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751B1 -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751B1
KR101244751B1 KR1020067027093A KR20067027093A KR101244751B1 KR 101244751 B1 KR101244751 B1 KR 101244751B1 KR 1020067027093 A KR1020067027093 A KR 1020067027093A KR 20067027093 A KR20067027093 A KR 20067027093A KR 101244751 B1 KR101244751 B1 KR 10124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ood
insulating member
pan
therm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338A (ko
Inventor
대럴 제이. 워커
웨인 더블유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더 델필드 컴퍼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델필드 컴퍼니,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델필드 컴퍼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3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9/00Devices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and not covered by groups F25D1/00 - F25D7/00; 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D1/00 - F25D7/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52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cooled storag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허용할 수 있는 온도로 식품을 유지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은 열 전도성 벽을 가진 팬과 열 전도성 벽을 둘러싸는 제1부재와, 제1부재와 열 전도성 벽 사이에 형성된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제1구역에서 팬과 접촉하는 채널 내에 있는 유체와, 팬을 냉각하는 열 전도성 벽의 일 부분에 연결된 냉장 코일을 갖는다.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부가로 열 전도성 벽의 제1부분을 둘러싸는 제2부재를 구비한다. 제2부재와 유체는 열 전도성 벽의 제1부분에서 최대 열전달을 한다. 제2부재는 열 전도성 벽의 제2구역에서 최소 열전달을 한다.
냉장 코일, 열 전도성 벽, 팬, 채널, 절연부재, 냉각기, 구획부, 배관.

Description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FOR A FLUID IMMERSED VESSEL}
본 발명은 식품(food) 서비스 산업에 사용되는 냉장 시스템(refriger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팬(pan) 내에서, 오랜 시간동안 저온에서, 그리고 균일한 온도로 식품을 유지할 수 있는 서빙 팬 조립체(serving pan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당 기술에서 손님접대 만찬, 케이터링(catering) 및 식품 서비스에 사용되는 냉장 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상기 사용의 일 예로서 샐러드 바아를 들 수 있다. 흔히, 샐러드 상추(lettuce)와 상관 품목은 일정 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행로에 있는 냉장 시스템에 보관된다. 영업시간 중에, 고객이 샐러드를 찾을 때에, 식품 서비스 사원 또는 제공자는 고객이 접근하여 선택할 수 있게 상기 샐러드를 냉장 조립체에 담아 놓을 것이다. 일 타입의 샐러드 바아 장비에서는, 얕은 팬이 캐비닛 또는 서비스 카운터에 있는 다수의 노치 또는 구멍에 위치한다. 컨테이너는 노치에 배치된다. 다음, 적절한 시간에, 샐러드가 냉 컨테이너에 놓여진다. 상기 냉장 조립체에는 냉각기가 있을 것이다. 냉각기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의 식품을 냉각시킬 것이다.
잘만(Jarman)의 미국특허 5,247,807호와 브란도(Brando) 등의 미국특허 4,989,419호는 상기 냉장 조립체를 기재하였다. 잘만의 특허는 냉장 코일을 가진 챔버에 있는 컨테이너를 개시한 것이다. 상기 코일은 실질적으로 컨테이너의 전체 표면을 에워싸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은 냉장 코일이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내용물을 냉각할 것이기에, 그 운영에 결함이 있는 것이다. 흔히, 냉장 코일이 적절한 량으로 컨테이너의 정상부 부분을 냉각한다 하더라도, 냉장 코일은 컨테이너 바닥부를 과잉 냉각할 것이다. 이러한 과잉 냉각은 식품의 신선도와 전체 맛에 해롭게 작용한다.
브란도의 특허는 챔버를 가진 조립체를 개시한 것이다. 상기 챔버는 겔로 채워져 있다. 상기 겔은 오랜 시간 동안 팬의 차가움을 유지시켜준다. 그런데, 상술한 잘만의 특허와 같이, 상기 팬의 개방부인 팬의 정상부 부분에서 주변으로의 다량의 열전달로 인하여, 흔히, 냉각기는 정상부와 비교하여 과량으로 컨테이너의 바닥부를 냉각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잉 냉각은 팬의 냉각작용을 균일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불-균일한 냉각작용은 식품을 일 구역에서는 과도하게 냉각시키고 그리고 타 구역에서는 충분하지 않게 냉각시키어서, 식품의 맛을 해롭게 역효과를 미치고 상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팬 안에 있는 식품을 대체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 조립체의 필요가 있다.
