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124Y1 -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124Y1
KR200298124Y1 KR2020020028587U KR20020028587U KR200298124Y1 KR 200298124 Y1 KR200298124 Y1 KR 200298124Y1 KR 2020020028587 U KR2020020028587 U KR 2020020028587U KR 20020028587 U KR20020028587 U KR 20020028587U KR 200298124 Y1 KR200298124 Y1 KR 200298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caffolding
safety work
fix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용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to KR202002002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124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공간의 폭이 좁아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건설현장에서 현장실정에 맞게 설치될 수 있는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비계와 상기한 지주비계의 외주면에 클램프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의 일측면에 지지부재가 고정결합되며, 상기한 지지부재에 지지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전작업발판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작업발판을 밟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영역을 확보하여 작업을 시행하므로써 생산성 향상 및 추락에 따른 재해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Safety Working Foothold for a Line Scaffold }
본 고안은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지주비계에 클램프가 고정결합되고, 그 일측에 지지부재가 고정결합되어 플레이트를 지지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전작업발판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작업발판을 밟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영역을 확보하고 작업을 시행하므로써, 생산성 향상 및 추락에 따른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작업발판은 그 폭이 넓어 대부분 내,외부가 넓고 작업공간이 확보된 장소에서 설치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데에는 작업공간이 확보된 건설현장에서만 사용되고, 작업영역이 확보되지 않은 건설현장이나, 비계조립시 비계기둥 간격이 일정하게 설치되야 하나 작업자가 도면작성이나 실측을 하지 않고 공사를 실시하므로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수 없는 장소에서는 많은 어려움과 공사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막대한 비용손실을 가져왔다.
더욱이, 대부분의 거푸집공사 및 견출공사와 같은 내.외부비계 띠장 위에서 작업이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안전작업발판 설치의 불편함과 설치 인건비 문제로 안전작업발판을 설치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장기간의 작업으로 안전작업발판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부분의 현장에서 쌍줄비계 띠장위에 유로폼이나 합판을 올려놓고 안전작업발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외줄비계를 설치한 경우에는 띠장위에 임의 제작된 선반지주를 설치하고 P.S.P를 얹어 안전작업발판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인해, 작업자들은 아무런 보호장비없이 비계의 띠장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고, 작업자의 작업영역 확보가 곤란하고 불안한 상태로 작업을 하고 있어 추락에 따른 재해나 작업능률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비계위에서 밟고 작업할 수 있는 안전작업발판을 설치하므로써,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확보하고 작업을 진행하게되어 생산성 향상 및 추락에 따른 재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의 일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와 그 일측에 고정결합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10: 수직비계
20: 클램프 22: 몸체
24: 덮개부 26: 협지편
28: 너트 30: 스터드볼트
40: 지지부재 42: 제 1협지부
44: 제 2협지부 50: 플레이트
52: 고정편 52a,52b: 제 1,2돌기
54: 볼트 56: 너트
60: 안전작업발판 62: 장공
64: 고정편 66: 고정홈
70: 고정프레임 72: 절곡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은, 각종 작업장이나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비계와;
상기 지주비계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이 지주비계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지주비계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도록 지주비계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된 덮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 일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복수개의 협지편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협지편에 대응한 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양측의 협지편 사이로 삽입되어 협지되도록 된 스터드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스터드볼트에 체결되어서 몸체와 덮개를 지주비계상에 위치.고정시키도록 된 너트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그 일면이 지지.고정되고, 그 타면 양측에 볼트가 고정.구비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볼트에 끼워지도록 된 다수의 장공이 천공되고, 그 일단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다가 그 단부가 절곡된 고정편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고정편이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홈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안전작업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상의 지지부재에는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를 취하는 제 1협지부가 형성되고, 이 제 1협지부의 일면 중앙에는 제 1협지부에 수직하게 절개된 제 2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한 플레이트의 하면상에도 고정편이 돌출.