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545B1 -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545B1
KR100655545B1 KR1020040110978A KR20040110978A KR100655545B1 KR 100655545 B1 KR100655545 B1 KR 100655545B1 KR 1020040110978 A KR1020040110978 A KR 1020040110978A KR 20040110978 A KR20040110978 A KR 20040110978A KR 100655545 B1 KR100655545 B1 KR 10065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reflected
optical unit
inclined surfaces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377A (ko
Inventor
김철민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5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특히 광학 디바이스의 집적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발광부 및 이에 대응하는 수광부, 광로 변경을 위한 프리즘을 일체로 갖는 집적광학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집적광학유닛은, 3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의 경사면에 각각 대향되는 2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하나의 광 검출기를 구비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적을 통해서 광 픽업의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다.
광 픽업, 2파장, 프리즘

Description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INTEGRATION OPTICAL UNI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종래 광 픽업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2파장 다이오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집적 광학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 및 홀로그램 소자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 및 홀로그램 소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검출기의 광 검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의 발광 및 수광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소자의 상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검출기의 광 검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을 이용한 광 픽업 장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의 레이저 다이오드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비교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간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른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집적 광학 유닛 101,102...레이저 다이오드
104...스템 110...반사체
111,112,113...경사면 130...광 검출기
140...홀로그램 소자 151...콜리메이터렌즈
152...반사미러 153...대물렌즈
154...디스크
본 발명은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특히 광학 디바이스의 집적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발광부 및 이에 대응하는 수광부, 그리고 그 사이의 광로 변경을 위한 반사체를 일체로 갖는 집적광학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화와 같은 동화상정보가 압축되어짐에 따라 CD(Compact Disc) 및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 디스크도 2시간 정도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저장할 수 있게끔 요구받고 있다. 그런데, 광 디스크들 중에서 가장 큰 기록용량을 가지는 DVD는 4.7GBytes 까지만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2시간 분의 동화상정 보를 기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고화질 디지털방송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되면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BD(블루 레이 디스크)용 기록 및 재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블루 레이저 다이오드(BD: Blue laser Diode)급 광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고 개구수(예컨대, NA=0.85), 짧은 파장(예컨대, 405nm)의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더블어, 디스크 기록 및 재생장치는 DVD, CD, BD(Blue-ray Disk)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하나의 레이저를 모든 디스크를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2파장 또는 3파장에 대응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3파장 대응 광 픽업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발생하는 제 1내지 제 3레이저 다이오드(11,12,13)와, 상기 제 1내지 제 3레이저 다이오드(11,12,13)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을 입사 방향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21,22,23)와, 빔 스플리터(21,22,23)에 의해 반사된 빔을 평행 빔으로 전환하는 콜리메이터 렌즈(24)와, 상기 평행 빔을 대물렌즈 방향으로 경로를 전환해 주는 반사미러(25)와, 상기 반사 미러(25)에 의해 반사된 빔을 디스크(27)에 조사하는 대물렌즈(26)와, 상기 디스크(27)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광빔을 수광하는 광 검출기(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 1레이저 다이오드(11)는 CD용이며, 제 2레이저 다이오드(12)는 DVD용이며, 제 3레이저 다이오드(13)는 블루 레이저 다이오드로서 BD용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각각 분리되어 설치된 제 1,2,3 레이저 다이오드(11,12,13)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빔은 광 빔들의 경로를 일치시키기 위해 각각의 빔 스플리터(21,22,23)를 통해서 반사된다. 즉, 제 1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발생된 빔(780nm)은 제 1빔 스플리터(21)에 의해 반사되고 제 3빔 스플리터(23)를 투과하여 콜리메이터 렌즈(24)에 입사되며, 제 2레이저 다이오드(12)로부터 발생된 빔(680nm)은 제 2빔 스플리터(22)에서 반사되고 제 1, 3빔 스플리터(21,23)를 투과하여 콜리메이터 렌즈(24)에 입사되고, 제 3레이저 다이오드(13)로부터 발생된 빔(405nm)은 제 3빔 스플리터(23)에서 반사되어 콜리메이터 렌즈(24)에 입사된다. 이러한 반사 또는 투과 동작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24)는 입사 빔을 평행 빔으로 전환되고, 반사미러(25)에 의해 디스크 방향으로 경로가 전환된 후 대물렌즈(26)에 의해 디스크(27)에 조사된다. 상기 디스크(27)에 조사된 광은 반사되어 역 경로 즉, 대물렌즈(26), 반사미러(25), 콜리메이터 렌즈(24)를 거쳐 빔 스플리터(23,21,22)를 투과하여 광 검출기(30)에 전기적 신호로 검출됨으로써, 서버 신호 및 RF 신호등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각각 분리 배치된 레이저 다이오드(11,12,13)를 사용하는 3파장 대응 광학계를 구성할 경우 광학부품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가 개발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패키지로서, 하나의 발광 소자(41) 내의 두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형성하여 CD용 레이저 빔, DVD용 레이저 빔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로부터 하나의 빔 스플리터에 해당하는 광학 부품을 제거하고 그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패키지를 사용하더라도, 두 레이저 다이오드간이 직선 상에 놓여 있어 거리(100um)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온도특성 저하 및 LD의 열화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등각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각 경사면에 2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일체로 실장하는 집적 광학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줄 일 수 있고, 광학 부품의 수를 줄 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집적 광학 유닛 상에 홀로그램 소자를 구비함으로써,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반사광 빔이 광 검출기에 수광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적 광학유닛은,
