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787Y1 -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787Y1
KR200298787Y1 KR2020020028847U KR20020028847U KR200298787Y1 KR 200298787 Y1 KR200298787 Y1 KR 200298787Y1 KR 2020020028847 U KR2020020028847 U KR 2020020028847U KR 20020028847 U KR20020028847 U KR 20020028847U KR 200298787 Y1 KR200298787 Y1 KR 200298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water purifier
coc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관
Original Assignee
라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787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의 입구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미사용시 취수부를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차단하여 취수부 내의 오염을 방지하며, 아울러 취수부 내에 설치되는 콕과 콕레버를 외부와 차단시키므로 부주의로 인해 온수콕레버가 작동될 염려가 없게 되어 온수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40)(40´)과 배출콕(40)(40´)을 개폐하는 콕레버(50)(50´)가 장착된 취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취수부(20)의 입구에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취수부(20)를 개폐하는 커버(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COVER}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의 입구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미사용시 취수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취수부의 오염과 부주의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늘고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깨끗한 물의 공급이 쉽지 않게 됨에 따라 가정과 음식점에서도 정수기의 사용이 부쩍 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물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본체(1)와, 정수기본체(1)의 전면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취수부(2)와, 취수부(2)에 설치되어 정수된 물을 저온상태와 고온상태로 배출하는 한 쌍의 콕(Cock)(3)(3´)과, 각 콕(3)(3´)의 개폐를 조절하는 한 쌍의 콕레버(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수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컵을 콕레버(4)(4´)에 대고 밀면 콕레버(4)(4´)의 작동에 의해 콕(3)(3´)이 개방되면서 정수된 물이 배출되어 컵에 채워지게 되며, 콕레버(4)(4´)로부터 컵을 떼어내면 콕레버(4)(4´)의 작동에 의해 콕(3)(3´)이 폐쇄되면서 정수된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종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경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콕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로 인해 콕의 내외부가 오염될 염려가 있었으며, 또한 부주의로 온수를 배출하는 콕레버를 밀게 되면 온수가 배출되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정수기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의 입구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미사용시 취수부를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차단하여 취수부 내의 오염을 방지하며, 아울러 취수부 내에 설치되는 콕과 콕레버를 외부와 차단시키므로 부주의로 인해 온수콕레버가 작동될 염려가 없게 되어 온수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힌지, 및 레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와 도3에 도시된 힌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20 : 취수부
30, 30´: 배출콕 40, 40´: 콕레버
50 : 자석 60, 60´, 60˝: 커버
70 : 힌지 80 : 레일
90 : 자성체 100 : 선반
본 고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과 배출콕을 개폐하는 콕레버가 장착된 취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취수부의 입구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취수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에 따르면, 힌지는 취수부의 입구 하부 양측에 내설되어 커버가 상하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힌지는본체의 양측에 전후로 내설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커버가 본체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힌지는 취수부의 입구 일측에 장착되어 커버가 좌우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힌지, 및 레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와 도3에 도시된 힌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20)와, 취수부(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냉온수 배출콕(30)(30′)과, 각 배출콕(30)(30′)에 장착되어 배출콕(30)(30′)을 개폐하는 한 쌍의 콕레버(40)(40′)와, 취수부(20)의 입구에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취수부(20)를 개폐하는 커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 내에는 각 배출콕(30)(30′)과 연결되고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다수의 필터와,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필터로는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 필터와, 고탁도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고 통과하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와, 원수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와, 전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필터와, 맴브레인필터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와, 후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필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에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냉매의 순환력을 제공하는 압축기와, 외기와 열교환을 이루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상온 고압상태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무쇠관을 통과시키면서 저온저압으로 상변환시키는 캐피러리튜브와, 저온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열교환을 이루며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압축기로 송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취수부(20)는 본체(10)의 전면부에 움푹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냉온수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콕(30)(30′)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각 배출콕(30)(30′)은 본체(10) 내의 냉온수 저장탱크와 각각 연결되어 냉온수를 배출하는 것으로, 콕레버(40)(40′)에 의해 냉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콕레버(40)(40′)를 컵으로 밀착시키면 배출콕(30)(30′)이 개방되어 냉온수가 배출되고, 밀착시킨 컵을 콕레버(40)(40′)로부터 떼어내면 배출콕(30)(30′)이 폐쇄되어 냉온수의 배출이 중단된다. 한편, 취수부(20)의 상부에는 커버(6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자석(50)이 탄설된다.
커버(60)는 취수부(20)의 입구 하부 양측에 힌지(70)에 의해 그 상부가 하부를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되어 취수부(20)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취수부(20)의 개방시 힌지(70)에 의해 본체(10)와 수직으로 회동되므로 그 배면에 컵을 올려놓을 수 있고, 취수부(20)의 폐쇄시 취수부(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자석(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자성체로 형성된다.
