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909Y1 - 누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누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909Y1
KR200279909Y1 KR2020020007533U KR20020007533U KR200279909Y1 KR 200279909 Y1 KR200279909 Y1 KR 200279909Y1 KR 2020020007533 U KR2020020007533 U KR 2020020007533U KR 20020007533 U KR20020007533 U KR 20020007533U KR 200279909 Y1 KR200279909 Y1 KR 20027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device
leakage blocking
sealing portion
gap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엠피기술산업
Priority to KR202002000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909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물의 누수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틈새에 삽입되는 시일링부와; 상기 시일링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에 노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의 형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차단장치 {Water-Cutoff Seal}
본 고안은, 누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물의 누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확장교량 및 대형건물 등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물 사이에는 연결틈새가 존재한다. 이러한 연결틈새를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빗물이나 눈으로 인해 연결틈새로 누수가 되어 구조물 및 교량상판의 밑면에 부식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또한 연결틈새에서의 누수 및 이물질의 낙하로 인해 교량 밑으로 주행하는 차량이나 이동중인 보행자들에게 많은 불편 및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연결틈새로의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차단장치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25353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누수차단장치는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배치된 교량의 중앙분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누수덮개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누수차단장치인 누수덮개는 교량 중앙분리대의 상부에 볼트체결됨으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볼트체결을 위해 교량의 중앙분리대에나사공을 형성해야하며,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앙분리대가 교량의 일측에만 존재하는 경우에 누수덮개를 설치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의 형태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누수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와 구조물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누수차단창치 11 : 시일링부
13a,13b : 커버부 15 : 맞물림돌기
17 : 맞물림홈 19 : 기밀리브
50a,50b : 교량 51a,51b : 중앙분리대
53 : 연결틈새 55 : 상판
70a : 제1구조물 70b : 제2구조물
73a,73b : 전면부
75a : 측면부 75b : 상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물의 누수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틈새에 삽입되는 시일링부와; 상기 시일링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에 노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틈새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에 접촉되며, 상기 시일링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일링부와 상기 커버부는 상호 맞물림 결합하는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을 가지며, 상기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은 더브테일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시일링부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틈새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일링부와 상기 커버부는 상호 맞물림 결합하는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을 가지며, 상기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은 더브테일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은 상기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소정의 상판을 갖는 교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10a)는, 일측 교량(50a)에만 중앙분리대(51a)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교량(50a,50b)의 연결틈새(53)에 삽입되는 시일링부(11)와, 시일링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교량(50a)의 중앙분리대(51a) 일측면과 교량(50b)의 상판(55)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부(13a)를 가진다.
시일링부(11)는 연결틈새(53)에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대략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시일링부(11)의 상부에는 후술할 커버부(13a)의 더브테일 형상의 맞물림홈(17)에 결합하는 맞물림돌기(15)가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돌기(15)는 시일링부(11)의 상부판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이에, 시일링부(11)의 맞물림돌기(15)는 길이방향으로 끼워맞춤이 가능하고 가로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시일링부(11)의 양측면에는 연결틈새(53)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밀리브(19)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13a)는 일측이 절단된 대략 반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시일링부(11)의 맞물림돌기(15)와 맞물리는 맞물림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홈(17)은 시일링부(11)의 맞물림돌기(15)에 대응하여 커버부(13a)의 하부판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3a)의 하부는 커버부(13a)가 교량(50b)의 상판(55) 상부에 걸쳐지도록 연결틈새(53)보다 더 큰 폭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10a)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시일링부(11)와 커버부(13a)를 결합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교량(50a,50b)사이에 형성된 연결틈새(53)에 시일링부(11)를 삽입하여 시일링부(11)의 기밀리브(19)를 연결틈새(53)의 양측벽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커버부(13a)로 연결틈새(53)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10a)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양측 