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05Y1 -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05Y1
KR200428605Y1 KR2020060019381U KR20060019381U KR200428605Y1 KR 200428605 Y1 KR200428605 Y1 KR 200428605Y1 KR 2020060019381 U KR2020060019381 U KR 2020060019381U KR 20060019381 U KR20060019381 U KR 20060019381U KR 200428605 Y1 KR200428605 Y1 KR 200428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witching
warning
switch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조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준 filed Critical 조남준
Priority to KR2020060019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와,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를 스위칭시키는 제1감지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점등되어 횡단보도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구비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일측에 장착되어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 상기 제2감지수단의 감지신호로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 및 상기 제2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구동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있음을 경고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함으로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횡단보도, 경고등, 조명등, 점멸, 보행자

Description

횡단보도용 경고장치{Warning Apparatus for Crosswalk}
도 1은 일반적인 횡단보도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횡단보도 2: 지지대
3, 14: 조명등 10: 전원공급부
11, 16: 감지수단 12, 18: 스위칭부
20: 경고수단 21: 경고등
22: 스피커
본 고안은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표지로서 도로에 구획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함으로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횡단보도는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도로표지 또는 도로표시에 의하여 보행자의 횡단용으로 마련된 부분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횡단보도는 자동차 등의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보행자는 반드시 이것을 이용하고, 또 차량의 운전자는 보행자가 여기를 횡단할 때에 일시 정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차량의 위험이 큰 교차점에서는 횡단보도 대신에 육교나 횡단지하도를 설치하기도 한다.
더욱이 시가지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는 통상적으로 가로등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횡단보도에는 별도의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운전자는 신호등의 보행신호에 따라 정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내 외곽의 국도나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 또는 차량의 운행이 많지 않은 도로의 횡단보도에는 신호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아 차량 운전자의 과속이나 또는 횡단보도나 보행자를 용이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교통사고의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종래에 횡단보도(1)가 설치된 도로의 양측에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대(2)에 조명등(3)이 설치되어 횡단보도(1) 및 횡단보도(1)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횡단보도(1), 특히 신호등이 설치되지 않은 횡단보도 등에 조명등(3)이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운전자가 횡단보도 및 보행자를 인식하더라도 운전자가 이에 대한 주의 운전을 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로표지로서 횡단보도의 인식을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고, 조명등의 일측에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임을 경고하는 경고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경고등 및/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와,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를 스위칭시키는 제1감지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점등되어 횡단보도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구비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일측에 장착되어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
상기 제2감지수단의 감지신호로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 및
상기 제2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구동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있음을 경고하는 경고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조명장치는 차량의 통행이나 인적이 드문 도로에 설치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안개지역이나 일몰 후의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 등을 위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장치에 구비된 조명등은 정해진 일정 시간에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조명장치는 지지대 등을 이용하여 소정 높이에 조명등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10)에서 가공하여 장치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더욱이 조명장치에는 제1감지수단(11)이 구비되어 외부의 광량에 따라 조명등(14)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감지수단(11)은 광감지센서(예컨대, CdS)로서,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전류의 변화로 제1스위칭부(12)를 스위칭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1감지수단(11)은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제1스위칭부(12)를 스위칭시켜 전원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조명등(14)으로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명장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된 조명등(14)을 외부의 광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조명등(14)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전원공급부(10)에 제2스위칭부(18)가 연결되어 있고, 제2스위칭부(18)는 제2감지수단(16)에 의하여 스위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감지수단(16)은 조명장치의 일측에 장착된 것으로, 횡단보도(1)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것으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이 적용된 감지센서로서 보행자를 포함하여 각종 움직임을 갖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2감지수단(16)은 보행자를 포함한 각종 움직임을 갖는 물체가 일정 시간동안 움직임이 지속될 때에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횡단보도(1)를 가로질러 주행하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지시간의 지연이 필요하다. 즉 제2감지수단(16)은 보행자의 움직임, 예컨대, 물체의 움직임이 시속 10Km이하일 경우에는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키고, 물체의 움직임이 시속 10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는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보행자가 최대한 빠른 속도로 뛰어갈 경우에도 이를 충분히 감지하여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차량이 횡단보도(1)를 지나가는 속도는 보행자가 걷거나 뛰어가는 속도보다 빠르므로 차량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무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제2감지수단(16)이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감지와 동시에 다소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2스위칭부(18)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보행자의 움직임과 차량의 움직임의 감지가 충분히 구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속도 및 지연시간 등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보행자와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제2감지수단(16)의 작동 여부는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2감지수단(16)과 제2스위칭부(18)의 사이에 마이컴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스위칭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경고등(21)은 조명등(14)이 설치된 조명장치의 측면, 즉 차량의 운전자가 용 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향에 설치된 것이다. 