또한, 팬 전체를 통해서 균일한 온도로 안에 있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팬을 가진 냉장 조립체의 필요도 있다.
상부 부분과, 상기 상부 부분과 접하는 다수의 냉장 코일을 가진 하부 부분 을 구비한 팬이 있는 그러한 냉장 조립체의 필요도 있다.
팬의 임의적으로 사전 선택된 구역의 냉각을 최대로 하기 위해 열적 전도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둘러싸는 겔을 가진 열적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 팬이 있는 냉장 조립체의 필요도 있다.
식품 서빙 카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그러한 냉장 조립체의 필요도 있다.
팬의 임의적 사전 선택된 구역에서의 냉각작용을 최소로 하기 위해 팬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는 절연부재를 가진 그러한 냉장 조립체의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의 허용할 수 있는 온도로 식품 생산물(food product)을 유지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은 열 전도성 벽을 가진 팬과 열 전도성 벽을 둘러싸는 제1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제1부재와 열 전도성 벽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제1구역에서 팬과 접촉하는 채널 내에 유체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부가로, 팬을 냉각하는 열 전도성 벽 부분에 연결된 냉장 코일과, 열 전도성 벽의 제1부분을 둘러싸는 제2부재를 구비한다. 제2부재와 유체는 열 전도성 벽의 제1부분에서 열전달을 최대로 하고 그리고 제2부재는 열 전도성 벽의 제2구역에서 열전달을 최소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절연물질로 형성된 제1부재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제1구역에서 제1폭을 갖고 그리고 제1구역에서 열전달을 최대로 하는 제2구역에서 보다 얇은 제2폭을 가진 채널과, 상기 보다 얇은 제2구역에서의 최소 열전달부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팬의 바닥부분에서 보다 얇은 제2구역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팬의 정상부를 둘러싸는 냉장 코일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식용 물질(edible substances)을 보유하는 서빙 팬을 구비하는 팬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글리콜 매체(glycol medium), 물, 및 글리콜 매체와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유체를 구비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유체 전달 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배관을 통해 순환하는 냉각제가 있는 내부를 가진 열 전도성 물질로 배관 형성된 냉장 코일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절연의 제1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기술되는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장 조립체의 일 부분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냉장 조립체를 분해하여, 제1서빙 팬의 일 부분을 사시도로 나 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3-3선을 따라 절취된 본 발명의 제1서빙 팬의 횡단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장 조립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냉장 조립체(10)가 카운터 타입 구성체(12)에 배치되는 것이다. 양호하게, 카운터 타입 구성체(12)에는 그 안에 냉각기(도시 않음)가 있다. 냉각기는 착탈식 냉각기이거나 또는 냉장 조립체(10)에 통합 설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상기 냉각기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 냉각기인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양호하게, 카운터 타입 구성체(12)는 카운터 타입 구성체의 정상부(18)에서 제1직각형태 구멍(14)과 제2직각형태 구멍(16)을 갖는다. 상기 구멍(14, 16)은 양호하게 상보적인 상관 형태로 이루어져 다른 형태의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 조립체(10)는 제1팬(20)과 제2팬(22)을 갖는다. 제1팬(20)은 제1직각형태 구멍(14)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2팬(22)도 제2직각형태 구멍(16)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카운터 타입 구성체(12)가 임의 수의 팬을 수용하도록 필요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리고 제공되는 식품에 따른 임의 수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는 카운터 타입 구성체(12)에서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카운터 타입 구성체 위에 있는 제1팬(20)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관리인이 선택적으로 제1팬 및/또는 제2팬을 들어올려서 제1팬(20) 또는 제2팬(22)을 제거하여, 희망하는 팬에서 식 품을 제거, 청소, 또는 보충하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제1팬 및/또는 제2팬을 다른 제3팬의 식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팬(20)은 그 위에 배치된 제1덮개(도시 않음)를 가지어서 제1팬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보다 많은 종류의 식품이 냉장 조립체(10)에 저장되게 선택적으로, 다른 상대적으로 소형인 팬(제1팬(20)과 제2팬(22)과 대비)을 제1팬과 제2팬에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분야의 기술인은 부가적으로, 냉각작용 대신에, 상기 조립체(10)를 간단히 개조하여 냉 또는 차가운 식품 대신에 따뜻한 식품을 저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임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운영 시에, 소비자는 셀프-서비스 환경에서 공급자에게서 나온 식품을 구매할 것이다. 소비자는 수동적으로 당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식기(plate)를 취하고, 덮개를 들어올리고, 그리고 온 또는 냉 식품을 상기 식기에 쌓아 놓을 것이다. 낮 또는 저녁 영업시간 동안에, 미리 선택된 받아들일 수 있는 온도로 식품을 보유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양호하게, 이러한 받아들일 수 있는 온도는 식품의 신선도를 보장하고, 식품의 맛을 보장하고, 식품의 품질을 보장하여서, 공급자의 수익이 최대이게 한다. 냉 보관에 적합한 식품의 바람직한 소망 온도는 약 0.6℃(약 33℉) 내지 약 5℃(약 41℉)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냉각되지 않은 또는 주변 식품 저장에 적합한 식품의 양호한 바람직한 온도는 약 30℃(약 86℉) 또는 그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범위에 있다.
