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750Y1 -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 Google Patents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750Y1
KR200279750Y1 KR2020020009952U KR20020009952U KR200279750Y1 KR 200279750 Y1 KR200279750 Y1 KR 200279750Y1 KR 2020020009952 U KR2020020009952 U KR 2020020009952U KR 20020009952 U KR20020009952 U KR 20020009952U KR 200279750 Y1 KR200279750 Y1 KR 200279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edium
culture
stacked
mushro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이석훈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2020020009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750Y1/ko

Links

Landscapes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측부를 개방시킨 배출부를 형성시키고, 몸체 상단의 각 모서리부분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결합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다수개 운반용 상자를 한번에 적재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해 적은 살균, 배양실 면적에서도 많은 배지를 배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시설비 및 투자비의 소요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배양실로의 배지이동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 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잡균의 오염을 막아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A carryiage's and culture's box for mushromm badge}
본 고안은 버섯을 배지를 형성시키고 균주를 접종한 다음 배양실에서 배양하기 위한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며, 상자에 형성된 배지를 다수개 결합하여 배양할 수 있어 버섯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양실로 이동시 잡균의 오염을 막아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의 육류를 대신할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연구보고에 의하여 버섯의 효능을 인정받아 식품대용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서도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버섯의 효능을 인하여 그 수요가 늘어나면서 버섯을 인공재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버섯을 인공재배하는 방법으로는 폐면, 톱밥, 미강, 면실피, 또는 잡곡류 등을 조합하여 영양분을 갖는 배지를 형성하고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배지에 버섯의 원균을 접종하고 배양실로 옮겨 일정기간동안 배양 및 생육하여 버섯을 생산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버섯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발효된 배양배지를 형성시키고 원균을 접종하여 배양실로 옮기는 방법에는 크게 균상재배, 상자재배, 봉지재배, 병재배방식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균상재배 방식은 고정된 균상에서 솜털기, 물축이기, 야외발효를 완료한 배지를 배지상자나 바구니에 퍼담아 균상에 약 10㎝ 두께로 고르게 핀 다음, 살균과 후발효과정을 거쳐 종균을 접종해서 약 20일간 배양하고 버섯을 생육시켜 수확하는 방식으로 보통 4 ~ 6주기를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균상재배의 장점은 한번의 재배과정으로 여러주기를 수확할 수 있고,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며, 단점으로는 노동력이 많이 들고, 집약적이며, 배양까지의 과정이 까다로워 운반중 잡균에 의하여 오염될 확률이 크다는 것이다.
상자재배방식은 소정의 크기의 상자에 비닐을 깔고 털기와 물축이기, 야외발효를 한 배지를 5 ~ 12㎝ 두께로 담근 후 살균 및 후발효 과정을 거쳐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실에서 배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자재배방식은 어느 정도의 기계화가 가능하고 연중 계획생산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지의 소형화로 인해 버섯의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주기가 오래가지 못하며, 노동력이 분산되기는 하나 총 노동력에서는 오히려 균상재배보다 더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봉지재배방식은 소정의 크기의 비닐봉지에 톱밥, 미강, 면실피 등을 조합하여 배지를 형성하고, 조합된 배지에 물축이기를 한 후 담아서 완전 살균하고 무균함(크린베치)에서 원균을 접종한 다음, 배양실에서 일정기간을 배양하게 된다.
이러한 봉지재배는 기계화가 상당부분 가능하며, 연중 계획생산의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기계화를 위한 고액의 투자비가 소요되며또한 배지의 소형화로 인해 버섯의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주기가 1 ~ 2회로 한정되어 생산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병재배방식은 소정의 용량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 병용기에 톱밥, 미강, 면실피 등이 조합된 배지를 조성하고, 상기 배지를 물축이기 한 후, 담아서 완전살균하여 무균함에서 종균접종한 다음 배양실에서 일정기간을 배양하게 된다.
이러한 병 재배방식은 작업의 전과정이 기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연중 계획 생산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기계화를 위한 고액의 투자비가 소용되며, 버섯의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확을 1회밖에 할 수 없어서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단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고, 구조설비와 인건비에 대한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상자에 형성된 배지를 다수개 결합하여 배양실에서 배양이 가능하므로 다량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잡균의 오염을 막아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 및 배양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운반 및 배양용 상자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운반 및 배양용 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반용 상자
10 ; 몸체
11 ; 배출부
20 ; 결합부
21 ; 받침부
30 ; 결합홈
200 ; 받침대
300 ; 제1 필름층
400 ; 발효배지
500 : 제2 필름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면에 배지를 꺼낼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 모서리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4개 이상의 결합부와,
몸체의 하측 모서리에는 결합부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와 결착될 수 있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 및 배양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반 및 배양용 상자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운반 및 배양용 상자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일측면에 배지를 꺼낼 수 있도록 배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형의 몸체(10)가 있고, 상기 몸체(10)의 상측 모서리에는 적층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결합부(20)가 적어도 4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의 하측 모서리에는 몸체(10) 상측에 설치된 결합부(20)와 대응되는 모양을 갖는 결합홈(30)이 결합부(20)와 동일한 수 만큼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버섯재배용 상자(100)의 구성부에 있어서, 먼저 몸체(10)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모양은 육면체형으로 내부에는 배지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형성시킨 배지를 꺼내기 위하여 외부와 개방된 배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자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결합부(20)의 경우에는 몸체(10)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부(20)는 다른 운반용 상자(100)를 적층시키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안정적인 운반용 상자(100)의 적층을 위하여 적어도 4개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부(20)에 있어서 상단에 적층된 상자(100)가 하단에 적층된 상자(10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부(21)를 형성시키게 되면 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운반용 상자(100)를 다수개 적층시 받침부(21)로 인하여 상단에 적층된 상자(100)와 하단에 적층된 상자(100)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관시 상자(100) 내부로 공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고, 운반용 상자(100)를 대형화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공간부에 의하여 지게차와 같은 특수장비로 쉽게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결합홈(30)은 몸체(10)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 상측에 설치된 결합부(20)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홈(30)은 결합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어 각각 상자(100)들간의 적층시 결합홈(30)과 결합부(20)가 서로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운반용 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3a 내지 3c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운반용 상자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3a에서는 운반용 상자의 바닥에 마대나 비닐과 같은 받침대(200)를 깔고, 상기 받침대(200)에 상자 외부로 돌출될 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 제1 필림층(300)을 적층시킨 다음, 상기 제1 필름층(300) 위에 야외발효된 발효배지(400)를 조성시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3b에서는 도 3a에서와 같이 발효배지(400)를 조성시키고, 배양실로 운반한 다음, 발효배지(400)의 상단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필림층(500)을 덮고, 다시 제1 필름층(300)으로 덮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자(100)에 배지를 형성되면 살균처리하고, 제2 필림층(5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원균을 배지에 접종한 후, 외부로 돌출된 제1 필름층(300)을 덮고 배양실에서 배양하게 된다. 제2 필름층(500)을 덮는 제1 필름층(300)에는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어 운반중에 상자(100) 내부로 충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c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배양실에서 배양이 완료된 상자(100)는 배출부(11)를 통하여 가장 하면에 적층된 받침대(200)를 소정의 힘으로 끌어 당기게 되면, 받침대(200)의 상면에 적층된 배양이 완료된 배지(400)도 더불어 나오게 되어 용이하게 배지(400)를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버섯배지 운반용 상자는 다수개 상자를 한번에 적재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해 작은 살균, 배양실 면적에서도 많은 배지를 배양할 수 있어 시설비 투자비가 적게 들고, 배지이동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 일 수 있으며, 한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배지를 담을때 마대와 비닐을 깔고 담은 후 배양이 완료되면 마대를 끌어당겨 배지를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섯배지 운반용 상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의 기본적인 개념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는 일측부를 개방시킨 배출부를 형성시키고, 몸체 상단의 각 모서리부분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결합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다수개 운반용 상자를 한번에 적재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해 적은 살균, 배양실 면적에서도 많은 배지를 배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시설비 및 투자비의 소요경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배양실로의 배지이동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 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잡균의 오염을 막아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면에 배지를 꺼낼 수 있도록 배출부(11)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측 모서리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4개 이상의 결합부(20)와,
    몸체(10)의 하측 모서리에는 몸체(10) 상측에 설치된 결합부(20)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0)와 결착될 수 있는 결합홈(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 운반용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가 상단에 적층된 상자(100)와 하단에 적층된 상자(10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는 받침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 운반용 상자.
KR2020020009952U 2002-04-02 2002-04-02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KR200279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52U KR200279750Y1 (ko) 2002-04-02 2002-04-02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52U KR200279750Y1 (ko) 2002-04-02 2002-04-02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750Y1 true KR200279750Y1 (ko) 2002-06-24

