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30B1 - 전자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전자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30B1
KR940002130B1 KR1019910019747A KR910019747A KR940002130B1 KR 940002130 B1 KR940002130 B1 KR 940002130B1 KR 1019910019747 A KR1019910019747 A KR 1019910019747A KR 910019747 A KR910019747 A KR 910019747A KR 940002130 B1 KR940002130 B1 KR 94000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jack
musical instrument
leaf spring
electronic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840A (ko
Inventor
김학운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30B1/ko
Publication of KR93001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건반악기
제1도는 종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종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서 나타나는 건반이동거리에 따른 연주자의 손 끝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터치특성)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3도는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서 나타나는 건반이동거리에 따른 연주자의 손 끝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터치특성)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서 나타나는 건반이동거리에 따른 연주자의 손 끝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터치특성)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건반 2 : 흑건반
3 :힌지축 4, 4' : 상승스톱파
5, 5' : 인장스프링 6, 6' : 하강스톱파
8, 8' : 완충재 11 : 건반
12 : 힌지축 13 : 힌지죠인트
14 : 고정대 15 : 힌지
16 : 횡레바 17 : 경사레바
18 : 힌지 19 : 잭
20 : 힌지 21 : 발음체
22 : 햄머 23 : 햄머레바
24 : 힌지 25 : 롤라
31 : 건반 33 : 힌지축
34 : 상승스톱파 35 : 인장스프링
36 : 하강스톱파 37 : 지지체
38 : 잭 39, 41 : 판스프링
40 : 잭스톱파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어코스틱(acoustic)피아노와 같은 건반터치감각을 느낄수 있도록 한 건반동작메카니즘이 구성된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과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소리를 낼수 있고 사용에 편리한 전자건반악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위치역할만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백건반(1)과 흑건반(2)이 각각 힌지축(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고 힌지축(3)의 좌측, 즉 건반의 선단쪽에 구성된 상승스톱파(4), (4')와 힌지축(3)의 우측, 즉 건반의 끝단쪽에 구성된 인장스프링(5), (5')에 의하여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다.
즉 인장스프링(5), (5')의 장력에 의해서 백건반(1)과 흑건반(2)와 각각 일체로 되어있는 레바(1'), (2')가 상승스톱파(4), (4')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레바(1'), (2')의 끝단의 상부면에는 각각 완충제(8), (8')가 부착되어 있다.
평형상태를 이루고있는 백건반(1) 또는 흑건반(2)이 연주자에 의해서 아래로 눌러지면 건반은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되고, 건반의 밑면이, 완충재로 되어 있고 상승스톱파(4), (4')의 상부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하강스톱파(6), (6')에 접촉하면 건반의 회전이 정지된다. 건반이 눌러져서 회전할 때 연주자의 손 끝에 느끼는 힘은 스프링(5), (5')의 탄성특성 때문에 점점 증가되어 제2도와 같은 터치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제1도에서 "S"는 센서장치로서 건반이 눌러졌을 때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발음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도와는 다른 터치특성곡선을 나타낸다.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건반(11)이 눌러지면 건반(11)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힌지축(12)의 좌측부분의 건반에 연결되어 있는 힌지죠인트(13)가 위로 올라가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대(14)에 횡레바(16)가 힌지(15)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횡레바(16)의 힌지(15)의 우측부분이 힌지죠인트(13)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정대(14)의 상단에는 경사레바(17)가 힌지(18)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횡레바(16)의 선단에는 잭(19)이 힌지(2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잭(19)은 수평부(19-1)와 경사부(19-2)가 일체로되어 있다. 경사레바(17)에는 잭(19)의 경사부(19-2)의 선단이 관통하여 유동할수 있는 슬롯트(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레바(17)와 잭(19)은 각각 스프링에 의해서 횡레바(16)와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발음체(21)와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햄머(22)는 햄머레버(23)와 일체로되어 있으며, 힌지(24)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햄머레버(23)의 경사부의 하부면에는 롤라(25)가 연결되어 있다. 건반(11)이 연주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힌지죠인트(13)가 위로 올라가면서 횡레바(16)를 밀어올리고, 횡레바(16)는 잭(19)과 함께 힌지(15)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잭(19)은 횡레바(16)와 함께 회동하면서 경사부(19-2)의 선단에 의해서 롤라(25)를 밀어올리고 동시에롤라(25)와 연결되어 있는 햄머레바(23)도 위로 올라간다.
