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23Y1 -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23Y1
KR200285723Y1 KR2019960034690U KR19960034690U KR200285723Y1 KR 200285723 Y1 KR200285723 Y1 KR 200285723Y1 KR 2019960034690 U KR2019960034690 U KR 2019960034690U KR 19960034690 U KR19960034690 U KR 19960034690U KR 200285723 Y1 KR200285723 Y1 KR 200285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jection
blocking
molding machin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403U (ko
Inventor
첸 화-셴
Original Assignee
킹 스틸 머시너리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 스틸 머시너리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 스틸 머시너리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19960034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2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장치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용융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단수단과, 사출성형장치의 주형내에 들어 있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진공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개량된 사출성형장치.

Description

사출성형기 { Injection molding machine }
본 고안은 고분자물질의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는 구동장치(driving mechanism), 사출장치(injection mechanism) , 주형장치(molding mechanism)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는 구동장치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고, 적절한 기구적 지지장치가 없으며, 엔코딩(encoding device)이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설계상 단점들이 있었고, 더욱이 사출장치의 노즐이 사출재료의 잔류량에 의해 막힐 위험이 크고, 사출재료가 사출부를 경유하여 주형 외부로 유출되거나 사출진행중 주형내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조명열쇠들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제1목적은 고품질의 사출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양호한 구동장치, 충분한 지지장치 및 정밀한 변위제어가 가능한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고, 본 고안의 제3목적은 사출작동이 차단되었을 때 사출재료가 노즐내에 남아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출 노즐을 가지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제4목적은 주형내에 남아있는 공기를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구동장치 및 사출장치를 가진 본 고안에서 진행상태에 있는 구동장치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구동장치 및 사출장치를 가진 본 고안에서 후퇴상태에 있는 구동장치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위치결정수단의 탐지수단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탐지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위치결정수단의 센서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센서의 사시도
도 7은 동작중인 상태의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비동작상태인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출장치의 폐쇄위치에 위치한 사출노즐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사출장치의 개방위치에 위치한 사출노즐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주형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주형장치의 다른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사출성형기의 주형장치의 공기배출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사출성형기 2 : 구동장치
20 : 구동수단 201 : 지지부
202 : Z축 슬라이드봉 203 : 슬라이드판
204 : X축 슬라이드봉 205 : 수직배플
21 : 전진후퇴수단 211 : 전진압력 구동부재
212 : 출력축 213 : 후퇴압력 구동부재
214 : 출력축 23 : 위치결정수단
231 : 절대변환기 2311 : 감지부
232 : 프레임 233 : 범핑블록
2331, 2332 : 경사면 234 : 센서
2341 : 판상부재 2342 : 슬라이드블록
2345 : 푸시봉 2346 : 위치제한핀
2347 : 푸시휠 2349 : 로킹암
2353 : 스프링 2354 : 자기블록
2356 : 압입부 3 : 사출장치
30 : 사출튜브 31 : 사출몸체
32 : 사출노즐 차단수단 321 : 사출노즐
3211 : 사출구멍 3212 : 대직경부
3213 : 소직경부 3214 : 제1정지부
322 : 연결부재 3221 : 곡선형 헤드
3222 : 수용구멍 3223 : 샤프트라이닝
3224 : 제1구멍 3225 : 제2구멍
3226 : 제3구멍 3227 : 관통구멍
323 : 정지부재 3231 : 봉
3232 : 제2정지부 3233 : 플러그부
324 : 구동부재 4 : 주형장치
40 : 주형 401 : 상부주형
402 : 하부주형 403 : 사출구멍
404 : 공기유출구멍 405 : 차단구멍
406 : 주소 41 : 주형판
42 : 차단수단 421 : 차단압력 구동부재
422 : 연결부재 423 : 차단핀
43 : 진공배출수단 431 : 진공펌프
432 : 덕트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출성형기는 전술한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와 마찬가지로 구동장치(2), 사출장치(3) 및 주형장치(4)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2)는 사출장치(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0)과, X축을 따라 사출장치(3)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전진후퇴수단(21)과, Z축을 따라 사출장치(3)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2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1)와, 지지부(201)에 장착되는 2개의 Z축 슬라이드봉(202)과, Z축 슬라이드봉(202)에 미끄럼 장착되는 슬라이드판(203)과,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되는 2개의 X축 슬라이드봉(204)을 가지며, 사출장치(3)는 X축 슬라이드봉(204)에 미끄럼 장착된다.
