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025Y1 -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 Google Patents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025Y1
KR200293025Y1 KR2020020022857U KR20020022857U KR200293025Y1 KR 200293025 Y1 KR200293025 Y1 KR 200293025Y1 KR 2020020022857 U KR2020020022857 U KR 2020020022857U KR 20020022857 U KR20020022857 U KR 20020022857U KR 200293025 Y1 KR200293025 Y1 KR 200293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body
thermal power
roas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봉
Original Assignee
김옥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봉 filed Critical 김옥봉
Priority to KR2020020022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025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에 관한 것으로, 하부몸체(1)와 구이판(2)으로 그리고 화력안내판(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는 상측으로 돌출 되는 벽체(4)를 가지고 바닥판(5)의 중앙에는 단턱부(6)를 가지는 관통공(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7)의 하부 외측으로는 돌출 되는 관체(8)가 구성되며, 상기 구이판(2)의 바닥면(6)에는 상기 하부몸체(1)의 벽체(4)의 내측이나 외측에 걸릴 수 있는 돌기(9)를 구성하여 구이판(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력안내판(3)에는 일정한 길이로 나란한 절취선(10)을 여러 개 형성하여 그 사이를 상측으로 밴딩하여 화력안내공(1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2중구조를 가지는 불고기 판을 제공하여 간접 열에 의해 구이판을 가열하여 구워 먹도록 함으로서 구이판에 의해 구워지는 고기가 타지 않게 되며 관체에 의해 열을 구이기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게 되어 신속하게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Roast plate with double structure}
본 고안은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는 2중 불고기판의 효율을 극대화 시켜 보다 신속하게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구이용 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불고기판은 화력을 직접 받는 하부몸체와 그상부에 올려져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부몸체는 하면이 전체적으로 막혀져 구이판에는 화력이 직접 닿지 않고 구이판과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층의 공기를 덮혀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이판의 온도를 낮추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이판은 하부몸체를 조리기의 화력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그 가열된 온도로 공기층을 가열시켜 공기가 구이판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구이판을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결함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성의 구이판은 하부몸체가 막혀 있기 때문에 가열기의 화력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열손실이 많게 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상기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부몸체의 중앙부분에 화력이 이송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되 관통공으로 화력이 집중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공의 외측으로 하부로 돌출되는 관체를 형성하여 상기 관체가 굴뚝과 같은 역활을 수행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관통공의 상측으로는 화력 차단판을 이용하여 화력이 집적 구이판에 닿지 않고 공기층만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서 신속하게 공기층을 가열하여 구이판에 올려진 고기가 타지 않고 신속하게 구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부몸체 2. 구이판
3. 화력안내판 4. 벽체
5. 바닥판 6. 단턱부
7. 관통공 8. 관체
9. 돌기 10. 절취선
11. 화력안내공 12. 공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몸체(1)와 구이판(2)으로 그리고 화력안내판(3)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 하부몸체(1)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벽체(4)를 가지고 바닥판(5)의 중앙에는 단턱부(6)를 가지는 관통공(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7)의 하부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관체(8)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2)은 통상의 구이판(2)으로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6)에는 상기 하부몸체(1)의 벽체(4)의 내측이나 외측에 걸릴 수 있는 돌기(9)를 구성 하여 구이판(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력안내판(3)은 판상으로 구성하거나 중앙부가 약간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화력안내판(3)에는 일정한 길이로 나란한 절취선(10)을 여러개 형성하여 그 사이를 상측으로 밴딩하여 화력안내공(11)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화력안내판(3)은 상기 하부몸체(1)의 단턱부(6)에 안치되며, 구이판(2)은 하부몸체(1)의 상부에 올려져 구이판(2)과 하부몸체(1)의 사이에 약 1cm 정도의 공간(12)이 형성 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은 3cm이내의 공간으로 구성하면 되는 것으로 1c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관체(8)의 바닥면을 통상의 가스렌지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가스렌지의 화력이 관체(8)를 통해 이송하게 되며 이송된 화력은 화력안내판(3)의 화력안내공(11)을 통해 구이판(2)과 하부몸체(1) 사이의공간(12)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12)에 있던 공기는 이송된 화력에 의해 가열 되면서 구이판(2)을 가열하게 되고 이로인해 구이판(2)은 고기가 익을 수 있는 정도로 가열되어 구이판에 올려진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렌지의 화력은 하부몸체(1)의 관체(8)를 통해 화력안내판(3)의 화력안내공(11)을 통하여 공간(12)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관체는 가스렌지의 화력을 구이기의 내부로 빨아 올리는 굴뚝의 역활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가스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되며 관체를 통과한 화력은 화력안내판(3)에 의해 차단되면서 측면으로 형성된 화력안내공(11)을 통해 화력이 배출되면서 구이판을 직접 가열하지 않고 공간(12)내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공간이 가열됨에 따라 구이판이 그 간접열에 의해 가열되어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간접열에 의해 구이판을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이판에 의해 구워지는 고기가 타지 않게 되며 관체에 의해 열을 구이기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게 되어 신속하게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몸체(1)와 구이판(2)으로 그리고 화력안내판(3)으로 구성 되며, 상기 하부몸체(1)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벽체(4)를 가지고 바닥판(5)의 중앙에는 단턱부(6)를 가지는 관통공(7)이 형성되고 관통공(7)의 하부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관체(8)가 구성되며, 상기 구이판(2)의 바닥면(6)에는 상기 하부몸체(1)의 벽체(4)의 내측이나 외측에 걸릴 수 있는 돌기(9)를 구성 하여 구이판(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력안내판(3)에는 일정한 길이로 나란한 절취선(10)을 여러개 형성하여 그 사이를 상측으로 밴딩하여 화력안내공(11)을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의 단턱부(6)에 올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KR2020020022857U 2002-07-30 2002-07-30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KR200293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57U KR200293025Y1 (ko) 2002-07-30 2002-07-30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57U KR200293025Y1 (ko) 2002-07-30 2002-07-30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025Y1 true KR200293025Y1 (ko) 2002-10-25

Family

ID=7312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857U KR200293025Y1 (ko) 2002-07-30 2002-07-30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0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1660A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0704443B1 (ko)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200293025Y1 (ko)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KR200294393Y1 (ko) 2중 구조를 가지는 고기 구이용 판
KR102375564B1 (ko) 구이용 불판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JP3244610U (ja) 無煙機能を有する木炭式ポータブルコンロ
KR20050109892A (ko) 조리구이판
KR20160050973A (ko) 화로대
JP4203178B2 (ja) グリル
KR100330622B1 (ko) 직화 구이팬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100620500B1 (ko) 대나무 석쇠 조립체
KR101860673B1 (ko) 에어챔버가 구비된 직화구이 불판
KR200375599Y1 (ko) 조리구이판
KR200415465Y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384147Y1 (ko) 고기구이용 화로
KR200396675Y1 (ko) 구이판
KR200380141Y1 (ko) 고기 구이판
JP2005312672A (ja) 炭火焼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