그런데 잭(19)이 횡레바(16)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잭(19)의 수평부(19-1)의 선단이, 스톱퍼(26)에 접촉하면 잭(19)은 힌지(2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잭(19)의 경사부(19-2)의 선단이 롤라(25)와 미끄럼마찰을 하면서 롤라(25)를 순간적으로 벗어나게되고, 햄머(22)는 가속을 받아 위로 빠르게 이동해서 발음체(21)와 충돌한다. 계속해서 수평부(19-1)의 선단이 스톱퍼(26)로부터 분리되어 잭(19)이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횡레바(16)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은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서는 건반(11)을 누를 때 움직이는 햄머(22)의 무게중심점의 힘의 반작용에 인한 연주자의 손 끝에 느끼는 힘의 특성곡선은 제4도와 같게 된다.
즉, 연주자의 손 끝에 걸리는 힘은 초기에는 건반의 기동 때문에 급격히 상승하다가 일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잭(19)의 수평부(19-1)가 스톱퍼(26)에 접촉하면 건반에 걸리는 힘이 상승하게되고, 잭(19)의 경사부(19-2)가 롤라(25)를 벗어나는 순간 아주짧게 걸리는 힘이 감소하다가 재차 상승한다. 제4도에서 잭(19)의 경사부(19-2)가 롤라(25)를 벗어나는 순간 아주 짧게 힘이 감소하다가 재차 상승하는 곡선에 해당하는 "A"부분은 아프터 터치(After Touch)하고 하는데, 터치특성곡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를 때 연주자의 손 끝에 걸리는 힘의 특성곡선은 일반 어코스틱피아노 경우의 특성곡선과 판이하게 다르다. 또한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에서는 건반이 눌려짐에따라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의 경우보다 더 많은 힘을 필요로한다. 따라서 연주자들은 전자건반악기를 연주 할 때 건반의 터치감각이 다르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자건반악기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건반악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주자가 건반을 누를 때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와 같은 건반터치감각, 특히 아프터터치를 느낄수 있는 건반작동메카니즘이 구성된 전자건반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반하부의 전방부에서 건반과 결합되어 있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ㄱ자형의 잭, 상기 지지체와 잭에 양단이 고정된 U자형상의 판스프링, 상기 잭의 접촉부의 하방에 설치된 잭스톱파, 그리고 상기 잭의 수직부분의 하방에 설치된 판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건반(31)이 건반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33)으로부터 건반끝단쪽의 건반하부에 인장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건반의 선단부에 건반의 회동을 제한하는 상승 스톱파(34)와 하강스톱파(36)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33), 인장스프링(35), 상승스톱파(34) 및 하강 스톱파(36)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는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에서 나타나는 아프터터치의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즉, 건반하부의 전방부에는 지지체(37)가 건반(31)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37)에는 ㄱ자형상의 잭(38)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37)와 잭(38)에는 U자 형상의 판스프링(39)의 양단이 고정되어있다.
또한, 잭(38)의 접촉부(38-1)의 하방에는 잭스톱파(40)가 구성되어 있으며, 잭(38)의 수직부분의 하방에는 판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다.
잭(38)의 접촉부(38-1)의 밑면과 잭스톱파(40)의 윗면사이의 거리(ι1)는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과 판스프링(41)의 윗면사이의 거리(ι2)와 같거나 길다.
