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378Y1 -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378Y1
KR200385378Y1 KR20-2005-0005270U KR20050005270U KR200385378Y1 KR 200385378 Y1 KR200385378 Y1 KR 200385378Y1 KR 20050005270 U KR20050005270 U KR 20050005270U KR 200385378 Y1 KR200385378 Y1 KR 200385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ecorative
decorative material
top plate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성
Original Assignee
(주) 미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도랜드 filed Critical (주) 미도랜드
Priority to KR20-2005-0005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를 제공하여 주위 환경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구조의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은, 양측부에 위치되어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8)이 형성되는 배수용 상판(2)들; 상기 배수용 상판(2)들 사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배수용 상판(2)들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용 상판(2)과의 사이에 배수 통로(9)를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4)가 설치되는 장식재 설치부(3); 상기 배수용 상판(2)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3)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용 상판(2)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5)들; 및 상기 중공 형태의 배수용 상판(2)의 단부를 각각 폐쇄하는 한 쌍의 단부판(6a,6b)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Steel plate grating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배수에 사용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문양의 배수구가 투각되고 장식재를 가지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된 그레이팅은 배수구나 환기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덮개의 기능뿐만 아니라, 배수구나 환기 덕트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그레이팅은 강재로 만들어지며 설치 장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 양측에 제공되는 빗물의 집수구 상에 소형의 스틸 그레이팅이 적용되고, 지하철의 환기 덕트에 대형의 스틸 그레이팅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틸 그레이팅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102)에 I-바 또는 F-바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가로 비임(101)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프레임(102)에 용접되며, 가로 비임(101)이 하중에 의하여 꺾여지거나 비틀리는 형상이 억제되도록 비틀림 형상의 다수의 크로스 바(103)들이 가로 비임(101)들과 직교하도록 가로 비임(101)과 프레임(102)에 용접된다. 즉,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은 가로 비임(101)들과 크로스 바(103)들에 의하여 다수의 배수공(104)들이 형성되는 격자형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은 아연 도금된 강재가 사용되고, 가로 비임(101)의 피치 간격은 하중에 따라서 그 두께 및 피치 간격이 조정되며, 그 피치 간격은 적어도 25㎜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가로 비임(101)의 피치 간격이 25㎜ 이하인 경우에 제작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은 가로 비임과 크로스 바에 의하여 사각의 배수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관미가 떨어지고, 또한 각각의 가로 비임과 크로스 바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를 제공하여 주위 환경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구조의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양측부에 위치되어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용 상판들; 상기 배수용 상판들 사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배수용 상판들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용 상판과의 사이에 배수 통로를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가 설치되는 장식재 설치부; 상기 배수용 상판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용 상판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들; 및 상기 중공 형태의 배수용 상판의 단부를 각각 폐쇄하는 한 쌍의 단부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단부판들은 이웃하는 그레이팅과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수형 부재와 상기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장식재 설치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재 설치부에 설치되는 장식재 내로 침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들이 형성된다.
