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37B1 -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37B1
KR100734037B1 KR1020050112486A KR20050112486A KR100734037B1 KR 100734037 B1 KR100734037 B1 KR 100734037B1 KR 1020050112486 A KR1020050112486 A KR 1020050112486A KR 20050112486 A KR20050112486 A KR 20050112486A KR 100734037 B1 KR100734037 B1 KR 10073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heavy load
heavy
drain
drai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467A (ko
Inventor
오웅배
Original Assignee
오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웅배 filed Critical 오웅배
Priority to KR102005011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대응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한쌍의 측프레임 내측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형강인 다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와 양측단에는 다수의 세로평판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의 중간으로 다수의 고정부재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각각의 배수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그 세로평판에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의 각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중하중, 배수로 덮개, 측프레임, 지지부재, 세로평판, 고정부재, 배수부

Description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a heavy load for cover drainage canal}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로 덮개
10 : 측프레임
20 : 지지부재
20a : 보조 지지부재 22 : 중공부
24 : 관통공 26 : 무늬/모양부
30 : 세로평판
40 : 고정부재
50 : 배수부
본 발명은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대응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도로의 배수구나 배수로의 상면에 설치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 등을 걸러주면서 우수(빗물)이나 오수 등이 배수로를 통하여 하수로와 배수처리장을 거쳐 하천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배수실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종래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로 덮개(100)는, 첨부된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또는 배수로에 하나나 하나 이상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양측의 측프레임(110) 사이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아이자(I) 형태인 다수의 베어링바(120)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바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스크류 형태인 다수의 크로스바(130)가 용접되어 그 베어링바와 베어링바 사이 및 크로스바와 크로스바 사이에 수개의 배수공(1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주로 사람들이 통행하는 인도나 차량이 통행하지 않은 도로변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 진다.
그러나,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과 같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수시로 통행하는 지역에서 상기한 양측의 측프레임 사이에 용접되는 다수의 베어링바 및 그 베어링바의 상단으로 용접되는 크로스바로 구성된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상부로부터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베어링바나 크로스바의 대응력이 약하여 휨 등과 같은 변형이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로 덮개에 변형이나 손상됨에 발생함에 따라 그 이후 중량체의 통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변형 및 손상됨이 더욱더 심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대응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호 연결 설치시 일정한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가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 및 환경친화적인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자재 값을 절감하면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한쌍의 측프레임 내측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형강인 다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와 양측단에는 다수의 세로평판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의 중간으로 다수의 고정부재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각각의 배수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그 세로평판에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의 각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부의 폭은 상기 양측 단에 형성되는 배수부의 폭 보다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과 밑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과 밑면에는 무늬/모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양단이 절곡된 디귿자 형강으로 형성하고, 상기 세로평판의 중간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직교되는 보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게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수시로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무거운 하중의 중량체가 통행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대응력을 가지게 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 덮개(1)는 한쌍의 측프레임(10) 내측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지지부재(2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사이와 양측단에는 다수의 세로평판(30)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세로평판(30)과 지지부재(20)의 중간으로 다수의 고정부재(40)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각각의 배수부(50)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하중에 대한 큰 대응력을 갖도록 내부에 중공부(22)가 형성된 사각 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각 형강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디귿자 형강의 개방된 부분을 상호 맞대어 용접하여 사각 형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재(40)는 그 세로평판(30)에서 관통되게 삽입한 후 그 세로평판과 용접되도록 하므로서,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부(50)의 폭(W)은 상기 테두리틀(10) 양측 단에 형성되는 배수부(50)의 폭(w) 보다 두배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한 여러 개를 연결하여 설치시에 그 연결되는 부분의 배수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배수부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을 함에 따라 본 발명은,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 그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한쌍의 측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로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 형강인 다수의 지지부재의 상면과, 일정 폭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가 중간으로 관통되어 있는 세로평판의 상면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체의 무거운 하중은 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재와 각 세로평판에서 분산되어 지지됨으로서, 즉 고정부재가 그 세로평판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중량체가 상부에 지속적으로 체류하는 것 이 아니라 통행에 따른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관계로, 중간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다수의 세로평판 및 지지부재 간의 지지력을 긴밀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각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에서 분산시킴에 따라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큰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중량체의 하중에 대해서도 중간에 위치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지면서 다수의 세로평판과 지지부재로 분산시켜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보다 큰 대응력을 가지게 되어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세로평판을 관통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보다 간편하게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세로평판(30)과 지지부재(20)의 각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고정부재를 세로평판을 관통하여 삽입한 후 다시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는 일부 불편함을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시켜 직접 용접하므로서,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부재에서도 원활한 배수가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과 밑면에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그 지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는 물론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파지하여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폭우시나 우기시 배수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보다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수분이 잔류하지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과 밑면에는 주위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하여 자연친화적인 여건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과 밑면에는 설치되는 장소에 알맞는 형태인 음각이나 양각 또는 관통된 형태의 무늬/모양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그 지지부재의 양단에는 장공 형태의 통공을 형성하여 배수 용도나 작업시 파지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제작시에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미리 그 설치 장소에 어울릴 수 있는 무늬/모양부를 형성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따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사각 형강에 비하여 원자재 값을 절감하면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0)는 양단이 절곡된 통상의 디귿자 형강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세로평판(30)의 중간에는 상기 지지부재(20)와 직교되는 양단이 절곡된 통상의 디귿자 형강인 보조 지지부재(2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전술한 사각 형강에 비하여 디귿자 형강을 사용하여 원자재 값을 절감하면서 세로평판 중간에 형성되는 보조 지지부재에 의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대응력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수시로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각 지지부재와 고정부재가 중간으로 고정된 다수의 세로평판에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도록 하므로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대응력을 갖도록 하여 오랜 기간 변형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시킴에 따라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양측단에 형성되는 배수부의 폭을 그 내측으로 형성되는 배수부의 폭 보다 1/2로 형성하여 상호 연결 설치시 배수로 덮개가 일정한 형태로 설치됨은 물론 배수부 또한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므로서, 미관이 수려하고 원활한 배수 또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관통공에 의해 배수부를 포함하여 폭우시나 우기시에 배수됨을 배가시켜 더욱더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지지부재의 표면에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음각이나 양각 또는 관통된 형태의 무늬/모양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및 주위환경과 환경친화적인 조건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지지부재를 디귿자 형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세로평판 사이에 보조 지지부재를 구비하므로서, 원자재 값을 절감하면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곳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1)는 한쌍의 측프레임(10) 내측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내부로 중공부(22)가 형성된 사각 형간인 다수의 지지부재(2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와 양측단에는 다수의 세로평판(30)을 일정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세로평판과 지지부재의 중간으로 다수의 고정부재(40)가 고정되어 구성되는 각각의 배수부(5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재(40)는 그 세로평판(30)에서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40)는 그 세로평판(30)과 지지부재(20)의 각 사이의 대응되는 위치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부(50)의 폭(W)은 상기 양측단에 형성되는 배수부(50)의 폭(w) 보다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과 밑면에는 다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과 밑면에는 무늬/모양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양단이 절곡된 디귿자 형강으로 형성하고, 상기 세로평판(30)의 중간에는 상기 지지부재(20)와 직교되는 보조 지지부재(20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20050112486A 2005-11-23 2005-11-23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86A KR100734037B1 (ko) 2005-11-23 2005-11-23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86A KR100734037B1 (ko) 2005-11-23 2005-11-23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67A KR20070054467A (ko) 2007-05-29
KR100734037B1 true KR100734037B1 (ko) 2007-07-02