형성되되, 이 고정편은 지지부재의 제 1협지부에 대응한 제 1돌기와, 제 2협지부에 대응한 제 2돌기로 이루어져서,이 제 1,2 돌기가 지지부재의 제 1,2협지부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작업발판상의 장공에는 고정프레임이 삽입되어 구비되되, 일측의 안전작업발판의 장공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 일단의 절곡부가 삽입되고, 상기 안전작업발판과 인접한 다른 안전작업발판상의 장공에도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 타단의 절곡부가 삽입되어서, 양 안전작업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킨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이 설치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의 일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그 일측에 고정구비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압입고정되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2)은 크게 지주비계(10), 클램프(20), 지지부재(40), 플레이트(50), 안전작업발판(6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비계(10)는 강관의 파이프로서, 건축물의 외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지주비계(10)의 외주면에 고정구비된 클램프(20)을 매개로 지지부재(40)가 고정구비되고, 상기한 지지부재(40)에 플레이트(50)가 지지고정되며, 안전작업발판(60)이 플레이트(50)의 상면에 고정구비된 볼트(54)에 고정결합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0)는 지주비계(10)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이 지주비계(10)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몸체(2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2)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지주비계(10)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도록 지주비계(10)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된 덮개부(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4)의 일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복수개의 협지편(26)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협지편(26)에 대응한 몸체(2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양측의 협지편(26) 사이로 삽입되어 협지되도록 된 스터드볼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볼트(30)에 체결되어서 몸체(22)와 덮개를 지주비계(10)상에 위치.고정시키도록 된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한 너트(28)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22)와 덮개부(24)의 내주연에 안착된 지주비계(10)에 상기한 클램프(20)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클램프(20)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구비된 지지부재(40)에는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를 취하는 제 1협지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협지부(42)의 일면 중앙에는 제 1협지부(42)에 수직하게 절개된 제 2협지부(4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제 2협지부(44)는 클램프(20)에 고정된 지지부재(40)의 타측면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40)의 제 1,2협지부(42,44)에 서로 대응되게 압입, 고정될 수 있는 제 1,2돌기로 이루어진 고정편(52)이 플레이트(50)의 하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돌기(52a)는 제 1협지부(42)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압입.고정되며, 상기 제 2돌기(52a)도 제 2협지부(44)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어 압입.고정된다.
이로써, 상기한 제 1,2협지부(42,44)에 플레이트(50)의 제 1,2돌기(52a,52b)로 이루어진 고정편(52)이 압입.고정되어, 상기한 지지부재(40)와 플레이트(50)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플레이트(50)의 양측 상면에는 볼트(54)가 고정.구비되며, 상기한 볼트(54)에 삽입되어 너트(56)로 고정되는 장공(62)이 천공된 안전작업발판(60)이 구비되고, 상기한 안전작업발판(60)의 장공(62)은 안전작업발판(60)의 상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공(62)은, 지주비계(10)의 설치시 작업자가 도면작성이나 실측을 하지 않고 공사를 실시하여 지주비계(10)의 설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안전작업발판(60)을 고정함에 있어 지주비계(10)의 임의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안전작업발판(60)의 그 일단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다가 그 단부가 절곡된 고정편(64)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고정편(64)이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홈(66)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한 안전작업발판(60)의 고정편(64)을 인접한 또 다른 안전작업발판(60)의 고정홈(66)에 삽입시켜, 각각의 안전작업발판(60)을 지지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는 것이다.
아울러, 각각의 지주비계(10) 사이에 고정구비되는 안전작업발판(60)은 지주비계(10)의 띠장 대용으로 사용됨으로써, 상기한 안전작업발판(60)이 지주비계(10)의 수평력을 부담하게 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며 구조적으로는 안정한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안전작업발판(60)의 장공(62)에는 고정프레임(70)이 삽입되어 구비되되, 일측의 안전작업발판(60)의 장공(62)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70) 일단의 절곡부(72)가 삽입되고, 상기 안전작업발판(60)과 인접한 다른 안전작업발판(60)상의 장공(62)에도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70) 타단의 절곡부(72)가 삽입된다.
