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16Y1 - 도로용 충격흡수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충격흡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16Y1
KR200295916Y1 KR2020020024290U KR20020024290U KR200295916Y1 KR 200295916 Y1 KR200295916 Y1 KR 200295916Y1 KR 2020020024290 U KR2020020024290 U KR 2020020024290U KR 20020024290 U KR20020024290 U KR 20020024290U KR 200295916 Y1 KR200295916 Y1 KR 200295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hock absorber
present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도산업
Priority to KR2020020024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16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연변이나 중앙선 등에 설치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종설된 축봉에 다수개의 스틸재 중공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반발에 의한 이차적 사고 발생을 줄이고 아울러 저렴한 제작비로 교체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판이 융착된 양측 지주관체의 상방에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상판과 하판을 대설하여 이의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축봉의 양단을 상하 일치되는 구멍으로 끼워 너트로서 고정하고, 전기 축봉에 스틸재 중공관체를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삽시켜서 된 도로용 충격흡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용 충격흡수대{A shock absorber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의 연변이나 중앙선 등에 설치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종설된 축봉에 다수개의 스틸재 중공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반발에 의한 이차적 사고 발생을 줄이고 아울러 저렴한 제작비로 교체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도로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연변이나 중앙선에는 차량이 주어진 차선을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차선 분리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차선 분리대는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재산적 피해와 인적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폐타이어나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상기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선 분리대가 출원된 바가 있는데, 즉 탄성이 우수한 우레탄 재질의 원통형 완충 롤러를 다수개 축설한 구조로 차량 충돌시 차량이 완충 롤러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점진적으로 충격이 완화되어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폐타이나 스프링을 이용한 종래의 완충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시 반발에 의해 차량이 차도로 튕겨져 나오는 경우가 발생되어 이차적 사고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의 우레탄 재질의 완충 롤러는 상기의 문제점은 어느 정도 해소시킬 수는 있었으나 측면 충돌이 대부분인 중앙분리대나 도로 연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충격이 다소 경미하므로 고가의 우레탄 재질은 목적에 충분히 수반되지 않는 낭비적 요인이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즉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종설된 다수개의 축봉에 스틸재 중공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차량 충돌시 자체 변형에 의한 충격 흡수력을 높혀 차량의 반발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값싼 제작비로 교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용 충격흡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도로 100 : 충격 흡수대 1 : 고정판
2 : 지주관체 3,3': 구멍 4 : 상판
5 : 하판 6 : 나사부 7 : 축봉
8 : 너트 9 : 중공관체 10 : 베어링
11 : 덮개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도로(50)의 연변 또는 중앙선에 설치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판(1)이 융착된 양측 지주관체 (2)의 상방에 구멍(3)(3')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상판(4)과 하판(5)을 대설하여 이의 사이에 나사부(6)가 형성된 축봉(7)의 양단을 상하 일치되는 구멍(3) (3')으로 끼워 너트(8)로서 고정하고, 전기 축봉(7)에 스틸재 중공관체(9)를 베어링(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삽시켜서 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상판(4)의 상부에 복착된 덮개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시 축봉(5)에 유삽된 스틸재 중공관체 (9)의 자체 변형에 의한 충격 흡수력과 회전에 의한 안내 작용으로 충돌 반발에 의한 이차적 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데, 이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충격흡수대(100)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즉 각각의 스틸재 중공관체(9)가 상판(4)과 하판(5)의 사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축봉(7)에 베어링(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지지하는 양측 지주관체(1)(1')는 단순히 하판(5)의 저부에 취부 고정할 수도 있겠으나 충돌에 따른 지지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중공관체(9)와 중첩되는 구조로 설치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스틸재 중공관체(9)는 값싼 가격으로 구입 용이한 철재 구성품으로서 제작비와 교체비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도로 안전상 빈번히 교체되고 설치되는 충격흡수대(100)에 소요되는 예산을 크게 줄여 국익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충격흡수대(100)를 도로(50)의 중앙분리대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한 상태를 도 4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데.