Family

ID=7312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952U KR200279750Y1 (ko) 2002-04-02 2002-04-02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7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36B1 (ko) * 2008-07-16 2011-03-23 강철구 양송이 재배용 접종 배지의 생산 및 입상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3580U (ko) 2016-04-06 2017-10-17 이화의 버섯배지 상자세트
KR102590866B1 (ko) * 2023-07-10 2023-10-19 에콜그린텍(주) 버섯 균사체매트 배양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36B1 (ko) * 2008-07-16 2011-03-23 강철구 양송이 재배용 접종 배지의 생산 및 입상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3580U (ko) 2016-04-06 2017-10-17 이화의 버섯배지 상자세트
KR102590866B1 (ko) * 2023-07-10 2023-10-19 에콜그린텍(주) 버섯 균사체매트 배양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8982A (zh) 一种海鲜菇液体菌种制种培养基、栽培培养基及栽培方法
CN104737774A (zh) 一种用竹制容器生产养殖食用菌的方法
CN104186202B (zh) 一种工厂化生产香菇透气菌包的方法
CN110946037A (zh) 一种杏鲍菇工厂化栽培选育方法
KR200279750Y1 (ko)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KR20140127390A (ko) 유색팽이버섯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101679243B1 (ko) 버섯 재배키트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JP2010029097A (ja)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CN206078185U (zh) 食用菌糕培植装置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2183105B1 (ko)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JP2000069845A (ja) キノコの子実体を容器で栽培する方法
JP5325924B2 (ja) エノキ茸の人工栽培方法
KR100332317B1 (ko) 신령버섯 종균 및 그 자실체 생산방법
KR100287990B1 (ko)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20100041668A (ko) 표고버섯 상자 재배방법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CN205082285U (zh) 一种食用菌无土堆叠栽培床
CN214422593U (zh) 曲块发酵室结构
KR20080049895A (ko) 버섯 생육지지틀
JPH03112417A (ja) 椎茸の菌床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容器
CN1030683A (zh) 食用菌集约化栽培工艺
JP2009165442A (ja) 椎茸の熟成人工榾木の製造方法
KR20170003580U (ko) 버섯배지 상자세트
CN111512886A (zh) 一种杏鲍菇双侧出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