3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경사면 중 2개의 경사면에 각각 대향되는 2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경사면 중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광 검출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체의 경사면은 스텝 바닥 기준 또는 발광 광축에 대해서 각각 45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체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체의 경사면은 서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체 상부에는 각 경사면을 통해 반사되는 광 빔을 광 경로 상에 출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상기 광 검출기로 출사하는 홀로그램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검출기는 반사체의 해당 경사면을 통해 집광되는 제 1반사광빔 및 상기 홀로그램 소자에 의해 직접 집광되는 제 2반사광빔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집적광학 유닛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는,
광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파장이 다른 광빔들을 발생하는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와, 반사광빔을 수광하기 위한 광 검출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각 경사면에 대향시켜 빔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집적광학 유닛과; 상기 집적 광학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평행 빔으로 전환하는 수단과; 상기 평 행 빔을 디스크 방향으로 광 경로를 전환하는 광 경로 전환 수단과; 상기 광 경로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된 광 빔을 디스크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적 광학 유닛의 반사체에 소정 이격되어,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빔을 광 경로 상에 투과시키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상기 광 검출기 및 광 검출기에 대향되는 경사면으로 투과시키는 홀로그램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템 중앙에 3개의 경사면을 갖는 프리즘이나 미러와 같은 반사체를 위치시키고, 그 반사체의 경사면들에 대향되도록 반사체 주위에 파장이 다른 광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들 및 광 검출기를 패키지로 설치하여, 하나의 유닛에서 2개의 광빔을 발생시키고 반사 광빔을 수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픽업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부피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집적 광학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집적광학 유닛(또는 모듈)(100)은 원형 또는 도나스 형태의 스템(104)과, 상기 스템(104) 상에 1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 1,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 및 광 검출기(130)와, 스템(104) 중앙에 상기 제 1, 2레이저 다이오드(LD1,LD2)(101,102) 및 광 검출기(130)에 대향되도록 등각으로 배치된 경사면(111,112,113)을 갖는 반사체(110)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체(110)는 미러(mirror), 프리즘(prism), 경사면에 반사막이 부 착된 구조물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집적 광학 유닛(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도나스 형상의 스템(104) 상에 등각(120도)으로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 광 검출기(130)가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스템(104)은 3개로 분리하여 각각 제 1,2 레이저 다이오드(101,102), 광 검출기(130)를 탑재시킨 후 조립하여 사용할 도 있다. 즉,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101,102) 또는 광 검출기(130)가 탑재된 스템들을 각각 제작한 후 반사체(110) 주위에 원형 구조로 부착시켜 줌으로써 2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 유닛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 및 광 검출기(130)는 3등분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반사체(110)의 경사면(111,112,113)에 각각 대향된다. 상기 반사체(110)의 경사면(111,112,113)은 스템(104) 바닥 기준 또는 광 축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45도로 경사지게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11,112,113)은 경사각도를 보다 좁게 또는 보다 넓게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는 서로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101,102)로부터 발생되는 빔간의 간격을 경사면 각도로써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체(110)는 각 경사면(111,112,113)은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로부터 발생된 서로 다른 파장의 광 빔은 반사체(110)의 제 1 및 제 2 경사면(111,112)들에 각각 반사되어 스템(104)의 표면과 직각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진행하게 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빔은 이종의 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레이저 다이오드(LD1)(101)에서 사용되는 제 1광원은 예를 들어, 78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CD용 디스크로 사용된다. 제 2레이저 다이오드(LD2)(102)에서 발생되는 제2광원은 예를 들어, 68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CD용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DVD용 디스크로 사용된다. 또는 선택적으로 2파장 다이오드일 경우 하나는 CD/DVD이고 다른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블루 레이저용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빔은 다시 반사체(110)의 제 3경사면(113)에 반사되어 광 검출기(130)에 집광됨으로써, 광 검출기(130)에서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여, 서버 신호 및 RF 신호로 이용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집적 광학 유닛(100) 상부에 홀로그램 소자(140)를 구비한 구성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집적 광학 유닛(100)의 상부에 빔을 일정 목적하는 위치로 투과시켜 주기 위한 홀로그램 소자(1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빔은 반사체(110)의 제 1 및 제 2경사면(111,112)에서 직각으로 각각 반사되어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하게 된다. 상기 투과된 광 빔은 광 경로를 지나 디스크에 조사되며, 디스크에서 다시 역 경로로 도 6과 같이 홀로그램 소자(140)를 통해 투과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소자(140)는 디스크로부터 반사되어 역 경로로 입사되는 반사 광빔을 광 검출기(13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 광빔은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된 후 반사체(110)의 제 3경사면(113)을 통해서 광 검출기(130)에 집광시켜 주는 제 1경로(P1)와, 홀로그램 소자(140)에서 직접 광 검출기(130)에 집광시켜 주는 제 2경로(P2)로 진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101,102)로부터 발생된 제 1 및 제 2광빔(B1,B2)은 반사체(110)의 제 1 및 제 2경사면(111,112)에서 직각으로 반사되어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하게 됨으로써, 이종의 광 디스크를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빔(RB)은 상기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하여 반사체(110)의 제 3경사면(113)에 의해 직각으로 반사되어 광 검출기(130)에 제 1경로(P1)을 따라 집광되거나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하여 제 2경로(P2)를 따라 직접 광 검출기(130)에 집광될 수 도 있다.
