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097Y1 -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 Google Patents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097Y1
KR200279097Y1 KR2020020008792U KR20020008792U KR200279097Y1 KR 200279097 Y1 KR200279097 Y1 KR 200279097Y1 KR 2020020008792 U KR2020020008792 U KR 2020020008792U KR 20020008792 U KR20020008792 U KR 20020008792U KR 200279097 Y1 KR200279097 Y1 KR 200279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ent
clamp
rai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20008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097Y1/ko

Link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레일의 연결부위에서 레일 사이에 서로 전기적인 도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의 외측에 설치되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체인 금속으로 제작된 판재 형상의 몸체에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시키고 양측으로도 절곡 연결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에는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절곡 연결부에는 레일에 일측이 고정되는 케이블을 풀림방지 너트로 고정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레일을 들어올릴 때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며,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Cable connector of railroad}
본 고안은 철도 레일의 연결부위에서 레일 사이에 서로 전기적인 도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의 외측에 설치되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철도 레일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 개의 레일이 연속 설치되어 하나의 철로를 형성하는데, 연속해서 설치된 이들 수 개의 레일들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기온변화나 철도차량의 하중에 의해 인장과 수축에 따른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철도 레일은 철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철로에 운행되고 있는 철도차량의 운행상황을 파악하고, 역(驛)과 역(驛)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역할도 담담하고 있다.
즉 도 1 과 같이 레일(1)(2)이 연결부위에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1)(2)의 연결부위 외측에 연결용 클램프(5)를 대고 볼트(6)로 클램프(5)를 레일(1)(2)에 고정시킴으로서 레일 연결부위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전기 통전을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보다 정확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케이블(7)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블(7)은 레일(1)(2)의 측면에 각각 선단이 길이가 여유 있도록 고정되고 클램프(5)의 상단에 결합클램프(8)로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클램프(8)로 케이블(7)을 고정시킬 경우 레일(1)(2)의 하단을 받치는 자갈을 교체할 경우 레일(1)(2)을 들어주는 기계에 의해 결합클램프(8)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철도 레일(1)(2)의 교체 작업시 레일(1)(2)에 고정된 케이블(7)의 선단을 절단하고 새로운 레일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점차 케이블(7)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최초에 여유를 주었다 하더라도 수 회 사용하면 케이블(7) 전체를 교체시켜 주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기존의 결합클램프(8)는 레일(1)(2)을 연결하는 클램프(5)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게 되므로 자갈을 보충시키거나 교체 작업을 하기 위하여 레일(1)(2)을 들어줄 경우 결합 클램프(8)의 파손 및 케이블(7)의 손상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의 외측에 밀착되는 판 형상의 케이블 접속구를 설치하되 상기 케이블 접속구는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일부만 풀고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 접속구의 양측에는 레일에 일측이 고정된 케이블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레일을 들어올릴 때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며, 케이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체인 금속으로 제작된 판재 형상의 몸체에 상측으로 절곡부를 형성시키고 양측으로도 절곡 연결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몸체에는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절곡 연결부에는 레일에 일측이 고정되는 케이블을 풀림방지 너트로 고정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절곡부와 절곡 연결부에 지지돌기를 형성시킴으로서 외압에 의하여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 접속구의 몸체는 클램프의 외측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 은 기존의 케이블 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의 몸체를 단면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의 결합홈을 단면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케이블 접속구의 다를 실시예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레일 5 : 클램프 10 : 케이블 접속구
