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61Y1 -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61Y1
KR200284861Y1 KR2020020010581U KR20020010581U KR200284861Y1 KR 200284861 Y1 KR200284861 Y1 KR 200284861Y1 KR 2020020010581 U KR2020020010581 U KR 2020020010581U KR 20020010581 U KR20020010581 U KR 20020010581U KR 200284861 Y1 KR200284861 Y1 KR 20028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grating
frame
bearing ba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웅배
Original Assignee
오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웅배 filed Critical 오웅배
Priority to KR2020020010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61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에 상부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그 상부로 통행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테두리틀 내로 다수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가 교차되도록 구성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틀 내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에 일정 폭을 갖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skid-proof grating}
본 고안은 도로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에 상면으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그 상부로 통행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그 그레이팅을 통하여 배수되는 빗물이나 오폐수에 섞여 있는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을 걸러주어 하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그레이팅의 구조는 단순하고 큰 이물질 등을 걸러 줄 수 있는 구조로서, 대부분이 금속재의 테두리틀 내로 다수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가 교차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는 그레이팅은 배수구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을 원활하게 걸러 주는 주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재로 제작된 종래의 그레이팅에 있어서는 그 표면으로 물이 묻어 있거나, 특히 겨울철에 눈이나 표면이 얼어 있을 경우에, 그 상부로 통행하는 보행자나 차량 등이 쉽게 미끄러저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에 상면으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그 상부로 통행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부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부가 보다 큰 마찰력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두리틀 내로 다수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가 교차되도록 구성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틀 내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에 일정 폭을 갖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그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산과 골형태로 연속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다수의 돌출턱이 형성된 돌출턱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다수의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입자형태의 미끄럼 방지재가 호형태로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지지턱부 사이에 일정 간격의 함입홈을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제1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제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제4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부재
20 : 미끄럼 방지부
210 : 돌기부 212 : 산
214 : 골 220 : 돌출턱부
222 : 돌출턱 230 : 요홈부
232 : 요홈 240 : 미끄럼 방지턱
242 : 미끄럼 방지재 252 : 지지돌기
254 : 지지턱부 256 : 함입홈
100 : 그레이팅
110 : 테두리틀 120 : 크로스바
130 : 베어링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빗물이나 오폐수로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큰 이물질 등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테두리틀(110) 내로 다수의 크로스바(120)와 베어링바(130)가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되는 그레이팅(100)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테두리틀(110) 내의 크로스바(120)와 베어링바(130) 사이에 일정 폭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바와 같이 양측단이 테두리틀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그 전,후단으로 상기 크로스바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보행자나 특히, 차량 등과 같은 무거운 하중에도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힘은 물론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보행자나 차량 등의 통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촉에 따른 마착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2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미끄럼 방지부(20)는 요부 발췌도에서와 같이 그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일정 간격을 갖는 산(212)과 골(214)형태로 연속되는 돌기부(210)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테두리틀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부재에 의해 그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그레이팅 자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그 하중으로 인한 뒤틀림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일정 폭을 갖는 연결부재의 폭을 조절하여 장애인의 휠체어나 킥보드 등의 바퀴 또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에 의해, 즉 산과 골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된 돌기부에 의하여 그 상부로 통행중인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이 상기 돌기부와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가지게 되므로서,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재로 인한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강도가 높아지고 뒤틀림 또한 최소화됨에 따라 그레이팅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상면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에 의해 미끄러짐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을 유발시키지 않고 보행자나 차량 등이 안전하면서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제1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일반적인 무늬/모양이나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다수의 돌출턱(222)이 형성된 돌출턱부(22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미끄럼 방지부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통행에 따른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이 상기 돌출턱부의 돌출턱과 마찰력을 가지게 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제2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그 상면으로부터 요부 발췌도에서와 같이 인입된 다수의 요홈(2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도, 전술한 미끄럼 방지부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통행에 따른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이 상기 요홈부의 요홈과 마찰력을 가지게 됨에따라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요홈으로 이물질 등이 끼어 그 끼워진 이물질 등으로 인해 더욱더 큰 마착력을 가질 수 있는 여건도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제3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입자형태의 석분이나 고무편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일반적인 미끄럼 방지재(242)가 호형태로 접착재와 같이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턱(24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는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이 상기 미끄럼 방지턱의 미끄럼 방지재와 접촉시 최대한의 넓은 접촉면적과 밀착력을 가지게 되므로서, 통행에 따른 보다 큰 마찰력을 가지게 되어 더욱더 안전한 통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제4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요부 발췌도에서와 같이 수개의 지지돌기(252)가 형성된 지지턱부(254) 사이에 일정 간격의 함입홈(256)을 다수개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도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과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된 지지턱부와 그 사이의 함입홈으로 인하여 보다 많은 접촉면적과 밀착력을 갖도록 하여 최대한의 마찰력을 갖도록 하여 보다 안전적인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레이팅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로 상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형성하므로, 그레이팅의 구조적인 강도가 높아지고 뒤틀림 또한 최소화될 수 있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도 그레이팅의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폭을 갖는 연결부재에 의해 장애인이나 킥보드 등의 바퀴가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상면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에 의해 통행에 따른 보행자의 신발이나 차량의 바퀴 등이 미끄럼 방지부와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가지게 되어 미끄러짐 없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또, 상기 크로스바와 베어링바 사이로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형성됨에 따라 그레이팅의 제작작업이 간편하여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서, 제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제조 단가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미끄럼 방지부의 접촉면적과 밀착력을 최대한 넓게 형성하므로서, 더욱더 큰 마찰력을 가지게 되어 더욱더 안전한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6)