구동장치(2)의 전진후퇴수단(21)은 사출장치(3)의 사출튜브(30)에 장착되는 전진압력 구동부재(211)를 가지며, 전진압력 구동부재(211)의 축은 사출튜브(30)의 축과 평행하고, 전진압력 구동부재(211)의 출력축(212)은 지지부(201)에 장착된 수직배플(205)의 일측면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전진후퇴수단(21)은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된 후퇴압력 구동부재(213)를 가지며, 이 후퇴압력 구동부재(213)의 출력축(214)은 사출장치(3)의 하부에 고정된다.
전진후퇴수단(21)은 수직배플(205)을 조이는 전진압력 구동부재(211)의 출력축(212)에 의해 X축 슬라이드봉(204)의 축방향을 따라 사출장치의 변위를 조정할수 있다.
그런데 사출장치(3)에 의해 Z축 슬라이드봉(202)에 작용하는 하중은 매우 경감되어 본 고안의 수명이 더욱 연장된다.
반대로 사출장치(3)는 후퇴압력 구동부재(213)의 출력축(214)에 의해 후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사출장치(3)의 전진운동과 후퇴운동은 2개의 독립된 구동부재(211)(213)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위치결정수단(23)은 비데만효과(Wiedemann Effect)를 이용한 절대변환기(absolute transducer;231)를 포함한다.
상기 절대변환기(231)는 그의 샤프트가 Z축 슬라이드봉(202)에 평행하게 되도록 프레임(232)에 의해 슬라이드판(203)의 저면부에 장착된다.
직사각형의 범핑블록(bumping block;233)은 그의 길이방향축이 Z축 슬라이딩 봉(20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프레임(232)에 장착되고, 범핑블록(233)의 양단부에는 경사면(2331)(2332)이 마련된다.
지지부(201)에는 다수의 센서(234)가 절대변환기(231)의 위치에 상응하게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센서(234)는 지지부(201)에 고정 설치되고 띠형상의 슬라이드구멍(2344)이 천공된 T형의 판상부재(2341)와, 축구멍(2343)이 천공된 슬라이드블록(2342)과, 슬라이드블록(2342)의 축구멍(2343)에 미끄럼 결합된 푸시봉(2345)과, 일측단부가 푸시봉(2345)의 변위 범위를 제한하도록 슬라이드구멍(2344)에 수용되어푸시봉(2345)과 수직으로 결합된 위치제한핀(2346)과, 푸시봉(2345)의 슬롯(2348)에 피봇된 푸시휠(push wheel;2347)과, 감지부(2311)와 비감지부 사이에서 선회가능하도록 축볼트(2350)에 의해 판상부재(2341)에 피봇결합된 L형의 로킹암(2349)과, 원호상단부가 푸시봉(2345)에 접촉하도록 로킹암(2349)의 상부에 결합된 수평조임볼트(2351)와, 로킹암(2349)의 선회운동을 제한하도록 판상부재(2341)에 각기 고정된 2개의 위치고정칼럼(2352)과, 판상부재(2341)와 로킹암(2349)에 단부가 고정된 스프링(2353)과, 피봇(2355)에 의해 로킹암(2349)에 피봇결합되고 상단에 압입부(2356)이 마련된 자기블록(magnetic block;2354)을 구비한다.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스프링(2353)은 로킹암(2349)이 비감지부에 위치하게 하며, 푸시봉(2345)은 로킹암(2349)에 의해 외측으로 운동한다.
푸시봉(2345)이 외부 힘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면 로킹암(2349)은 푸시봉(2345)에 의해 밀려서 감지부(2311)로 이동한다.
슬라이드판(203)이 모터(215)에 의해 Z축 슬라이드봉(202)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사출장치(3)가 이동할 때 절대변환기(231)와 범핑블록(233)도 함께 이동한다.