Family

ID=382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86A KR100734037B1 (ko) 2005-11-23 2005-11-23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1B1 (ko) 2010-12-07 2011-06-08 (주)마인드건설 배수로용 그레이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778U (ko) 1986-05-23 1987-12-04
KR200244704Y1 (ko) 2001-06-02 2001-10-29 김경수 확장접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200284861Y1 (ko) 2002-04-09 2002-08-10 오웅배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0349399Y1 (ko) 2004-01-19 2004-05-04 오웅배 배수로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778U (ko) 1986-05-23 1987-12-04
KR200244704Y1 (ko) 2001-06-02 2001-10-29 김경수 확장접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200284861Y1 (ko) 2002-04-09 2002-08-10 오웅배 미끄럼 방지용 그레이팅
KR200349399Y1 (ko) 2004-01-19 2004-05-04 오웅배 배수로 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1B1 (ko) 2010-12-07 2011-06-08 (주)마인드건설 배수로용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67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673B1 (ko)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DK1925761T3 (da) Vindue til installation i skrå tagflade
KR100734037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KR100960241B1 (ko) 배수로 덮개 결합체
KR101292778B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20044970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0741021B1 (ko) 배수로 덮개
KR100734038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41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79563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101051636B1 (ko) 호환성을 갖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0385378Y1 (ko)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KR20070114328A (ko) 중하중용 그레이팅
KR20100090895A (ko) 미끄럼 방지 겸용 중하중 그레이팅
KR200312003Y1 (ko) 그레이팅 구조체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356483Y1 (ko) 집배수용 덮개
KR200187249Y1 (ko) 도로 배수구용 덮개
KR200165807Y1 (ko) 철재 도로경계석
KR20200000150U (ko) 탈부착 조정식 심플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