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32Y1 - 다기능요람 - Google Patents

다기능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32Y1
KR200293632Y1 KR2020020021442U KR20020021442U KR200293632Y1 KR 200293632 Y1 KR200293632 Y1 KR 200293632Y1 KR 2020020021442 U KR2020020021442 U KR 2020020021442U KR 20020021442 U KR20020021442 U KR 20020021442U KR 200293632 Y1 KR200293632 Y1 KR 200293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s
cradle
rotat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구
Original Assignee
장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구 filed Critical 장승구
Priority to KR2020020021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32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일측이 라운드 된 제1,2프레임(10)(11);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ㄱ" 자형으로 고정되는 제1,2패널(20(30)과; 제1패널(20)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T 형 보호대(40); 제2패널(30)의 하단측에 대응하는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지지축(5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동되지 않았을 때 제2패널(30)의 상면에 겹쳐지며 회동되었을 때 제2패널(30)과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3패널(50); 제3패널(50)이 회동될 때 그 제3패널(50)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그 제3패널의 단부가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제1걸치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요람{Multirole cradle}
본 고안은 요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 침대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요람에 관한 것이다.
보통 유아는 천천히 흔들어주어야 잘 자는 습성이 있어 유아를 뉘인 채로 흔들어 재울 수 있는 요람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유아가 오랫동안 편안히 잘 수 있도록 침대에 뉘이고 있다. 또, 조그마한 체구의 유아가 부모들과 함께 식사하기 위하여, 일반 의자보다 높은 유아용 의자가 필요하다. 이때, 유아용 의장에는 분주한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것들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부모는 이들을 구매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였다. 또한, 요람이나 침대, 의자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집안을 넓게 사용하는데 장애가 되었고, 정리정돈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를 흔들어 재울 수 있는 요람은 물론, 유아를 편안히 뉘일 수 있는 침대로도, 식탁에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의자로도 호환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요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가하여 요람 의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요람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요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요람으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침대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요람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식탁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1 ... 제1,2프레임 10a, 11a ... 홈
10b, 11b ... 홈 20,30 ... 제1,2패널
20a, 30a ... 볼트 40 ... T 형 보호대
40a ... 제1보호대 40b ... 제2보호대
50 ... 제3패널 51 ... 난간
60 ... 받침대 60a ... 지지축
60b ... 제1단 60c ... 제2단
70 ... 제1걸치대 70a ... 볼트
80 ... 제2걸치대 80a ... 볼트
90 ... 제3걸치대 90a ... 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요람은,
바닥에 안착되는 일측이 라운드 된 제1,2프레임(10)(11);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ㄱ" 자형으로 고정되는 제1,2패널(20(30)과; 상기 제1패널(20)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T 형 보호대(40); 상기 제2패널(30)의 하단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지지축(5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2패널(30)의 상면에 겹쳐지며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2패널(30)과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3패널(50); 상기 제3패널(50)이 회동될 때 그 제3패널(50)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그 제3패널의 단부가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제1걸치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10)(11) 하단에 지지축(6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60)와, 상기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질 때 걸치어지는 제2걸치대(80)와, 상기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에서 일부 돌출될 때 걸치어지는 제3걸치대(9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3패널(50)의 상단에는 난간(51)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2패널(10)(11)에는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요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요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요람으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침대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요람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식탁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요람은, 바닥에 안착되는 일측이 라운드 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다른 측이 편편한 제1,2프레임(10)(11)과, 의자로 사용되는 제1,2패널(20)(30)과,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T 형 보호대(40)와, 침대로 사용될 때 아기가 뉘어지거나 의자로 사용될 때 등받이로 사용되는 제3패널(50), 제1,2프레임(10)(11)이 요람 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받침대(60)와, 제3패널(50)이 소정 각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한 제1걸치대(70)와,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질 때 걸치어지는 제2걸치대(80)와,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제1,2프레임(10)(11) 사이에서 일부 돌출될 때 걸치어지는 제3걸치대(90)를 포함한다.