당 기술에서 알려진 문제는 팬 안에 식품 내용물이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불균일한 방식은 여러 이유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첫째, 만일 냉각기가 부적절하게 위치하여 있으면, 상기 불균일한 냉각작용은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구역(26)에 있는 식품이 냉각되는 것보다 제1구역(24)에 있는 식품이 더 많이 냉각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제1구역(24)에 있는 식품이 과잉 냉각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제1구역(24)에 식품이 과잉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자는 냉각기를 조정하여 온도를 낮출 것이다. 이러한 냉각기의 온도를 낮추는 일은 의도하지 않게 제2구역(26)에 식품이 주변으로의 열전달로 인하여 온도가 올라가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잠재적인 해로움이며 그리고 제2구역(26)에 있는 식품의 맛을 손상하거나 또는 부정적 효과를 끼칠 수 있다. 셋째, 팬(20)의 기하학적인 형상과 팬에 쌓여 있는 식품으로 인해서, 팬에 있는 임의 구역이 팬에 있는 다른 구역과 비교하여 단위 시간 당(per unit time) 다른 비율로 열을 전달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제1팬(20)의 구멍 근처에 정상부에 있는 제2구역(26)은 따뜻한 주변 공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시간 당 증가된 냉각작용이 필요하다. 제1팬(20)의 바닥부에 있는 다른 제1구역(24)은 상기 팬의 바닥부에 있는 식품이 정상부에 적층된 식품으로 인해서 양호하게 격리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단위 시간 당 냉각작용이 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양호하게, 상기 팬(20)에서의 최대 열전달 구역에 있는 또는 개방 또는 제2구역(26) 근방에 있는 식품의 온도는 최대 약 0.6℃(약 33℉)로 설정된다. 팬(20)의 최소 열전달 구역에 있는 또는 식품이 팬의 정상부에 적층되는 제1구역(24)에 있는 식품의 양호한 온도는 최소 약 5℃(약 41℉) 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식품은 양호하게 제1팬(20)에서의 임의 구역에서 0.6℃(33℉) 미만으로 감온(cold)되지 않고 그리고 약 5℃(약 41℉) 이상으로 가온(warm)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상술된 결함을 제거하고 향상된 방법으로 팬을 양호하게 냉각하는 것이다. 냉장 조립체(10)는 일 저장 기구(예, 서빙 팬)의 서로 다른 구역에 있는 식품들이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소비자에 의한 소비용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온도에서 보관되게 하는 것이다.
