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29Y1 -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29Y1
KR200294929Y1 KR2020020022622U KR20020022622U KR200294929Y1 KR 200294929 Y1 KR200294929 Y1 KR 200294929Y1 KR 2020020022622 U KR2020020022622 U KR 2020020022622U KR 20020022622 U KR20020022622 U KR 20020022622U KR 200294929 Y1 KR200294929 Y1 KR 200294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affic safety
base plate
traffic
safety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민
Original Assignee
김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민 filed Critical 김재민
Priority to KR2020020022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29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고정물에 고정되는 지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며 교통 안전 표시물이 장착되는 중공의 원통형 철주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에 있어서,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중앙의 원통형 철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주의 일부를 수직으로 둘러싸는 제1 커버 절반부와, 상기 제1 커버 절반부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나머지 절반부를 둘러싸는 제2 커버 절반부와,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PROTECTION COVER FOR TRAFFIC SAFETY INSTALLATION}
본 고안은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표지판이나 교통 신호등 같은 교통 안전 시설물을 멀리서 부터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우천시 빗물에 의한 교통 안전 시설물의 누전 방지 및 우발적인 교통 사고에 의해 교통 안전 시설물이나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교통 안전 시설물은 도로상에서 차량의 안전 주행을 위해 설치되는 도로 표지판이나 교통 신호등 같은 종류의 것이 있다.
도로 표지판은 차량이 안전하게 목적지로 찾아갈수 있게 하는 이정표로서 중요하며, 교통 신호등은 교차로나 횡단 보도 등에서 차량과 차량간, 차량과 보행자간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교통 안전 시설물이다.
종래, 이러한 교통 안전 시설물은 차량 운전자가 멀리서부터 이를 인식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었고, 우발적으로 차량이 교통 안전 시설물과 충돌하게 되는 교통 사고의 발생시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는 물론 고가의 교통 안전 시설물에 큰 손상이 발생하는 점, 그리고 특히 교통 신호등의 경우, 우천시 도로상에 물이 침수될 때 교통 신호등의 전력원이 빗물에 의해 누전이 발생하는 점 등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형광 페인트를 칠하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교통 안전 시설물을 지지하는 철주 둘레에 형광 페인트 또는 테이프가 미리 코팅되어 있는 조립식 보호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안전 시설물에 대한 운전자에 의한 식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우천시에도 빗물에 의한 침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우발적인 교통 사고의 발생시 차량과 교통 시설물간에 충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로 표지판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로 표지판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조립 전 상태와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철주
30: 수평 바아
40: 교통 신호등
100: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110: 지지 커버부
120: 원통형 커버부
120a: 제1 커버 절반부
120b: 제2 커버 절반부
125: 형광 코팅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하 고정물에 고정되는 지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며 교통 안전 표시물이 장착되는 중공의 원통형 철주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에 있어서,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중앙의 원통형 철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철주의 일부를 수직으로 둘러싸는 제1 커버 절반부와,
상기 제1 커버 절반부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나머지 절반부를 둘러싸는 제2 커버 절반부와,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중 어느 한 절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와 나머지 절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억지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 각각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한 쌍 이상의 고정 홈과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는 멀리서도 인식이 용이한 형광 코팅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공간에 완충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의 경계 부분에 밀봉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로 표지판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로 표지판이나 교통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는 교통 안전 시설물은 지하 고정물에 고정되는 지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며 교통 안전 표시물이 장착되는 중공의 원통형 철주(20)를 포함한다. 도로 표지판은 원통형 철주(20)에 부착된 2개의 수평 바아(30)에 설치되며, 교통 신호등은 하나의 수평 바아(30)에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수평 바아(30)에서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수평 바아 끝단 및 중간 부분과 철주 끝 부분을 강선 와이어(50)로 연결할 수 있다.
원통형 철주(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를 보조하기 위해 철주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면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경사 지지부(10a)가 형성된다.
교통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한 교통 안전 시설물은 교통 신호등의 점등을 위한 전기 배선이 중공의 철주(20)를 통해 배선되며, 이러한 배선을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한 배선 박스 윈도우(30)가 철주(20)의 하부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선 박스 위도우(30)는 철주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우천시 침수 또는 빗물과의 접촉에 의해 누전 발생의 위험이 상존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의 교통 안전 시설물은 운전자가 멀리서 식별하기 곤란한 점이 있으며, 우발적으로 차량의 충돌이 발생시 교통 안전 시설물 자체는 물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서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위협이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통 안전 시설물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주 일부를 덮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보호 커버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로 표지판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교통 신호등을 지지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의 조립 전 상태와 조립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철주(20)에 설치된 수평 바아(30)에 의해 도로 표지판 또는 교통 신호등(40)이 설치되며, 특히 교통 신호등의 설치시 하나의 수평 바아(30)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철주 끝단과 수평 바아의 중앙 및 끝단에 강선 와이어(50)가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에 연결되는 원통형 철주의 부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 커버부(110)와 원통형 철주의 형상을 따른 원통형 커버부(120)를 갖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100)가 설치된다.