11 : 몸체 12 : 절곡부 13 : 결합홈
15 : 절곡 연결부 16 : 케이블 고정 볼트 17 : 풀림방지 너트
21,22 : 지지돌기 25 : 케이블
본 고안은 철도 레일의 연결부위 양측에 설치되어 볼트로 레일에 고정되는 클램프의 외측에 케이블 접속구를 설치하되 케이블 접속구의 결합홈이 클램프 고정용 볼트를 일부 풀어준 상태에서 볼트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볼트를 조여 케이블 접속구와 클램프를 고정시키며, 상기 케이블 접속구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 연결부에는 레일에 핀으로 일측이 고정된 케이블이 풀림방지 너트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클램프 고정 볼트를 조금 풀은 후 케이블 접속구의 결합홈을 끼워 볼트를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레일을 들을 때 클램프의 상부가 눌리더라도 케이블 접속구가 손상되지 않으며, 케이블 접속구의 측면과 레일사이에 케이블을 연결시키게 되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 적은 길이의 케이블만 교환하면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클램프(5)의 외측에 밀착되는 형태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클램프(5)의 돌출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외향 절곡되는 절곡부(12)와, 상기 몸체(11)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결합홈(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 연결부(15)와, 상기 절곡연결부(15)에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용 볼트(16)와, 상기 볼트(16)에 결합되는 풀림방지용 너트(17)를 구비하므로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몸체(11)에 형성된 결합홈(13)은 클램프(5)를 고정시키는 볼트(6)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고, 볼트(6)를 빼지 않고 일부만 풀어준 상태에서 볼트(6)의 두부 아래로 끼워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1)에는 레일(1)(2)의 종류에 따라 4개의 결합홈(13)을 형성시키거나 6개의 결합홈(13)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으로 결합홈(13)의 개수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절곡부(12)와 절곡 연결부(15)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1)(22)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지지돌기(21)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레일(1)(2)을 들어올리는 기계가 들어줄 때 클램프(5)의 상부가 눌릴 경우 이로 인하여 절곡부(12)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지지돌기(22)를 형성시킨 이유는 절곡 연결부(15)가 열차의 진동에 의하여 절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된 지지돌기(21)(22)는 절곡부(12) 또는 절곡 연결부(15)의 내측에서 일정넓이 및 길이를 외측으로 펀칭하여 돌출되게 한 것으로써 지지돌기(22)는 케이블 고정용 볼트(16)사이에 형성시킴이 적합하고, 지지돌기(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케이블 접속구(10)를 레일(1)(2)을 연결하는 클램프(5)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5)를 고정하는 볼트(6)를 일부만 풀어주어 클램프(5)와 볼트(6)의 두부사이에 몸체(11)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볼트(6)가 일부 풀어준 후에 몸체(11)의 결합홈(13)을 볼트(6)의 두부하부에 위치되게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주며, 몸체(11)의 결합홈(13)이 볼트(6)에 끼워지면 볼트(6)를 조여 클램프(5)와 함께 케이블 접속구(1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블 접속구(10)를 클램프(5)에 고정시킬 때 별도의 고정용 금구를 사용치 않고 클램프 고정용 볼트(6)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용 볼트(6)도 완전히 풀지 않고 일부만 풀어주게 되므로 고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같이 케이블 접속구(10)가 클램프(5)에 고정된 후에는 케이블(25)을 레일(1)과 절곡 연결부(15)에 연결시켜야 하며, 상기 케이블(25)은 레일(1)에 접속시킬 때 기존과 같이 고정용 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절곡 연결부(15)에는 볼트(16)와 너트(17)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볼트(16)는 절곡 연결부(15)에 용접 고정되게 되고 너트(17)는 풀림방지 너트를 사용하여 너트(17)를 기구로 풀지 않는 한 외압에 의하여 쉽게 풀리지 않게 되므로 열차의 진동에 의하여 너트(17)가 풀리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같이 케이블 접속구(10)를 이용하여 레일(1)(2)사이를 케이블(25)로 연결함에 있어서, 자갈의 교체 등을 이유로 레일(1)(2)을 들어올릴 때 클램프(5)의 외측이 밀리더라도 케이블 접속구(10)가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레일(1)(2)를 교체할 때에는 레일(1)(2)에 고정된 쪽의 케이블(25)선단을 자르고, 케이블 접속구(10)는 너트(17)를 풀어 분리시킨 후 새로운 레일에 고정시키면 되며, 레일(1)(2)교체가 반복되어 케이블(25)의 길이가 짧아지면 너트(17)를 풀어 케이블(25)을 빼내고 새로운 케이블(25)을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기존과 달리 짧은 길이의 케이블(25)만 교체하게 되어 기존과 같이 긴 길이의 케이블을 교체할 경우보다 케이블(25)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절곡부(12)와 절곡 연결부(15)에 지지돌기(21)(22)를 형성시키게 