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382A -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382A
KR20030005382A KR1020027015799A KR20027015799A KR20030005382A KR 20030005382 A KR20030005382 A KR 20030005382A KR 1020027015799 A KR1020027015799 A KR 1020027015799A KR 20027015799 A KR20027015799 A KR 20027015799A KR 20030005382 A KR20030005382 A KR 2003000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processing
cutting
cutting lin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783B1 (ko
Inventor
반도가즈아키
Original Assignee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701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7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상면(3)이 코팅된 유리판(2)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4)와, 가공될 유리판(2)을 그 하면(5)에 유리판(2)의 상면(3) 및 하면(5)과 평행한 X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 가공부(4)에 반입하고 가공후 유리판 가공부(4)로부터 반출하는 반송수단(6)을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1).

Description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glass pane}
종래의 유리판 가공장치에 있어서는, 진공흡인장치에 의해 유리판의 상면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을 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상승시키고, 상기 유리판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부에 대한 반입 및 반출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리판 가공장치를 사용하여 유리판을 가공하는 경우, 진공흡인장치에 의해 유리판의 상면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기 때문에, 상면이 흡착된 유리판을 공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상승시킬 때, 그 유리판이 낙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면이 코팅된 유리판을 가공하는 경우, 진공흡인장치에 의해 유리판의 상면(이하, 코팅면이라 함)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기 때문에, 그 유리판의 코팅면에 강력한 흡인력이 가해지게 되고, 따라서, 유리판의 코팅면에 흠집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일반 건물 등에 사용되는 유리판, 바람직하기로는, 스퍼터링 등에 의해 한쪽 면이 코팅(피막층이 형성)된 유리판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일부 생략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일부 생략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V-V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VI- VI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VII- V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절단 헤드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절단 가공부의 지지수단 및 분할 가공부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연삭헤드의 확대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반송수단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리판을 반입 및 반출할 때 유리판의 낙하를 없앨 수 있고, 또한 상면이 코팅된 유리판을 가공할 때에는 코팅면에 흠집 등이 생기지 않는 유리판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방법은, 가공될 유리판을 그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에 반입하고, 가공후 상기 유리판 가공부로부터 반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방법으로 가공되는 유리판은, 그 상면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방법에 의하면, 유리판의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반입 및 반출하기 때문에, 유리판을 반입 및 반출할 때 유리판의 낙하를 없앨 수 있고, 상면이 코팅된 유리판을 가공할 때에는 코팅면에 흠집 등이 생기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는, 유리판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와, 가공될 유리판을 그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 가공부에 반입하고, 가공후 상기 유리판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유리판은, 그 상면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에 의하면, 반송수단에 의해 유리판의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반입 및 반출하기 때문에, 유리판을 반입 및 반출할 때 유리판의 낙하를 없앨 수 있고, 상면이 코팅된 유리판을 가공할 때에는 코팅면에 흠집등이 생기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유리판 가공부는,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절단 가공부, 절단선이 형성된 유리판을 그 절단선을 따라 쪼개어 분할하는 분할 가공부 및 쪼개어진 유리판의 테두리를 연삭하는 연삭 가공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유리판 가공장치의 반송수단은,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 가공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고, 유리판을 그 하면 중앙에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부에 반입하고, 그 반입과 동기(同期)하여, 가공된 유리판을 상기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반송수단은, 가공될 유리판을 가공부에 반입하고, 그 반입과 동기하여, 가공된 유리판을 상기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반입 및 반출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절단 가공부, 분할 가공부 및 연삭 가공부는,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각각 가지고 있고, 이러한 지지수단은, 반송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절단 가공부는,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에 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에지 절단선은, 적어도 한 쌍의 지지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판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단 가공부는, 에지 절단선을 적어도 한 쌍의 지지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판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 가공부에서 쪼개어진 유리판의유리 부스러기가 한 쌍의 지지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수단에 