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065A -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065A
KR20060082065A KR1020060054545A KR20060054545A KR20060082065A KR 20060082065 A KR20060082065 A KR 20060082065A KR 1020060054545 A KR1020060054545 A KR 1020060054545A KR 20060054545 A KR20060054545 A KR 20060054545A KR 20060082065 A KR20060082065 A KR 2006008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section
signal
emergency
sign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윤옥
Original Assignee
공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윤옥 filed Critical 공윤옥
Priority to KR102006005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065A/ko
Publication of KR2006008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는 평시(평상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신호등 구동부; 교차로의 차량정체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초과 차량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면 메모리부에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데이터를 불러들여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차로에서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차로에서의 정체 현상에 따른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소통원활화로 시민경제생활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체를 해소하여 연료소비를 줄이고 물류비를 절감함은 물론 환경공해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교차로, 신호등, 차량 정체 현상, 신호 체계

Description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signal lamp in cross roads}
도 1은 일반적인 교차로를 나타내는 간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D : 신호등 1 : 교차로
11 ~ 14 : 카메라 100 : 차량 감지수단
200, 600 : 제어부 300, 700 : 신호등 구동부
400, 800 : 메모리부 500 : 타이머
본 발명은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이 혼잡한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는 교차로 부근에서의 차량 정체 현상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교차로는 3거리, 4거리 및 5거리 등을 말한다.
교통 신호등은 교차로나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와 보행자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시하는 장치다. 운전자는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 운전 중에 정체정보, 규제정보, 안내정보, 교차로 신호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운전자는 도로상에서의 운전행위 중에 90% 이상을 인지수단의 시각에 의존하고 있으며, 운전자의 주의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교통신호등 정보다.
따라서 이러한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는 신호등의 지시 방향을 정확하게 전달해주어 모든 운전자가 시기 적절하게 자신의 위치에서 신호등의 지시를 준수할 수 있게 하는 교통신호 표출체계(간략히, '신호 체계'라고도 함) 및 구조의 정보전달기능이 편리하고 정확하게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교통 신호등은 통상적으로 내부에 전구가 구비되고, 그 외측에 전구를 보호하며 '진행'/'주의'/'정지'를 의미하는 녹색(Green)/황색(Yellow)/적색(Red)을 표시하기 위한 반구형(半球形)의 커버가 구비되어 전구가 점등되면 그 빛이 커버에 투과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교통 신호등이 설치되는 도로의 인접지에는 신호등제어기(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이를 통해 교통 신호등의 점등 및 소등 주기를 제어하게 되는데, 4개의 등 중에 하나의 등만 점등되거나, 좌회전표시등(3)과 직진표시등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제어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 사용되는 4색 신호등은 직진 주행신호인 녹색신호, 정지신호인 적색신호, 좌방향 전환신호인 좌회전신호 및 예비신호인 황색 신호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전술한 4색 신호등은 교통신호가 바뀔 때는 대개 현재신호가 변환되기 전에 예비신호가 점등된 후 다음 차례의 신호로 변환된다. 예컨대, 좌회전 신호에 의해 좌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에 직진 주행신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좌회전 신호가 완료된 후에 황색 예비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점등된 후 직진 주행신호가 지정된 시간 동안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신호등은 현재신호, 예비신호 또는 다음 신호가 색상이 구별된 채로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단순히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시스템 및 그 체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차로(1)에는 4방향에 대한 차량 신호등이 구비되며, 또한 실시간 감시를 위한 카메라(11~14)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11~14)는 일반적으로 신호등(A~D)의 일측에 1개 이상 설치된다.
도면에서, ㉮ 방향은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차량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의 차량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 방향은 북쪽으로 남쪽으로의 차량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 방향은 동쪽으로 서쪽으로의 차량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체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신호등 A, B, C, D가 각각 적색, 청색, 적색, 청색이 되면 차량은 ㉯ 방향과 ㉱ 방향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적색, 황색, 적색, 황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방향 및 ㉱ 방향으로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등(A, B, C, D)은 각각 좌회전, 청색, 좌회전, 청색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가능하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황색, 적색, 황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소정 시간 경과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청색, 적색, 청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차량은 ㉮ 방향과 ㉰ 방향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황색, 적색, 황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방향과 ㉰ 방향으로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등(A, B, C, D)은 각각 적색, 좌회전, 적색, 좌회전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가능하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적색, 황색, 적색, 황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및 ㉱ 차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교통 차량이 증가하는 시간대에는 상기 교차로에 정체되어 있는 차량이 다수 존재하게 된다. 이는 운전자가 신호체계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였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주행중이었던 차량의 신호등이 황색으로 바뀌면 신속히 그 위치(교차로)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운전 미숙, 보행자의 신호 위반 등으로 인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그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며, 이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차로 부근에서 차량의 정체 상태(상황)를 감지하고, 차량의 정체 상태에 따라 평시(평상시) 또는 비상시 신호체계로 운행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교차로에서의 정체 상태(상황)를 요일별, 시간별로 DB(데이터 베이스)화여 미리 메모리부에 저장시킨 후, 요일, 시간에 따라 평시(평상시) 또는 비상시 신호체계로 운행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는 평시(평상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신호등 구동부; 교차로의 차량정체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초과 차량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면 메모리부에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데이터를 불러들여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감지 수단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례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량 유무 판별 수단,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판별 수단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는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신호등 구동부; 해당 교차로의 교통정보 관련 데이터, 평시(평상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및 타이머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을 체크하고,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이 되면 메모리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불러들여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해당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은 상기 교차로의 차량 정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교차로에 더 이상의 차량 진입이 가능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교차로에 더 이상의 차량 진입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은 해당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차량 정체시간 되면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는 차량 감지수단(100), 신호등 구동부(300), 메모리부(4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 감지수단(100)에서는 교차로의 차량 정체 상태, 즉 교차로 내에 있는 차량 수를 감지(체크)한다.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그 일례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판별 방식, 교차로 부근에 매설시켜 차량에서 발생되는 열을 센싱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차량 감지 대상 구역은 교차로 전체로 할 수도 있지만, 교차로 중 일부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신호등 구동부(300)에서는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일례로, 제어부에서 적색 신호등 점등 신호가 인가되면 신호등 구동부에서는 적색 신호등을 점등시킨다.
