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795Y1 -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795Y1
KR200299795Y1 KR20-2002-0028848U KR20020028848U KR200299795Y1 KR 200299795 Y1 KR200299795 Y1 KR 200299795Y1 KR 20020028848 U KR20020028848 U KR 20020028848U KR 200299795 Y1 KR200299795 Y1 KR 200299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violet lamp
cock
water purifi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관
Original Assignee
라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8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배출콕과 배출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30)(30´)과 배출콕(30)(30´)을 개폐하는 콕레버(40)(40´)가 장착되는 취수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취수부(20)의 측벽에 설치되어 배출콕(30)(30´)과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ULTRAVIOLET LAMP}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배출콕과 배출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늘고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깨끗한 물의 공급이 쉽지 않게 됨에 따라 가정과 음식점에서도 정수기의 사용이 부쩍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다양한 여과수단을 통해 걸러줌으로써 깨끗한물을 마실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이 있으며, 정수만을 공급하는 단순정수기와 정수를 저온상태로 공급하는 냉정수기 또는 정수를 저온과 고온의 두 가지 상태로 공급하는 냉온정수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본체(1)와, 정수기본체(1)의 전면부에 움푹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취수부(2)와, 취수부(2)에 설치되어 정수된 물을 저온상태와 고온상태로 배출하는 한 쌍의 콕(Cock)(3)(3´)과, 각 콕(3)(3´)의 개폐를 조절하는 한 쌍의 콕레버(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취수부(2)를 통해 컵 등의 취수용기를 콕레버(4)(4´)에 접촉시킨 후 밀게 되면, 콕레버(4)(4´)의 작동에 의해 콕(3)(3´)이 내부적으로 개방되어 온수통이나 냉수통에 저장되어 있는 냉수나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반대로 콕레버(4)(4´)를 밀고 있던 컵을 떼면, 콕레버(4)(4´)가 전방으로 복귀되는 작동에 의해 콕(3)(3´)의 유로가 내부적으로 폐쇄되어 냉온정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종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경우,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콕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로 인해 콕의 내외부에 해로운 세균이 증식할 염려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배출되는 물에 해로운 세균 등이 섞여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작업 및 살균작업을 수시로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배출콕과 배출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취수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취수부 내로만 방사되도록 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외선램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20 : 취수부
30, 30´: 배출콕 40, 40´: 콕레버
50 : 자외선램프 60 : 차단막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과 배출콕을 개폐하는 콕레버가 장착되는 취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취수부의 측벽에 설치되어 배출콕과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자외선램프는 취수부의 측벽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각각 내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취수부의 측벽에 장착되어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취수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취수부 내로만 방사되도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외선 램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20)와, 취수부(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냉온수 배출콕(30)(30´)과, 각 배출콕(30)(30´)에 장착되어 배출콕(30)(30´)을 개폐하는 한 쌍의 콕레버(40)(40´)와, 취수부(20)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20a)에 내입 설치되는 자외선램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 내에는 각 배출콕(30)(30´)과 연결되고 온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다수의 필터와,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필터로는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 필터와, 고탁도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고 통과하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와, 원수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와, 전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필터와, 맴브레인필터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와, 후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필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에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냉매의 순환력을 제공하는 압축기와, 외기와 열교환을 이루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상온 고압상태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무쇠관을 통과시키면서 저온저압으로 상변환시키는 캐피러리튜브와, 저온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열교환을 이루며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압축기로 송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취수부(20)는 본체(10)의 전면부에 움푹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냉온수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콕(30)(30´)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각 배출콕(30)(30´)은 본체(10) 내의 냉온수 저장탱크와 각각 연결되어 냉온수를 배출하는 것으로, 콕레버(40)(40´)에 의해 냉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콕레버(40)(40´)를 컵으로 밀착시키면 배출콕(30)(30´)이 개방되어 냉온수가 배출되고, 밀착시킨 컵을 콕레버(40)(40´)로부터 떼어내면 배출콕(30)(30´)이 폐쇄되어 냉온수의 배출이 중단된다.
자외선램프(50)는 취수부(20)의 측벽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홈(20a)에 각각 내입 설치되어 각 배출콕(30)(30´)에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배출콕(30)(30´)의 내외부에 증식하는 세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배출콕(30)(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게 된다. 취수부(20)는 그 측벽이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므로 각 자외선램프(5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각 배출콕(30)(30´)에 집중되어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이 때, 자외선 살균은 다른 처리방법에 비해 경비와 시간이 걸리지 않고 매우 짧은 시간에 살균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이 있으며, 의료, 화장품, 전자공업, 식품의 원료수나 철도차량·선박·가정 등의 음료수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한편, 취수부(20)의 측벽에 형성되는 각 홈(20a)의 입구 일측에는 자외선램프(5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취수부(2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취수부(20) 내로만 방사되도록 차단하는 차단막(60)이 각각 장착된다. 따라서, 각 자외선램프(5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은 차단막(60)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취수부(20)의 오목한 측벽 양측에 형성되는 홈(20a)에 자외선램프(50)를 각각 내입 설치하여 취수부(20) 내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각 배출콕(30)(30´)의 내외부에서 증식하는 세균들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또한 배출콕(30)(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세균도 살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막의 배면에 자외선을 반사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차단막으로 방사되는 자외선을 취수부 내로 반사함으로써, 각 배출콕과 배출되는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 따르면,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취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홈에 자외선램프를 각각 내입 설치하여 취수부 내로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취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배출콕과 각 배출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여 항상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각 배출콕에 세균이 증식할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세척작업이나 살균작업이 필요치 않다.
또한, 취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홈의 일측에 차단막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취수부 내로만 방사되므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과 상기 배출콕을 개폐하는 콕레버가 장착되는 취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콕과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취수부의 측벽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에 각각 내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의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취수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취수부 내로만 방사되도록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KR20-2002-0028848U 2002-09-26 2002-09-26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KR200299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48U KR200299795Y1 (ko) 2002-09-26 2002-09-26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48U KR200299795Y1 (ko) 2002-09-26 2002-09-26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795Y1 true KR200299795Y1 (ko) 2003-01-06

Family

ID=4939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848U KR200299795Y1 (ko) 2002-09-26 2002-09-26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7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312B2 (en) Fluid treatment system
EP1817260B1 (en) Circulation-type apparatus for generating drinking water
WO2000038814A1 (en) Treated water dispensing system
KR19980047539U (ko) 정수기의 취수부 살균장치
KR20100111537A (ko) 근접살균방식의 자외선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200299795Y1 (ko)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JP2003072896A (ja) 飲料用温水・冷水器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CN2279133Y (zh) 带空气消毒净化装置的饮水机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20030022750A (ko) 커버 및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20000003525U (ko) 냉온정수기
KR200233790Y1 (ko) 급속냉각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950001016Y1 (ko) 온냉수 겸용 정수기
KR19980069532A (ko) 물분배기용 송풍수단의 설치구조
JPH1043736A (ja) 配水器
JPH10339539A (ja) 水分け器
KR19980069539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JPH09290252A (ja) 逆滲透冷・温浄水器の浄水及び循環システム
KR19980086376A (ko) 물분배기
KR1998006954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