남지 않고 상기 유리 부스러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분할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의 한 쌍의 지지장치는,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이 올려진 무단(無端)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를 일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는, 바람직하기로는, 각각의 한 쌍의 지지장치의 무단 벨트를 서로 공유하고 있고, 절단 가공부는, 그 무단 벨트 상의 절단 가공 영역에 올려진 유리판에 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분할 가공부는, 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이 형성된 유리판으로서 분할 가공부의 무단 벨트 상의 분할 가공 영역에 올려진 유리판을 그 주절단선을 따라 쪼개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기로는,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에 대한 유리판의 반입, 반송시에 있어서, 반송수단의 반송과 반송수단의 양측에 배치된 무단 벨트의 주행은 동기되어 진행하고, 동일 속도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에 대한 유리판의 반입, 반출에 있어서, 반송수단의 양측에 배치된 무단 벨트는, 유리판을 지지하여 반송수단과 함께 유리판을 반송, 반입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반송수단은, 바람직하기로는, 유리판을 그 하면으로부터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수단은, 유리판을 그 하면으로부터 유지하는 유지수단과,상기 유지수단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을 반입 및 반출할 때 유리판이 낙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판 가공장치의 반송수단은, 바람직하기로는, 유지수단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반송수단은,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유리판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하면이 상기 한 쌍의 지지장치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기로는, 연삭 가공부는, 반송수단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된 진공흡인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연삭가공시 유리판은 양측의 진공흡인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11에 있어서,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는, 스퍼터링에 의해 상면(3)이 코팅된 유리판(2)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4)와, 가공될 유리판(2)을그 하면(5)에 유리판(2)의 상면(3) 및 하면(5)과 평행한 X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 가공부(4)에 반입하고, 가공후 유리판 가공부(4)로부터 반출하는 반송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판 가공부(4)는, 유리판(2)에 절단선(7)을 형성하는 절단 가공부(8)와, 절단선(7)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절단선(7)을 따라 쪼개는 분할 가공부(9)와, 쪼개어진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 가공부(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리판 가공부(4)는 분할 가공부(9)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일단 지지하는 지지수단(2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리판 가공부(4)의 지지수단(26)을 마련하지 않고, 반송수단(6)에 의해 분할 가공부(9)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직접 연삭 가공부(11)로 반입하도록 유리판 가공장치(l)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절단 가공부(8)는, 유리판(2)에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하는 절단수단(14)과, 유리판(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7)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27)은 X방향과 직교하고 유리판(2)의 상면(3) 및 하면(5)과 평행한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15, 15a)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수단(14)은, 절단 헤드(16)와, 절단 헤드(16)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장치(17)와, 절단 헤드(16)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장치(18)와,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과 직교하는 Z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9)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헤드(16)는, 커터 휠(20)과, 커터 휠(20)을 상승, 하강시키도록 커터 휠(20)이 장착된 피스톤 로드(21) 및 실린더(22)로 이루어지는 공압실린더 장치(23)와, 실린더(2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커터 휠(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위치 미세조정기구(24)와, 후술하는 샤프트(66)의 하단에 장착된 그립퍼(25)를 구비하고 있다.
공압실린더장치(23)는 피스톤 로드(21)를 Z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터 휠(20)을 상승, 하강시키고,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의 형성시에는,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미세조정기구(24)는, X방향 슬라이드(30)와, Y방향 슬라이드(31)로 이루어지며, X방향 슬라이드(30)는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그립퍼(25)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Y방향 슬라이드(31)는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X방향 슬라이드(3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Y방향 슬라이드(31)에는 실린더(22)가 고정되어 있다. X방향 슬라이드(30)는 조절 나사(32)를 돌림으로써 그립퍼(25)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 조절된다. Y방향 슬라이드(31)는 조절 나사(33)를 돌림으로써 X방향 슬라이드(3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 조절된다.
위치 미세조정기구(24)는, 각각의 조절 나사(32, 33)를 돌려 X방향 슬라이드(30) 및 Y방향 슬라이드(31)를 이동 조절함으로써 커터 휠(20)의 위치를 절단 헤드(16)가 회동하는 회동축심(A)에 맞출 수 있고, 또한, 회동축심(A)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단 궤적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절단 궤적은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유리판(2)에 주절단선(12) 또는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터 휠(20)이 회동축심(A)을 지나도록 커터 휠(20)의 위치를 이동 조절한다.
