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872Y1 -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 Google Patents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872Y1
KR200299872Y1 KR20-2002-0028814U KR20020028814U KR200299872Y1 KR 200299872 Y1 KR200299872 Y1 KR 200299872Y1 KR 20020028814 U KR20020028814 U KR 20020028814U KR 200299872 Y1 KR200299872 Y1 KR 200299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ing time
signal
traffic light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섭
Original Assignee
이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섭 filed Critical 이정섭
Priority to KR20-2002-0028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는 신호등의 점등/소등 기능과,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하는 기능 및 주변 교통 흐름을 센싱하여 신호등의 적절한 점등시간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장치가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설치되거나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의 상습 정체 지역에 설치될 경우, 적신호의 점등시 운전자가 잔여 점등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고 교통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적신호의 점등시 차량의 시동을 꺼서 차량 엔진의 공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과 함께 대기 환경 개선을 이룰 수가 있다.

Description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Traffic Signal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 Remained Lighting Time}
본 고안은 교통 신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함으로써 교통 사고를 예방하고 에너지 낭비를 억제하도록 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차로나 횡단보도에서는 차량의 원활한 소통과 교통 사고의 예방을 위해 교통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교통 신호기의 차량용 신호등, 예를 들어 적색, 황색 및 녹색과 같은 3색의 신호등들 중 특정 색상의 신호등이 점등되면, 운전자가 상기 점등된 신호등의 색상을 인식하고 차량을 직진 또는 좌, 우 회전시키면서 주행하거나 정지선 근처에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교통 신호기의 보행자용 교통 신호등, 예를 들어 적색 및 녹색과 같은 2색 신호등들 중 특정 색상의 신호등이 점등되면, 보행자가 상기 점등된 신호등의 색상을 인식하고 횡단보도를 건너가거나 인도에 정지한다.
종래의 교통 신호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에서 신호등 표시부(10)가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황색을 각각 표시하는 3개 신호등들(도시 안됨)을 포함하고, 신호등 구동부(20)가 상기 신호등들 중 점등할 신호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 공급부(30)의 전원을 해당 신호등에 공급시키고, 타이머부(40)가 해당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측정한다. 제어부(50)가 신호등의 점등을 위하여 신호등 구동부(20)를 제어하는 교통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여기서, 적색 신호등이 차량의 진입 정지를 알려주고, 녹색 신호등이 차량의 진입을 알려주고, 황색 신호등은 적색 신호등이나 녹색 신호등의 점등 전환을 예고한다. 물론, 신호등 표시부(10)에는 적색, 녹색 및 황색 신호등들 이외에도 차량의 방향 전환, 즉 좌회전을 알려주는 신호등도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교통 신호기(100)의 경우, 먼저, 신호등 표시부(10)의 적색, 녹색 및 황색 신호등들(도시 안됨) 중에서 특정 색상, 예를 들어 적색 신호등이 점등 종료되고 황색 신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녹색 신호등을점등시키기 위해 해당 제어 신호를 신호등 구동부(2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신호등 구동부(20)가 제어부(50)의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30)로부터의 구동 전원을 녹색 신호등에 공급하기 시작하면, 녹색 신호등이 소등 상태에서 점등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신호등 구동 방식으로는 기계적인 방식 또는 전자적인 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은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이때, 타이머부(40)가 녹색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점등시간이 종료되면, 녹색 신호등의 점등시간 종료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부(50)가 해당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가 녹색 신호등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황색 신호등을 소등시키기 위해 해당 제어 신호를 신호등 구동부(20)에 전달하면, 신호등 구동부(20)가 전원 공급부(30)로부터의 구동 전원이 황색 신호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황색의 신호등이 점등 상태에서 소등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교통 신호기(100)는 제어부(50)가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신호등들의 점등/소등 및 점등시간을 제어하고 주변 교통 상황에 연계하여 신호등을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교통 신호기는 교차로나 횡단보도가 있는 지역에서 신호등의점등/소등을 제어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나 점등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아라비아 숫자로 명확히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신호등의 점등/소등의 전환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교차로나 횡단보도 근처까지 차량을 주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통과 또는 정지를 확실하게 결정하기 어렵다. 또한,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보도 근처까지 주행하였는데도 녹색의 신호등이 계속 점등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가 신속히 교차로나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위해 차량을 가속 주행하기 쉽다. 이때, 녹색 신호등이 갑자기 소등되고 황색 신호등이 점등되어 버리면,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키거나 이를 무시하고 교차로나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쉽다. 이는 교차로나 횡단보도에서의 교통 흐름을 저해시키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교통 사고를 유발시키기 쉽다.