이러한 홀로그램 소자(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한 회절 영역(142)과 밀한 회절 영역(141)으로 이루어진다. 즉, 홀로그램 소자(140)는 가로 방향과 사선 방향으로 회절 격자가 새겨진 회절 영역이 형성되고, 그 회절 영역은 밀한 영역(141)과 소한 영역(142)으로 나누어지며, 편광 방향에 따라 빔을 투과 및 회절시켜 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소자(140) 및 광 검출기(13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한 반사 광빔은 광 검출기(130)에 구비된 4분할 구조의 셀(C1,C2,C3,C4)에 수광된다. 상기 광 검출기(130)는 홀로그램 소자(140)를 투과한 반사 광빔을 수광하게 되는 데, 4분할 구조의 셀(C1,C2,C3,C4)을 통해 메인 광 및 서브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검출함으로써, 서버 신호 및 RF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집적광학 유닛을 이용한 광 픽업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파장의 레이저 빔을 출사하고 반사광빔을 수광하는 집적광학 유닛과(100), 상기 집적광학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빔을 평행 빔으로 전환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51)와, 상기 평행 빔을 디스크 방향으로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 경로 전환수단으로서 반사 미러(152)와, 상기 반사된 레이저 빔을 디스크(154)에 조사하는 대물렌즈(15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집적광학 유닛을 이용항 광 픽업 장치는, 먼저 집적 광학 유닛(100)으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이 각각 발생되면, 콜리메이터 렌즈(151)에 의해 평행 빔으로 전환되고, 반사미러(152)에 의해 광 경로가 디스크 방향으로 변경된 후 대물렌즈(153)를 통해서 디스크(154)에 조사된다. 또한, 디스크(154)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광빔은 다시 역 경로 즉, 대물렌즈(153), 반사미러(152), 콜리메이터 렌즈(151)를 통해서 집적 광학 유닛의 광 검출기(130)로 수광된다.
여기서, 도 11과 같은 광학계에 3파장을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빔 스플리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기존과 같은 빔 스플리터 및 광 검출기 등의 광학 부품이 제거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LD1, LD2) 간의 간격을 종래와 비교한 도면이다. 기존의 제 1 및 제 2레이저 다이오드(LD1,LD2)에서 발생된 제 1 및 제 2광빔(B1',B2')은 일정 거리(d3, 약 100um) 이격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제 1레이저 다이오드(LD1)(101)에서 발생된 제 1광 빔(B1)과 제 2레이저 다이오드(LD2)(102)에서 발생되는 제 2광빔(B2) 간의 간격이 종래 보다 줄어든 간격(d2, 약50um)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10)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를 더 작게 할 경우 가상점에 의한 상대적인 빔(B1,B2") 간의 거리(d3, 약 30um)까지 좁아질 수도 있다.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반사체(1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빔 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도 13은 레이저 다이오드 간의 거리에 따른 상고 및 수차(RMS)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고는 제 1레이저 다이오드(LD1)와 제 2레이저 다이오드(LD2)의 거리로서, 본 발명에서는 빔간의 거리(A,B)와 종래 빔 간의 거리(C)를 비교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레이저 다이오드(LD1)와 제 2레이저 다이오드(LD2)의 빔간의 거리가 30um, 50um, 100um(종래)을 나타내 있으며, 각각의 상대적인 수차 차이의 크기는 A>B>C로 나타난다.