X방향 이동장치(17)는 베이스(50)의 X방향에서의 일단측의 프레임(52), 베이스(50)의 X방향에서의 타단측의 프레임(52a) 및 프레임들(52, 52a) 사이에 위치하는프레임(60)을 통해 베이스(50)에 장착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35)과, 상부 프레임(35)에 장착된 전동 모터(36)와, 양단에 베어링(37)을 통해 상부 프레임(3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일단이 전동 모터(36)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39), 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42)과, 상부 프레임(35)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43)과,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레일(43)에 끼워져 결합되고 나사축(42)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44)에는 후술하는 베어링(65)을 통해 샤프트(66)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36)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39),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나사축(42)을 회전시키고, 나사축(42)의 회전이 나사축(42)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샤프트(66)에 장착된 절단 헤드(16)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방향 이동장치(18)는 프레임(52)에 장착된 전동 모터(53)와, 전동 모터(53)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고 양단에 베어링(54, 55)을 통해 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56)과, 프레임(52)에 장착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레일(57)과, 레일(57)과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58)와, 나사축(56)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상기 너트 및 슬라이더(58)을 고정장착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대(59)와, 프레임(52a)에 장착된 전동 모터(53a)와, 전동 모터(53a)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고, 양단에 베어링(54a, 55a)을 통해 프레임(52a)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56a)과, 프레임(52a)에 장착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레일(57a)과, 레일(57a)과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58a)와, 나사축(56a)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상기 너트 및 슬라이더(58a)를 고정장착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대(59a)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대(59)는 상부 프레임(35)의 일단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동대(59a)는 상부 프레임(35)의 타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즉, 가동대(59, 59a)는, 상부 프레임(35)을 잇는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전동 모터(53, 53a)의 동기(同期)적인 작동에 의해, 출력 회전축들의 회전이 나사축(56, 56a)을 회전시키고, 나사축(56, 56a)의 회전이 각각의 너트와슬라이더(58, 58a)를 고정장착한 가동대(59, 59a)를 Y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대(59, 59a)에 장착된 상부 프레임(35)을 통해 절단 헤드(16)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동수단(19)은 X방향 이동장치(17)의 슬라이더(44)에 고정된 베어링(65)과, 베어링(65)에 유지된 Z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66)와, 샤프트(66)의 상단에 장착된 베벨 기어(67)와, 베벨 기어(67)와 맞물림 결합된 베벨 기어(68)와, 베벨 기어(68)가 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4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X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샤프트(69)와, 라인 샤프트(69)에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연결되고 슬라이더(44)에 고정된 전동 모터(7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샤프트(66)의 하단에는 절단 헤드(16)의 그립퍼(25)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헤드(16)가 매달린 형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73)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라인 샤프트(69)를 회전시키고, 라인 샤프트(69)의 회전이 베벨 기어(67, 68)를 통해 샤프트(66)를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샤프트(66)에 장착된 절단 헤드(16)를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본 예의 지지장치(15, 15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15)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15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장치(l5)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장치(15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15)는 베이스(50)에 브라켓(75) 및 지지기둥(78)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판(79)과, 지지판(79)의 X방향에서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드럼(83)과, 지지판(79)의 X방향에서의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드럼(84)과, 드럼(83, 84)에 감아걸린 가요성의 무단 벨트(85)를 구비하고 있고, 무단 벨트(85)상에는 유리판(2)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분할 가공부(9)는 절단 가공부(8)에서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주절단선(12)을 따라 쪼개어 분할하는 분할수단(90, 90a)과, 유리판(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89)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89)은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91, 91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의 분할수단(90, 90a)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91) 및 지지장치(91a)도 역시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수단(90)은 유리판(2)에 대하여 절반의 영역에 있어서 분할을 실행하는 한편, 분할수단(90a)은 유리판(2)에 대하여 나머지 절반의 영역에 있어서 동일하게 분할을 실행하고, 지지장치(91)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91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분할수단(90) 및 지지장치(91)에 대하여 설명하고, 분할수단(90a) 및 지지장치(91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분할수단(90)은, 분할 헤드(92)와, 분할 헤드(92)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기구(93)와, 분할 헤드(92)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기구(94)를 구비하고 있다.
분할 헤드(92)는, 누름 봉(100)과, 누름 봉(100)을 상승, 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장치(101)을 구비하고 있고, 공압실린더장치(101)는 일단에 누름 봉(100)이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102) 및 실린더(103)로 이루어지고, 실린더(103)는 후술하는 슬라이더(109)에 장착되어 있다. 분할 헤드(92)는 공압실린더장치(101)의 작동에 의해 누름 봉(100)을 하강시키고, 상기 누름 봉(100)으로 지지수단(89)에 지지된 유리판(2)을 그 상면(3)으로부터 눌러서 쪼개도록 되어 있다.