원통형 커버부(120) 둘레에는 차량 운전자에 의한 원거리 식별이 가능하도록 통상 황색 또는 백색 계열의 형광 코팅부(125)가 커버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코팅되어 있으며, 지지 커버부(110)의 둘레에도 교통 지시 표시와 같은 형광 코팅부(115)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형광 코팅부는 형광 도료 페인트이거나 형광테이프일 수 있다.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100)는 그 제조을 용이하기 위해 베이 플레이트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철주의 부분까지 이들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수직 커버 절반부(120a,120b)로 이루어지며, 이들 수직 형상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부(121;121a,121b, 111;111a,111b)를 두어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제1 또는 제2 커버 절반부(120a 또는 120b)는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을 넓게 둘러싸는 지지 커버부(110a 또는 110b)를 포함하며, 이들 요소는 서로 일체로 성형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중 어느 한 절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21a,111a)와 나머지 절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억지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121b,11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 돌기 및 고정 홈의 구성이 아닌 서로 대응하는 고정 홈의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서로 대응하는 홈 사이에 소정의 클램프를 삽입하여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안전 시설물에 돌발적으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시설물은 물론 차량 및 차량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공간(도면 부호 110의 내부 공간)에 완충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완충재는 폐타이어, 스치로폼, 모래 등 완충 능력 있으면 종류를 가리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빗물 등에 의한 침수의 가능성을 더더욱 배제하도록 밀봉하기 위해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의 경계 부분에 밀봉체(도시 생략)를 코팅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교통 안전 시설물을 지지하는 철주 둘레에 형광 페인트 또는 테이프가 미리 코팅되어 있는 조립식 보호 커버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안전 시설물에 대한 운전자에 의한 식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우천시에도 빗물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한편, 우발적인 교통 사고의 발생시 차량과 교통 시설물간에 충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지하 고정물에 고정되는 지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며 교통 안전 표시물이 장착되는 중공의 원통형 철주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에 있어서,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 중앙의 원통형 철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주의 일부를 수직으로 둘러싸는 제1 커버 절반부와, 이기 제1 커버 절반부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나머지 절반부를 둘러싸는 제2 커버 절반부와,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중 어느 한 절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와 나머지 절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억지 끼움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 각각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한 쌍 이상의 고정 홈과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는 멀리서도 인식이 용이한 형광 코팅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코팅부는 형광 도료 페인트이거나 형광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광폭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공간에 완충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커버 절반부의 경계 부분에 밀봉체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KR2020020022622U 2002-07-29 2002-07-29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KR200294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22U KR200294929Y1 (ko) 2002-07-29 2002-07-29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22U KR200294929Y1 (ko) 2002-07-29 2002-07-29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29Y1 true KR200294929Y1 (ko) 2002-11-13

Family

ID=7312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622U KR200294929Y1 (ko) 2002-07-29 2002-07-29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82B1 (ko) 2007-10-02 2008-02-29 주식회사 흥화 가로등 지주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82B1 (ko) 2007-10-02 2008-02-29 주식회사 흥화 가로등 지주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0727A (en) Poleshaped supporting member, and base structure for attachment of same
US5547310A (en) Barrier construction for removably closing road passages
CA2207926C (en) Traffic sign
KR200294929Y1 (ko) 교통 안전 시설물 보호 커버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36997Y1 (ko) 도로시설물의 기둥 보호커버
KR0134959Y1 (ko) 형광 플라스틱 와이어로프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200303370Y1 (ko) 전신주의 충격 완충 장치
KR200265874Y1 (ko) 도로횡단보도용 발광표시장치
KR200364636Y1 (ko) 이단 가로등 주철지주용 보호커버
KR20120056474A (ko) 완충형 가이드레일
KR200223784Y1 (ko) 분리형 도로시설물용 철주
KR19980065753U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KR102077973B1 (ko) 중앙분리대 방현망용 델리네이터
KR200300997Y1 (ko) 가로등 지주용 하부커버
CN217579899U (zh) 一种交通隔离装置和智能预警系统
KR100530371B1 (ko) 건축용 교통 안전 조명봉
KR100280363B1 (ko) 어린이 운송용 차량의 표시등 코드
KR200336657Y1 (ko) 지하도로 기둥 보호용 충격흡수 부재 구조
KR200294928Y1 (ko) 보호구조물을 착탈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
KR200167824Y1 (ko) 맨홀뚜껑의 완충구조
KR20023480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KR200201560Y1 (ko)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20190003184U (ko) 중앙분리대용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