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168A -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 Google Patents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168A
KR20030004168A KR1020020066049A KR20020066049A KR20030004168A KR 20030004168 A KR20030004168 A KR 20030004168A KR 1020020066049 A KR1020020066049 A KR 1020020066049A KR 20020066049 A KR20020066049 A KR 20020066049A KR 20030004168 A KR20030004168 A KR 2003000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ound
action
keyboar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현
Original Assignee
최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현 filed Critical 최규현
Priority to KR102002006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168A/ko
Publication of KR2003000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168A/ko
Priority to AU2003274783A priority patent/AU2003274783A1/en
Priority to PCT/KR2003/002300 priority patent/WO2004040549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건반과 다수의 해머가 설치된 액션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액션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해머로 현을 타격시 댐퍼가 현과 접촉하고 있어서 현의 울림이 없는 음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음질의 피아노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랜드피아노(1)의 페달설치대(2) 일측에 단음페달(3)이 페달설치대(2)의 후방으로 관통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음페달(3)의 후방측 단부에는 연결링크(4)가 수직으로 힌지 설치되며, 건반대(5)의 저면 양측에는 힌지지지대(6)가 설치되고, 양측 힌지지지대(6) 안쪽의 건반대(5)에는 통공(7)이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통공(7)에 대응하는 액션(8)의 건반프레임(9) 저면에는 걸림홈(12)이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 페달설치대(2) 상측의 건반대(5) 저면에 설치되는 건반대보강목(13)에는 작동공간(1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6)의 내측에는 양단부가 절곡된 몸체(15)의 양측 절곡부 끝단부에 상기 통공(7)을 관통하여 걸림홈(12)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부(16)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15)의 중앙부에 작동공간(14)을 관통하여 연결링크(4)의 선단부에 얹혀지는 수평레버대(17)가 수평으로 연결되며 양측 수직끼움부(16)의 하단부에 힌지지지대(6)에 힌지핀(20)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하게 하는 힌지구멍(18)을 형성한 액션이동대(19)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건반대(5)의 저면과액션이동대(19)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23)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Pedal device of a grand piano for modulating a sound}
본 발명은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건반과 다수의 해머가 설치된 액션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액션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해머로 현을 타격시 댐퍼가 현과 접촉하고 있어서 현의 울림이 없는 음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음질의 피아노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에는 소프트페달과 뮤트페달, 댐퍼페달의 3개의 페달이 설치되어서 아름다운 연주음을내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소프트페달을 밟으면서 건반을 누르게 되면 해머에 의한 현의 타격위치가 이동되어 한 개의 건반당 각 3개의 줄(현) 중에 2개의 줄만 타격하게 되어 음의 양을 변화시켜 여리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게 한다.
그리고, 뮤트페달을 밟으면서 건반을 누르는 경우에는 피아노 안에서 얇은 천이 해머를 가려서 아주 약하게(작게) 소리가 나도록 하며, 댐퍼페달을 밟으면서 건반을 누르게 되면 손가락으로는 할 수 없는 음의 연장을 하여 음이 지속적으로 울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피아노에 3개의 페달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피아노 연주시 발생하는 음을 여리고 부드럽게 하거나, 또는 음을 작고 약하게 하거나, 음을 지속적으로 울리게 하는 등 음색을 조절하여 아름다운 연주음을 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피아노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페달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3개의 페달이 각기 정해진 기능의 변음을 시킬 뿐, 피치카토주법에 의한 울림이 없는 소리, 즉 바이올린이나 비올라와 같은 찰현악기를 연주시 활을 사용하지 않고 현을 손가락으로 퉁겨서 나는 울림이 없는 음은 낼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피아노에서는 피치카토주법에 의한 울림이 없는 소리를 낼 수 없음에 따라 아름다운 음을 만들어 내면서도 더욱 더 폭 넓은 음색의 구현이 어려운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반을 눌러 해머로서 현을 타결할 때 댐퍼로서 현을 잡고 있도록 함으로서, 해머의 타격에 의한 현의 울림을 최소화하여 음을 끊는 듯한 소리가 나게 하여 현악기를 이용하여 피치카토주법으로 연주시 나는 소리를 피아노에서도 에서만 가능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설치대 일측에 단음페달이 페달설치대의 후방으로 관통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음페달의 후방측 단부에는 연결링크가 수직으로 힌지 설치되며, 건반대의 저면 양측에는 힌지지지대가 설치되고, 양측 힌지지지대 안쪽의 건반대에는 통공이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통공에 대응하는 액션의 건반프레임 저면에는 걸림홈이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 페달설치대 상측의 건반대 저면에 설치되는 건반대보강목에는 작동공간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의 내측에는 양단부가절곡된 몸체의 양측 절곡부 끝단부에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부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중앙부에 작동공간을 관통하여 연결링크의 선단부에 얹혀지는 수평레버대가 수평으로 연결되며 양측 수직끼움부의 하단부에 힌지지지대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하게 하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액션이동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건반대의 저면과 액션이동대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그랜드피아노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랜드피아노의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액션이동대가 액션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액션이동대의 사시도.