상기 판스프링(41)은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과 접촉하는 타단이 구속되지 않은 자유상태로된 U자형상의 판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건반(31)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인장스프링(35)과 상승스톱파(34)에 의해서 평형을 이루고 있다가 연주자에 의해서 건반(31)이 눌러지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건반(31)의 회전이 계속되면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과 판스프링(41)의 윗면이 접촉한다. 이때까지의 반력은 인장스프링(35)에 의한 것이나, 이후의 반력은 인장스프링(35)과 판스프링(41)의 반작용력에 기인하여 급격히 상승한다.
건반(31)이 계속 눌러져서 잭(38)의 접촉부(38-1)의 밑면과 잭스톱파(40)의 윗면이 접촉하면 잭(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건반(31)의 반력은 판스프링(39)의 영향도 받는다. 건반(1)이 좀더 눌러지면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은 판스프링(41)의 윗면과 미끄럼운동을 하다가 결국 판스프링(41)으로부터 벗어나게된다. 이때 연주자의 손 끝에 작용하는 반력은 순간적으로 감소하게되고, 건반(31)이 계속 눌려짐에 따라 반력은 다시 상승한다.
따라서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에서 나타나는 아프터터치의 특성곡선이 나타난다. 전술한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작동메카니즘에 의한 터치특성곡선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 어코스틱피아노에서의 터치특성곡선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건반악기를 연주하면 일반 어코스틱피아노를 연주할 때 느끼는 건반터치감각과 매우 유사한 터치감각을 느낄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

  1. 건반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반작용력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건반선단부에 건반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승스톱파(34)와 하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강스톱파(36)가 구성된 건반작동메카니즘을 구비한 전자건반악기에 있어서, 건반하부의 전방부에서 건반(31)과 결합되어 있는 지지체(37), 상기 지지체(3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ㄱ자 형상의 잭(38), 상기 지지체(37)와 잭(38)에 양단이 고정된 U자형상의 판스프링(39), 상기 잭(38)의 접촉부(38-1)의 하방에 설치된 잭스톱파(40), 그리고 상기 잭(38)의 수직부분의 하방에 설치된 판스프링(41)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작동메카니즘을 구비한 전자건반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38)의 접촉부(38-1)의 밑면과 잭스톱파(40)의 윗면사이의 거기(ι1)가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과 판스프링(41)의 윗면사이의 거리(ι2)와 같거나 긴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반작동메카니즘을 구비한 전자건반악기.
  3. 제1항에 있어서, 판스프링(41)이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잭(38)의 수직부분의 밑면과 접촉하는 타단이 자유상태로된 U자형상의 판스프링(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작동메카니즘을 구비한 전자건반악기.
KR1019910019747A 1991-11-07 1991-11-07 전자건반악기 KR94000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7A KR940002130B1 (ko) 1991-11-07 1991-11-07 전자건반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9747A KR940002130B1 (ko) 1991-11-07 1991-11-07 전자건반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840A KR930010840A (ko) 1993-06-23
KR940002130B1 true KR940002130B1 (ko) 1994-03-17

Family

ID=1932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747A KR940002130B1 (ko) 1991-11-07 1991-11-07 전자건반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840A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56094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US4667563A (en) Key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7488884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loped top surface
US4854211A (en) Action mechanism of an upright piano
KR940002130B1 (ko) 전자건반악기
US3175451A (en) Double touch key for musical instruments
JP4029513B2 (ja) ペダル装置
JP3402183B2 (ja) 鍵盤装置の駆動部構造
JP2002006848A (ja) 鍵盤装置
JPH04204797A (ja) 鍵盤装置
JP2001159894A (ja) 鍵盤装置
JP3873034B2 (ja) アクション
JPH0719138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3519549B2 (ja) 鍵盤のキャプスタン調整装置および鍵盤装置
JPS5814497Y2 (ja) 電子楽器用鍵盤
JP3601113B2 (ja) 鍵盤装置
JPH0449674Y2 (ko)
JPS6243353Y2 (ko)
JPH04172398A (ja) 鍵盤装置
JPH0511746A (ja) 鍵盤装置
JPH0634166B2 (ja) 楽器用鍵盤装置
JP3258187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5265444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4303891A (ja) 電子ピアノの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