도3은 도2의 3-3선을 따라 절취된 제1팬(20)의 횡단면도이다. 제1팬(20)은 양호하게 예를 들어 냉장 상추, 고기, 가금류, 치즈, 소스, 기타 야채 및, 그와 같은 종류의 것과 같은 식용 온 또는 냉 식품 물질을 보유하는 공간(28)을 갖는다. 당 기술분야의 기술인은 약 1인치의 1/16 내지 약 1인치의 3/8 범위의 직경을 가진 1개 이상의 추가 서빙 팬이 제1팬(20)의 공간(28)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팬(20)은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구리, 주석, 합성물질, 열 전도성 물질, 및 그 임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팬(20)은 스테인레스강 또는 알루미늄의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제1팬(20)은 대략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당 분야의 기술인은 제1팬 및/또는 제2팬(22)이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은 서로 상대적인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팬(20)은 추가로 외부 벽(30)을 갖는다. 외부 벽(30)은 양호하게 식품으로부터 냉장 조립체(10)로 열을 전달하여서 공간(28) 내의 식품을 신선하고 판매할 수 있는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양호하게, 외부 벽(30)은 정상부(32)와 상기 정상부와 마주하는 바닥부(34)를 갖는다. 가장 양호하게는 정상부(32)가 제1팬(20)의 엣지에 인접하여 있고 그리고 바닥부(34)는 양호하게 정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있는 것이다. 양호하게, 정상부(32)는 사용인이 소비를 위해 제1팬(20)의 공간(28)에서 1개 이상의 식품을 선택하여 가져갈 수 있는 제1팬(20)의 개방부에 인접하여 있다. 선택적으로, 정상부(32)는 추가로 립(lip)(도시 않음)을 구비하여 카운터 타입 구성체(12)와 결합한다. 상기 립은 부가로 제1팬(20)을 상기 제1 또는 제2직교 형태 개방부(14, 16)의 어느 하나에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양호하게, 정상부(32)와 상기 정상부에 인접하여 있는 제1팬(20)의 식품 내용물은 제1팬에 있는 나머지 식품 내용물 보다 빠르게 열을 전달할 것이다. 상기 식품 내용물은 정상부(32)가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 소비자가 덮개를 제거할 때에 주변 환경에 단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열을 전달할 것이다. 역으로, 제1팬(20)에 있으며 바닥부(34)에 인접하여 있는 식품 내용물은 정상부(32)에 인접하여 있는 식품에 비해 단위 시간 당 적게 열을 전달할 것이다. 바닥부(34)에 인접한 식품은, 상기 식품이 그 위에 적층된 다량의 식품에 의해 매우 양호하게 격리되기 때문에 빠르게 열을 전달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냉장 시스템(10)은 당 기술분야에서 알고 있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대부분의 기술은 냉장 및 냉각 량을 증가하여 임의 조립체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해결방식은 올바르지 않고 잘못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냉장 시스템(10)은 부가로 제2구획부(36)를 갖는다. 양호하게, 제2구획부(36)는 제1팬(20)의 공간(28)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가장 양호하게는, 제2구획부(36)가 냉 유체(38)로 채워지는 것이다. 양호하게, 냉 유체(38)는 글리콜 매체이다. 가장 양호하게, 냉 유체(38)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냉 유체(38)는, 식품의 신선도를 보존하도록 식품으로부터 나오는 열을 전달하기에 적정한 얼음, 물, 냉수 및 그외 다른 물질이 된다.
냉장 시스템(10)은 양호하게 다수개의 냉장 코일(40)을 갖는다. 양호하게, 다수의 냉장 코일(40)은 제1팬(20)의 정상부(32)를 따라서 감겨져 있고 그 안에 냉각제를 함유한 원통형의 배관이다. 상기 냉각제는 냉매(refrigerant) 또는 다른 유사한 냉각제(coolant)이며 그리고 제1팬(20)의 정상부(32)에 감겨져 연결된다. 상기 냉각제는 R22 냉매, R134 냉매, R404a 냉매 또는 그외 다른 공지된 냉매이다. 도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 루프의 냉장 코일(40)이 제1팬(20)의 정상부(32) 둘레를 감는 것이다. 루프의 수는 명확하게 제1팬(20)의 크기와 제1팬에서 냉각되는 식품에 따른다. 다르게는, 4개 루프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다수의 냉장 코일(40)이 있는 정상부(32) 구역은 종래 기술과 반대되는 예상치 못한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은 단위 시간 당 더 많은 냉각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코일을 사용하는 기술이었다. 그런데, 최적한 수의 코일은 냉장 코일을 많이 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정상부(32)에 있는 식품은 개방으로 인해서 제1팬(20)의 바닥부(34)에 있는 식품보다 단위 시간 당 주변으로의 열전달율이 더 크다는 것도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차이가 제1팬(20)의 바닥부(34)의 내용물이 냉각기의 작동을 열전달을 보상하기 위해 늘리는 경우에 상당히 차게 냉각되게 한다. 대조적으로, 만일 냉각기의 작동을 열전달을 보상하기 위해 늘리지 않는다면, 정상부(32)의 식품 내용물이 소비자에 의한 제1팬(20)의 선택적인 열고닫는 행위로 인해서 바닥부(34)에 있는 식품 내용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냉각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 시스템(10)은 양호하게 제1절연부재(42)를 부가로 구비한다. 제1절연부재(42)는 양호하게 바닥부(34) 근방에서 이격지고, 제1팬(20)의 일 부분을 둘러싸고 배치된다. 양호하게, 제1절연부재(42)는 자체-접착 이면 절연 발포체(foam)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2구획부(36) 내에 제1팬(20)의 외부 벽(30)의 외부 면에 연결된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다양한 연결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두께는 양호하게 약 1인치의 1/8 내지 약 1인치의 1/4 이지만, 상기 두께는 제1팬(20)에 저장되는 물색된 식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양호하게, 접착 물질(도시 않음)이 그 위에 배치되어 제1팬(20)에 제1절연부재(42)를 연결한다. 상기 접착 물질은 붕괴되지 않고 글리콜 매체와 반응하는, 당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 접착제이다. 다르게는, 제1절연부재(42)를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절연 물질로 할 수도 있다. 양호하게, 제1절연부재(42)는 제1팬(20)의 바닥부(34)의 사전 선택된 부분을 둘러싸고 배치되어 제1팬(20)의 바닥부(34)에 있는 식품이 과잉 냉각으로 식품의 맛을 상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절연부재(42)는 그 위에 긴밀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제1팬(20)의 바닥부(34)로부터 정상부 쪽으로 거리의 약 절반 내지 약 3/4 위치에 배치된다.
