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68B1 - 디지탈 피아노 - Google Patents

디지탈 피아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68B1
KR970004168B1 KR1019930016241A KR930016241A KR970004168B1 KR 970004168 B1 KR970004168 B1 KR 970004168B1 KR 1019930016241 A KR1019930016241 A KR 1019930016241A KR 930016241 A KR930016241 A KR 930016241A KR 970004168 B1 KR970004168 B1 KR 97000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pper pen
push arm
wippen
digital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681A (ko
Inventor
김광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68B1/ko
Publication of KR95000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디지탈 피아노
제1도는 종래의 일반 피아노의 내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피아노의 내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상태 개요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 2 : 캡스톤 버튼
3 : 위펜 4,14 : 축
5 : 잭 6 : 바트
7 : 위펜힐 8 : 해머
9 : 현 10 : 쿠션부
11 : 댐퍼 12 : 하단부
13 : 댐퍼스푼 15 : 해머샹크
16 : 해머레일 17 : 휄트
18 : 스프링 19 : 댐퍼레일
20 : 축 21 : 푸시암
22 : 레버 23 : 선단부
24 : 경사진 후단부 25 : 단부
26 : 페달 27 : 연결간
28 : 키누름 스프링 29 : 키 후단부
30 : 러버 스위치 31 : 휄트
본 발명은 디지탈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절환장치를 갖는 디지탈 피아노에 관한 것이다.
일반 피아노는 예시되면 제1도와 같이 키(1)를 누르면 캡스톤 버튼(2:CAPSTON BUTTON)이 상승되면서 위펜(3:WIPPEN)을 상부로 밀어서 축(4)을 중심으로 위펜(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해머(8)의 쿠션부(10)가 회전되어 현(9:STRING)을 치도록 되어 있으며 순간적으로 잭(5)은 바트(6)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해머(8)가 현(9)을 치기 직전에 현(9)을 누르고 있던 댐퍼(11:DAMPER)는 댐퍼레버(19:DAMPER LEVER)의 하단부(12)가 댐퍼스푼(13:DAMPER SPOON)에 밀려 축(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현(9)과 격리된다.
현(9)을 치고난 해머(8)는 잭(5)이 바트(6)에서 미끄러지는 반동 및 쿠션부(10)의 반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튕겨나게 되며, 이때 해머샹그(15:HAMMER SHANK)는 해머레일(16:HAMMER RAIL)의 휄트(17:FELT)에 접하게 된다.
또한 위펜(3)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댐퍼스푼(13)도 원래의 위치(수직상태)로 되고 댐퍼(11)는 스프링(18:SPRING)에 의해 다시 현(9)을 눌러주게 된다(여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임).
위와 같은 일련의 복잡한 구조는 현(9)을 순간적으로 치고 현의 여음을 순간적으로 차단하는 효과 외에 키(1)를 누르면 연주자의 손가락을 통한 미세한 반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터치감)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탈 피아노의 내부에 순수한 텃치감을 얻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디지탈 피아노는 오르간, 바이올린, 관악기, 북소리, 드럼소리등 여러 소리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서 오르간 소리를 재생하기 위하여는 상기 텃치감을 위한 장치가 오히려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오르간은 단순히 키(건반)가 눌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오르간 연주시에 피아노와 같은 텃치감은 역효과를 나타내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피아노에 새로운 장치를 설치하여 연주자가 페달을 밟으면 디지탈 피아노의 텃치감을 위한 장치가 키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오르간과 거의 동일한 느낌으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키(1)에 연하여 캡스톤 버튼(2)이 형성되고, 캡스톤 버튼(2)의 상부에 위펜힐(7)과 위펜(3)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위펜(3)의 하부에 축(20)을 형성하여 푸시암(21)과 레버(22)가 축(2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푸시암(21)과 레버(22)가 축(2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푸시암(21)의 선단부(23)는 위펜(3)의 경사진 후단부(24)를 하부의 상부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며, 레버(22)의 단부(25)에는 페달(26)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연결간(27)이 결합되고, 축(20)에는 키누름 스프링(28)이 결합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29는 키 후단부, 30은 러버 스위치, 31는 소음방지용 휄트, 32는 작동바아, 33은 탄성체, 34,35는 힌지이다.