교량(50a,50b)에 중앙분리대(51a,51b)가 배치된 경우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10b)는, 교량(50a,50b)의 중앙분리대(51a,51b)사이에 형성된 연결틈새(53)에 삽입되는 시일링부(11)와 시일링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교량(50a,50b)의 중앙분리대(51a,51b) 상부에 부착되는 대략 반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커버부(13b)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는 교량(50a,50b)의 연결틈새(5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배치된 중앙분리대(51a,51b)를 가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를 교량에 설치한 상태도로써,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교량(50a,50b)에 중앙분리대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10b)를 사용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누수차단장치와 구조물의 상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근접하여 추가로 구조물이 증축되는 경우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구조물(70a)과 제2구조물(70b)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틈새(5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구조물(70a)의 전면부(73a)와 제2구조물(70b)의 전면부(73b)에 형성된 연결틈새(53)에는 전술한 누수차단장치(10b)를 설치하며, 제1구조물(70a)의 측면부(75a)와 제2구조물(70b)의 상부(75b)에 형성된 연결틈새(53)에는 전술한 누수차단장치(10a)를 설치함으로써, 두 구조물사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 연결틈새(53)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지붕이나 바닥 등에서 형성되는 연결틈새 및 전술한 실시예외에 교량에서 발생되는 연결틈새 등에도 전술한 누수차단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일링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적합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수팽창고무(Water-Repellent Rubb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링부(11)의 단면형상은 대략 사각형이나, 연결틈새(53)에 효과적으로 삽입 가능한 반타원형 및 다른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기밀리브(19)는 시일링부(11)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양측면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틈새(53)의 측벽에 접촉하여 효과적으로 기밀을 유지하고, 시일링부(11)가 연결틈새(53)에 용이하게 삽입되나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다른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커버부(13a,13b)는 압출성형된 플라스틱류가 바람직하나 금속류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커버부(13a,13b)의 단면형상은 반타원형 이나, 부착되는 구조물의 형태 및 사용방법에 따라서 사각형 및 다른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시일링부(11)와 커버부(13)의 맞물림돌기(15)와 맞물림홈(17)은 상호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시일링부(11)와 커버부(13)가 일체형으로 압출성형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제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차단장치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연결틈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시일링부와, 시일링부에 결합되어 구조물의 상부 및 측면에 노출되는 커버부를 가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시일링부를 연결틈새에 탄성적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커버부가 연결틈새를 덮으므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의 형태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누수차단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물의 누수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틈새에 삽입되는 시일링부와;
    상기 시일링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에 노출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틈새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상기 구조물의 외측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틈새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와 상기 커버부는 상호 맞물림 결합하는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돌기와 맞물림홈은 더브테일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연결틈새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소정의 상판을 갖는 교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차단장치.
KR2020020007533U 2002-03-14 2002-03-14 누수차단장치 KR20027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33U KR200279909Y1 (ko) 2002-03-14 2002-03-14 누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33U KR200279909Y1 (ko) 2002-03-14 2002-03-14 누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909Y1 true KR200279909Y1 (ko) 2002-07-02

Family

ID=7305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533U KR200279909Y1 (ko) 2002-03-14 2002-03-14 누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9909Y1 (ko) 누수차단장치
KR20060091619A (ko) 건설 구조물의 이음부 연결용 방수 조인트
KR20120004100U (ko) 빗물 막이
JP4588254B2 (ja) 開口部改装用額縁
JP5385168B2 (ja) 通気見切材の端部部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KR102147949B1 (ko) 배수로를 갖는 방음판 조립구조체
KR200254909Y1 (ko) 출입구용 차수막
JP4602525B2 (ja) 外壁目地の止水構造
JP3984987B2 (ja) 縦葺き型金属屋根板同士間の防水連結構造
JP6894822B2 (ja) パネル構造体
JP3782417B2 (ja) ガラス壁の結露水の排水構造
JP3657564B2 (ja) 建物の外壁防水構造
JPH09209549A (ja) 床パネルの接合構造
JP2006316452A (ja) 断熱下地材および断熱外装構造
JP4248437B2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ガスケット部材
JP3608828B2 (ja) 伸縮継手の取付構造
JP2500014Y2 (ja) 外装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0045406A (ja) 開口部周囲の防水構造
JPS5846211Y2 (ja) 枠材連結部の水密構造
JPH0516328Y2 (ko)
JPS606491Y2 (ja) カ−テンウォ−ル、サッシ等を取付ける為の継部材と横部材の結合部の水密、気密構造
JP6706090B2 (ja) 目地縁切部材
JP2811625B2 (ja) 一体成型ガスケット
JPH0217051Y2 (ko)
JP2004011349A (ja) ブロック製品の地盤沈下対応可撓接合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可撓接合型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