  1. 테두리틀 내로 다수의 크로스바와 베어링바가 교차되도록 구성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틀(110) 내의 크로스바(120)와 베어링바(130)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으로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그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산(212)과 골(214)형태로 연속되는 돌기부(2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다수의 돌출턱(222)이 형성된 돌출턱부(22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다수의 요홈(2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입자형태의 미끄럼 방지재(242)가 호형태로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턱(2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면으로 수개의 지지돌기(252)가 형성된 지지턱부(254) 사이에 일정 간격의 함입홈(256)을 다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20020010581U 2002-04-09 2002-04-09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028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581U KR200284861Y1 (ko) 2002-04-09 2002-04-09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581U KR200284861Y1 (ko) 2002-04-09 2002-04-09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861Y1 true KR200284861Y1 (ko) 2002-08-10

Family

ID=7312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581U KR200284861Y1 (ko) 2002-04-09 2002-04-09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6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38B1 (ko) * 2005-12-06 2007-07-02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37B1 (ko) 2005-11-23 2007-07-02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830686B1 (ko) * 2007-01-18 2008-05-20 주식회사 세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160099809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틸그레이팅
KR20180000870U (ko) 2016-09-21 2018-03-29 금광기업 (주)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37B1 (ko) 2005-11-23 2007-07-02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38B1 (ko) * 2005-12-06 2007-07-02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830686B1 (ko) * 2007-01-18 2008-05-20 주식회사 세화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160099809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원재산업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한 스틸그레이팅
KR20180000870U (ko) 2016-09-21 2018-03-29 금광기업 (주)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4861Y1 (ko)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JP5372591B2 (ja) グレーチング
KR200181880Y1 (ko) 세이프티그레이팅
KR100431674B1 (ko) 확장된 보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200459894Y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KR200452520Y1 (ko) 배수로용 안전 그레이팅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KR20110007013U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0423161Y1 (ko) 계단용 논슬립
JP3074607U (ja) 道路用非スリップ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342719Y1 (ko) 스틸 그레이팅
KR20130099652A (ko) 고하중 지지구조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200441611Y1 (ko) 트렌치 커버
KR100734041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100114726A (ko) 미끄럼방지용 집수정덮개
KR200222401Y1 (ko) 포장도로의 내리막길 미끄럼방지용 차도 블록
KR1003941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
KR102629596B1 (ko) 판형 스틸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KR20230000259U (ko)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KR20150057144A (ko) 데크 구조체
JP4028419B2 (ja) 排水蓋の滑り止め構造
JP3155083U (ja) コンクリート成型ブロックおよびこの成型用型枠
JP2814071B2 (ja) 歩車道用ブロック及び中央分離帯用ブロック
KR200263279Y1 (ko) 보도용 미끄럼 방지구
KR20022317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