힌지(70)는 커버(60)를 본체(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취수부(20)의 입구 하부 양측에 내설되는 레일(8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케이스(71)와, 힌지케이스(71)에 축설되고 일단부가 커버(6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72)과, 제1회전축(72)에 설치되는 제1기어(73)와, 힌지케이스(71) 내에 제1회전축(72)에 평행하게 축설되는 제2회전축(74)과, 제2회전축(74)에 설치되고 예각의 범위 내에서 기어부(75a)가 형성되어 제1기어(73)와 맞물리는 제2기어(75), 및 제2기어(75)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코일스프링(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커버(60)의 회동시 제1회전축(72)의 제1기어(73)와 맞물리는 제2기어(7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제2기어(75)는 코일스프링(76)에 의해 가압되면서 점진적으로 회전하므로, 커버(60) 역시 점진적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기어(75)에 형성된 기어부(75a)의 양측단에는 스토퍼(75b)가 각각 형성되므로, 커버(60)는 기어부(75a)의 양측단에서 정지된다. 커버(60)는 폐쇄시 도5a 상태를 유지하다가 완전 개방시에는 도 5b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커버(60)의 폐쇄시 제1기어(73)와 맞물리는 제2기어(75)의 기어부(75a) 일측에 형성되는 산과 산 사이의 피치는 타측에 형성되는 산과 산 사이의 피치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커버(60)는 개방 초기에는 빠른 속도로 개방되다가 완전 개방상태에 가까워지면서 그 속도가 느려진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힌지(70)는 본체(10)의 양측에 내설되는 레일(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커버(6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60)의 상부를 밀게 되면 커버(60)는 본체(10) 내로 슬라이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 커버(60)의 상부를 누른 후 떼면, 자석(5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압축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60)가 자석(50)으로부터 분리되며, 자석(50)으로부터 분리된 커버(60)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본체(10)와 수직으로 개방된다.
이 때, 커버(60)는 힌지(70)의 제2기어(75)에 형성된 기어부(75a)의 피치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작아지므로 개방초기에는 빠른 속도로 개방되다가 개방후기에는 서서히 개방된다.
커버(60)가 개방된 후 콕레버(40)(40´)를 컵으로 밀착시키면 배출콕(30)(30´)이 개방되어 정수가 컵으로 배출되고, 밀착시킨 컵을 콕레버(40)(40´)로부터떼어내면 배출콕(30)(30´)이 폐쇄되어 정수의 배출이 중단된다. 이 과정에서 컵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컵의 일부를 개방된 커버(60)의 배면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취수부(20) 입구의 공간확보를 위해 커버(60)의 일부를 본체(10) 내로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5b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커버(60´)는 폐쇄시에도 취수부 내를 투영(透映)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커버(60´)의 배면에는 본체(10)의 자석(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90)가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작용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커버(60˝)는 취수부(20)의 입구 일측에 힌지(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60˝)는 타측이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취수부(20)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60˝)의 배면 하부에는 커버(60˝)의 개방시 수평상태로 회동하여 컵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1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선반(100)은 커버(60˝)의 폐쇄시에는 커버(60˝)의 배면에 접면되다가 커버(60˝)의 개방시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취수부(20)의 하부에 형성된 턱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한편, 자석(50)은 취수부(20)의 입구 타측에 탄설되며, 커버(60˝)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반(100)은 커버(60˝)의 폐쇄시 커버(60˝)의 배면 일측이 자석(50)이 부착되도록 커버(6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 커버(60˝)의 상부를 누른 후 떼면, 자석(5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압축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60˝)가 자석(50)으로부터 분리된다. 자석(50)으로부터 분리된 커버(60˝)의 타측을 잡고 회동시키면 취수부(20)가 개방되며, 커버(60˝)를 완전히 개방시키면 커버(6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는 선반(100)이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취수부(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중 선반(100)에 컵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의 입구에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미사용시 취수부를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 차단하여 취수부 내의 오염을 방지하며, 아울러 취수부 내에 설치되는 배출콕과 콕레버를 외부와 차단시키므로 부주의로 인해 콕레버를 작동시킬 염려가 없게 되어 온수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취수부의 개방시 커버가 본체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되므로, 커버의 배면에 컵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과 상기 배출콕을 개폐하는 콕레버가 장착된 취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의 입구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취수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취수부의 입구 하부 양측에 내설되어 상기 커버가 상하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본체의 양측에 전후로 내설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5.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취수부의 입구에 내설되는 힌지케이스;
    상기 힌지케이스에 축설되고 상기 커버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힌지케이스 내에 상기 제1회전축에 평행하게 축설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에 설치되고 소정각도의 범위 내에서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취수부의 입구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가 좌우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의 입구에는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자성체가 장착되고, 상기 취수부의 입구에는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게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KR2020020028847U 2002-09-26 2002-09-26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KR200298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47U KR200298787Y1 (ko) 2002-09-26 2002-09-26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47U KR200298787Y1 (ko) 2002-09-26 2002-09-26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787Y1 true KR200298787Y1 (ko) 2002-12-26

Family

ID=7312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847U KR200298787Y1 (ko) 2002-09-26 2002-09-26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7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1B1 (ko) 2007-02-16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구동 기구가 장착된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장치
KR200480286Y1 (ko) * 2014-07-15 2016-05-04 유성철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1B1 (ko) 2007-02-16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구동 기구가 장착된 식수 공급 장치의 콕 오염 방지 장치
KR200480286Y1 (ko) * 2014-07-15 2016-05-04 유성철 업소용 워터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7450B2 (ja)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102005569B1 (ko) 정수기
KR200298787Y1 (ko)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
JPH09103782A (ja) 浄水器の排水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0129636Y1 (ko) 냉온정수기의 전면판넬 착탈장치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200443372Y1 (ko) 냉·온 정수기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20030022750A (ko) 커버 및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KR200333468Y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200299795Y1 (ko)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KR0146838B1 (ko) 정수기의 콘트롤구조
JPH1043735A (ja) 冷温浄水器の取水装置
CN220735126U (zh) 一种可制冰的嵌入式饮水机
KR0139295Y1 (ko) 냉온정수기의 측면판넬 보강구조
KR0175899B1 (ko) 정수기의 전장부품 배치장치
KR19980069539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20090010343A (ko) 정수기
JPH1030879A (ja) 配水器の取水弁カバー装置
KR100610503B1 (ko) 냉장고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