냉장 조립체(10)는 제2절연부재(44)를 부가로 갖는다. 가장 양호하게, 제2절연부재(44)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으로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 제2절연부재(44)는 양호하게 글리콜 매체에 제1절연부재가 노출하기 때문에 제1절연부재(42)와는 다른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제2절연부재(44)는 양호하게 바닥부(46)와 둘레 측면(48)을 갖는다. 양호하게, 바닥부(46)는 제1두께를 갖고 그리고 둘레 측면(48)은 제2두께를 갖는다. 제2두께는 제1두께보다 얇아서 제1팬(20)의 외부 벽(30)의 측면에 대해 제1팬(20)의 바닥부(46) 밖으로의 단위 시간 당 상당한 열전달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바닥부(46)에 인접하여 있는 식품 내용물이, 바닥부 위와 둘레 측면(48)에 인접하여 적층된 식품 내용물이 판매할 수 있는 온도로 냉각되어 있는 동안에, 과잉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두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제1팬(20)의 구조와 그 안에 배치된 식품에 따라서 동일한 크기로부터 크기의 약 1/3까지 변경할 수 있다.
양호하게, 제2절연부재(44)는 직교 형태를 갖고 그리고 제1팬(20)의 공간(28)을 둘러싼다. 제2절연부재(44)는 양호하게 적절한 기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구획부(36)를 형성한다. 제2구획부(36)는 제1팬(20)의 바닥부(34)에 대해 외부 벽(30)을 둘러싸는 다른 크기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제2구획 부(36)가 제1팬(20)과 접촉하는 냉 유체(38)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서, 제1팬(20)의 외부 벽(30)과 바닥부(34)를 냉각하는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냉 유체(38)는 제2구획부(36)를 횡단하여 제1팬(20)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제2절연부재(44)는 제1팬(20)을 둘러싸도록 탄력이 있으며 제1팬이 제2구획부(38)에 있는 냉 유체(38)를 가지고 그 안에 있게 하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 절연물이다. 양호하게, 제2절연부재(42)는 열이 제1팬(20)의 내용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동안 제1팬이 냉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한다. 제2절연부재(42)와 제1팬(20) 사이에 형성된 제2구획부(36)는 부가로 불균일한 형태를 가지어서, 제1구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절연을 제공하고 그리고 제1팬(20)의 제2구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절연을 제공한다. 양호하게, 제1 및 제2구획부(36, 38)는 약 1인치의 3/8 내지 약 1인치의 3/4의 두께를 갖는다.
제2구획부(36)는 제1측면(50), 제2측면(52), 및 바닥부(54)를 갖는다. 각각의 제1측면(50), 제2측면(52), 및 바닥부(54)는 상기 팬의 사전 선택된 부분에서 팬을 둘러싸는 유체의 량을 변경할 수 있게 각각의 구역으로부터 가변성의 폭을 갖는다. 상기 가변성은 제1측면(50), 제2측면(52), 및 바닥부(54)에서의 열전달을 조절할 수 있다. 당분야의 기술인은, 상기 조립체가 제1구역에서의 열전달 양을 감소하고 그리고 제1구역과는 다른 구역에서의 열전달 양을 선택적으로 증가하도록 제1팬(20)과 접촉하는 글리콜 매체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일 구역이 약 0.6℃(약 33℉)의 온도로 있게 하고 그리고 타 구역이 약 5℃(약 41℉)의 온도로 있게 할 것이다.