이로써, 각각의 안전작업발판(6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은, 작업공간의 폭이 좁아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건설현장에서 현장실정에 맞게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작업발판을 밟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영역을 확보하고작업을 시행하므로써, 생산성 향상 및 추락에 따른 재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각종 작업장이나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비계(10)와;
    상기 지주비계(10)의 외주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일측면이 지주비계(10)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몸체(2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2)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지주비계(10)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도록 지주비계(10)에 대응한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된 덮개부(24)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24)의 외주면 일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복수개의 협지편(26)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협지편(26)에 대응한 몸체(2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서, 양측의 협지편(26) 사이로 삽입되어 협지되도록 된 스터드볼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스터드볼트(30)에 체결되어서 몸체(22)와 덮개를 지주비계(10)상에 위치.고정시키도록 된 너트(28)가 구비되어서 이루어진 클램프(20)와;
    상기 클램프(20)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구비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0)에 그 일면이 지지.고정되고, 그 타면 양측에 볼트(54)가 고정.구비된 플레이트(50)와;
    상기 플레이트(50)의 볼트에 끼워지도록 된 다수의 장공(62)이 천공되고, 그 일단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다가 그 단부가 절곡된 고정편(64)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고정편(64)이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된 고정홈(66)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안전작업발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상의 지지부재(40)에는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를 취하는 제 1협지부(42)가 형성되고, 이 제 1협지부(42)의 일면 중앙에는 제 1협지부(42)에 수직하게 절개된 제 2협지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0)에 대응한 플레이트(50)의 하면상에도 고정편(52)이 돌출.형성되되, 이 고정편(52)은 지지부재(40)의 제 1협지부(42)에 대응한 제 1돌기(52a)와, 제 2협지부(44)에 대응한 제 2돌기(52b)로 이루어져서, 이 제 1,2돌기(52a,52b)가 지지부재(40)의 제 1,2협지부(42,44)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업발판(60)상의 장공(62)에는 고정프레임(70)이 삽입되어 구비되되, 일측의 안전작업발판(60)의 장공(62)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60) 일단의 절곡부(72)가 삽입되고, 상기 안전작업발판(60)과 인접한 다른안전작업발판(60)상의 장공(62)에도 수직하게 절곡된 고정프레임(70) 타단의 절곡부(72)가 삽입되어서, 양 안전작업발판(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킨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KR2020020028587U 2002-09-24 2002-09-24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KR200298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87U KR200298124Y1 (ko) 2002-09-24 2002-09-24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87U KR200298124Y1 (ko) 2002-09-24 2002-09-24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56A Division KR100460231B1 (ko) 2002-09-24 2002-09-24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124Y1 true KR200298124Y1 (ko) 2002-12-12

Family

ID=7307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87U KR200298124Y1 (ko) 2002-09-24 2002-09-24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1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843A (en) Scaffold bracket
KR200426209Y1 (ko)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KR100460231B1 (ko)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KR200298124Y1 (ko) 외줄비계용 안전작업발판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020049414A (ko) 교각 점검대
JP3548426B2 (ja) スタンションポールの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JPH10292621A (ja) 足場つなぎ構造
US4858724A (en) Safety fence for scaffolds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KR20090010565A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H0849406A (ja) 建築用仮設材支持金具
JP2923200B2 (ja) 吊り足場用部材
AU751694B2 (en) Safety rail
JPH01256644A (ja) 床パネルの固定装置
JP3081653U (ja) 巾木パネルの固定具
JP3542061B2 (ja) 足場の支持具
JPH0640773Y2 (ja) 仮設足場装置
JP2931288B1 (ja) 作業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支柱
JP293976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打設型枠用のセパレータ固定具
JPH0740595Y2 (ja) 足場設置及び解体作業用吊り台
JPS5912352Y2 (ja) 建築用足場器具
JP3997080B2 (ja) 足場用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