더욱이,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정지선 근처에 정지시킨 후 예를 들어 녹색 신호등의 점등을 기다린다. 그러나, 종래의 교통 신호기가 점등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하지 못하므로 운전자가 녹색 신호등의 점등 시점을 전혀 예측할 수가 없다. 이는 운전자의 조급함과 긴장감을 심화시키고 피로감을 가중시키며, 차량 엔진의 공회전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와 대기 오염을 가져온다.
이와 마찬가지로, 주말이나 연휴와 같은 때에 상습 정체되는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의 일부 지역에서는 운전자가 정지 및 10Km/h 이하의 서행을 반복하면서 차량을 주행할 경우, 운전자가 지루함을 느끼는 가운데 졸음 운전을 피하기 어렵고, 비록 졸음 운전을 하지 않더라도 조급함과 긴장감을 억제하기 어려워 난폭 운전이나 대형 사고를 일으키기 쉽다. 더욱이, 운전자가 차량을 장시간 동안에 걸쳐 정지시킨 상태에서 언제 다시 출발시켜야 할 지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차량의 엔진을 계속 공회전시키는데, 이는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와 대기 오염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설치된 교통 신호기에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시켜주거나,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의 상습 정체 지역에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교통 신호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주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통 신호기에 점등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숫자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원활한 교통 흐름과 교통 사고 예방을 달성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통 신호 대기중인 차량의 엔진 공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에너지 낭비와 대기 오염을 줄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통 신호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는
신호등들중 소정의 신호등을 점등 표시하는 신호등 표시부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신호등의 점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신호등 표시부로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신호등 구동부와, 상기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로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 구동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점등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등 점등 검출부; 주변의 교통 흐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부; 및 상기 신호등의 점등 검출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상기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가 차량이 10Km/h 이하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센싱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들의 각각이 적색, 황색 및 녹색의 신호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 구성 및 동일 작용의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200)는 크게 표시부(110), 구동부(120), 전원 공급부(130), 타이머부(140), 센싱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110)는 신호등 표시부(111)와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로 구성된다. 구동부(120)는 신호등 구동부(121)와 잔여 점등시간 표시 구동부(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신호등 표시부(111)가 적색, 녹색 및 황색을 각각 표시하는 3개 신호등들(도시 안됨)의 점등 상태를 표시하고,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가 상기 신호등들 중 점등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한다.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잔여 점등시간의 분 및 초를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한 전광판으로 구성되거나 통상적인 디지털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 구동부(121)가 신호등 표시부(111)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점등할 신호등에 공급시키고, 잔여 점등시간 표시 구동부(122)가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에 공급시킨다. 타이머부(140)가 점등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측정한다. 센싱부(150)가 교통 신호 장치(200) 주변의 교통 상태를 센싱한다. 제어부(160)가 신호등의 점등을 위하여 신호등 구동부(20)를 제어하는 교통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고 또한 센싱부(150)의 센싱 결과에 따라 구동부(120)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시킨다.
한편, 적색 신호등이 차량의 진입 정지를 알려주고, 녹색 신호등이 차량의 진입을 알려주고, 황색 신호등은 적색 신호등이나 녹색 신호등의 점등 전환을 예고한다. 물론, 신호등 표시부(111)에는 적색, 녹색 및 황색 신호등들 이외에도 차량의 방향 전환, 즉 좌회전을 알려주는 신호등도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표시부(110)의 신호등 표시부(111)에 설치된 신호등들(도시 안됨), 예를 들어 적색, 황색 및 녹색 신호등들 중 현재 점등된 신호등의 점등시간이 종료하면, 단계(S10)에서 제어부(160)가 일련의 신호 절환 주기에 의해 다음으로 점등할 신호등, 예를 들어 적색 신호등을 지정한다.
