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광픽업장치에서, 기록매체(41)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한 후 광전변환한 신호로부터 정확한 정보기록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광검출기이다.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과 같은 광모듈에 일반적으로 광원과 함께 광검출기가 구비되나, 상기 광검출기는 기록매체에 정확히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기록을 위한 광픽업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포토다이오드(45)가 별도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는, DVD 와 CD를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는 CD용 레이저 다이오드와 DVD용 레이저 다이오드를 모두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는, FSR(first surface recordig) 방식에 의해 정보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록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FSR 방식이란 일반적인 의미의 보호층을 가지지 않는 기록매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광입사면이 바로 기록면이거나 기판상에 형성된 기록면을 먼지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록면에 수 μm 예를 들어, 5μm 정도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대물렌즈의 작동거리를 일반적인 의미의 보호층(예를 들어, DVD의 경우 기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0.6mm 두께)의 두께만큼 짧게 할 수 있어, 박형의 광픽업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DV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a)에서 출사된 DVD용 레이저빔은 대물렌즈(33a)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바뀐 다음 반사미러(37)에 의해 반사되고, 빔스프리터(43)와 광학평판(35)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대물렌즈(39)가 장착되는 액츄에이터(47)로 향해 진행한다. 상기 DVD용 레이저빔이 광학평판(35)을 통과하면서 광축이 일축 즉, 연직하방(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것은 물론이다.
CD용 홀로그램 레이저 모듈(31b)에서 출사된 CD용 레이저빔은 대물렌즈(33b)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바뀐 다음 빔스프리터(43)에서 광로가 변환되어 광학평판(35)으로 입사한다. 상기 CD용 레이저빔이 광학평판(35)을 통과하면서 광축이 일축 즉, 연직하방(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CD용 레이저빔은 광학평판(35)을 통과한 후 대물렌즈(39)가 장착되는 액츄에이터(47)로 진행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7)의 상방에는 대물렌즈(39)에 대응하여 기록매체(미도시)가 위치하며,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빔은 상기의 경로를 순차적으로 역행하여 광검출기(미도시)로 입사된다. 상기 레이저빔이 광학평판(35)을 통과하면서 광축이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즉 연직상방으로 시프트되는 것은 상기의 원리에 의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는, 광학평판이 구비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평행광의 광축을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시프트시켜 광픽업장치의 베이스로부터 기록매체까지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소형의 박형 광픽업장치의제공이 가능하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기록매체의 평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이 아닌 경우 광학평판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광학적 소자, 예컨대 웨지 프리즘등을 사용하여 광축을 이동시켜 광픽업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형 광픽업장치의 장점은, 광학 평판을 사용하여 광축을 시프트 시킴으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크기의 광원 또는 광검출기를 채용하면서 단순히 그 위치만을 변화시켜 광픽업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소형의 박형 광픽업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Claims (12)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학소자;
    상기 광학소자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도록 상기 광학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축이동수단;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이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상기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반사미러;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기록매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이동수단은 광학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평판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사변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시준렌즈 또는 홀로그램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와 상기 광축이동수단사이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의 광로를 변환시키는 광로변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변환수단은 빔스프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8. 서로 다른 파장의 제1광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각각 평행광으로 바꾸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광학소자;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를 통과한 상기 평행광의 광축을 일축으로 나란하게
    시프트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축이동수단;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통과한 상기 평행광이 상기 기록매체로 향하도록 상기 광축이동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반사미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의 광로를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광학소자와 상기 광축이동수단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된 광로변환수단;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광축이동수단을 경유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기록매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이동수단은 광학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평판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사변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시준렌즈 또는 홀로그램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광픽업장치.