도3을 다시 참고로 하여 보면, 냉 유체(38)가 양호하게 제1측면(50), 제2측면(52), 및 바닥부(54) 각각을 통해 횡단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부(54)의 폭은 양호하게 제1측면(50)과 제2측면(52)의 폭보다 작은, 약 1인치의 3/4 이다. 이러한 크기는 제1팬(20)의 바닥부(34)에 있는 식품 내용물이 오랜 시간동안 정상부(32)의 식품 내용물에 대해 균일한 온도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제1측면(52)과 제2측면(54)은 제1팬(20)의 정상부(32)로부터 제1팬(20)의 바닥부(34)에 인접부로의 폭이 양호하게 협폭이다. 본 발명은 다르게 외부 벽(30)의 전체 측면을 따라서 냉장 코일과 접촉할 수 있는 식품이 상하는 두려움이 없는 종래 기술의 냉장 시스템보다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식품을 보유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식품은 오랜 시간 동안 보다 균일하고 낮은 온도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통해 양호한 형태로 상술되었지만,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실시예를 개조 및 변경한 기술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31)

  1. 최적 온도로 식품을 냉각하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식품을 보유하는 상단 개구, 측면 벽, 및 바닥 벽으로 이루어진 팬;
    상기 측면 벽의 저부와 접촉하며 상기 저부를 둘러싸는 제1절연부재;
    상기 측면 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냉각기; 및
    상기 측면 벽과 상기 제1절연부재를 둘러싸는 제2절연부재로서, 상기 측면 벽과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팬의 냉각을 위한 글리콜 매체로 채워진 채널을 정의하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측면 벽과 상기 제2절연부재 사이의 제1 구역, 및 상기 바닥 벽과 상기 제2절연부재 사이의 제2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의 폭은 상기 제2 구역에서보다는 상기 제1 구역에서 더 큰, 냉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측면 벽의 상부 둘레에 감겨진 복수개의 냉장 코일인, 냉장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냉장 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냉장 시스템.
  8. 허용가능한 온도로 식품을 보유하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열 전도성 벽을 가진 팬;
    열 전도성 벽을 둘러싸는 제1절연부재;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열 전도성 벽 사이에 형성된 채널;
    제1구역에서 상기 팬과 접촉하는, 상기 채널 안에 있는 유체;
    상기 팬을 냉각하는, 상기 열 전도성 벽의 상부에 결합된 냉장 코일; 및
    상기 열 전도성 벽의 저부를 둘러싸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냉장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1구역에서는 제1폭을 가지며 제2구역에서는 보다 얇은 제2폭을 갖는, 냉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폭을 갖는 상기 제2구역은 상기 팬의 최저부에 있는, 냉장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코일은 팬의 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냉장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식용 물질(edible substances)을 보유하는 서빙 팬인, 냉장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글리콜 매체(glycol medium), 물, 및 글리콜 매체와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냉장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열 전달하는, 냉장 시스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코일은 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배관이고, 상기 배관은 내부를 갖고, 상기 내부는 상기 배관을 통해 순환하는 냉각제를 갖는, 냉장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저온에서 식품을 보유하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식품이 안에 놓여지는 팬;
    상기 팬을 둘러싸는 외부 벽으로서, 상기 외부 벽과 상기 팬 사이에 구획부를 형성하는, 외부 벽;
    상기 구획부 내에 위치한 냉 유체 물질;
    상기 팬과 팬 안의 식품을 냉각하는, 팬의 정상부에 결합된 냉장 코일; 및
    상기 팬의 제1구역에 연결된 제1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팬의 하측의 제2구역에 제2절연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팬의 측면에서 제1두께를 가지며, 상기 팬의 저부에서 제2두께를 갖는, 냉장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코일은 다수의 루프로 상기 팬의 정상부 둘레를 감는, 냉장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 유체 물질은 글리콜 매체, 물, 및 글리콜 매체와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냉장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는 상기 팬을 둘러싸는, 냉장 시스템.
  23. 삭제
  24. 삭제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코일은 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배관이고, 상기 배관은 내부를 갖고, 상기 내부는 상기 배관을 통해 순환하는 냉각제를 함유하는, 냉장 시스템.