도 5의 (가)(나)는 본발명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랜드피아노 2 : 페달설치대 3 : 단음페달
4 : 연결링크 5 : 건반대 6 : 힌지지지대
7 : 통공 8 : 액션 9 : 건반프레임
10 : 건반 11 : 해머 12 : 걸림홈
13 : 건반대보강목 14 : 작동공간 15 : 몸체
16 : 수직끼움부 17 : 수평레버대 18 : 힌지구멍
19 : 액션이동대 20 : 힌지핀 21 : 댐퍼
22 : 댐퍼레버 23 : 스프링 24 : 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그랜드피아노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그랜드피아노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액션이동대가 액션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액션이동대의 사시도이며, 도 5의 (가)(나)는 본발명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는 공지의 그랜드피아노(1)에 해머로 현을 타격시 댐퍼로서 현을 잡아주어 울리는 음을 최소화하는 변음장치를 설치한 것이므로, 일반적인 공지의 그랜드피아노에 대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랜드피아노(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페달설치대(2)에는 음의 울림을 지속적으로 연장하게 하는 댐퍼페달(3a)과, 음을 아주 약하게 하는뮤트페달(3b)과, 음을 여리고 부드럽게하는 소프트페달(3c)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음의 울림을 없게 할 때 밟는 단음페달(3)이 페달설치대(2)의 후방으로 관통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페달(3a)과 뮤트페달(3b), 그리고 소프트페달(3c)은 공지의 피아노에는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단음페달(3)의 후방측 단부에는 단음페달(3)을 밟고 놓음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연결링크(4)가 수직으로 힌지 설치되며, 이 페달설치대(2)와 건반대보강목(1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4a)의 가이드(4b)에 안내되며 지지된다.
또한, 건반대(5)의 저면 양측에는 도 4에 도시된 액션이동대(19)를 힌지식으로 설치할 힌지지지대(6)가 설치되고, 양측 힌지지지대(6) 안쪽의 건반대(5)에는 액션이동대(19)의 수직끼움부(16)이 삽입관통될 통공(7)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통공(7)에 대응하는 액션(8)의 건반프레임(9) 저면에는 액션이동대(19)의 수직끼움부(16) 선단부가 삽입될 걸림홈(12)이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 페달설치대(2) 상측의 건반대(5) 저면에 설치되는 건반대보강목(13)에는 액션이동대(19)의 수평레버대(17)과 관통될 작동공간(1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6)의 내측에는 액션(8)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액션이동대(19)가 힌지핀(20)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데, 양측 수직끼움부(16)는 건반대(5)의 통공(7)을 관통하여 건반프레임(9)의 걸림홈(12)으로 삽입되고, 중앙 수평레버대(17)는 건반대보강목(13)에 작동공간(14)을 관통하여 연결링크(4)의 상단에 얹혀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션이동대(19)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절곡된 몸체(15)의 양측 절곡부 끝단부에 수직끼움부(16)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15)의 중앙부에는 수평레버대(17)가 수평으로 연결 형성되며, 양측 수직끼움부(16)의 하단부에 힌지지지대(6)에 힌지핀(20)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하게 하는 힌지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건반대(5)의 저면과 액션이동대(19)의 몸체(15) 상면 사이에는 액션이동대(19)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앞으로 밀려 나왔던 액션(8)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3)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아노를 연주중에 현의 울림이 없는 소리음을 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반(10)을 누르면서 페달설치대(2)에 설치된 단음페달(3)을 밟게 되는데, 이 단음페달(3)을 밟게 되면 단음페달(3)의 중간부분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단음페달(3)의 후단부는 상측으로 들려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음페달(3)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려 올라가게 되면, 단음페달(3)의 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힌지설치된 연결링크(4)가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렇게 올라가는 연결링크(4)의 선단부는 액션이동대(19)의 수평레버대(17) 끝단부 저면과 접촉하고 있어서 연결링크(4)가 상승됨에 따라 액션이동대(19)의 수평레버대(17)가 상측으로 들려 올라가게 된다.