여기서, 수차 차이가 클수록 픽업에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첫 번째 상대 경각(傾角)이 발생되어, 틸트 조정 상의 문제 및 잔손 스큐(SKEW)가 무조건 발생된다. 두 번째 광 검출기를 하나 사용할 경우 수광되는 빔의 상대적인 차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에서의 집적 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에 의하면, 등각으로 배치된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 이에 대향하는 2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 광학 유닛화함으로써, 광 검출기의 실장에 따라 픽업을 별도 조정이 필요없는 안정적인 상태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집적시켜 줌으로써, 광학부품을 수를 줄일 수 있고 가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개선하여, 기존과 같이 상대적인 거리로 인해 발생하는 사축(斜軸)에 의한 수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픽업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세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세개의 경사면 중 두개의 경사면에 각각 대향되는 두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세개의 경사면 중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제 1 경로 및 직접 집광되는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광 검출기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광 검출기를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경사면은 스텝 바닥 기준 또는 발광 광축에 대해서 각각 45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경사면은 서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상부에는 각 경사면을 통해 반사되는 광 빔을 광 경로 상에 출사하고,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상기 광 검출기로 출사하는 홀로그램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반사 프리즘 또는 반사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
  8. 세개의 경사면을 갖는 반사체와, 상기 세개의 경사면 중 두개의 경사면에 각각 대향되는 두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세개의 경사면 중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제 1 경로 및 직접 집광되는 제 2 경로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집적광학 유닛과;
    상기 집적 광학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빔을 평행 빔으로 전환하는 수단과;
    상기 평행 빔을 기록매체 방향으로 광 경로를 전환하는 광 경로 전환 수단과;
    상기 광 경로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된 광 빔을 기록매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을 이용한 광 픽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광학 유닛의 반사체에 소정 이격되어,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빔을 광 경로 상에 투과시키고,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 빔을 상기 광 검출기 및 광 검출기에 대향되는 경사면으로 투과시키는 홀로그램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을 이용한 광 픽업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소자는 빔을 투과 및 회절시켜 주기 위해 소한 회절 영역과 밀한 회절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유닛을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20040110978A 2004-12-23 2004-12-23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065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78A KR100655545B1 (ko) 2004-12-23 2004-12-23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78A KR100655545B1 (ko) 2004-12-23 2004-12-23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77A KR20060072377A (ko) 2006-06-28
KR100655545B1 true KR100655545B1 (ko) 2006-12-08

Family

ID=3716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78A KR100655545B1 (ko) 2004-12-23 2004-12-23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586A (ko) * 2012-06-26 2015-03-02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웨이퍼 조사 툴들을 위한 다이오드 레이저 기반 광대역 광원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524A (ko) * 1998-05-07 1999-12-06 구자홍 삼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JP2001014715A (ja) * 1999-06-29 2001-01-19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524A (ko) * 1998-05-07 1999-12-06 구자홍 삼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JP2001014715A (ja) * 1999-06-29 2001-01-19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84524
1301471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586A (ko) * 2012-06-26 2015-03-02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웨이퍼 조사 툴들을 위한 다이오드 레이저 기반 광대역 광원들
KR101961900B1 (ko) 2012-06-26 2019-03-26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웨이퍼 조사 툴들을 위한 다이오드 레이저 기반 광대역 광원들
KR20190032643A (ko) * 2012-06-26 2019-03-27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웨이퍼 조사 툴들을 위한 다이오드 레이저 기반 광대역 광원들
KR102091987B1 (ko) 2012-06-26 2020-03-20 케이엘에이 코포레이션 웨이퍼 조사 툴들을 위한 다이오드 레이저 기반 광대역 광원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77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37B1 (ko) 씨디-알더블유의 재생/기록이 가능한 디브이디-롬 광학계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JP200602433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348883B1 (ko) 비점수차 방지 광픽업 장치
KR100716938B1 (ko) 광픽업장치
US7505390B2 (en) Compatible optical pickup
KR100655545B1 (ko)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029488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335408B1 (ko) 포커스옵셋조정가능한광픽업장치
KR20060072378A (ko)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0607936B1 (ko) 광픽업장치
KR100680171B1 (ko) 호환형 광픽업
US6873592B2 (en) Slim optical pickup apparatus
US7881168B2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multi recording/reproducing
KR10056503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20060072376A (ko) 집적광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
KR100602700B1 (ko) 광픽업 장치
KR100694033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260704B1 (ko) 전반사프리즘을 사용한 슬림형 광픽업
KR100317278B1 (ko) 삼파장레이저다이오드모듈및그를이용한광픽업장치
KR100682689B1 (ko)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픽업
KR100693094B1 (ko) 광픽업
JPH1024733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24853B1 (ko) 광학 유닛
JPH11161993A (ja) 多波長光集積素子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