제1,2프레임(10)(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바닥에 뉘었을 때 바닥과 안착되는 부분이 라운드되어 있다. 또, 제1,2프레임(10)(11)을 길이 방향으로 세워놓을 때 바닥과 안착되는 부분은 편편한다. 이때, 제1,2프레임(10)(11)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거나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2패널(20)(30)은 "ㄱ" 자형으로 일단이 맞물리게 제1,2프레임(10)(11)의 소정부에 설치된다. 제1,2패널(20)(3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제1,2프레임(10)(11)을 관통하는 볼트(20a)(30a)에 의하여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2패널(20)(30)은 본원의 다기능 요람이 의자로 사용될 때, 유아가 않을 수 있는 좌판이 된다.
T 형 보호대(40)는 제1패널(20)에서 상방으로 분기된 상태로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패널(20)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제1보호대(40a)와 제1보호대(40a)에서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보호대(40b)로 구성된다. 본원의 다기능 요람을 세워서 유아용 의자로 사용할 때, T 형 보호대(40)는 앉아있는 유아가 움직이는 동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제3패널(50)은 제1,2프레임(10)(11)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3패널(50)의 양측에서 돌출된 지지축(50a)이 제2패널(30)의 하단측에 대응하는 제1,2프레임의 홈(10a)(11a)에 끼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3패널(50)이 회동되지 않았을 때 제2패널(30)의 상면에 겹쳐지고, 회동되었을 때 제2패널(30)과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원의 다기능요람을 뉘어서 사용할 때, 제3패널(50)을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불이 펼쳐지는 침대 좌판이 되고, 제3패널(50)을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가 된다. 여기서, 제3패널(50)의 상단에는 난간(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60)는 제1,2프레임(10)(11)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가장자리에는 중심에서 편향된 지점에 지지축(60a)이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60a)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단(60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단(60c)이 형성된다. 지지축(60a)은 제1,2프레임(10)(11)의 하단측에 형성된 홈(10b)(11b)에 끼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받침대(60)가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지면 제1단(60b)이 후술할 제2걸치대(80)에 걸치어지고,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제1단(60b)이 제1,2프레임(10)(11)에서 돌출되면 그 제1단(60b)은 후술할 제3걸치대(90)에 걸치어진다.
제1걸치대(70)는 제1,2프레임(10)(11)의 하측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에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제1,2프레임(10)(11)을 관통하는 볼트(70a)에 의하여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된다. 제1걸치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패널(50)이 소정 각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저지한다. 또한, 본원의 다기능 요람이 침대로 사용될 때 난간의 역할도 한다.
제2걸치대(80)는 제1,2프레임(10)(11)의 하단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제1,2프레임(10)(11)을 관통하는 볼트(80a)에 의하여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된다. 제2걸치대(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60)가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 본원이 요람이나 침대로 사용될 때 하부 난간의 역할을 한다.
제3걸치대(90)는 제1,2프레임(10)(11)의 하단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제1,2프레임(10)(11)을 관통하는 볼트(90a)에 의하여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된다. 제3걸치대(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제1,2프레임(10)(11)에서 제1단(60b)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다기능 요람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1) 요람으로 사용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패널(10)(11)을 길이 방향으로 바닥에 뉘이고, 제3패널(50)이 제2패널(30)에 겹쳐지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60)가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지도록 한다(제1단(60b)이 제2걸치대(80)에 걸치어진다). 이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되는 제1,2패널(10)(11)의 부분이 라운드되어 있어 화살표 방향으로 요람 운동이 가능하다.