되면, 레일(1)(2)을 들어올릴 때 클램프(5)의 상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절곡부(12)가 휘어지게 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으며, 절곡 연결부(15)가 열차의 진동에 의하여 절단되게 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본 고안은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의 외측에 설치되어 레일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시켜주는 케이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이 레일과 케이블 접속구의 양측사이에 연결되므로 케이블 사용길이가 짧아 반복적이 레일의 교체로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질 때 케이블을 교체하는 비용이 적게 들며, 레일을 들어올릴 때 클램프의 상부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케이블 접속구가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클램프 고정용 볼트를 완전히 풀지 않고도 착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레일(1)(2)의 연결부위에 클램프(5)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도체로 이루어지고 클램프(5)의 외측에 밀착되는 형태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클램프(5)의 돌출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외향 절곡되는 절곡부(12)와,
    상기 몸체(11)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결합홈(13)과,
    상기 몸체(11)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 연결부(15)와,
    상기 절곡 연결부(15)에 두부가 고정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 고정용 볼트(16)와,
    상기 볼트(16)에 결합되는 풀림방지용 너트(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케이블 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에 형성된 결합홈(13)은 클램프(5)를 고정시키는 볼트(6)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케이블 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절곡부(12)와 절곡 연결부(15)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1)(22)를 형성시키되 상기 지지돌기(21)(22)는 절곡부(12)또는 절곡 연결부(15)의 내측에서 일정넓이 및 길이를 갖게 몸체(11)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 케이블 접속구.
KR2020020008792U 2002-03-25 2002-03-25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KR200279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92U KR200279097Y1 (ko) 2002-03-25 2002-03-25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92U KR200279097Y1 (ko) 2002-03-25 2002-03-25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097Y1 true KR200279097Y1 (ko) 2002-06-22

Family

ID=7311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92U KR200279097Y1 (ko) 2002-03-25 2002-03-25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0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91B1 (ko) 2007-01-12 2007-08-13 주식회사 세화 철도용 신호 케이블 연결 장치
KR200465705Y1 (ko) * 2011-08-31 2013-03-06 하태우 레일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91B1 (ko) 2007-01-12 2007-08-13 주식회사 세화 철도용 신호 케이블 연결 장치
KR200465705Y1 (ko) * 2011-08-31 2013-03-06 하태우 레일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7509B2 (ja) 母線接続装置
KR200279097Y1 (ko)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KR100881671B1 (ko) 볼트 풀림방지 와셔 및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한 단자구조
CN102947508B (zh) 一种具有弹性紧固件的轨道附接系统
KR20130013940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수직결합이 가능한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186862Y1 (ko) 트롤리 바
US6077116A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KR102295061B1 (ko)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체
JP4189533B2 (ja) 弾性レール締結装置
JP2000313255A (ja) 剛体電車線
KR20050070941A (ko)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48052Y1 (ko)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CN215185757U (zh) 一种防松防滑耐张线夹
KR200494542Y1 (ko) 강체전차선용 급전클램프
KR0136267Y1 (ko) 저압 가선용 단선 랙크
CN218147549U (zh) 一种钢轨焊接接头修复夹板
KR20110052837A (ko) 전선 보호관
CN210262900U (zh) 一种新型的融雪装置安装结构
KR200176387Y1 (ko) 교체용 압축인류클램프
KR200208333Y1 (ko) 현접법에의한 궤도 이음매부 절연체결장치
KR200303817Y1 (ko) 전차선 연결장치
KR20010008917A (ko) 철도 체결장치
JP3293429B2 (ja) ガラスのストッパー構造
JP3827985B2 (ja) 連接軌道におけるレールの絶縁装置及び絶縁材取付け方法
JP4738968B2 (ja) 剛体電車線用の架台及び剛体電車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