상기 액션이동대(19)는 수직끼움부(16)의 하단부가 건반대(5) 저면의 힌지지지대(6)에 힌지핀(20)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액션이동대(19)의 수평레버대(17)가 상측으로 올라가면, 수평레버대(17)와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몸체(15)의 단부에 몸체(15)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끼움부(16)는 수평레버대(17)가 들려 올라가는 각도만큼 도면상 우측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이렇게 힌지핀(2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각운동하는 수직끼움부(16)는 건반대(5)에 상측으로 관통 형성된 통공(7)을 관통하여 액션(8) 하측의 건반프레임(9)에 형성된 걸림홈(12)에 그 수직끼움부(16)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수직끼움부(16)가 회전하는 각도 만큼 건반프레임(9)을 연주자의 몸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반프레임(9)이 연주자의 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건반프레임(9)의 상측에 설치된 다수의 건반(10)과 다수의 해머(11)가 설치된 액션(8)이 연주자의 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액션(8)이 연주자의 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댐퍼(21)를 승하강시키는 댐퍼레버(22)의 선단부와 액션(8)의 건반(10) 후단부와의 간격이 벌어져서 지렛대식으로 설치된 건반(10)의 선단부를 눌러 후단부가 지렛대식으로 들려 올라 가는데도 불구하고, 댐퍼레버(22)의 선단부와 건반(10) 후단부가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힌지식으로 설치된댐퍼레버(22)를 접촉시키지 못하므로 저면에 펠트가 부착된 댐퍼(21)는 현(24)에 얹혀져 있는 상태이므로 건반(10)을 눌러 해머(11)가 현(24)을 타격하여도 울림음이 없이 타격시 발생하는 타격음만 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울림음이 없는 타격음을 내다가 정상적인 울림이 있는 음을 내고자하는 경우에는 밟고 있던 단음페달(3)에서 발을 떼어 밟음동작을 해제시킨다. 이??게 단음페달(3)을 밟는 동작을 해제시키게 되면 건반대(5)의 저면과 액션이동대(19)의 수평한 위치의 몸체(15) 상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해 액션이동대(19)의 몸체(15)를 비롯한 수평레버대(17)를 하측으로 내려 누르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액션이동대(19)의 몸체(15) 및 수평레버대(17)이 힌지핀(20)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내려감에 따라 몸체(15)의 양단부에 일체형으로 수직 설치된 수직끼움부(16)가 도면상 좌측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그 선단부가 삽입된 건반프레임(9)을 댐퍼레버(22)측으로 밀어주어 건반프레임(9)을 비롯한 액션(8)이 댐퍼레버(2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댐퍼레버(22)측으로 액션(8)이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건반(10)의 후단부는 댐퍼레버(22)의 선단부 하측과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다음에 건반(10)을 눌러 건반(10)의 후단부가 지렛대식으로 들려 올라가면 그렇게 들려 올라가는 건반(10)의 후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된 댐퍼레버(22)의 선단부를 힌지식으로 들려 올리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댐퍼레버(22)가 힌지식으로 들려 올라갈 때 댐퍼레버(22)의상측으로 댐퍼(21)가 철사형태의 와이어로서 연결되어서 댐퍼(21)가 상측으로 들려올라가 댐퍼(21) 저면의 펠트가 현(24)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해머(11)로 현(24)을 타격시 현의 울림음이 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션이동대(19)의 수직끼움부(16)의 선단부가 좌우방향으로 넓적하게 형성되고, 이렇게 좌우로 넓적한 수직끼움부(16)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12)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소프트페달(3c)을 밟음에 따라 액션(8)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한 개의 건반당 구비된 3개의 줄중 2개의 줄(현)을 타격시켜 음을 여리고 부드럽게 낼 때, 상기 액션(8)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걸림홈(12)이 옆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페달(3c)을 밟음에 따라 액션(8)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구성 및 작용관계는 공지이므로 그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도 3에 도시된 "a"부는 액션(8)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돌기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는 다수의 건반과 다수의 해머가 설치된 액션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액션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해머로 현을 타격시 댐퍼가 현과 접촉하고 있어서 현의 울림이 없는 음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음질의 피아노연주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그랜드피아노(1)의 페달설치대(2) 일측에 단음페달(3)이 페달설치대(2)의 후방으로 관통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음페달(3)의 후방측 단부에는 연결링크(4)가 수직으로 힌지 설치되며, 건반대(5)의 저면 양측에는 힌지지지대(6)가 설치되고, 양측 힌지지지대(6) 안쪽의 건반대(5)에는 통공(7)이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통공(7)에 대응하는 액션(8)의 건반프레임(9) 저면에는 걸림홈(12)이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 