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941A -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941A
KR20050070941A KR1020030101560A KR20030101560A KR20050070941A KR 20050070941 A KR20050070941 A KR 20050070941A KR 1020030101560 A KR1020030101560 A KR 1020030101560A KR 20030101560 A KR20030101560 A KR 20030101560A KR 20050070941 A KR20050070941 A KR 2005007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ork
bolt
plu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하
김준식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941A/ko
Publication of KR2005007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94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번수별 분기기에 포크부와 플러그부의 2가지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신축에 의해 레일에 발생되는 축력을 최소화하며, 설치가 용이한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양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포크가 일체로 이루어진 포크부와;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가운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러그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러그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부와 플러그부가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각각 볼트를 매개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레일의 안쪽에 포크부를 볼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본레일에 인접하는 텅레일의 안쪽에 플러그부를 볼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상기 포크부와 플러그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Fixed part spac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for railroad turnout}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번수별 분기기에 포크부와 플러그부의 2가지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신축에 의해 레일에 발생되는 축력을 최소화하며, 설치가 용이한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부 간격재는 철도 분기기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레일의 신축과 열차 주행시 발생되는 축력을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분산시켜 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부 간격재는 볼트로 기본레일과 텅레일을 강제 구속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바, 볼트에 의하여 레일들이 강제 구속되므로 인하여 레일 내부에 응력이 축적되어 레일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볼트와 고정부 간격재가 간섭되어 레일에 설치가 매우 곤란하며, 분기기의 번수별, 좌우별로 각각 구분하여 16가지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 인하여 고정부 간격재 제작 및 사용상 문제가 있으며, 고정부 간격재를 현장에서 용접하여 사용함으로써 용접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레일과 고정부 간격재를 볼트로 강제 구속함으로써 볼트와 고정부 간격재 및 레일의 파손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각 번수별 분기기에 포크부와 플러그부의 2가지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신축에 의해 레일에 발생되는 축력을 최소화하며, 설치가 용이한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는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양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포크가 일체로 이루어진 포크부와;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가운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러그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러그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부와 플러그부가 기본레일과 텅레일에 각각 볼트를 매개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방법은 기본레일의 안쪽에 포크부를 볼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본레일에 인접하는 텅레일의 안쪽에 플러그부를 볼트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상기 포크부와 플러그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는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16)이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12)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양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포크(14)가 일체로 이루어진 포크부(10)와;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26)이 형성된 지지판(22)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22)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가운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러그(24)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러그부(20)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가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각각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24)는 돌출된 단면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분기기의 번수등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20)의 볼트공(16, 26)에는 고정턱(18, 28)이 형성되어, 볼트(3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20)의 지지판(12, 22)은 설치 대상인 기본레일(M)과 텅레일(T)의 크기에 맞춰서 지지판(12, 22)의 폭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기본레일(M)의 크기가 크면 지지판(12)의 폭 길이도 크게 하고, 텅레일(T)과 같이 크기가 작으면 지지판(22)의 폭 길이도 작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S)는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로 구성되어,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볼트(30)를 매개로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른 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가 기본레일과 텅레일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가 분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방법은 기본레일(M)의 안쪽에 포크부(10)를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본레일(M)에 인접하는 텅레일(T)의 안쪽에 플러그부(20)를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6 ∼ 14mm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는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되, 상기 볼트(30)의 외측에 고정부 와셔(32)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 와셔(32)의 외측에 잠금너트(34)를 체결하여, 차량의 주행시 진동에 의하여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철도 분기기에서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발생하는 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정부 간격재(S)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 간격재(S)를 이루는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축력을 50-60%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부(20)의 플러그(24)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기본레일(M)과 텅레일(T)의 이격된 거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러그(14)의 돌출부가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기본레일(M)과 텅레일(T)의 이격된 거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14)의 돌출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기기의 번수 등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레일 장대화시 발생되는 레일의 신축량이 약 22mm이고, 이 때의 장대레일 축력이 약 83ton정도 되나, 고정부 간격재(S)의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 사이의 간격을 6 ∼ 14mm로 유지토록 구성함으로써, 장대레일 신축량이 최대 22mm에서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에서 신축량을 감소시켜 레일에 발생하는 신축량을 8-10mm로 할 수 있어 50 ∼ 60%의 감소를 가져오는 작용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때 레일에 발생하는 축력도 최대 50ton 정도 감소할 수 있어 실제 레일에 작용하는 축력은 33ton 정도로 레일에 발생하는 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간격재(S)의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는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볼트(30)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볼트(30)의 머리가 닿는 부분인 지지판(12, 22)상에 고정턱(18, 28)을 형성하여, 볼트(3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지지판(12, 22)에 형성된 볼트공(16, 26)에 직접적으로 볼트(30)를 체결할 경우에는 스패너(미도시)와 지지판(12, 22)과의 공간이 매우 비좁기 때문에 접지면적이 넓고 스패너 사용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나, 본 발명과 같이 지지판(12, 22)상에 고정턱(18, 28)을 다소 돌출되게 형성함에 의하여, 이 고정턱(18, 28)에 볼트(30)를 삽입하고, 뒷부분의 잠금너트(34)를 스패너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스패너의 접지면적이 축소되어 원활하게 볼트(30)를 체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기본레일(M)과 텅레일(T)을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로 볼트(30) 체결시 볼트(30)의 외측단에 고정부 와셔(32)를 끼워 놓고, 상기 고정부 와셔(32)의 외측에 잠금너트(34)를 위치시켜 놓고, 볼트(30)로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진동등에 의한 볼트(30)의 풀림을 잠금너트(34)에서 방지토록 하여 견고한 볼트(30)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기본레일(M)에 포크부(10)를 설치하고, 텅레일(T)에 플러그부(20)를 설치한 상태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기본레일(M)에 플러그부(20)를 텅레일(T)에 포크부(10)를 설치하여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분기기내에 있는 모든 레일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종래의 16가지 형태로 사용되던 것을 포크부와 플러그부의 2가지로 간소화하고 일체형 주조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재료비의 현저한 절감 및 분기기 번수별, 좌우별 구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레일 장대화시 발생되는 레일의 신축량이 약 22mm, 이 때의 장대레일에 작용하는 축력이 약 83ton 정도 발생하나,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와 플러그부 사이의 간격을 6 ∼ 14mm로 유지함으로써, 장대레일 신축량이 최대 22mm에서 포크부와 플러그부에서 신축량을 감소시켜 레일에 발생하는 신축량을 8 ∼ 10mm로 할 수 있어 50 ∼ 60%의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레일에 발생하는 축력도 최대 50ton 감소할 수 있어 실제 레일에 작용하는 축력은 33ton 정도로 레일에 발생하는 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은 포크부와 플러그부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고정부 간격재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부품수가 적어 관리 및 설치가 매우 간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포크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의 플러그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가 기본레일과 텅레일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가 분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크부 12 : 지지판
14 : 포크 16 : 볼트공
18 : 고정턱 20 : 플러그부
22 : 지지판 24 : 플러그
26 : 볼트공 28 : 고정턱
30 : 볼트 32 : 고정부 와셔
34 : 잠금너트 P : 상판
M : 기본레일 S : 고정부 간격재
T : 텅레일