Y방향 이동기구(94)는, Y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106)에 고정된 전동 모터(105)와, 전동 모터(105)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106)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Y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미도시)과, 프레임(106)에 장착된 Y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108)과, 한 쌍의 레일(108)에 끼워져 결합된 Y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09)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109)에는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가 고정장착되어 있고, 슬라이더(109)에는 실린더(103)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105)의 작동에 의해 전동 모터(105)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나사축이 회전하고, 이러한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된 슬라이더(109)가 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09)에 장착된 분할 헤드(92)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X방향 이동기구(93)는 X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111)에 고정된 전동 모터(110)와, 전동 모터(110)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 벨트 등(107)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112)과,나사축(112)에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프레임(111)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113)과, 한 쌍의 레일(113)에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 슬라이더(114)를 구비하고 있고, 프레임(111)은 지지기둥(78)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114)에는 나사축(112)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114)에는 프레임(106)이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전동 모터(110)의 출력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나사축(112)이 회전하고, 나사축(1l2)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고정장착된 슬라이더(114)가 X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14)에 장착된 프레임(106)이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6)을 통해 분할 헤드(92)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장치(91)는, 절단 가공부(8)의 지지장치(15)의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를 공유하고 있고, 지지장치(91)는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수단(86)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수단(86)은 베이스(50)에 브라켓(75, 76)을 통해 장착된 전동 모터(77)을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77)의 출력 회전축은 풀리, 벨트 등(80)을 통해 드럼(83)에 연결되어 있다.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에는 무단 벨트(85) 상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미도시)를 수용하는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장치(91)는 분할수단(90)에 의해 무단 벨트(85) 상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미도시)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전동 모터(77)의 작동에 의해 일단이 전동 모터(77)의 출력 회전축에 풀리, 벨트 등(80)을 통해 연결된 드럼(83)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83)의 회전으로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주행시키며, 상기 무단 벨트(85)의 주행에 의해 상기 유리 부스러기를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으로 이동시켜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장치(15, 91)는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를 공유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을 공유하지 않고 지지장치(15, 9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지지장치(91)는 지지판(79), 드럼(83), 드럼(84) 및 무단 벨트(85)와 상기 주행수단(86)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지지장치(15)는, Y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베이스(50)에 브라켓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미도시)과, 테이블상에 각각 설치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진공흡인장치는 각각 배관밸브를 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수단(26)은 Y방향에서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대(175, 175a)를 가지고 있다.
본 예의 지지대(175, 175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175)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대(175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대(175)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대(175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175)는 베이스(50)에 브라켓(176)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177)과,테이블(177)상에 장착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복수의 진동흡인장치(178)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진공흡인장치(l78)는 각각 배관밸브를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연삭 가공부(11)는 분할 가공부(9)에서 쪼개어진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수단(121)과, 유리판(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l9)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수단(119)은 반송수단(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122, 122a)를 구비하고 있다.
연삭수단(121)은, 연삭 헤드(125)와, 연삭 헤드(125)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동장치(126)와, 연삭 헤드(125)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방향 이동장치(l27)와, 연삭 헤드(125)를 Z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28)을 구비하고 있다.
연삭 헤드(125)는 전동 모터(130)와, 전동 모터(130)의 출력 회전축을 Z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심(Q)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연삭 휠(131)과, 연삭 휠(131)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132)과, 전동 모터(13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연삭 휠(13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위치 미세조정기구(133)와, 후술하는 샤프트(16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그립퍼(135)를 구비하고 있다.
연삭 휠(131)은, 그 외주면(136)에 의해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132)은, 전동 모터(130)의 출력 회전축이 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동 모터(130)가 배치된 Z방향 슬라이드(14O)와, Z방향 슬라이드(140)에 베어링(141)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Z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142)과, 나사축(142)에 풀리, 벨트 등(143)를 통해 연결된 전동 모터(144)를 구비하고 있고, Z방향 슬라이드(140)는 후술하는 Y방향 슬라이드(151)에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나사축(142)은 Y방향 슬라이드(15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132)은 전동 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풀리, 벨트 등(143)을 통해 나사축(142)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나사축(142)에 나사결합된 Y방향 슬라이드(151)에 대하여 Z방향 슬라이드(140) 및 전동모터(130)를 통해 연삭 휠(131)을 Z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치 미세조정기구(133)는, X방향 슬라이드(150)와 Y방향 슬라이드(151)로 이루어지고, X방향 슬라이드(150)는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그립퍼(135)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Y방향 슬라이드(151)는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X방향 슬라이드(1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Y방향 슬라이드(151)는 Z방향 슬라이드(140)에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X방향 슬라이드(150)는 조절 나사(152)를 돌림으로써 그립퍼(135)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조절된다. Y방향 슬라이드(151)는 조절 나사(153)를 돌림으로써 X방향 슬라이드(15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조절된다.