범핑블록(233)의 한쪽 경사면(2331)이 푸시휠(2347)을 누르면 푸시봉(2345)는 로킹암(2349)이 비감지부로부터 감지부(2311)까지 선회하도록 경사면(2331)을 따라 후퇴위치로 이동한다.
그런데 자기블록(2354)의 압입부(2356)는 절대변환기(231)의 감지부(2311)와 결합하며, 결과적으로 자기블록(2354)의 위치는 절대변환기(231)에 의해 탐지되고,슬라이드판(203)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판(203)이 Z축 슬라이드봉(202)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여 범핑블록(233)의 다른 쪽 경사면(2332)이 푸시휠(2347)에 접촉하면 푸시봉(2345)은 경사면(2332)을 따라 후퇴위치에서 이동하여 로킹암(2349)이 비감지위치로 후방이동하도록 전진위치에 도달하며, 결과적으로 자기블록(2354)은 감지부(2311)로부터 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장치(3)는 사출튜브(30)와, 용융 플라스틱 물질을 사출튜브(30)내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출튜브(3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사출몸체(31)와, 사출장치(3)의 사출채널을 막기 위하여 사출튜브(3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사출노즐 차단수단(32)을 포함한다.
사출노즐 차단수단(32)은 사출노즐(321), 연결부재(322), 정지부재(323) 및 구동부재(324)로 이루어진다.
사출노즐(321)은 사출구멍(3211)을 가지며, 사출구멍(3211)에는 대직경부(3212)와 소직경부(3213)가 마련되고, 대직경부(3212)와 소직경부(3213) 사이에는 제1정지부(3214)가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사출구멍(3211)은 테이퍼구조를 가진다.
연결부재(322)는 양측면에 사출튜브(30)와 사출노즐(321)이 연결된 곡선형 헤드(3221)와, 곡선형 헤드(3221)를 관통하고 사출구멍(3211)과 동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수용구멍(3222)과, 양단부가 수용구멍(3222) 외측에 잔류하도록 수용구멍(3222)내에 수용된 샤프트라이닝(3223)과, 곡선형 헤드(3221)로부터 폐쇄단부까지 연장된 테이퍼형상의 제1구멍(3224)과, 샤프트라이닝(3223)으로부터 사출구멍(3211)과 교통되도록 수직 연장된 제2구멍(3225)과, 샤프트라이닝(3223)을 통하여 제1구멍(3224)으로부터 제2구멍(3225)과 교통되도록 연장된 제3구멍(3226)과, 제2 구멍(3225)과 교통되도록 샤프트라이닝(3223)으로부터 연장된 관통구멍(3227)을 가진다.
관통구멍(3227)의 지름은 제2구멍(3225)의 지름보다 작다.
정지부재(323)는 관통구멍(3227)과 제2구멍(3225), 대직경부(3213)에 수용된 봉(3231)을 가지며, 봉(3231)의 단부에 제1정지부(3214)의 테이퍼진 정도에 해당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 제2정지부(3232)가 마련되고, 제2정지부(3232)의 단부에 소직경부(3213)에 수용되는 플러그부(3233)가 마련된다.
플러그부(3233)의 외측직경은 봉(3231)보다 작고, 소직경부(3213)의 직경과 동일하다.
구동부재(324)는 곡선형 헤드(322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전진압력 구동부재(211)와 동축상으로 연결되고, 그의 출력축은 정지부재(323)의 봉(3231)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며, 정지부재(323)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하여 봉(3231)과 동축상에 고정되는 끼워맞춤블록(fitting block; 3241)이 마련된다.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제1구멍(3224)으로 유입되기전 사출몸체(31)에서 사출튜브(30)내로 주입되고 난 다음, 제3구멍(3226) 및 제2구멍(3225)으로 주입된다.
최종적으로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사출구멍(3211)과 사출노즐(321)을 경유하여 주형장치(4)내로 주입된다.