상기 적색 신호등이 지정되고 나면, 단계(S20)에서 제어부(160)가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상기 적색 신호등으로 공급시키기 위해 구동부(120)의 신호등 구동부(121)를 구동시킨다. 이와 아울러 제어부(160)가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상기 점등시간이 종료된 신호등으로 공급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 신호등 구동부(12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적색 신호등이 새로이 점등되고 상기 점등시간이 종료된 신호등이 소등된다.
상기 적색 신호등이 점등되고 나면, 단계(S30)에서 신호등 점등 검출부(170)가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적색 신호등이 실제로 점등되고 나머지 신호등들이 소등된 것으로 검출되면, 신호등 점등 검출부(170)가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 검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이 검출되고 나면, 단계(S40)에서 제어부(160)가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해 타이머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타이머부(140)가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 개시 시점으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160)가 상기 타이밍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시간이 카운팅되고 나면, 단계(S50)에서 제어부(160)가 상기 적색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연산한다. 즉, 제어부(160)가 상기 적색 신호등의 미리 설정된 점등시간에서 현재 카운팅된 점등시간을 뺌으로써 상기 적색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연산한다. 한편, 센싱부(150)가 주변의 교통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를 센싱하고 제어부(160)가 센싱부(150)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등의 미리 설정된 점등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잔여 점등시간이 연산되고 나면, 단계(S60)에서 제어부(160)가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을 표시부(110)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로 공급시키기 위해 구동부(120)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 구동부(122)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가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잔여 점등시간의 분 및 초를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112)는 발광 다이오드를 적용한 전광판 또는 통상적인 디지털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통 신호기(200)는 신호등의 점등과 함께 점등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므로 운전자가 신호등의 점등/소등의 전환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쉬우므로 교차로나 횡단보도 근처까지 차량을 주행하였을 때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통과 또는 정지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보도 근처까지 차량을 주행하였을 때 녹색의 신호등이 계속 점등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보도를 통과하기 위해 차량의 가속 주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교차로나 횡단보도 진입 직전에 녹색 신호등이 갑자기 소등되고 황색 신호등이 점등되어 버리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급제동시키거나 이를 무시하고 교차로나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교차로나 횡단보도에서의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고 교통 사고의 예방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정지선 근처에 정지시킨 후 예를 들어 녹색 신호등의 점등을 기다리더라도 녹색 신호등의 점등 시점을 예측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운전자의 조급함과 긴장감이 완화되고 피로감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색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이 비교적 많이 있는 경우, 운전자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차량을 정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차량의 엔진 공회전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와 대기 오염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다.
한편, 주말이나 연휴와 같은 때에 상습 정체되는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의 일부 지역에 본 고안의 교통 신호기의 신호등들을 설치하여 놓으면, 상기 상습 정체 지역에서 차량이 기준 속도, 예를 들어 10Km/h 이하의 저속으로 서행 주행하는 경우, 센싱부(150)가 주변 차량의 교통 흐름을 센싱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60)에전달하면, 제어부(160)가 예를 들어 적색, 황색 및 녹색을 각각 표시하는 3색 신호등(도시 안됨)을 임의의 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적색 신호등은 5분, 황색 신호등 및 녹색 신호등은 3분 동안 점등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는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5분 동안 차량이 10Km/h의 속도로 주행한 거리, 즉 3.5Km가 녹색 신호등이 점등된 3분 동안 차량이 70Km/h의 속도로 주행한 거리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상습 정체 지역에서 상기 신호등이 작동 개시하였을 때 상기 적색 신호등이 5분 동안 점등된 동안, 운전자는 다음 신호의 점등을 기다리면서 차량의 시동을 끄고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맨손체조와 같은 운동을 실시하여 기분 전환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자가 지루함을 피할 수 있고 조급함과 긴장감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난폭 운전이나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동안에 차량 엔진의 공회전이 억제 가능하므로 차량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고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시간 동안에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을 때 1대당 39원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차량이 가솔린 1ℓ당 10000m의 거리를 주행하고 시동이 걸린 상태로 5분 동안 주행하여 최소 300m의 거리를 이동 가능하며 가솔린 1ℓ당 가격이 1300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300m의 거리를 주행하는데 소요된 가솔린 요금(X)은 다음의 식 1에 의해 차량 1대당 39원으로 주어진다.
