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593Y1 -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 Google Patents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593Y1
KR200247593Y1 KR2020010018025U KR20010018025U KR200247593Y1 KR 200247593 Y1 KR200247593 Y1 KR 200247593Y1 KR 2020010018025 U KR2020010018025 U KR 2020010018025U KR 20010018025 U KR20010018025 U KR 20010018025U KR 200247593 Y1 KR200247593 Y1 KR 200247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frame
cushion
fram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선
Original Assignee
정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선 filed Critical 정지선
Priority to KR2020010018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593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좌석받이 쿠션과 등받이 쿠션 기능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좌석받이 쿠션을 적당한 각도로 이동시켜 순수한 등받이 기능을 보조하고 또한 완전히 접히도록 하여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 전면에 안착되어지는 등받이 쿠션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벽체에 피스로 고정되는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좌석받이 쿠션을 지지하는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각각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상하 유동시키는 접철용 힌지와;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하단을 기점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형식으로 설치되어 소파기능시 좌석받이 쿠션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고, 등받이나 붙받이식 기능시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회동수단을 갖는 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Sofa Using Piling up and Using Back Rest}
본 고안은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좌석받이 쿠션과 등받이 쿠션 기능을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좌석받이 쿠션을 적당한 각도로 이동시켜 순수한 등받이 기능을 보조하고 또한 완전히 접히도록 하여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용 소파는 철 구조물, 혹은 목재로 제작된 골조에 천이나 인조 가죽, 천연가죽으로 덮어 씌워 제작하거나 골조된 중앙의 골조 프레임부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부, 팔을 얹혀 놓을 수 있도록 팔걸이부가 일체형이 된 프레임에 쿠션을 결합시켜 심미감을 갖도록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골조 프레임 힙부에는 사람들이 앉을 때 힙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면서 편안함을 제공하는 힙 쿠션이 안착되어 있다.
물론 등받이부와 팔걸이부에도 골조 프레임에도 같은 기능과 효과를 내는 쿠션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요즘에는 단순한 소파기능 외에 다양화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바, 그 일례로서 가장 흔한 방법이 소파에 침대기능을 합친 것이다.
이하에서 소파의 기능을 다양하게 확대하는 방법중에서 소파에 침대기능을 합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여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소파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겸용 소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침대 겸용 소파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침대 겸용 소파는, 받침대(1), 좌석받이(2), 팔걸이(3), 등받이(4)와, 이들 구성요소를 각각 지지 또는 체결시키는 프레임(12)(13)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은 받침대(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13)은 프레임(12)의 양 단부에 접철장치(10)에 의해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2)에는 체결용 파이프(14)가 용접되어 있다. 프레임(13)에는 쿠션이 있는 팔걸이(3)가 입혀지고, 프레임(12)에는 쿠션이 있는 좌석받이(2)가 입혀지며, 체결용 파이프(14)에는 등받이(4)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용 파이프(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팔걸이(3)가 프레임(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고, 이에 따라 소파와 침대로 겸용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파나 소파로부터 발전되고 있는 침대 겸용 소파는 모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본적으로 등받이 부분이 500 - 700mm에 가까운 두께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면적이 적은 아파트 등지에서 사용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또한, 청소시에도 소파의 밑바닥을 닦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매번 소파를 옮기면서 청소하기에도 불편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였으며, 결국 장시간 일정 장소에 소파를 놓게 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청소가 매우 곤란해졌던 것이다.