상기 장식재는 벽돌, 대리석, 자갈, 유리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중공 형태로 만들어지는 양측의 배수용 상판(2)들, 배수용 상판(2)들 사이의 상부 중앙에 제공되는 장식재 설치부(3), 장식재 설치부(3)에 설치되는 장식재(4), 배수용 상판(2)과 장식재 설치부(3)의 하부에 위치되어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5)들, 및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양단에 용접되어 배수용 상판(2)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한 쌍의 단부판(6a,6b)들을 포함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수용 상판(2)들과 장식재 설치부(3)는 서로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별도의 분리된 판재로 만들어져서 배수용 상판(2)들 사이에 장식재 설치부(3)가 용접됨으로써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배수용 상판(2)들은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판 부분에는 우수나 오수 등이 배수되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8)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8)들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지방 자치 단체 또는 회사의 로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식재 설치부(3)는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단 양측이 배수공(8)들이 형성되는 배수용 상판(2)들에 각각 연결되고, 장식재 설치부(3)는 그 높이가 배수용 상판(2)들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배수용 상판(2)들과 장식재 설치부(3) 사이에 배수 통로(9)들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배수 통로(9)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이 설치되는 장소의 배수량에 따라서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배수 통로(9)는 배수로(10)의 폭에 대해 장식재 설치부(3)의 폭을 조절하거나 또는 배수용 상판(2)의 높이에 대해 장식재 설치부(3)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그 크기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장식재 설치부(3)에 제공되는 장식재(4)는 그레이팅(1)이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서 벽돌, 대리석, 자갈, 유리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장식재 설치부(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레이팅(1)이 배수로(10)에 설치되었을 때, 장식재(4)는 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장식재(4)가 유리알 등과 같이 알갱이로 만들어질 경우에는 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평탄화 작업이 수행된다. 장식재 설치부(3)는 상기된 바와 같이 장식재 설치부(3)에 제공되는 재료에 따라서 배수공(12)들이 형성되어, 장식재 설치부(3)에 설치된 장식재(4) 내로 침수된 오수나 우수가 배수공(12)들을 통해 배수로(10)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상기된 바와 같이 배수용 상판(2)과 장식재 설치부(3)의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보강재(5)들과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양단에 용접되는 한 쌍의 단부판(6a,6b)에 의하여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판(6a,6b)들은 보강재(5)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수형 부재(7a)와 결합공(7b)이 제공되는 것 외에는, 보강재(5)와 마찬가지로 그레이팅(1)의 단부에 설치되어 그레이팅(1)의 단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강재(5)는 양측이 배수용 상판(2)의 중공 부분에 끼워지고 중앙 부분이 장식재 설치부(3)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상을 가지는 강재로 만들어지고, 다수의, 바람직하게 2 내지 3개의 보강재(5)들이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길이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보강재(5)들의 수 및 설치 간격은 그레이팅 판(1)의 두께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보강재(5)들에 의해 보다 큰 중량의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뒤틀림과 같은 변형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보강재(5)들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배수공(8)들이 형성되는 배수용 상판(2)과 장식재 설치부(3)가 하나의 강판으로 절곡 형성된 후에, 보강재(5)들이 절곡 형성된 강판의 하부에 용접되고, 그런 다음 절곡 형성된 강판의 양측에 띠 형강을 용접됨으로써, 배수용 상판(2)들이 ㄱ자 형상의 배수용 상판(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양단에 용접되는 한 쌍의 단부판(6a,6b)들에는 각각의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수단이 제공된다. 즉, 한 쪽의 단부판(6a)에는 외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한 수형 부재(7a)가 제공되고, 다른 쪽 단부판(6b)에는 수형 부재(7a)가 삽입되는 결합공(7b)이 형성된다.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이 배수로(10)의 한 쪽 단부에 시공되는 경우에, 이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에는 수형 부재(7a)가 생략된다. 따라서, 배수로(10)의 단부 부분과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 사이에 공간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압여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들이 배수로(10)에 설치되었을 때, 수형 부재(7a)가 결합공(7b)에 결합됨으로써, 배수로(10)에 설치된 그레이팅(1)의 길이 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한편, 상하 방향으로 그레이팅(1)이 요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SS400, SS490 또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강판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강판은 그레이팅(1)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서 그 두께가 조절될 수 있으나 대략 3㎜의 압연 강판이 사용되고, 전체적인 크기는 길이가 1000㎜일 때, 폭이 300㎜, 장식재 설치부(3)의 폭이 약 154㎜이고 장식재 설치부(3)의 양측에 제공되는 배수용 상판(2)의 폭은 73㎜이다. 