  26. 저온에서 식품을 보유하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식품이 안에 놓여지는 제1구획부를 가지며, 상단 개구, 정상부와 저부를 가진 측면 벽, 및 기초부로 이루어진 팬;
    제2구획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팬의 상기 측면 벽을 둘러싸는 제1절연부재로서,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팬과 상기 제1절연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구획부는 제1 구역에서 제1 두께를 가지며 제2 구역에서 제2 두께를 갖는, 제1 절연부재;
    글리콜 매체, 물, 및 글리콜 매체와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상기 구획부에 위치한 냉 유체 물질;
    냉매를 안에 가진 내부가 있는 배관을 구비한 냉장 코일로서, 상기 팬과 상기 제1구획부 안에 식품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측면 벽의 정상부에서 상기 측면 벽 주위를 감고 있는 냉장 코일; 및
    상기 저부에서 상기 팬 주위에 감겨지며 상기 팬과 접촉하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획부의 저부는, 상기 식품으로부터 상기 냉 유체물질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하기 위해, 상기 제2구획부의 측면부들에 비해 더 작은 두께를 갖는, 냉장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시스템은 구멍을 가진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의 측면 벽을 둘러싸는 제1절연부재는 상기 구멍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테이블은 소정의 시간 동안 받아들일 수 있는 온도에서 냉각된 식용 식품을 서빙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시스템.
  28. 기초부, 개구, 및 정상부와 저부를 가진 둘레 측면으로 이루어진 유체 함유 용기를 냉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둘레 측면의 정상부를 냉각하는 단계;
    상기 측면과 상기 기초부를 둘러싼 구획부 내에서 상기 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유체를 냉각하는 단계;
    제1절연부재를 가지고 상기 유체 함유 용기의 측면의 상기 저부를 절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 함유 용기의 상기 기초부에서보다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측면의 보다 큰 면적과 접촉하도록, 상기 유체 함유 용기에 상기 유체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함유 용기 냉각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냉각제를 안에 함유한 복수개의 냉장 코일에 의해 제공되는, 유제 함유 용기 냉각 방법.
  30. 삭제
  31. 허용할 수 있는 온도에서 식품을 보유하는 냉장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부와 저부가 있는 열 전도성 벽을 가진 팬;
    상기 열 전도성 벽을 둘러싸는 제1절연부재;
    정상부에서 제1폭과 저부에서 제2폭을 갖는,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열 전도성 벽과의 사이에 있는 채널;
    상기 정상부와 상기 저부에서 상기 팬과 접촉하고, 상기 채널에 있는 유체;
    복수의 루프로 감겨지고 그리고 냉각기에 연결된, 상기 팬 안에 식품을 냉각하는, 상기 열 전도성 벽의 정상부에 연결된 냉장 코일; 및
    상기 저부에 인접한 상기 열 전도성 벽의 일 부분을 둘러싸는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식품의 온도는 상기 정상부에 인접하여 0.6℃(33℉) 보다 낮지 않고 그리고, 상기 식품의 온도는 상기 저부에 인접하여 5℃(41℉)보다 높지 않은, 냉장 시스템.
KR1020067027093A 2004-06-23 2005-06-20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44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74,738 US7069732B2 (en) 2004-06-23 2004-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for a fluid immersed vessel
US10/874,738 2004-06-23
PCT/US2005/021690 WO2006009968A1 (en) 2004-06-23 2005-06-20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for a fluid immersed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338A KR20070031338A (ko) 2007-03-19
KR101244751B1 true KR101244751B1 (ko) 2013-03-19

Family

ID=3550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093A KR101244751B1 (ko) 2004-06-23 2005-06-20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69732B2 (ko)
EP (1) EP1759154B1 (ko)
JP (1) JP5065018B2 (ko)
KR (1) KR101244751B1 (ko)
CN (1) CN1993592B (ko)
AU (1) AU2005265230B2 (ko)
CA (1) CA2571539C (ko)
HK (1) HK1106282A1 (ko)
MX (1) MXPA06015048A (ko)
NZ (3) NZ552248A (ko)
WO (1) WO2006009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3991A (ja) * 2006-01-13 2009-06-25 ザ デルフィールド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多面的操作が可能な冷凍システム
US9010318B2 (en) 2009-09-04 2015-04-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xtended-range heat transfer fluid using variable composition
US9016192B2 (en) 2010-05-17 2015-04-28 The Vollrath Company, L.L.C. Hot-and-cold serving station
US9322769B2 (en) * 2011-12-19 2016-04-26 Robert R. Alfano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gree of spoilage of food
US9353986B2 (en) * 2013-02-19 2016-05-31 Hector Delgadillo Glycol pan chiller systems
US9523532B2 (en) * 2013-02-19 2016-12-20 Hector Delgadillo Glycol pan chiller systems with integrated stove top