물론 경고등(21)은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대(2)의 소정 위치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경고등(21)은 제2스위칭부(18)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소정 주기로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고등(21)은 적색의 램프가 적용될 수 있지만, 점멸주기 또는 수명이 반영구적인 발광다이오드(LED)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표시로서 경고등(21) 이외에 스피커(22)나 부저 등을 통해 연속 또는 주기적인 경고음이나 음성이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청각적인 경고를 하여도 좋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감지수단(11) 및 제2감지수단(16)의 감지신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제1스위칭부(12) 및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경고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로에 도로표시로서 구획된 횡단보도(1) 양측에 각각의 지지대(2) 상단에 설치된 조명등(14)은 야간이나 안개가 낀 상태 등에서 제1감지수단(11)이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제1스위칭부(12)의 스위칭으로 전원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점등된다. 횡단보도(1) 양측에 설치된 조명등(14)은 횡단보도(1)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 및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명등(14)이 점등된 상태이거나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명 등(14)의 일측에 장착된 제2감지수단(16)은 횡단보도(1) 상에 보행자 등을 포함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감지수단(16)이 횡단보도(1) 상에 보행자나 차량 등과 같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2감지수단(16)은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후에 일정 시간, 예컨대, 1~2초가 경과한 후에 다시 물체의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제2감지수단(16)은 일정 시간 이내에 계속적인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횡단보도(1)를 보행하는 보행자로 인지하여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켜 경고수단(20)으로서 경고등(21)을 점멸시킨다. 더욱이 제2감지수단(16)의 감지신호를 마이컴과 같은 제어부가 인식을 하면 설정된 시간, 예컨대, 움직이는 물체가 일정 속도이상으로 움직이는지 아니면 일정 속도이하로 움직이는 지를 판별하여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킴으로서 보다 명확한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고등(21)과 병렬로 스피커(22)가 구성된 경우에는 경고음이나 경고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시청각적인 경고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2감지수단(16)이 횡단보도(1)를 보행 중인 보행자가 계속 감지되는 동안에는 경고등(21)이 지속적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서,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1)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있음을 경고하게 되고, 차량의 운전자가 횡단보도(1) 이전에 차량이 정지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등(21)은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광량 및 점멸주기 등을 표시하여야 할 것이다.
보행자가 횡단보도(1)를 건너간 후에는 제2감지수단(16)이 횡단보도(1)의 감 지범위 내에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스위칭부(18)를 스위칭시켜 전원공급부(10)에서 경고등(21)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횡단보도용 경고장치는 시내 또는 시외의 일반도로나 국도 등의 도로표지로서 횡단보도의 일측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의 설치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임을 시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조명등의 측면에 경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임을 경고함과 동시에, 횡단보도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와,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를 스위칭시키는 제1감지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점등되어 횡단보도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구비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일측에 장착되어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
    상기 제2감지수단의 감지신호로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 및
    상기 제2스위칭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구동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있음을 경고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시적인 경고를 위하여 소정 주기로 점멸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청적인 경고를 위하여 소정 음량을 발생하는 스피 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제1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를 스위칭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KR2020060019381U 2006-07-19 2006-07-19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KR200428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81U KR200428605Y1 (ko) 2006-07-19 2006-07-19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81U KR200428605Y1 (ko) 2006-07-19 2006-07-19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05Y1 true KR200428605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381U KR200428605Y1 (ko) 2006-07-19 2006-07-19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30B1 (ko) * 2016-03-04 2016-09-08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20180006562A (ko) * 2016-07-08 2018-01-18 원유석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16796A (ko) 2021-02-15 2022-08-23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과속 방지 알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30B1 (ko) * 2016-03-04 2016-09-08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빔프로젝터를 구비한 스마트형 교통안전시스템
KR20180006562A (ko) * 2016-07-08 2018-01-18 원유석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84001B1 (ko) * 2016-07-08 2018-08-01 원유석 보행자와 운전자의 주의환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16796A (ko) 2021-02-15 2022-08-23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과속 방지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739988B1 (ko) 무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0907107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장치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JP2009530704A (ja) 交通信号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200428605Y1 (ko)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20100050747A (ko) 횡단보도 경보기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1661964B1 (ko) 차량 신호전용 경보 점멸등을 활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KR20120042209A (ko) 야간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20060088433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WO2017167673A1 (en) Glare-based signaling system for intelligent lighting
JP3185192U (ja) 横断表示装置
KR100469639B1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KR200274422Y1 (ko) 횡단보도용 조광장치
KR20220056905A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KR100720061B1 (ko) 경고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