또한, 소파의 다기능 발전방향이 거의 모두 침대 겸용으로 가고 있어 침대 겸용기능 보다는 다른 기능을 갖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아울러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침대 겸용 소파는, 프레임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지 않았고, 부가하여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커다란 받침대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운반이 더더욱 용이하지 않게 되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조립식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파를 조립함으로서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등받이 기능과 붙박이 접이 기능을 더 첨부하며, 또한 청소가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사각틀로 이루어지고 사각틀 전면에 안착되어지는 등받이 쿠션 (25)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벽체에 피스(21)로 고정되는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20)과;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 일단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이고,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좌석받이 쿠션(35)을 지지하는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을 각각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상하 유동시키는 접철용 힌지(40)와;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의 하단을 기점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형식으로 설치되어 소파기능시 좌석받이 쿠션지지용 프레임(30)을 지지하고, 등받이나 붙받이식 기능시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회동수단을 갖는 받침용 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쿠션지지용 프레임(20)은 2개 이상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은 받침용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2, 23)을 형성하고, 받침용 프레임의 타측을 임시 고정하는 볼 스프링(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받침용 프레임(50)의 전면 지지부에는 볼트식 레벨러(51)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30)및 받침용 프레임(50)은 철재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 일측이 결합되는 받침용 프레임(50)은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은 등받이용 소파(25)를 부착하기 위해 전면에 합판(26)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겸용 소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침대 겸용 소파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철재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받침용 프레임의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쿠션을 장착하는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의 등받이 기능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붙박이 기능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25: 등받이 쿠션
30: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35: 좌석받이 쿠션
40: 접철용 힌지 50: 받침용 프레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철재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받침용 프레임의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쿠션을 장착하는 실시예도로서,
먼저, 본 고안의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은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하되 비교적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조립식으로 하여 분해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은 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소파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구성수단의 일부분인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벽체에 고정시킨다.
이때, 벽체 고정 피스(21)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 프레임(20a)에 2개 내지 3개 하부 프레임(20c)에 2개 내지 3개 정도 이용하고, 나머지 양 사이드 프레임에는 각각 2개 정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조립되는 부위 및 갯수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양 사이드 프레임을 분리가능하게 하였으나, 이 역시 필요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20a)이나 하부프레임(20c) 그리고 상부 프레임(20a) 및 하부 프레임(20c)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 프레임(20b)을 분리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는 곧바로 등받이용 소파(25)를 설치하면 되고, 필요에 따라 전면에 합판(26)을 설치한 다음 등받이용 소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과 같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벽체에 고정하는 공법을 이용하게 되면 벽면이 등을 지지하게 되므로 등받이 쿠션이 두꺼워질 필요가 없어 쿠션의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질 수 있다.
여기서 27은 통상적인 팔걸이이다.
즉, 종래의 등받이 쿠션은 앉은 상태에서 등을 지지해야 하므로 비교적 두껍게 제작되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또한 제작단가가 매우 상승하게 되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벽면에 프레임을 고정하게 되면 쿠션의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져도 등의 지지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게 되어 쿠션재료가 많이 들어가지 않게 되어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동시에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는 이중의 효과를 가져다 준다.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만을 벽체에 고정후 등받이 쿠션을 안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약간의 경사면을 주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사이드에 경사용 프레임을 덧붙일 수도 있다.즉,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상단에 경사용 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경사용 프레임을 일정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경사용 프레임의 하부와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하단을 별도의 프레임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만약에 상기와 같이 경사용 프레임을 덧댄다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태의 모양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허리를 경사용 프레임 부위에 위치시켜 비스듬히 누울 수 있을 것이다.물론, 이러한 형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작업자가 쉽게 변형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상기와 같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벽체 고정용 피스(21)로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의 하부 위치에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을 설치하게 되는바, 상기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30)은 접철용 힌지(40)를 통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과 결합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꺽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7과 같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힌지(40)를 상승시켜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 밀착되면서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도 8과 같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접철용 힌지(40)를 하강시켜 접철용 힌지(40)와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이 둔각이 되도록 하여 등받이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30) 하부에는 사용자가 앉는 동작을 취했을 때 지면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직사각 형태의 받침용 프레임(50)을 설치한다.
상기 받침용 프레임(50)은 일측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의 중간 프레임(20b)과 하부 프레임(20c)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로서 각각 수나사형 지지구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프레임에는 암나사형 지지홈이 형성된다.
이때 받침용 프레임(50)은 지지바(50c)를 연장하여 수나사형 지지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바(50c)를 전면에 위치시킨후 상하부 프레임(50a, 50b)에 수나사형 지지구(51, 5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바를 연장하여 수나사형 지지구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지지구조(51, 52)를 설치하게 되면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50)에 형성되는 지지수단(22, 23)에 맞물려 받침용 프레임(50)은 상기 지지구조(51, 5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받침용 프레임(50)이 받침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접혀져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용 프레임(50)의 전면부 프레임에는 볼트식 레벨라(51)를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면부 프레임(50d)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 위치할 때에는 임시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대응부위에는 볼 스프링(24a)을 설치한다.