CN103340467B (zh) * 2013-07-25 2014-09-24 钦龙金属工业(昆山)有限公司 鲜活冻急速冷冻设备
CA2937164A1 (en) 2014-01-16 2015-07-23 Bi-Polar Holding Company, Llc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a food storage cabinet
WO2018013679A1 (en) 2016-07-12 2018-01-18 Bi-Polar Holding Company LLC Food service apparatus with heating and cooling systems
AT518425B1 (de) * 2016-10-31 2017-10-15 Josef Höller Gmbh Kühl- und Wärmewan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2432B1 (en) * 1998-07-31 2001-03-20 Omnitemp Industries, Inc. Food quality enhancing refrigeration system
KR20010092002A (ko) * 2001-09-04 2001-10-24 강상식 냉장용기 및 냉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0626A (en) * 1925-08-13 1926-12-14 Smith Joseph Soda fountain
US1932694A (en) * 1932-01-20 1933-10-31 Leonard G Gray Refrigerator display case
US2871675A (en) * 1957-01-25 1959-02-03 Richard T Cornelius Beverage cooler and dispenser
US3411317A (en) * 1966-05-10 1968-11-19 Swenko Res & Dev Inc Hypothermia operating table
US4989419A (en) * 1990-06-08 1991-02-05 Branello Industries, Inc. Chill-retention food service tray
US5247807A (en) * 1992-07-21 1993-09-28 Fiberglass International, Inc. Salad bar with replaceable modular refrigerated condiments container
US5921096A (en) * 1997-10-09 1999-07-13 Warren; John S. Modular temperature maintaining food receptacle system
US6145333A (en) * 1999-05-03 2000-11-14 Richmond; Neil E. Food preserving systems
US6085535A (en) * 1999-05-03 2000-07-11 Richmond; Neil E. Refrigeration system for us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US20030121149A1 (en) * 2001-11-26 2003-07-03 Lauer Timothy G. Chilled food counter and method for making
US6536223B1 (en) * 2001-12-27 2003-03-25 Omni Team, Inc. Cool wrap food service refrigeration system
US6557363B1 (en) * 2001-12-27 2003-05-06 Omniteam, Inc. Cool wrap food service refrigeration system
US6735971B2 (en) * 2002-10-08 2004-05-18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serving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2432B1 (en) * 1998-07-31 2001-03-20 Omnitemp Industries, Inc. Food quality enhancing refrigeration system
KR20010092002A (ko) * 2001-09-04 2001-10-24 강상식 냉장용기 및 냉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1539A1 (en) 2006-01-26
CN1993592A (zh) 2007-07-04
US7069732B2 (en) 2006-07-04
NZ593850A (en) 2012-11-30
US20050284172A1 (en) 2005-12-29
AU2005265230B2 (en) 2009-02-12
AU2005265230A1 (en) 2006-01-26
CN1993592B (zh) 2010-07-21
CA2571539C (en) 2011-05-17
EP1759154A1 (en) 2007-03-07
MXPA06015048A (es) 2007-05-09
HK1106282A1 (en) 2008-03-07
NZ552248A (en) 2010-10-29
EP1759154B1 (en) 2015-08-12
KR20070031338A (ko) 2007-03-19
JP5065018B2 (ja) 2012-10-31
NZ588210A (en) 2012-04-27
JP2008504026A (ja) 2008-02-14
EP1759154A4 (en) 2010-01-06
WO2006009968A1 (en)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751B1 (ko) 유체 함유 용기의 열전달 제어 방법 및 장치
US6145333A (en) Food preserving systems
US6085535A (en) Refrigeration system for us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US7308796B1 (en) Fruit refrigerator
US4802340A (en) Refrigerated salad bar
US6976371B2 (en)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US6269653B1 (en) Portable device for refrigerating beverages
US6799433B1 (en)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US20030173361A1 (en) Modular cooler apparatus
US4910975A (en) Condiment cooler
US5403609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toring foodstuffs, plants, vegetables, meats and other organic substances
US71594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 product in a thermally stabilized state
US2302385A (en) Refrigeration apparatus
US10709266B1 (en) Refrigerator display case
US10674870B1 (en) Food chilling device having pivotally coupled compartment
KR100550269B1 (ko) 업소용 테이블식 김치 냉장고의 구조
JP3152928B2 (ja) 物品冷却装置
JP3098138U (ja) 飲料・食品の保冷用容器
JP2003279238A (ja) 冷蔵庫の卵棚装置
KR20000007363U (ko) 냉장고 방열파이프의 알루미늄 테이프 부착장치
KR19990074272A (ko) 급속 냉장 기능을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