용융 플라스틱 재료의 주입은 구동부재(324)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구동부재(324)는 사출구멍(3211)을 차단하기 위하여 정지부재(323)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주형장치(4)는 상부주형(401)과 하부주형(402)으로 구성된 주형(40)과, 주형(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주형판(41)과, 주형(40)의 사출구멍(403)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차단수단(42)과, 주형(40)의 공기유출구멍(404)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는 진공배출수단(43)을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차단수단(42)은 차단압력 구동부재(421), 연결부재(422), 차단핀(423)으로 구성된다.
차단압력 구동부재(421)는 주형판(41)에 수직이 되도록 장착되며, 주형판(41)의 관통구멍(411)을 관통하는 봉(4211)과 이 봉(4211)의 저면단부를 감싸서 하단 플랜지(4213)를 형성하는 링리세스(ring recess;4212)를 가진다.
장방형의 연결부재(422)는 주형판(41)의 절단부(412)내에 수용되고, 종방향 축의 양단부에 원호상 리세스(arcuate recess;4221,4222)가 마련되며, 일측 원호상 리세스(4221)는 봉(4211)의 링리세스(4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차단핀(423)은 링형상의 상단 플랜지(4231)를 가지며, 연결부재(422)의 타측 원호상 리세스(4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차단핀(423)의 저면단부는 상부주형(401)의 차단구멍(405)내에 수용된다.
사출동작이 시작되기전 차단핀(423)은 차단구멍(405)의 축방향 위로 설치하여 사출구멍(403)이 개방되게 한다.
그 후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사출노즐(321)과 사출구멍(403)을 경유하여 주형수단(40)의 주소(mold cavity;406)내에 주입된다.
상기 주소(406)가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 요구되는 양만큼 채워진 직후 차단 압력 구동부재(421)는 차단핀(423)이 차단구멍(405)을 따라 이동하여 사출구멍(403)내로 들어가도록 작동한다.
그러면 주소(406)내에 채워진 용융 플라스틱이 주소(406) 외부로 흘러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공배출수단(43)이 주형(40)의 공기유출구멍(404)과 소통하는 덕트(432)를 가지는 진공펌프(431)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유출구멍(404)은 그의 주면의 대응위치에 있는 링형상의 삽입슬롯(407)에 공급된 상부주형(401)의 상면을 통하여 주소(406)의 상부벽으로부터 연장된다.
주형판(41)에는 공기유출구멍(404)과 통하는 관통구멍(412)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412)은 구멍상부(4121)와 구멍하부(4122)로 이루어지며, 구멍상부(4121)의 내벽에는 나사(4123)가 결합된다.
덕트(432)는 삽입슬롯(407)에 수용된 0링(4321)을 가지고 있다.
덕트조인트(4322)에는 그 주연부상에 나사(4323)가 마련되어 구멍상부(4121)의 나사(4323)와 나사결합되고, 덕트조인트(4322)의 상단부가 주형판(41)을 지나 연장되며, 덕트조인트(4322)의 하부는 구멍상부(4121)를 경유하여 구멍하부(4122)내에 수용된다.
안내튜브(4324)의 일측단부는 덕트조인트(4322)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진공 펌프(431)와 연결된다.
사출작동이 진행중일 때 주소(406)내의 공기는 진공펌프(431)에 의해 배기되어 성형되는 제품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사출성형기(1)는 중단없이 일련의 사출성형작업을 계속할 수 있고, 구동수단(20)이 사출장치(3)를 X축 및 Z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사출장치(3)의 전진후퇴운동이 전진후퇴수단(21)에 의해 가능하게 되므로 사출성형기(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Z축 슬라이드봉(202)에 작용하는 하중이 수직배플(205)을 밀게 되어 있는 전진압력 구동부재(211)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며, 위치결정수단(23)의 센서(234)들이 지지부(201)에 이격 장착되어 자기블록(2354)에 의해 센서(234)에 대한 슬라이드판(203)의 상대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인 절대변환기(231)의 기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출장치(3)의 사출노즐 차단수단(32)과 사출구멍(3211)은 사출튜브(30) 및 사출노즐(321)내에 들어 있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가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동축상에 배열 설치된다.