메모리부(400)에는 평시(평상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 등이 내장된다.
여기서, 평시 차량 신호 체계는 도 2와 같은 일반적인 신호 체계를 말하며, 비상시 차량 신호 체계는 본 발명에서 새로 적용된 신호 체계(도 5 참조)를 말한다.
상기 비상시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된다.
차량진입 금지신호는 전체 방위(예: 4 방위)에 대한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이루어지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차량진입 금지신호의 길이와, 상기 차량 진입 금지신호를 포함한 비상시 차량 신호체계는 해당 교차로의 특성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 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교차로에 추가로 차량의 진입이 가능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초과 차량 진입 가능 여부 판단은 그 교차로에서의 정체 상태(상황)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차로에서의 정체 상태 파악은 소정 기준에 의해 가능하는데, 그 기준은 차량 수(예 : 2대 이상이면 차량 정체로 판단)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과 차량의 진입이 가능하면 현재 신호 체계(평시 신호 체 계)를 계속 유지하고, 초과 차량의 진입이 불가능하면(예 : 차량수가 2대 이상이면) 현재 신호 체계를 비상시 신호 체계로 전환한다.
상기에서 비상시 신호 체계로 전환이 이루어졌으면 상기 신호 체계를 소정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짧은 시간에 여러 번 평시(평상시) 신호 체계와 비상시 신호 체계간 전환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교통 흐름에 비효율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평시(평상시) 신호 체계 및 비상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해당 신호 체계 데이터가 불리면 해당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인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는 타이머(500), 신호등 구동부(700), 메모리부(8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도 3에서도 타이머(신호등의 점등/점멸시간의 길이 조정 등)는 필요하지만, 여기서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타이머는 신호 체계 전환(평시 신호 체계 -> 비상시 신호 체계, 비상시 신호 체계 -> 평시 신호 체계)을 하기 위한 시간을 체크한다.
메모리부(800)에는 평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교차로의 교통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교차로의 교통정보에는 신호 체계 전환 시기 등과 같은 교통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교통 정보는 요일별, 시간대별 구분하여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에서는 타이머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신호 체계 전환 시간(시기)을 체크하고,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이 되면 메모리부에서 해당 데이터(예 : 평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 비상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를 불러들여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해당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시킨다.
