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16Y1 -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16Y1
KR200284816Y1 KR2019960046370U KR19960046370U KR200284816Y1 KR 200284816 Y1 KR200284816 Y1 KR 200284816Y1 KR 2019960046370 U KR2019960046370 U KR 2019960046370U KR 19960046370 U KR19960046370 U KR 19960046370U KR 200284816 Y1 KR200284816 Y1 KR 200284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support pin
open state
support structure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461U (ko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6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열림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바디에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을 설치하여 트렁크리드의 열림시 지지핀이 힌지암의 저면에 받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열림상태의 트렁크리드가 무단으로 닫혀지지 않도록 하여 트렁크리드의 개폐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열림상태 지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열림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바디에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을 설치하여 트렁크리드의 열림시 지지핀이 힌지암의 저면에 받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열림상태의 트렁크리드가 무단으로 닫혀지지 않도록 하여 트렁크리드의 개폐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트렁크리드는 단순히 토션바아에 의하여 열림력만 부여되는 상태이며 토션바아는 일정기간 사용후의 소형변형이 발생되어 비틀림토크의 저하에 따른 리드의 처짐을 감안하여 초기에 적정토크보다 높은 비틀림 모멘트를 설정하게 되는 관계로 트렁크리드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열림력이 과다하여 풀 오픈상태에서 수회의 튕김현상이 초래되는 것으로 트렁크리드의 개방감이 매우 불량하게 되며 또한 트렁크리드를 닫을 때 세게 눌러야 하는 것이므로 소음의 발생이 심하게 되는 것이며, 트렁크리드의 오픈 상태에서 작업하는 도중 역방향의 바람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갑자기 닫혀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사례가 흔하여 불의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의 바디에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을 설치하여 트렁크리드의 열림시 지지핀이 힌지암의 저면에 받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열림상태의 트렁크리드가 무단으로 닫혀지지 않도록 하여 트렁크리드의 개폐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렁크리드의 열림상태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3 : 전후방 유통공
4 : 지지핀 5,6 : 상하 경사면
7: 탄발 스프링
본 고안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열림위치 고정구조는 도2에서와 같이 차체에 고정설치되며 전후방의 유통공(2)(3)을 구비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하 경사면(5)(6)을 구비하는 지지핀(4)과; 상기 지지핀(4)의 선단부가 하우징(1)의 외부로 상시 돌출력을 갖도록 탄발력을 부여하여 주기 위한 탄발 스프링(7)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는 트렁크리드이며, (11)는 힌지암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의 실선상태는 트렁크리드(10)가 닫혀져 있는 상태로서 지지핀(4)의 선단부는 탄발스프링(7)에 의해 전방 유통공(2)을 통해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렁크리드(10)의 로킹을 해제하게 되면 토션바아의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힌지암(11)이 상향회동되면서 트렁크리드(10)가 오픈되는 것으로 힌지암(11)의 상면이 지지핀(4)의 하측 경사면(6)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경사면(6)에 힌지암(11) 끝단이 걸려 계속 힘의 작용방향이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지지핀(4)이 힌지암(11)의 회동력에 의해 지지핀(4)을 내측으로 밀어 내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트렁크리드(10)의 과도한 개방력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힌지암(11)의 회동력에 의해 지지핀(4)의 하측 경사면(6)을 통과하면 밀려 들어갔던 지지핀(4)이 탄발스프링(7)에 의해 초기위치로 돌출되어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상측 경사면이 힌지암(11)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여 트렁크리드(10)의 열림상태를 유지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한편 트렁크리드(10)를 닫아 주게 되면 힌지암(11)이 하향 회동되면서 지지핀(4)의 상측 경사면(5)을 눌러 줌과 동시에 힌지암(11)의 하향 회동력에 의해 지지핀(4)을 내측으로 밀어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이상태에서 트렁크리드(10)의 과도한 닫힘력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힌지암(11)의 회동력에 의해 지지핀(4)의 상측 경사면(5)을 통과하면 밀려 들어갔던 지지핀(4)이 탄발스프링(7)에 의해 초기위치로 돌출되며, 트렁크리드(10)는 로킹구조에 의해 로킹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트렁크리드의 과다한 개폐력을 지지핀의 상하 경사면에서 완충시켜 주게 되는 것이므로 트렁크리드의 튕김현상이 방지되어 트렁크리드의 개폐동작을 소음 발생없이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지지핀의 탄발력에 의해 트렁크리드의 오픈 상태를 홀딩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하는 도중 외력에 의해 트렁크리드가 갑자기 닫혀지는 경우를 배제시켜 줄 수 있게 되어 불의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안전도를 크게 개선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설치되며 전후방의 유통공(2)(3)을 구비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하 경사면(5)(6)을 구비하는 지지핀(4)과; 상기 지지핀(4)의 선단부가 하우징(1)의 외부로 상시 돌출력을 갖도록 탄발력을 부여하여 주기 위한 탄발 스프링(7)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열림상태 지지구조.
KR2019960046370U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284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70U KR200284816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70U KR200284816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61U KR19980033461U (ko) 1998-09-05
KR200284816Y1 true KR200284816Y1 (ko) 2002-11-01

Family

ID=5398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370U Expired - Lifetime KR200284816Y1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291B1 (ko) * 2013-12-23 2019-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61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US7017956B2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US20050206173A1 (en) Tailgate latch structure of vehicle
KR100887852B1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200284816Y1 (ko)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KR10034685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장치
KR100560246B1 (ko) 연료주입도어 장착구조
KR970006969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KR200214594Y1 (ko) 트렁크 리드의 링크 구조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200173042Y1 (ko) 후방승객 전용 미러장치
KR19980011598U (ko) 승합차용 슬라이드도어의 연료캡 개방시 개방방지장치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0114599Y1 (ko) 자동차 해치도어(hatch door)의 유동방지장치
KR10047131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950004171Y1 (ko) 버스의 화물실 도아 잠금장치
KR20030014021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0118186Y1 (ko) 도어래치의 록킹장치
JP2025019826A (ja) リッド装置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0112404Y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100482664B1 (ko)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0119979Y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스톱퍼 기구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20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10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7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