본 고안의 주형장치(4)의 주형(40)은 차단수단(42)에 의해 밀봉되기 때문에 주형(40)내에 들어 있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가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주형(40)내에 들어 있는 공기는 진공배기수단(43)에 의해 배출되므로 주행(40)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지부재(323)을 통해 사출구멍(3211)을 차단함으로써 사출재료가 사출노즐(321) 내에 남아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주형장치(4)의 주소(406)가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 요구되는 양만큼 채워진 직후 차단핀(423)으로 주형장치(4)의 사출구멍(403)을 차단하여 주소(406)내에 채워진 용융 플라스틱이 주소(406) 외부로 흘러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주형(40)의 공기유출구멍(404)과 소통하는 덕트(432)를 가지는 진공펌프(431)를 포함하는 진공배출수단(43)을 통해 주형(40)내에 남아있는 공기를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사출성형기(1)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고품질의 사출성형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기 위하여 사출몸체(31)와 이 사출몸체(31)와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사출튜브(30)를 가지는 사출장치(3)와, 상기 사출장치(3)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2)와,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주소(406)에 주입하기 위하여 사출노즐(321)과 교통하는 주형(40)을 주소(406)내에 가지고 있는 주형장치(4)를 구비하며,
    상기 주형장치(4)는 차단구멍(405)이 마련된 차단수단(42)과, 차단압력 구동부재(42l), 차단핀(423)을 구비하고, 외측부에 설치되는 차단압력 구동부재(421)의 출력축인 봉(4211)을 상기 차단구멍(405)과 동축상으로 설치하며, 차단구멍(405)내에 수용된 차단핀(423)을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차단구멍(40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차단핀(423)이 폐쇄위치에 위치할 때 사출장치(3)의 사출구멍(3211)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사출성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차단핀(423)을 장방형 중공구조를 가진 연결부재(422)에 의해 차단압력 구동부재(421)의 출력축인 봉(4211)과 동축상으로 결합하고, 연결부재(422)의 양단부에 차단압력 구동부재(421)의 출력축인 봉(4211)의 하단 플랜지(4213) 및 차단핀(423)의 상단 플랜지(4231)와 맞물려 결합된 원호상 리세스(4221)(4222)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주형장치(4)가 주형(40)의 외측에 도달할 정도로 연장된 사출튜브(30)와 연결하기 위해서 주소(406)로부터 연장된 공기유출구멍(404)을 가지는 진공배출수단(43)을 포함하고, 이 진공배출수단(43)은 주소(406)내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펌프(4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사출장치(3)는 사출노즐 차단수단(32)을 포함하고,
    사출노즐 차단수단(32)은 사출튜브(30)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주몸체, 주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구멍(3224)과 주몸체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구멍(3225)과 제1구멍(3224) 및 제2구멍(3225)과 통하는 동시에 주몸체내에서 위치하고 제2구멍(3225)과 미리 결정된 각도로 서로 분리된 제3구멍(3226)을 구비하는 연결부재(322), 제2구멍(3225)과 통하는 사출구멍(3211)과 사출구멍(3211) 주변부를 감싸는 제1정지부(3214)를 가지며 주몸체에 장착된 사출노즐(321), 제2구멍(3225)과 사출구멍(3211)내에 수용된 봉(3231)과 제1정지부(3214)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제2정지부(3232)를 가지는 정지부재(323),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는 정지부재(323)를 구동하기 위하여 봉(3231)에 결합된 구동부재(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사출구멍(3211)은 대직경부(3212)와 소직경부(3213)를 가지고, 제1정지부(3214)는 테이퍼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2전지부(3232)는 제1정지부(3214)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6. 제 4항에 있어서, 주몸체부가 곡선형 헤드(3221)와 이 곡선형 헤드(3221)를 관통하는 수용구멍(3222)과 상기 수용구멍(3222)내에 위치한 샤프트라이닝(3223)을 포함하고, 제1구멍(3224)은 곡선형 헤드(3221)에 위치하며, 제2구멍(3225)은 샤프트라이닝(3223)에 위치하고, 제3구멍(3226)은 샤프트라이닝(3223)과 곡선형 헤드(3221)를 관통하여 제1구멍(3224)과 통하며, 샤프트라이닝(3223)은 봉(3231)의 일측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구멍(3225)과 통하는 관통구멍(3227)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7.