위치 미세조정기구(133)는 각각의 조절 나사(152, 153)을 돌려 X방향 슬라이드(150) 및 Y방향 슬라이드(l51)를 이동조절함으로써 연삭 휠(131)의 외주면(136)이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연삭점(미도시)을 연삭 헤드(125)가 회동하는 회동축심(B)에 맞출 수 있고, 또한, 연삭점을 회동축심(B)으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궤적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이동 궤적은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유리판(2)의 테두리(10)를 연삭하는 경우에는, 연삭점이 회동축심(B)을 지나도록 연삭 휠(131)을 이동 조절한다.
X방향 이동장치(126)는, X방향 이동장치(17)의 전동 모터(36)와, 나사축(42)과, 슬라이더(44)를 공유하고 있고, 슬라이더(44)에는 후술하는 베어링(160)을 통해 샤프트(161)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36)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39), 벨트(40) 및 풀리(41)를 통해 나사축(42)을 회전시키고, 나사축(42)의 회전이 나사축(42)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4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44)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샤프트(161)에 장착된 연삭 헤드(125)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방향 이동장치(127)은 Y방향 이동장치(18)의 전동 모터(53, 53a)와, 나사축(56, 56a)과, 슬라이더(58, 58a) 및 가동대(59, 59a)를 공유하고 있고, 전동 모터(53, 53a)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이러한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나사축(56, 56a)을 회전시키고, 나사축(56, 56a)의 회전이 각각의 너트와 슬라이더(58, 58a)를고정장착한 가동대(59, 59a)를 Y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가동대(59, 59a)에 장착된 상부 프레임(35)을 통해 연삭 헤드(125)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동수단(128)은, 회동수단(19)의 라인 샤프트(69)와 전동 모터(73)를 공유하고 있고, X방향 이동장치(126)의 슬라이더(44)에 고정된 베어링(160)과, 베어링(160)에 유지된 Z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161)와, 샤프트(161)의 상단에 장착된 베벨 기어(162)와, 베벨 기어(162)와 맞물려 결합된 베벨 기어(163)를 구비하고 있고, 베벨 기어(163)는 라인 샤프트(69)에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161)의 하단에는 연삭 헤드(125)의 그립퍼(135)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연삭 헤드(125)가 매달린 형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73)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70)을 통해 라인 샤프트(69)를 회전시키고, 라인 샤프트(69)의 회전이 베벨 기어(162, 163)를 통해 샤프트(161)를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샤프트(161)에 장착된 연삭 헤드(125)를 회동축심(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본 예의 지지장치(122, 122a)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장치(122)는, 유리판(2)의 절반의 영역을 지지하는 한편, 지지장치(122a)는 유리판(2)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동일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하 지지장치(122)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지장치(122a)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도면에 부호 a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장치(l22)는, 베이스(50)에 브라켓(165)을 통해 배치된 테이블(166)과, 테이블(l66) 상에 장착된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는 각각 배관밸브를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수단(26, 27, 89, 119)은 X방향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고,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27)의 절단 가공 영역 및 지지수단(89)의 분할 가공 영역 사이와,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89)의 분할 가공 영역 및 지지수단(26) 사이, 및 X방향에서의 지지수단(26) 및 지지수단(1l9) 사이는 각각 동일 간격을 가지고 있다.