이러한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의 높이, 즉, 배수용 상판(2)의 높이는 약 44㎜이고, 장식재 설치부(3)의 높이는 28㎜로서, 장식재 설치부(3)와 트랜치(11) 사이의 약 16㎜의 공간에 의해 배수 통로(9)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배수 통로(9)의 크기는 상기된 바와 같이 장식재 설치부(3)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크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대략 20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보강재(5)에 의해 그 지지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곡선의 배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1)은 곡선의 배수로(10)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배수로(10)의 곡선 부분에 위치되는 그레이팅(1)은 그레이팅(1)이 형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레이팅(1)이 곡선 배수로(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절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곡선의 배수로(10)에 배치될 그레이팅(1)은 그레이팅(1)의 각 부분을 설치될 배수로(10)의 형상에 따라서 강편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각 부분을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의 구조와 같이 용접한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의 배수로(10)에 설치될 수 있는 곡선의 그레이팅(1)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에 의하면,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가 그레이팅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주위 환경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그레이팅과 비교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이 곡선의 배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레이팅 2 : 배수용 상판
3 : 장식재 설치부 4 : 장식재
5 : 보강재 6a, 6b : 단부판
7a : 수형 부재 7b : 결합공
8, 12 : 배수공 9 : 배수 통로
10 : 배수로 11 : 트랜치

Claims (4)

  1. 양측부에 위치되어 다양한 문양의 배수공(8)이 형성되는 배수용 상판(2)들;
    상기 배수용 상판(2)들 사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배수용 상판(2)들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용 상판(2)과의 사이에 배수 통로(9)를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장식재(4)가 설치되는 장식재 설치부(3);
    상기 배수용 상판(2)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3)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용 상판(2)과 상기 장식재 설치부(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5)들; 및
    상기 중공 형태의 배수용 상판(2)의 단부를 각각 폐쇄하는 한 쌍의 단부판(6a,6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6a,6b)들은 이웃하는 그레이팅과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수형 부재(7a)와 상기 수형 부재(7a)가 삽입되는 결합공(7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재 설치부(3)는 상기 장식재 설치부(3)에 설치되는 장식재(4) 내로 침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12)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재(4)는 벽돌, 대리석, 자갈, 유리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20-2005-0005270U 2005-02-28 2005-02-28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200385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270U KR200385378Y1 (ko) 2005-02-28 2005-02-28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270U KR200385378Y1 (ko) 2005-02-28 2005-02-28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378Y1 true KR200385378Y1 (ko) 2005-05-27

Family

ID=4368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270U KR200385378Y1 (ko) 2005-02-28 2005-02-28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3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021B1 (ko) * 2007-02-08 2007-07-25 오웅배 배수로 덮개
KR100779563B1 (ko) * 2007-02-08 2007-11-28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0479998Y1 (ko) 2014-09-23 2016-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렌치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021B1 (ko) * 2007-02-08 2007-07-25 오웅배 배수로 덮개
KR100779563B1 (ko) * 2007-02-08 2007-11-28 오웅배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0479998Y1 (ko) 2014-09-23 2016-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렌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4663A1 (en) Interlocking fencing system
KR100992529B1 (ko) 조립식 강지보
KR101798039B1 (ko) 내화강판과 콘크리트 판의 합성구조를 가지는 내화 풍도 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20170035128A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385211Y1 (ko)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100724021B1 (ko)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KR200385378Y1 (ko) 장식용 강판 그레이팅
KR100866971B1 (ko) 선택적 방향으로의 단면강성이 우수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100882219B1 (ko) 방음벽
KR20190023290A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100784191B1 (ko)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EP3359743B1 (en) Water barrier element
KR20050080092A (ko) 구멍강판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부분매입형 합성바닥판시스템
KR101308980B1 (ko) 온실 구조물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100726396B1 (ko) 조립식 탱크의 하부 지지 구조 및 조립식 탱크용 하부 패널
KR20090062543A (ko) 친환경 구조를 가지는 그레이팅
JP2017166188A (ja) 板状塀用基礎部材
EP1972736B1 (en) System comprising a beam, a corrugated sheet and a connector
KR200425920Y1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