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2)는 수직배플(205)을 가진 지지부(201), 지지부(201)에 장착된 2개의 서로 평행한 Z축 슬라이드봉(202), Z축 슬라이드봉(202)에 장착된 슬라이드판(203), 사출장치(3)가 미끄럼 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된 서로 평행한 2개의 X축 슬라이드봉(204), 샤출튜브(30)에 장착되고 출력축(212)이 수직배플(205)의 위치와 대응되는 전진압력 구동부재(211),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되고 출력축(214)이 사출장치(3)의 지지부에 고정되는 후퇴압력 구동부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8.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2)는 수직배플(205)을 가진 지지부(201), 지지부(201)에 장착된 2개의 서로 평행한 Z축 슬라이드봉(202), Z축슬라이드봉(202)에 미끄럼 장착된 슬라이드판(203),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된 서로 평행한 2개의 X축 슬라이드봉(204), 위치결정수단(23)을 포함하고,
    위치설정수단(23)은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되고 종방향축이 Z축 슬라이드봉(202)과 평행한 감지부(2311)를 가지는 절대변환기(231), 감지부(2311)에 평행한 슬라이드판(203)에 장착되고 감지부(2311)보다 짧은 범핑블록(233), 몸체에 미끄럼 장착된 푸시봉(2345), 일측단부에 푸시봉(2345)가 결합되고 몸체와 피봇 결합되어 감지부(2311)와 비감지부 사이에서 선회하는 로킹암(2349), 푸시봉(2345)와 로킹암(2349)을 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2353), 감지부(2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압입부(2356)가 마련되고 로킹암(2349)에 결합된 자기블록(2354)을 구비하는 다수의 센서(234)를 포함하며,
    푸시봉(2345)의 일측단부가 범핑블록(233)과 푸시봉(2345)의 타측단부와 접할 때 푸시봉(2345)는 범핑블록(233)에 의해 후퇴위치로 미끄럼 운동하고, 푸시봉(2345)의 타측단부는 감지부(2311)가 자기블록(2354)의 압입부(2356)에 수용되도록 하여 로킹암(2349)을 비감지부에서 감지부(2311)로 선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9. 제 8항에 있어서, 범핑블록(233)은 푸시부(2435)가 전진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종방향축의 양단부에 각각 경사면(2331)(233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센서(234)들 사이의 간격이 감지부(2311)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KR2019960034690U 1996-10-21 1996-10-21 사출성형장치 KR200285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690U KR200285723Y1 (ko) 1996-10-21 1996-10-21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690U KR200285723Y1 (ko) 1996-10-21 1996-10-21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403U KR19980021403U (ko) 1998-07-15
KR200285723Y1 true KR200285723Y1 (ko) 2002-11-23

Family

ID=5397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690U KR200285723Y1 (ko) 1996-10-21 1996-10-21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7559B (zh) * 2023-06-15 2023-10-24 潍坊派康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塑料管路注塑成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403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2229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216027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US5266247A (en) Molding cycle control method of an injection molder
KR200285723Y1 (ko) 사출성형장치
CA1097473A (en) Molding press for plastic materials
US5780078A (en) Material injection system of a plastic material injection molding machine
KR0162000B1 (ko)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JP3423963B2 (ja) 射出成形機
JP6666637B2 (ja) 射出装置
JPH04112020A (ja) 射出成形金型
JP6644442B2 (ja) 射出装置
US20030039718A1 (en) Dual cylinde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2008080640A (ja) 射出成形機
EP3842211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356190B2 (ja)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装置の制御方法
EP3888873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S60171120A (ja) プラスチツク成形機
JP2984467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における樹脂圧力測定装置
JP2002028948A (ja) 射出成形方法
JP2006321225A (ja) 射出装置
JPH0620574Y2 (ja) 竪型ゴム用射出成形機
JP3352917B2 (ja) 保圧装置を備えた射出成形機における保圧用樹脂の制御方法
JPH07256683A (ja) 中空射出成形用ガス注入ノズル
JPH0733040B2 (ja) 射出成形機及びガス供給装置
SU16574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ластикации литьев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