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대(100)를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희망하는 길이 만큼 연속 배열하여 도로면에 접하는 고정판(1)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단단히 고정시키므로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로(50)를 주행하는 차량이 예기치 않은 실수로 차선을 이탈하여 상기 설치된 충격흡수대(100)에 충돌시 발생되는 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지정된 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와 같이 설치된 충격흡수대 (100)에 충돌시에는 정면 충돌 보다는 일정 각도 범위의 측면 충돌이 대부분이고, 여기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의 경미한 충돌은 그 충격이 축봉(7)에서 회전되는스틸재 중공관체(9)에 일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주행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어 안전된 운행을 계속적으로 할 수가 있게 됨은 종래의 완충롤러의 경우와 효과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충돌에 따른 반발의 정도는 종래의 우레탄 재질의 완충롤러의 경우와 큰 차이를 가질 수 있는데, 즉 종래의 우레탄 재질의 완충롤러는 충격의 크기에 따라 반발의 크기도 함께 비례하게 되므로 차량이 튕겨져 나와 이차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충분한 소지가 있는 반면에 본 고안의 스틸재 중공관체(9)는 충돌과 동시에 변형되어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게 되므로 반발력이 최대한 상쇄가 되어 차량이 튕겨져 나오지 않고 회전하는 스틸재 중공관체를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주행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반발에 의한 이차적 사고 유발을 방지시킬 수 있다는 점이 주된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틸재 중공관체의 자체 변형에 의한 충격 흡수력으로 차량 충돌시 반발을 최소화 시켜 이차적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저렴한 가격의 구입 용이한 스틸재 중공관체로 제작비와 교체비를 줄여 도로 안전상 빈번히 교체되고 설치되는 충격흡수대에 소요되는 예산을 크게 줄일 수가 있게 되므로 국익에 일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로(50)의 연변 또는 중앙선에 설치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판(1)이 융착된 양측 지주관체(2)의 상방에 구멍(3)(3')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상판(4)과 하판(5)을 대설하여 이의 사이에 나사부(6)가 형성된 축봉(7)의 양단을 상하 일치되는 구멍(3)(3')으로 끼워 너트(8)로서 고정하고, 전기 축봉 (7)에 스틸재 중공관체(9)를 베어링(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삽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20020024290U 2002-08-14 2002-08-14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295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290U KR200295916Y1 (ko) 2002-08-14 2002-08-14 도로용 충격흡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290U KR200295916Y1 (ko) 2002-08-14 2002-08-14 도로용 충격흡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16Y1 true KR200295916Y1 (ko) 2002-11-22

Family

ID=7312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290U KR200295916Y1 (ko) 2002-08-14 2002-08-14 도로용 충격흡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74B1 (ko) 2006-08-11 2007-11-20 강철규 도로 난간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830950B1 (ko) 2007-01-31 2008-05-20 (주) 케이 이엔씨 충돌완화장치
KR20110078155A (ko) * 2009-12-30 2011-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 가이드 방호울타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74B1 (ko) 2006-08-11 2007-11-20 강철규 도로 난간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830950B1 (ko) 2007-01-31 2008-05-20 (주) 케이 이엔씨 충돌완화장치
KR20110078155A (ko) * 2009-12-30 2011-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 가이드 방호울타리 장치
KR101656469B1 (ko) * 2009-12-30 2016-09-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 가이드 방호울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US6863467B2 (en) Crash cushion with deflector skin
JPS606410B2 (ja) 防護装置
KR200295916Y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JP3577497B2 (ja) 道路用防護装置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101369119B1 (ko) 중공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200402810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KR20130068744A (ko)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742304B1 (ko) 도로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KR200353244Y1 (ko) 하중분산형 저충격도 가이드 레일
KR20040012654A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WO2006052115A1 (en) Device for relieving the impact of collision of vehicles on roads
KR200371160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차량방호울타리
CN214363146U (zh) 一种波形梁钢护栏防阻装置
KR200380232Y1 (ko) 도로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KR200177184Y1 (ko) 도로용 차량 충돌 방호장치
CN217267143U (zh) 碰撞变形小的波形护栏板
JP3658525B2 (ja) 端部緩衝装置
KR200343181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가이드 레일 구조
KR100575562B1 (ko) 중앙분리대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