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410A - 도로용 탄력휀스 - Google Patents

도로용 탄력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410A
KR20090030410A KR1020070095693A KR20070095693A KR20090030410A KR 20090030410 A KR20090030410 A KR 20090030410A KR 1020070095693 A KR1020070095693 A KR 1020070095693A KR 20070095693 A KR20070095693 A KR 20070095693A KR 20090030410 A KR20090030410 A KR 20090030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ence
road
bracke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 성 김
Original Assignee
복 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 성 김 filed Critical 복 성 김
Priority to KR102007009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0410A/ko
Publication of KR2009003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탄력휀스에 관한 것으로,
충격 부하시에 굴신 가능하도록 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탄력지주(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관형의 브라켓(2)과; 상기 브라켓(2)에 삽입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체결부재(3)로 축고정되는 연결관(4)과; 상기 브라켓(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관(4)의 유동시에 그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5); 로 구성되어,
탄력지주(1)와 연결관(4)들의 유기적인 작동 및 복귀력에 의해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탄력휀스(F) 자체와 차량 및 인명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 시공 및 유지보수의 용이함과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탄력지주, 브라켓, 체결부재, 연결관, 완충부재, 받침판, 압축스프링, 가압와이어, 탄력휀스

Description

도로용 탄력휀스 {Elasticity fence for driveways}
도 1은 본 발명 탄력휀스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탄력휀스의 다른 설치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탄력휀스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탄력휀스의 평단면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 탄력휀스의 정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B의 A-A선에 대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탄력휀스를 구성하는 탄력지주의 작용도로서,
A)는 평상시의 정상 설치 상태도.
B)는 충격 부하시의 변형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력지주 2 : 브라켓
3 : 체결부재 4 : 연결관
5 : 완충부재 13 : 받침판
15 : 지주 16 : 압축스프링
18 : 가압와이어 F : 탄력휀스
본 발명은 도로용 탄력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에 그 충격부하를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줌으로써 차체와 인명의 손상을 최소함과 동시에 시설물 보호효과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휀스는 도로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왕복차선의 경계를 위한 중앙분리대 또는 도로 끝단으로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로 사용되며, 지면에 적정 간격으로 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주 사이에는 금속판재 또는 와이어를 연결시켜 차량의 충돌시에 도로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차량과 인명을 보호하도록 설치됨은 주지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휀스는 차량의 충돌시에 그 충격이 차량과 휀스에 직접적으로 부하되어 차량손상과 탑승자의 부상우려가 높음은 물론, 휀스와 그 연결부재들의 파손에 의해 휀스의 원래 목적을 상실하고 유지보수에 많은 경비가 요구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 방안에 하나로 국내 특허등록 제322834호에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중앙 상부에 고정부를 구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부에 입설되며 그 내부에는 구획판을 구비한 지주와, 상기 구획판 상부에 내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 상부의 가압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연결 설치된 가압와이어와, 상기 지주들을 연결시키는 연결커버 및 연결와이어로 구성된 도로용 탄력휀스(자동차 도로의 중앙분리대 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한 도로용 탄력휀스에서는 차량의 충돌시에 그 충격을 지주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휀스 자체의 파손과 차량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설물의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차량의 도로이탈도 방지하여 차량과 인명손실을 방지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탄력휀스는 그 구성부품이 많아 제작과 조립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차량의 충돌시에는 지주들을 연결하는 와이어 또는 금속판재들이 늘어지거나 손상되어 유지보수에 과대한 경비지출이 요구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차량의 충돌시에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차체와 인명 및 휀스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도로용 탄력휀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력지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관형의 브라켓을 구비하여 연결관을 설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로 축고정시키고, 상기 브라켓의 내면에는 연결관의 유동시에 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고정설치함으로써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부하시에 탄력지주의 탄성과 함께 연결관들이 유동하여 충격을 흡수, 완화시켜 차량의 노면이탈에 의한 사고와 탄력휀스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 도로용 탄력휀스(F)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 도로용 탄력휀스(F)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B에서는 그 구성을 평단면도와 정단면도로 나타내었으며, 도 5는 도4B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탄력휀스(F)는, 충격 부하시에 굴신 가능하도록 지면에 탄력적으로고정 설치된 탄력지주(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관형의 브라켓(2)과;
상기 브라켓(2)에 삽입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체결부재(3)로 축고정되는 연결관(4)과;
상기 브라켓(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관(4)의 유동시에 그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5); 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은, 탄력지주(1) 외면에 적정높이로 용접 고정되는데, 필요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로, 예를 들면 2개 또는 3개 등으로 구성 설치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상기 브라켓(2) 내부의 작동공간(21) 외측단에는 연결관(4)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내측으로 드로우잉된 안내구멍(22)이 형성되고, 외면 상,하부에는 체결부재(3)가 관통하는 체결공(2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4)은 고정 설치된 탄력지주(1)들의 서로 대향하는 브라켓(2)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금속재 원통형관으로 구성되고, 그 끝단 외면 상,하부에는 상기 체결부재(3)가 관통하는 장공(41)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5)는 브라켓(2)의 작동공간(21)내면에 원주상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개소에 고정 설치되는데, 고정방법은 접착고정이 바람직 하나, 완충부재(5)의 외측에 걸림 돌기를 형성시키고 브라켓(2)에 외면에 상기 걸림 돌기가 압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시키는 등의 다양한 변형 조립방법이 강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5)는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한 천연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합성고무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작동공간(21) 내에 용접 고정되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A,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력지주(1)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 도로용 탄력휀스(F)의 작동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력지주(1)는, 앵커(11)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앙 상부에 고정부(12)를 구비한 받침판(13)과, 상기 받침판(13) 상부에 입설되고 그 내부에는 구획판(14)을 구비한 원통형 지주(15)와, 상기 구획판(14) 상부에 내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6)과, 상기 압축스프링(16) 상부의 가압판(17)과 상기 고정부(12) 사이에 압축스프링(16)을 가압하도록 연결 설치된 가압와이어(18)과, 상기 지주(15)의 상부에 복개 설치된 캡(19)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탄력지주(1)는 도 6A에서와 같이 직립된 상태로서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의 측면 등에 설치되며, 주행중인 차량 등이 상기 탄력지주(1) 또는 탄력지주(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4)에 충돌할 경우에는 탄력지주(1)와 연결관(4)의 완충에 의해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차량이 충돌할 경우, 그 충격부하에 의해 탄력지주(1)를 구성하는 지주(15)는 도 6B에서와 같이 밀리게 되는데, 이때 가압와이어(18)의 하단은 고정부(12)에 고정된 상태로서 가압판(17)이 압축스프링(16)을 더욱 가압하게 되므로, 압축스프링(16)의 복귀력에 의해 충격부하를 흡수, 완화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도로이탈로 인한 차량의 더욱 큰 파손과 인명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B의 상태에서 탄력지주(1) 사이의 거리는 정상상태 보다 더 멀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 브라켓(2)에 체결부재(3)를 연결고정된 연결관(4)들은 장공(41)의 유격만큼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으므로 근접한 탄력지주(1)들과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탄력지주(1)와 연관 작동하는 상태에서 연결관(4)은 탄력지주(1)의 브라켓(2) 중심축에 대해 직교방향 으로의 유동이 발생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교방향 유동시에 브라켓(2)의 작동공간(21)에 연결관(4) 외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완충부재(5)가 그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연결관(4)의 원위치 복귀를 유도하게 되며, 평상시에는 도로의 진동 등으로 인한 연결관(4)의 임의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 우려도 근본적으로 배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 도로용 탄력휀스(F)는 탄력지주(1)와 연결관(4)들의 유기적인 작동 및 복귀력에 의해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탄력휀스(F) 자체와 차량 및 인명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 시공 및 유지보수의 용이함과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격 부하시에 굴신 가능하도록 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 설치된 탄력지주(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관형의 브라켓(2)과;
    상기 브라켓(2)에 삽입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체결부재(3)로 축고정되는 연결관(4)과;
    상기 브라켓(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어 연결관(4)의 유동시에 그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재(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탄력휀스.
KR1020070095693A 2007-09-20 2007-09-20 도로용 탄력휀스 KR20090030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93A KR20090030410A (ko) 2007-09-20 2007-09-20 도로용 탄력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93A KR20090030410A (ko) 2007-09-20 2007-09-20 도로용 탄력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10A true KR20090030410A (ko) 2009-03-25