페달설치대(2) 상측의 건반대(5) 저면에 설치되는 건반대보강목(13)에는 작동공간(1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6)의 내측에는 양단부가 절곡된 몸체(15)의 양측 절곡부 끝단부에 상기 통공(7)을 관통하여 걸림홈(12)에 삽입되는 수직끼움부(16)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15)의 중앙부에 작동공간(14)을 관통하여 연결링크(4)의 선단부에 얹혀지는 수평레버대(17)가 수평으로 연결되며 양측 수직끼움부(16)의 하단부에 힌지지지대(6)에 힌지핀(20)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하게 하는 힌지구멍(18)을 형성한 액션이동대(19)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건반대(5)의 저면과 액션이동대(19)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23)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KR1020020066049A 2002-10-29 2002-10-29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KR20030004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49A KR20030004168A (ko) 2002-10-29 2002-10-29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AU2003274783A AU2003274783A1 (en) 2002-10-29 2003-10-29 Flat apparatus using the pedal of grandpiano
PCT/KR2003/002300 WO2004040549A1 (en) 2002-10-29 2003-10-29 Flat apparatus using the pedal of grandpian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49A KR20030004168A (ko) 2002-10-29 2002-10-29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168A true KR20030004168A (ko) 2003-01-14

Family

ID=277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049A KR20030004168A (ko) 2002-10-29 2002-10-29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004168A (ko)
AU (1) AU2003274783A1 (ko)
WO (1) WO200404054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794A (ko) * 1995-01-31 1998-06-25 라 로쉬포르디에르 드니 드 피아노와 같은 악기의 음악적 작동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기구
JPH10260674A (ja) * 1997-01-14 1998-09-29 Yamaha Corp 鍵盤楽器のペダル構造
JPH1165554A (ja) * 1997-08-26 1999-03-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ペダル機構
JP2002323886A (ja) * 2001-02-26 2002-11-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67B2 (ja) * 1988-03-22 1994-05-02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弱音装置
KR20010065172A (ko) * 1999-12-29 2001-07-11 이동오 피아노에서 피치카토 음색구현을 위한 장치
JP2001312269A (ja) * 2000-05-02 2001-11-09 Yamaha Corp ピアノのペダル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794A (ko) * 1995-01-31 1998-06-25 라 로쉬포르디에르 드니 드 피아노와 같은 악기의 음악적 작동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기구
JPH10260674A (ja) * 1997-01-14 1998-09-29 Yamaha Corp 鍵盤楽器のペダル構造
JPH1165554A (ja) * 1997-08-26 1999-03-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ペダル機構
JP2002323886A (ja) * 2001-02-26 2002-11-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4783A1 (en) 2004-05-25
WO2004040549A1 (en)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44957T1 (de) Klaviertastenstruktur und klaviertasteninstrument
JP3341438B2 (ja) 鍵盤楽器
US4970929A (en) Muffler for pianos
WO1989005503A1 (en) Improved upright piano
US5866831A (en) Simulated piano a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US7164071B2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JP4699553B2 (ja) 鍵盤楽器、音板を有する楽器
EP1944750A3 (en)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KR20030004168A (ko) 그랜드피아노의 페달을 이용한 변음장치
KR100673937B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KR100594765B1 (ko) 손가락홈이 형성된 건반덮개를 구비한 키보드 음악기구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KR200381569Y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JPS5844482A (ja) ピアノ用演奏トレ−ニング装置
KR970004168B1 (ko) 디지탈 피아노
JP2621360B2 (ja) ピアノのソステヌート装置
KR20010065172A (ko) 피아노에서 피치카토 음색구현을 위한 장치
KR100772122B1 (ko) 자동 연주용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떨림 방지용 스톱퍼결합장치
KR100772123B1 (ko) 자동 연주용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동작을 위한 높이조절장치
JPH08297485A (ja) グランドピアノのアクションサンプル
JPH05281955A (ja) 鍵盤式音板打楽器の打撃機構
JPH0248695A (ja) ピアノ
JPH1049138A (ja) グランド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