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30Y1 -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 Google Patents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30Y1
KR200279530Y1 KR2020010033741U KR20010033741U KR200279530Y1 KR 200279530 Y1 KR200279530 Y1 KR 200279530Y1 KR 2020010033741 U KR2020010033741 U KR 2020010033741U KR 20010033741 U KR20010033741 U KR 20010033741U KR 200279530 Y1 KR200279530 Y1 KR 200279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reshness
food
top plate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희
Original Assignee
이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희 filed Critical 이옥희
Priority to KR2020010033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30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은 상부면에 원주상 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공(3)이 형성된 상판(1)과, 얼음(6)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판(1)을 지지할 수 있는 단턱부(4)가 상부 내주연부에 형성된 하판(2)으로 구성되어서 상판(1)에 놓여지는 식품의 신선도를 계속하여 유지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A TRAY PRESERVING FRESHNESS}
본 고안은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쟁반의 하부에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주도록 공간부에 얼음을 수용한 후 상부에 통공이 형성된 상판을 결합한 후 상판상에 식품을 얹어놓아서 식품의 신선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쟁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쟁반은 내측 바닥면이 편평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특히, 음식점에서, 예컨대 생선회를 담는 쟁반은 통상의 쟁반 바닥면을 무채와 같은 것으로 채운후 무채위에 생선회를 가지런히 올려놓아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의 쟁반에 담기 생선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그 신선도가 감소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생선회의 신선도가 감소되면 생선회를 먹는 소비자의 식욕이 감소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이와같은 식욕감소는 영업소의 매출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선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쟁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다.
도1은 본 고안의 쟁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하판
3 : 통공 4 : 단턱부
5 : 공간부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쟁반내에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주도록 얼음(6)과 같은 냉각 열원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5)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5) 상에 얼음(6)을 수용한 후 이 공간부(5)를 밀폐시켜줄 수 있고 얼음(6)으로 고온의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통공(3)들이 형성되며 식품(8)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1)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은 식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1)과, 이 상판(1)을 지지함과 동시에 찬 에너지를 상판(1)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하판(2)으로 구성된다.
상판(1)은 얼음(6)으로 식품의 에너지가 전달할 수 있도록 원주상으로 다수의 통공(3)이 형성된다.
도2에 본 고안 쟁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단면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은 상판(1)을 수용하고 상판에 올려놓은 식품의 열을 흡수하도록 얼음(6)을 수용하는 공간부(5)가 형성되게 상부 내주연부에 소정 폭의 수평한 단턱부(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판(1)상에 놓여진 것은 식품, 예컨대 생선회와 같은 식품과 상판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놓여지는 무채(7)이고, 이 무채(7)위에 식품(8)이 놓여진다.
그리고, 하판(2)의 공간부(5)내에 수용된 것은 상부의 식품(8)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얼음(6)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공간부(5)내에 얼음(6)을 수용한 후 상판(1)을 단턱부(4)에 걸려지게 한다. 그리고, 상판(1) 상에 무채(7)를 가지런히 올려놓으면 얼음(6)에서 발생되는 찬에너지가 상판(1)의 통공(3)들을 통과하여 계속하여 무채(7)사이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생선회와 같은 식품(8)을 무채(7)위에 배열하면 소비자에게 접대를 하면 쟁반상의 식품(7)은 무채사이로 전달되는 찬에너지에 의해 처음과 마찬가지로 신선도가 지속적으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은 쟁반내에 간단히 얼음을 수용한 후 그 위를 밀폐시키나 통공을 통해서 얼음으로부터 발생되는 찬공기가 상판의 식품으로 전달되도록 하여서 쟁반내에 올려진 식품의 신선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이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을 이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에 더욱 적절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다수의 통공(3)이 형성되고 식품(8)이 놓여지는 상판(1)과, 이 상판(1)을 지지하는 단턱부(3)와 얼음(6)이 수용되는 공간부(5)를 갖는 하판(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KR2020010033741U 2001-11-03 2001-11-03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KR200279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41U KR200279530Y1 (ko) 2001-11-03 2001-11-03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41U KR200279530Y1 (ko) 2001-11-03 2001-11-03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30Y1 true KR200279530Y1 (ko) 2002-06-24

Family

ID=7311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741U KR200279530Y1 (ko) 2001-11-03 2001-11-03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1194A (en) Food serving and storage container
US4286440A (en) Compartment cooler
IE41601L (en) Food storage device
JPH05193675A (ja) 食品を入れた受容器の冷凍又は温輸送用断熱包装
KR101244751B1 (ko)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IL43755A (en) Equipment for storing and simultaneously refrigerating and/or heating dishes of food and presenting these to consumer
KR200279530Y1 (ko) 신선도가 유지되는 쟁반
JPS63294370A (ja) 保冷容器
KR200264461Y1 (ko) 과일용 난좌
JPH10291572A (ja) 蒸し器兼用食品包装容器
KR200366160Y1 (ko) 용기
US1952026A (en) Refrigerant receptacle
DK0988816T3 (da) Stabelbart isoleret æggeserveringsorgan
KR0127005Y1 (ko) 소형 떡시루 셋트
KR200176947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KR101546913B1 (ko) 부분 보온용 접시
JP2006204690A (ja) 生鮮食品用保冷台
JP3100849U (ja) 冷凍食品用トレイ
KR200188497Y1 (ko) 음식용 냉각 받침
CN208119835U (zh) 一种物流保温箱
JP2018204902A (ja) 保冷庫
KR20170138088A (ko) 육류의 신선도 상승과 쉬운 포장이 가능한 육류포장박스
JPH0411987Y2 (ko)
KR200223057Y1 (ko) 단체급식용 반찬용기
JPS63335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