그리고, 받침용 프레임(50)의 설치갯수는 2개 이상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가능하고, 역시 필요한 강도에 맞추어 갯수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30) 및 받침용 프레임(50)은 철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적은 갯수의 프레임 만으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를 자주 옮기더라도 필요한 강도를 계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에 경사용 프레임을 덧대어 설치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이 경사용 프레임을 덧대어 제작하게 되면 경사용 프레임 일측 끝단에 접철용 힌지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고, 그 효과는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동일하다.이는 본 고안의 소파를 좀더 편하게 이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약간의 경사각을 주어 허리를 경사진 면에 붙이고 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물론, 이러한 경사면은 별도의 경사용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하부를 전면으로 일정하게 휜 상태에서 다른 구조물을 부착하여 결국 경사용 프레임을 사용했을 때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누리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왜냐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은 철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등받이 쿠션 프레임 하부를 적당히 휘면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와 강도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경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받침용 프레임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소파에 앉거나 비스듬히 누었을 때를 감안하여 무게를 적절히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기술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으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소비자의 원하는 바에 따라 소파에 다양한 각도를 주도록 설계할 수 있다.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소파를 제작하게 되면, 좌석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받침용 프레임(50)을 좌석받이 프레임(30) 하부에 위치시키고, 등받이용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받침용 프레임(50)을 뒤로 밀착시켜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 임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철용 힌지(50)와 받침용 프레임(50)을 둔각(90도 보다 큰 각)이 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청소등을 하기 위해서는 접철용 힌지(50)를 상승시켜 받침용 프레임 (50)을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20)에 완전히 밀착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적은 공간에 소파를 설치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소파의 다양한 기능을 확대할 수 있고 아울러 소파를 옮기지 않고도 청소가 간편해져 위생에도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7)

  1. 사각틀로 이루어지고 사각틀 전면에 안착되어지는 등받이 쿠션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벽체에 피스로 고정되는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일단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이고,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좌석받이 쿠션을 지지하는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각각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을 상하 유동시키는 접철용 힌지와;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의 하단을 기점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형식으로 설치되어 소파기능시 좌석받이 쿠션지지용 프레임을 지지하고, 등받이나 붙받이식 기능시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회동수단을 갖는 받침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지지용 프레임은 2개 이상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받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은 받침용 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형성하고, 받침용 프레임의 타측을 임시고정하는 볼 스프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용 프레임의 전면 지지부에는 볼트식 레벨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과, 좌석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 및 받침용 프레임은 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는 받침용 프레임은 1개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 지지용 프레임은 등받이용 소파를 부착하기 위해 전면에 합판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KR2020010018025U 2001-06-16 2001-06-16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KR200247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25U KR200247593Y1 (ko) 2001-06-16 2001-06-16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25U KR200247593Y1 (ko) 2001-06-16 2001-06-16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593Y1 true KR200247593Y1 (ko) 2001-10-31

Family

ID=7306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025U KR200247593Y1 (ko) 2001-06-16 2001-06-16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2B1 (ko) 2013-04-22 2014-11-12 김은숙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2B1 (ko) 2013-04-22 2014-11-12 김은숙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3114B2 (en) A bedstead
AU2005244822B2 (en) Mesh chair component
US5123705A (en) Sofa with invertible ottoman extension
US20070126271A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20010050506A1 (en)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301597A (en) Furniture construction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TW310268B (ko)
US20130318706A1 (en) Tri-fold sofa
JPS596643B2 (ja) 着座装置
RU2540392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AU656010B2 (en) Static chair
US5740564A (en) Sofa having reclining section and foldable bed
US5518296A (en) Bleacher recliner chair
US4326309A (en) Bedding device
EP1258216A3 (en) Adjustment device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US4343509A (en) Piece of seating furniture
KR200247593Y1 (ko) 등받이 및 붙박이식 접이 기능을 갖는 소파
US4443901A (en) Convertible seating furniture
KR200408300Y1 (ko) 테이블 조립형 의자
US5918944A (en) Eight-way hand-tied reclining seat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EP1281337A2 (en) Sofa-bed
KR200284313Y1 (ko)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의자 프레임
US20230200555A1 (en) Encapsulated spring fo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