(2) 침대로 사용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패널(10)(11)을 길이 방향으로 바닥에 뉘이고, 제3패널(50)이 제2패널(30)에 겹쳐지도록 한다. 이때, 받침대(60)를 회동시켜 제1단(60b)이 제3걸치대(90)에 걸치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받침대(60)의 제1단(60b)이 바닥에 안착되면서 제1,2패널(10)(11)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3) 의자(요람의자)로 사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패널(10)(11)을 길이 방향으로 바닥에 뉘이고, 제3패널(50)을 회동시켜 제2패널(10)과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3패널(50)의 단부는 제1걸치대(70)에 걸치어지게 하여 더 이상 회동되지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 라운드되어 있어 화살표 방향으로 요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60)를 회동시켜 제1,2프레임(10)(11)으로부터 제1단(60b)이 돌출되게 하면, 요람 운동을 할 수 없다.
(4) 의자(식탁의자)로 사용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패널(10)(11)을 길이 방향으로 세우고, 제3패널(50)이 제2패널(30)에 걸치어지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60)를 회동시켜 제1단(60b)이 제3걸치대(90)에 걸치어지도록 하면, 본원의 다기능 요람은 견고하게 세워진다. 이 상태에서, 유아의 다리를 T 형 보호대(40a)(40b) 사이로 나오게 앉힌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3패널 및 받침대를 회동시킴에 따라 유아를 흔들어 재울 수 있는 요람으로도, 유아를 편안히 뉘일 수 있는 침대로도, 식탁에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의자로도, 그리고, 요람 의자로도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품들을 각각 구매하기 위한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보관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에 안착되는 일측이 라운드 된 제1,2프레임(10)(11);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ㄱ" 자형으로 고정되는 제1,2패널(20)(30)과;
    상기 제1패널(20)에서 상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T 형 보호대(40);
    상기 제2패널(30)의 하단측에 대응하는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지지축(5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2패널(30)의 상면에 겹쳐지며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2패널(30)과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3패널(50);
    상기 제3패널(50)이 회동될 때 그 제3패널(50)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그 제3패널의 단부가 걸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고정되는 제1걸치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요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10)(11) 하단에 지지축(60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60)와, 상기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 사이에 겹쳐질 때 걸치어지는 제2걸치대(80)와, 상기 받침대(60)가 회동되어 상기 제1,2프레임(10)(11)에서 일부 돌출될 때 걸치어지는 제3걸치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요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널(50)의 상단에는 난간(5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요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패널(10)(11)에는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요람.
KR2020020021442U 2002-07-18 2002-07-18 다기능요람 KR200293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42U KR200293632Y1 (ko) 2002-07-18 2002-07-18 다기능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42U KR200293632Y1 (ko) 2002-07-18 2002-07-18 다기능요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32Y1 true KR200293632Y1 (ko) 2002-11-01

Family

ID=7307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42U KR200293632Y1 (ko) 2002-07-18 2002-07-18 다기능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599Y2 (ko)
US7699711B2 (en) Swing assembly
US6702378B2 (en) Lift chair skirt
KR200293632Y1 (ko) 다기능요람
US5851053A (en) Hanging chair
EP0347361A2 (en) Seat for children&#39;s pushchairs
CA2307531A1 (en) Seat for a wheeled carriage or chair
JP2958197B2 (ja) 椅 子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JP2596795Y2 (ja) 回転椅子
KR200303158Y1 (ko) 침대 겸용 소파의 프레임
CN220157954U (zh) 一种多功能儿童椅
JP3514807B2 (ja) 椅 子
KR100731804B1 (ko) 흔들의자
JP2505131B2 (ja) ロビ―チェア
JP2004121491A (ja) ベビー用バスチェアー
JP3049085U (ja) 折り畳みベッド
JP3128036U (ja) 三脚椅子
JPH0347557Y2 (ko)
KR200247593Y1 (ko)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JPH044594Y2 (ko)
JP2003019058A (ja) サイドテーブル付き椅子
JPH11151137A (ja) 折り畳みベッド
JP2024006346A (ja) 什器
JP4436081B2 (ja) 介護入浴用可搬型浴槽の脚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