반송수단(6)은,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유지하는 유지수단(201)과, 유지수단(201)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하이동수단(202)과, 상하이동수단(202)을 통해 유지수단(201)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3)을 구비하고 있고, 반송수단(6)은 가공될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 가공부(11)에 반입하고, 그 반입과 동기하여, 가공된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가공부(l1)로부터 반출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수단(6)은 또한, 절단 가공될 무단 벨트(85, 85a)상에 올려진 유리판(2)을 무단 벨트(85, 85a)의 영역에서 그 하면(5)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00)와, 절단 가공부(8)에 반입될 유리판(2)을 올려 놓는 올림대(204)와, 연삭가공부(11)로부터 반출된 유리판(2)을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로부터 반출하는 반출장치(205)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수단(201)은, 올림대(204)에 올려진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0)과, 절단수단(14)에 의해 절단가공된 무단 벨트(85)상의 유리판(2)의 하면(5)를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1)과, 분할수단(90)에 의해 분할 가공된 무단 벨트(85)상의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2)과, 지지대(175)에 올려진 유리판(2)의 하면(5)을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3)과, 연삭수단(121)에 의해 연삭가공되고 지지장치(122)에 지지된 유리판(2)의 하면(5)을 진공흡인하여 흡착하는 진공흡인수단(214)을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0, 211, 212, 213, 214)은 각각 동일 간격을 가지고 X방향으로 직렬하여 상하이동수단(202)을 사이에 두고 이동수단(203)에 배치되어 있다.
진공흡인수단(210)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5, 216)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1)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7, 218)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2)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19, 220)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3)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21, 222)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흡인수단(214)은 X방향으로 배열된 진공흡인장치(223, 224)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는 각각 배관밸브를 경유하여 진공흡인펌프(미도시)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진공흡인펌프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유리판(2)을 진공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상하이동수단(202)은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피스톤 로드의 각각의 외부 선단에는 각각 진공흡인장치(215, 2l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장착되어 있으며,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각각의 실린더는 후술하는 슬라이더(257)에 장착되어 있다.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공기압이 증가됨으로써 이들 피스톤 로드가 각각 Z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피스톤 로드들의 외부 선단에 각각 장착된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상승하며,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O)의 공기압이 감소됨으로써 이 피스톤 로드들이 각각 Z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피스톤 로드들의 외부 선단에 장착된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가 하강한다. 또한,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5, 216)의 각각의 상면은, 유리판(2)을 지지하고 있는 후술하는 복수의 무단 벨트(26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7, 218, 219, 220)의 각각의 상면은 유리판(2)을 지지하고 있는 무단 벨트(85)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하강한 상태의 진공 흡인장치(221, 222)의 각각의 상면은 지지대(26)의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78)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23, 224)의 각각의 상면은 지지장치(122)의 복수의 진공흡인장치(167)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동수단(203)은 베이스(50)에 브라켓(249)을 통해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250)과, 프레임(250)의 일단측(251)에 장착된 전동 모터(252)와, 양단에 베어링(253)을 통해 프레임(25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X방향으로 연장된 나사축(255)과, 나사축(255)과 나사결합된 너트(미도시)와, 프레임(250)에 장착된 X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평행한 레일(256)과, 한 쌍의 레일(256)에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너트를 고정장착한 X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257)를 구비하고 있으며, 프레임(250)은, 지지장치들(15, 15a) 사이, 지지장치들(91 , 91a) 사이, 지지대들(175, 175a) 사이 및 지지장치들(122, 1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더(257)에는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의 각각의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나사축(255)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이 나사축(255)과 나사결합된 너트를 고정장착한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257)에 장착된 공압실린더장치(234, 235, 236, 237, 238, 239, 240)를 통해 복수의 진공흡인장치(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및 224)를 동기하여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대(200)는 진공흡인장치(2l5, 216, 217, 218)가 공압실린더장치(231, 232, 233, 234)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이들을 둘러싸며 슬라이더(257)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대(200)의 상면은 하강한 상태의 진공흡인장치(217, 218)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올림대(204)는, 유리판(2)를 반입하는 반입측에 배치되어 있고, 올림대(204)의 상면에는 유리판(2)의 위치를 결정하는 롤러(미도시)와, 유리판(2)이 올려지는 복수의 무단 벨트(262)가 배치되어 있다.