10000m/1ℓ: 1300원/1ℓ= 300m : X
상기 잔여 점등시간이 표시되고 나면, 단계(S70)에서 제어부(160)가 상기 잔여 점등시간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잔여 점등시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점등시간을 계속 카운팅하기 위해 단계(S40)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상기 잔여 점등시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적색 신호등의 점등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가 신호등 표시부(111)의 적색 신호등을 소등시키도록 신호등 구동부(12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신호등 구동부(121)가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이 상기 적색 신호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므로 상기 적색 신호등이 소등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제어부(160)가 다음의 신호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는 신호등의 점등/소등 기능과,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하는 기능 및 주변 교통 흐름을 센싱하여 신호등의 적절한 점등시간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교통 신호 장치가 교차로나 횡단보도에 설치되거나 고속도로나 고속화 도로의 상습 정체 지역에 설치될 경우, 적신호의 점등시 운전자가 잔여 점등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고 교통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적신호의 점등시 차량의 시동을 꺼서 차량 엔진의 공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과 함께 대기 환경 개선을 이룰 수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신호등들중 소정의 신호등을 점등 표시하는 신호등 표시부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신호등의 점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신호등 표시부로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신호등 구동부와, 상기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잔여 점등시간 표시부로 공급하도록 구동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 구동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점등 여부를 검출하는 신호등 점등 검출부;
    주변의 교통 흐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점등 표시된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부; 및
    상기 신호등의 점등 검출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상기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차량이 10Km/h 이하의 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센싱할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들의 각각이 적색, 황색 및 녹색의 신호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신호장치.
KR20-2002-0028814U 2002-09-26 2002-09-26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KR200299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14U KR200299872Y1 (ko) 2002-09-26 2002-09-26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14U KR200299872Y1 (ko) 2002-09-26 2002-09-26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347A Division KR100518736B1 (ko) 2002-09-26 2002-09-26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872Y1 true KR200299872Y1 (ko) 2003-01-06

Family

ID=4932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814U KR200299872Y1 (ko) 2002-09-26 2002-09-26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8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0704A (ja) 交通信号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101230097B1 (ko) 교차로 혼잡 시 진입금지를 위한 신호등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 방법 그리고 단속 시스템
KR100518736B1 (ko)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KR200299872Y1 (ko) 잔여 점등시간 표시기능의 교통 신호 장치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200428605Y1 (ko)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KR100212603B1 (ko) 매설형 가변차로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200347373Y1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장치
KR100535398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표시장치
KR200367214Y1 (ko)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0278342Y1 (ko) 교차로 신호장치
KR200205328Y1 (ko) 교통신호기 자동제어장치
KR200188397Y1 (ko) 표지병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전달 시스템
KR19990084157A (ko) 도로교통 신호등의 교체시간 확인용 표식장치
KR200291351Y1 (ko) 횡단보도 신호등의 카운터표시장치
KR200310409Y1 (ko) 교통신호기
KR20060082065A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99210A (ko) 신호대기 및 진행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등
KR200171154Y1 (ko) 도로교통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용 표식장치
KR200246287Y1 (ko) 디지털 표시기능을 가진 교통 신호등
KR19990039344U (ko) 시간표시 교통신호등
KR200255213Y1 (ko) 보행자 신호등
JP3686624B2 (ja) 補助信号機
KR200209868Y1 (ko) 다수의 진행 표시 패널을 갖는 교통 신호등
KR200335604Y1 (ko) 교통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