Family

ID=4069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93A KR20090030410A (ko) 2007-09-20 2007-09-20 도로용 탄력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0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55B1 (ko) * 2009-09-28 2012-05-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BE1027592B1 (nl) * 2019-09-23 2021-04-22 Boplan Bvba Aanrijdingsbeveiliginginrichting en kit geschikt hiervoor
WO2023192258A1 (en) * 2022-03-28 2023-10-05 Mccue Corporation Guard rail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55B1 (ko) * 2009-09-28 2012-05-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복공판용 가시설구조물
BE1027592B1 (nl) * 2019-09-23 2021-04-22 Boplan Bvba Aanrijdingsbeveiliginginrichting en kit geschikt hiervoor
WO2023192258A1 (en) * 2022-03-28 2023-10-05 Mccue Corporation Guard rai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2074717B1 (ko)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20020039159A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08775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완충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32021A (ko) 다중 완충 기능을 갖는 도로 방호 펜스
KR101085888B1 (ko) 가드레일의 충격감쇄 구조
KR100763461B1 (ko) 가드레일
KR20090030410A (ko) 도로용 탄력휀스
KR100832789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101369119B1 (ko) 중공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KR20100001488U (ko) 충격 흡수장치
WO2004090234A1 (en) Guardrail for roads
KR100387887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조
KR101369079B1 (ko) 판상형 가드레일과 아크형 완충빔을 갖는 가드레일 시설물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KR101172470B1 (ko) 차량 방호책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KR200327753Y1 (ko) 가드레일용 쿠션부재
KR20100007313U (ko) 가드레일 보강제 지주 완충 충격흡수 패킹
KR100353691B1 (ko) 자동차의 보행자 보호를 위한 크로즈 박스형 카울 패널구조
KR200262208Y1 (ko) 도로 가이드레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