반출장치(205)는 유리판(2)을 반출하는 반출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270)에 지지된 전동 모터(271)와, 프레임(27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구동측의 드럼(미도시) 및 종동측의 드럼(미도시)과, 이 드럼들 사이에 긴장상태로 감아 걸린 복수의 무단 벨트(274)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모터(271)의 출력 회전축(미도시)은 풀리, 벨트 등(273)을 통해 구동측의 드럼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는 또한,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제어장치는, 전동 모터(36, 53, 53a, 73, 77, 77a, 105, 105a, 110, 110a, 130, 144, 252, 271)와, 진공흡인장치(167, 178, 215, 216, 217, 218, 2l9, 220, 221, 222, 223, 224)의 진공흡인펌프, 및 공압실린더장치(23, 101, 10la,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와 연결되어 있고, 이 출력 회전축들의 회전, 진공흡인력 및 공기 압력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상술 및 후술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전동 모터(130)의 출력회전축의 회전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행하게 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상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에 의해, 상면(3)이 코팅된 유리판(2)을 가공하는 경우, 먼저, 올림대(204)의 복수의 무단 벨트(262) 상에 가공될 유리판(2)을 올려 놓는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5, 216)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1, 232)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1, 232)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무단 벨트(85, 85a) 상의 절단 가공 영역에 올려 놓는다. 다음, 회동수단(19)에 의해 커터 휠(20)의 칼끝이 항상 주절단선(12)에 대하여 접선방향을 유지하도록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절단 헤드(16)를 회동시키면서 공압실린더장치(23)에 의해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상기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고, X방향이동장치(17) 및 Y방향 이동장치(18)에 의해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주절단선(12)을 형성하며, 회동수단(19)에 의해 커터 휠(20)의 칼끝이 항상 에지 절단선(13)에 대하여 접선 방향을 유지하도록 회동축심(A)을 중심으로 하여 절단 헤드(16)를 회동시키면서 공압실린더장치(23)에 의해 커터 휠(20)을 하강시켜 상기 유리판(2)에 절단압을 가하고, X방향 이동장치(17) 및 Y방향 이동장치(1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절단 헤드(16)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에지 절단선(13)을 형성한다. 절단 가공부(8)의 절단수단(14)은, 상기 에지 절단선(13)을 적어도 지지장치들(15, 15a)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판(2)의 영역에 형성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7, 218)에 의해 상기 주절단선(12) 및 에지 절단선(13)이 형성된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3, 234)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3, 234)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무단 벨트(85, 85a)상의 분할 가공 영역에 올려 놓는다. 다음, X방향 이동기구(93) 및 Y방향 이동기구(94)에 의해 누름 봉(100)을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101)에 의해 누름 봉(100)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그 상면(3)으로부터 눌러서 주절단선(5)을 따라 쪼갠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19, 220)에 의해, 상기 쪼개어진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지지대(l75, 175a)에 올려 놓는다. 쪼개어진 유리판(2)이 반송수단(6)의 공압실린더장치(235, 236)에 의해 상승되는 동안, 분할수단(90)에 의해 쪼개어진 유리판(2)의 유리 부스러기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하도록 전동 모터(77)의 작동에 의해 드럼(83, 84)을 통해 무단 벨트(85)를 X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무단 벨트(85)상의 유리 부스러기를 상기 무단 벨트(85)의 하류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리 부스러기를 유리 부스러기 수용부(115)에 수용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21, 222)에 의해, 지지대(175, 175a)에 올려진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7, 23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7 , 238)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지지장치(122, 122a)에 올려 놓는다. 다음, 전동 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연삭 휠(131)을 회전시키고, 회동수단(128)에 의해 연삭 휠(131)이 연삭점에서 유리판(2)의 테두리(10)에 대하여 항상 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연삭 헤드(125)를 회동시키면서, X방향 이동장치(126), Y방향 이동장치(127)에 의해 연삭 헤드(125)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리판(2)의 테두리(l0)를 연삭한다. 다음, 진공흡인장치(223, 224)에 의해 상기 테두리(10)가 연삭된 유리판(2)을 그 하면(5)으로부터 진공흡인하여 흡착하고, 흡착한 유리판(2)을 공압실린더장치(239, 240)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이동수단(203)의 전동 모터(2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257)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리판(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공압실린더장치(239, 240)의 동기적인 작동에 의해 상기 유리판(2)을 하강시켜 반출장치(205)의 복수의 무단 벨트(274)에 올려 놓는다. 다음, 전동 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그 출력 회전축의 회전이 풀리, 벨트 등(274)을 통해 구동측의 드럼 및 종동측의 드럼 사이에 감아걸린 복수의 무단 벨트(274)를 X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무단 벨트(274)상의 가공된 유리판(2)을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로부터 반출한다.
