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488U -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488U
KR20100001488U KR2020080010269U KR20080010269U KR20100001488U KR 20100001488 U KR20100001488 U KR 20100001488U KR 2020080010269 U KR2020080010269 U KR 2020080010269U KR 20080010269 U KR20080010269 U KR 20080010269U KR 20100001488 U KR20100001488 U KR 20100001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shock absorber
present
small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2008001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488U/ko
Publication of KR20100001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탄성재로 된 대형 원통형 부재와 이 대형 원통형 부재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탄성재로 된 소형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재 원통형 부재, 충격 흡수장치, 도로 방호대용

Description

충격 흡수장치 {A shock absorbing device}
본 고안은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대형 탄성재 원통형 부재와 이 대형 원통형 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소형 탄성재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가도로 진입부 등에 설치하여 차량 추돌시 충격을 흡수, 완충하여 차량의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방호대용 충격 흡수통은 차량의 추돌시 탑승자와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도로 방호대용 충격 흡수통은 원형통에 물이나 모래 등으로 충전하여 삼각형태로 배열하거나 일렬로 나열하여 차량 추돌시 원형통에 충전된 물이나 모래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도로 방호대용 충격 흡수통은 차량 추돌시 원형통에 충전되어 있던 물 또는 모래가 도로에 쏟아져 나와 다른 차량의 이동에 방해를 주고 빠져나간 충전물을 다시 채워야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겨울에 물을 충전하여 사용시 결빙상태가 되므로 차량 추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위험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서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할 수 있는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대형 탄성재 원통형 부재와 이 대형 원통형 부재에 수용되는 복수의 탄성재 원통형 부재를 삽입하여 원형통과 원형관을 고정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며, 위의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는 대형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충격 흡수장치는 대형 원통형 부재 내에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를 수용한 구조로서,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탄성과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한다.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는 기존의 방호대용 충격 흡수통에 비하여 물 또는 모래가 채워지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물이 증발되거나 결빙 되는 특성 때문에 수시로 관리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평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10)는 대형 플라스틱제 원통형 부재(1)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4개 의 플라스틱제 소형 원통형 부재(2,3,4)가 수용되고, 각각의 체결공(1a,2a,3a,4a)에 삽입된 볼트(B)에 너트(N)를 결합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정면 단면도로서, 플라스틱제의 대형 원통형 부재(1)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의 2개의 플라스틱제 소형 원통형 부재(2,4)을 동일한 중심축에 대하여 차례로 중첩되도록 설치하고, 체결공(1a,2a,4a)을 통해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한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플라스틱제의 대형 원통형 부재(1) 내부에 같은 직경의 2개의 플라스틱제 소형 원통형 부재(6)를 설치하고, 소형 원통형 부재 내에 다수의 소형 내관(7)이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10)로서, 플라스틱제 대형 원통형 부재(1) 내에 같은 직경을 갖는 2개의 플라스틱 소형 원통형 부재(6)가 내접되게 설치되고, 소형 원통형 부재(6) 내부에 충격흡수재(8)가 채워져 구성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10')로서, 플라스틱제 대형 원통형 부재(1')에 주름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제 소형 원통형 부재(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소형관(7')도 주름이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진다.
도 6a와 6b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10,10')가 연결덮개(C)에 의해 설치되어 도로 방호대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는 대형 원통형 부재와 소형 원통형 부재가 밀집되거나 서로 고정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러한 구조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서로 유동적인 관계로 있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서 충격 흡수와 완충의 효과가 높고,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여, 특히 도로 방호대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충격 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a, 6b는 본 고안의 충격 흡수장치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대형 원통형 부재 1a, 2a, 3a, 4a : 체결공
2, 2', 3, 4, 6 : 소형 원통형 부재 5 : 뚜껑
7, 7' : 소형관 8 : 충격흡수재
10, 10' : 충격 흡수장치 24 : 뚜껑
B : 볼트 C : 연결덮개
N : 너트

Claims (7)

  1. 탄성재로 된 대형 원통형 부재와;
    상기 대형 원통형 부재 내에 설치되고 탄성재로 된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격 흡수장치.
  2. 상기 대형 원통형 부재와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가 서로에 대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가 같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서로 다르고 상기 대형 원통형 부재 내에 동심원의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의 내부에 다수의 소형관이 설치된 것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의 내부가 충격흡수재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원통형 부재와 복수의 소형 원통형 부재가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장치.
KR2020080010269U 2008-07-31 2008-07-31 충격 흡수장치 KR201000014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69U KR20100001488U (ko) 2008-07-31 2008-07-31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69U KR20100001488U (ko) 2008-07-31 2008-07-31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88U true KR20100001488U (ko) 2010-02-10

Family

ID=4419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269U KR20100001488U (ko) 2008-07-31 2008-07-31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48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3150A1 (es) * 2009-09-15 2011-03-24 Universidad De Alicante Dispositivo de absorción de energía en colisiones de vehículos a motor
KR20170023291A (ko) * 2015-08-20 2017-03-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좌굴을 이용한 차량 충돌 에너지 감쇄 장치
WO2022097826A1 (ko) * 2020-11-04 2022-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3150A1 (es) * 2009-09-15 2011-03-24 Universidad De Alicante Dispositivo de absorción de energía en colisiones de vehículos a motor
KR20170023291A (ko) * 2015-08-20 2017-03-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좌굴을 이용한 차량 충돌 에너지 감쇄 장치
WO2022097826A1 (ko) * 2020-11-04 2022-05-1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85B1 (ko) 교각의 충격 흡수 시스템
JP5116056B2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KR100902630B1 (ko)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DE19700022A1 (de) Stoßfänge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KR20100001488U (ko) 충격 흡수장치
US2312052A (en) Shock absorber
RU2320502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S2266397T3 (es) Estructura de proteccion para vehiculos.
KR20140014891A (ko) 가드레일
KR10084421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0182186Y1 (ko)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KR101429983B1 (ko) 충격흡수구조
KR20090030410A (ko) 도로용 탄력휀스
KR20150031868A (ko)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200272031Y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충격흡수판.
KR100792266B1 (ko) 충격흡수장치
CN204623386U (zh) 一种耐用汽车防撞梁
CN201707210U (zh) 汽车碰撞试验用牵引车
KR20070049837A (ko) 차량 충격 흡수 장치
CN205417486U (zh) 一种汽车安全防撞保险杠
KR960002580Y1 (ko) 자동차용범퍼의 범퍼아암완충장치
CN106894371A (zh) 一种缓冲装置
KR0140206Y1 (ko) 차량용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