본 발명은 연주자가 페달(26)을 밟게 되면, 페달(26)의 선단부가 작동바아(32)를 작동시켜 연결간(27)이 하향된다.
따라서 연결간(27)에 걸려 있던 레버(22)의 단부(25)가 하향되면서 축(20)을 중심으로 레버(22)와 푸시암(21)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푸시암(21)의 선단부(23)가 위펜(3)의 경사진 후단부(24)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고 위펜(3)은 축(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결국 위펜힐(7)이 캡스톤 버튼(2)으로부터 격리된다.
이와 동시에 축(20)에 결합되어 있던 판 스프링 즉, 키누름 스프링(28)은 키 후단부(29)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주자가 키(1)를 누르게 되면 키(1)는 키누름 스프링(28)의 탄성만 받게 되고 위펜(3) 및 위펜힐(7)과는 무관하게 되는 것이다.
푸시암(21)의 선단부(23)는 양모로 구성되어 경사진 후단부(24)에 부드럽게접촉될 수 있으며, 경사진 후단부(24)의 경사로 인하여 작동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다.
페달(26)의 휄트(31) 역시 작동바아(32)와의 소음을 없애고 작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달(26)을 밟으면 캡스톤 버튼(2)과 위펜힐(7)이 격리되며 동시에 키누름 스프링(28)이 키 후단부(29)를 누르게 되어 오르간과 같은 연주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1)에 연하여 캡스톤 버튼(2)이 형성되고 캡스톤 버튼(2)의 상부에 위펜힐(7)과 위펜(3)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위펜(3)의 하부에 축(20)을 형성하여 푸시암(21)과 레버(22)가 축(2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푸시암(21)의 선단부(23)는 위펜(3)의 경사진 후단부(24)를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 줄수 있도록 하며, 레버(22)의 단부(25)에는 페달(26)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연결간(27)이 결합되고 축(20)에는 키누름 스프링(28)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
  2. 제1항에 있어서, 위펜(3)의 후단부가 길게 연장되어 상측으로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된 경사진 후단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
  3. 제1항에 있어서, 푸시암(21)과 키누름 스프링(18)은 축(20)을 중심으로 대향된 방향으로 설치되며 동시에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
KR1019930016241A 1993-08-20 1993-08-20 디지탈 피아노 KR97000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241A KR970004168B1 (ko) 1993-08-20 1993-08-20 디지탈 피아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241A KR970004168B1 (ko) 1993-08-20 1993-08-20 디지탈 피아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81A KR950006681A (ko) 1995-03-21
KR970004168B1 true KR970004168B1 (ko) 1997-03-25

Family

ID=1936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241A KR970004168B1 (ko) 1993-08-20 1993-08-20 디지탈 피아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81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56094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3341438B2 (ja) 鍵盤楽器
JPH04226497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弱音装置
JP2000089761A (ja) 鍵盤装置
US6545204B1 (en) Musical effect box pedal assembly
KR100806560B1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970004168B1 (ko) 디지탈 피아노
JPH0753108Y2 (ja) 電子ピアノ兼用生ピアノ
JP3288157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100673937B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JPH11212572A (ja) 鍵盤装置の駆動部構造
JP3443866B2 (ja) ペダル鍵盤構造
JPH07219543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70004169B1 (ko) 디지탈 피아노의 텃치감 발생 구조
KR970001639Y1 (ko) 그랜드 피아노형 디지탈 피아노
KR940002130B1 (ko) 전자건반악기
JPS5814389Y2 (ja) 電子オルガンのペダル鍵盤装置
JPH04303891A (ja) 電子ピアノの鍵盤装置
JPS6318054Y2 (ko)
JP2528586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753111Y2 (ja) 電子ピアノの鍵盤装置
KR950002549Y1 (ko) 전자건반악기
KR200381569Y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JPH07110678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2241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