한편, 본 예의 유리판 가공장치(1)에 의해, 복수의 유리판(2)을 가공할 경우에는, 반송수단(6)에 의해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 가공부(11)에 각각 유리판(2)을 반입하고, 상기 반입과 동기하여 각각 가공된 유리판(2)을 절단 가공부(8), 분할 가공부(9) 및 연삭가공부(11)로부터 반출하고, 상기 반입한 각각의 유리판(2)에 절단 가공, 분할 가공 및 연삭가공을 동기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을 반입 및 반출할 때 유리판의 낙하를 없앨 수 있고, 상면이 코팅된 유리판을 가공할 때에는 코팅면에 흠집 등이 생기지 않는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가공될 유리판을 그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에 반입하고, 가공후 상기 유리판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는 유리판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상면은 코팅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방법.
  3. 유리판을 가공하는 유리판 가공부; 및
    가공될 유리판을 그 하면에 일방향의 이동력을 주어 유리판 가공부에 반입하고, 가공후 상기 유리판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유리판 가공부는, 유리판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절단 가공부, 절단선이 형성된 유리판을 그 절단선을 따라 쪼개어 분할하는 분할 가공부 및 쪼개어진 유리판의 테두리를 연삭하는 연삭 가공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를 가지고 있고,
    반송수단은, 유리판 가공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고, 유리판을 그 하면 중앙에서 유지한 상태로 가공부에 반입하며, 상기 반입과 동기(同期)하여 가공된 유리판을 상기 가공부로부터 반출하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 분할 가공부 및 연삭 가공부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각각 가지고 있고, 이 지지수단들은 반송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장치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는 유리판에 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에지 절단선은 적어도 한 쌍의 지지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유리판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공부의 한 쌍의 지지장치는, 유리판이 올려지는 무단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를 일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는 각각의 한 쌍의 지지장치의 무단 벨트를 서로 공유하고 있고, 절단 가공부의 무단 벨트 상의 절단 가공 영역에 올려진 유리판에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을 형성하고, 주절단선 및 에지 절단선이 형성된 유리판으로서 분할 가공부의 무단 벨트상의 분할 가공 영역에 올려진 유리판을 그 주절단선을 따라 쪼개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에 대한 유리판의 반입, 반송시에 있어서, 반송수단의 반송과 반송수단의 양측에 배치된 무단 벨트의 주행은 동기되어 진행하고, 동일 속도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가공부 및 분할 가공부에 대한 유리판의 반입, 반출에 있어서, 반송수단의 양측에 배치된 무단 벨트는, 유리판을 지지하여 반송수단과 함께 유리판을 반송, 반입하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유리판을 그 하면으로부터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유지수단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유리판 가공장치.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삭 가공부는, 반송수단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배치된 진공흡인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연삭가공시 유리판은 양측의 진공흡인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14.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판의 상면은 코팅되어 있는 유리판 가공장치.
KR1020027015799A 2002-11-22 2001-03-30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72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799A KR100724783B1 (ko) 2002-11-22 2001-03-30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799A KR100724783B1 (ko) 2002-11-22 2001-03-30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82A true KR20030005382A (ko) 2003-01-17
KR100724783B1 KR100724783B1 (ko) 2007-06-04

Family

ID=4447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799A KR100724783B1 (ko) 2002-11-22 2001-03-30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02B1 (ko) * 2012-11-01 2014-08-2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자동화된 유리 가공기 및 자동화된 유리 가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200A (ja) * 1988-08-09 1990-02-16 Lion Haijiin Kk 高温調理用鉄板洗浄剤組成物
JPH035334A (ja) * 1989-06-01 1991-01-11 Asahi Glass Co Ltd 硝子切断機の制御方法
DE69934081T2 (de) * 1998-06-19 2007-06-28 Asahi Glas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einer glas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783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3555B2 (ja) ガラス板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45177B1 (ko) 유리판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JP4075891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KR100389888B1 (ko) 유리판의가공장치
KR0178108B1 (ko) 유리판의 가공장치
KR100363440B1 (ko) 유리판의가공장치
KR20040071607A (ko) 유리판 가공장치
JP3042349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KR100724783B1 (ko) 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장치
EP4227272A1 (en) Bend-breaking jig and bend-breaking process method
JPH09227144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0952727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3817755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1149529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KR20050090121A (ko) 유리판 가공장치
JPH0740247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08319127A (ja) ガラス板の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0970743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2006160604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09301729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08259250A (ja) ガラス板折割り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ガラス板加工装置
JP2001198780A (ja) ガラス板の皮膜層を除去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具備したガラス板加工装置
JP2010138071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H10265234A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