KR10-2001-0041211A 2001-07-10 2001-07-10 박형 광픽업장치 KR10042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211A KR100421045B1 (ko) 2001-07-10 2001-07-10 박형 광픽업장치
TW091112318A TW588343B (en) 2001-07-10 2002-06-07 Slim optical pickup apparatus
CN02125141A CN1396588A (zh) 2001-07-10 2002-06-28 细长的光学拾取器装置
US10/188,860 US6873592B2 (en) 2001-07-10 2002-07-05 Slim optical pickup apparatus
JP2002200565A JP2003085821A (ja) 2001-07-10 2002-07-09 薄型光ピックアッ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211A KR100421045B1 (ko) 2001-07-10 2001-07-10 박형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764A true KR20030005764A (ko) 2003-01-23
KR100421045B1 KR100421045B1 (ko) 2004-03-04

Family

ID=1971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211A KR100421045B1 (ko) 2001-07-10 2001-07-10 박형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3592B2 (ko)
JP (1) JP2003085821A (ko)
KR (1) KR100421045B1 (ko)
CN (1) CN1396588A (ko)
TW (1) TW588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485A (ja) * 2006-05-05 2009-10-0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低い高さおよび高解像度を備えた光学画像記録デバイス
CN100414345C (zh) * 2006-09-21 2008-08-27 中北大学 快速成形激光二极管能量源及其设备
TWI567953B (zh) * 2011-12-20 2017-01-21 新加坡恒立私人有限公司 光電模組及包含該模組之裝置
CN108981653A (zh) * 2017-05-31 2018-12-1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激光水准仪及其激光移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601A (ja) 1983-08-08 1985-02-25 増本 健 高合金鋼粉末及びその製法
US4761774A (en) * 1985-05-30 1988-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US5151890A (en) * 1989-05-08 1992-09-29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system for optical memory device
JPH03259435A (ja) * 1990-03-09 1991-11-19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2962363B2 (ja) * 1990-04-28 1999-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ヘッド
JPH04205732A (ja) * 1990-11-29 1992-07-27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H0528531A (ja) * 1991-07-24 1993-02-05 Asahi Optical Co Ltd 光デイスク装置の光学系
JP3563086B2 (ja) 1993-03-16 2004-09-08 富士通株式会社 光学ヘッド
JPH06349101A (ja) 1993-06-03 1994-12-22 Canon Inc 光学ヘッド装置
KR100213010B1 (ko) * 1993-07-31 1999-08-02 윤종용 광정보 스캐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용 광학헤드
JPH07161047A (ja) 1993-12-07 1995-06-23 Hitachi Ltd 光情報処理装置
KR960002205A (ko) 1994-06-24 1996-01-26 김주용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
JPH0831000A (ja) 1994-07-07 1996-02-02 Konica Corp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980004432A (ko) 1996-06-12 1998-03-30 구자홍 박형 광픽업장치
JP4231126B2 (ja) * 1997-08-26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8343B (en) 2004-05-21
US20030012116A1 (en) 2003-01-16
KR100421045B1 (ko) 2004-03-04
CN1396588A (zh) 2003-02-12
US6873592B2 (en) 2005-03-29
JP2003085821A (ja)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7206B2 (en) Optical hea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their fabrication method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KR19990083967A (ko) 비점수차 방지 광픽업 장치
US6487161B2 (en) Objective lens and optical head for optical disc drive
KR100253810B1 (ko) 이파장 광원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장치
US6298028B1 (en) Optical head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it
US7106681B1 (en) Optical head arrangements with single substrate lasers
KR100421045B1 (ko) 박형 광픽업장치
JPH09180238A (ja) 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6477129B2 (en) Optical disc drive
EP17619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canning beam in an optical pickup head, miniature optical pickup head and optical storage system incorporating a miniature pickup head
US7158468B2 (en) Optical system for optical head
US6947367B2 (en) Single means for converting beam widths of plural laser beams with different entry and exit angle with offset
KR20000046016A (ko) 광 픽업장치
US8179770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4161439B2 (ja) 光ヘッド
KR100655545B1 (ko)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US7251208B2 (en) Optical pick-up system for use in an optical disk device including use of improved gratings with more efficient beam diffraction
KR100540700B1 (ko) 웨이퍼 기반의 광저장장치 대물렌즈
KR20060072378A (ko)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0403596B1 (ko) 직각삼각형 모양의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와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JP360804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1203707A (ja) 半導体集積発光装置およ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30019957A (ko) 다각형의 프리즘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축보정방법
JPH0963102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