일례로, 상기 평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는 도 2를 참조하고, 비상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는 도 5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신호등 구동부는 도 3의 신호등 구동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체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신호등 A, B, C, D가 각각 적색임)를 더 추가한 것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 체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신호등 A, B, C, D가 각각 적색, 청색, 적색, 청색이 되면 차량은 ㉯ 방향과 ㉱ 방향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적색, 황색, 적색, 황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방향 및 ㉱ 방향으로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신호등 A, B, C, D 모두 적색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구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등(A, B, C, D)은 각각 좌회전, 청색, 좌회전, 청색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가능하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황색, 적색, 황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신호등 A, B, C, D 모두 적색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구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시간 경과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청색, 적색, 청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차량은 ㉮ 방향과 ㉰ 방향으로 직진 주행이 가능해진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황색, 적색, 황색, 적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방향과 ㉰ 방향으로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신호등 A, B, C, D 모두 적색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구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등(A, B, C, D)은 각각 적색, 좌회전, 적색, 좌회전으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 및 ㉱ 차로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가능하다. 그런 후, 신호등(A, B, C, D)이 각각 적색, 황색, 적색, 황색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 및 ㉱ 차에 있는 차량은 좌회전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신호등 A, B, C, D 모두 적색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구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신호등의 운용과정에는 실제상황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핵심요지는 비상시(차량이 교차로에서 엉키는 상황 발생시)에 모든 방향에서 교차로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행을 정지시키도록 모든 신호등을 일시적으로 적색으로 전환함으로써 교차로 내부에 차량이 엉키지 않고 원활히 운행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의 설명상 차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신호구간을 4군데로 하였지만,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든 방향에서의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구간을 1 ~ 3군데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해당 교차로의 교통 특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교차로에서 도 2와 교통 신호 체계(평시 신호 체계)로 차량들이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자.(S101)
본 발명에서는 교차로의 소정 위치에 차량 감지 수단(예 : 초음파 센서, 열 센서, 카메라 등)이 구비되는데,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출력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어 실시간적으로 해당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상태가 체크(감지)된다.(S102)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해당 교차로에 소정 기준 이상의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103)
단계 103에서 해당 교차로에 소정 기준 이상의 차량이 정체되어 있으면 제어부는 교통 신호 체계를 평시 신호 체계에서 비상시 신호 체계로 전환한다.(S104) 즉, 제어부에서는 메모리부에서 비상시 신호 체계 관련 데이터를 불러들이며, 비상시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인가한다. 그러면 신호등 구동부에서는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신호 체계대로 신호등을 점등, 점멸시킨다.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짧은 시간에 여러 번 평시 신호 체계와 비상시 신호 체계간 전환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교통 흐름에 비효율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 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교차로에서 도 2와 교통 신호 체계(평시 신호 체계)로 차량들이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자.(S201)
참고로, 메모리부(800)에는 평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교차로의 교통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교차로의 교통정보에는 신호 체계 전환 시기 등과 같은 교통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머 및 제어부를 통해 해당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시간이 체크된다.(S202)
상기에서 해당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시간의 체크 결과, 미리 설정된 차량 정체 시간인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에서는 타이머의 출력 신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체 시간이 일치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S203)
단계 203에서 타이머의 출력 신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체 시간이 일치하면 단계 104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S204)
물론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차로에서의 정체 현상에 따른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소통원활화로 시민경제생활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체를 해소하여 연료소비를 줄이고 물류비를 절감함은 물론 환경공해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8)

  1.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평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신호등 구동부;
    교차로의 차량정체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수단; 및
    상기 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초과 차량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면 메모리부에서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데이터를 불러들여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량 유무 판별 수단 또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판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
  3.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
    해당 신호등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신호등 구동부;
    해당 교차로의 교통정보 관련 데이터, 평시 및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및
    타이머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을 체크하고, 신호 체계 전환 시간이 되면 메모리부에서 해당 데이터를 불러들여 상기 신호등 구동부에 해당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장치.
  4.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의 차량 정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교차로에 더 이상의 차량 진입이 가능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교차로에 더 이상의 차량 진입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량 유무 판별 수단 또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판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
  7.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해당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차량 정체시간 되면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에는 교차로에 대한 모든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차량진입 금지신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시의 차량 신호 체계로 전환한 후, 그 체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방법.
KR1020060054545A 2006-06-16 2006-06-16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82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45A KR20060082065A (ko) 2006-06-16 2006-06-16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45A KR20060082065A (ko) 2006-06-16 2006-06-16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065A true KR20060082065A (ko) 2006-07-14

Family

ID=3717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45A KR20060082065A (ko) 2006-06-16 2006-06-16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0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28B1 (ko) * 2007-09-28 2008-06-24 (주)엑스포전자엔지니어링 교차로 차량정체감지 및 일시진입금지 표시 신호기 제어시스템
KR101230097B1 (ko) * 2010-05-26 2013-02-08 공인택 교차로 혼잡 시 진입금지를 위한 신호등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 방법 그리고 단속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28B1 (ko) * 2007-09-28 2008-06-24 (주)엑스포전자엔지니어링 교차로 차량정체감지 및 일시진입금지 표시 신호기 제어시스템
KR101230097B1 (ko) * 2010-05-26 2013-02-08 공인택 교차로 혼잡 시 진입금지를 위한 신호등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 방법 그리고 단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762B1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JP5093057B2 (ja) 交差点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載装置
KR20120078765A (ko) 영상감지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의 신호등 시스템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KR20100090880A (ko) 차량 역주행 방지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EP3588462A1 (en) Control method for a traffic regulator
KR101931298B1 (ko)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1116708B1 (ko) Y자형 교차로에서의 지능형 신호등제어방법
KR200413236Y1 (ko)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20120013700A (ko) 비보호 좌회전 차량 신호 제어시스템
JP6860757B2 (ja) 交差点通過制御システム
JP4985232B2 (ja) 衝突判定装置
KR100968042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0097B1 (ko) 교차로 혼잡 시 진입금지를 위한 신호등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 방법 그리고 단속 시스템
KR20060082065A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508663B1 (ko)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1901868B1 (ko) 트램 교차로에서의 신호모순 검지 방법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KR100667577B1 (ko) 신도시 도로의 교통 안내시스템
KR20190110200A (ko) 교통 신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18350Y1 (ko) 소통원활화를 기한 교차로통제장치
KR102318038B1 (ko) 녹색 신호 변경 예고 기능을 가지는 차량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