Claims (8)

  1.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16)이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12)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양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형성된 포크(14)가 일체로 이루어진 포크부(10)와;
    각각 양측에 배치되면서 중앙에 볼트공(26)이 형성된 지지판(22)과 상기 양측의 지지판(22)에 걸쳐서 연결 설치되며, 가운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플러그(24)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러그부(20)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가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각각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4)는 돌출된 단면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20)의 지지판(12, 22)은 그 폭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의 볼트공(16, 26)에는 고정턱(18, 28)이 형성되어, 볼트(30)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16, 26)은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크부와 기본레일간의 체결을 용이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6. 기본레일(M)의 안쪽에 포크부(10)를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본레일(M)에 인접하는 텅레일(T)의 안쪽에 플러그부(20)를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6 ∼ 14mm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10)와 플러그부(20)는 기본레일(M)과 텅레일(T)에 볼트(30)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되, 상기 볼트(30)의 외측에 고정부 와셔(32)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 와셔(32)의 외측에 잠금너트(34)를 체결하여, 차량의 주행시 진동에 의하여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설치방법.
KR1020030101560A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50070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60A KR20050070941A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60A KR20050070941A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59U Division KR200348052Y1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941A true KR20050070941A (ko) 2005-07-07

Family

ID=3726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60A KR20050070941A (ko) 2003-12-31 2003-12-31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9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66B1 (ko) * 2005-12-24 2007-08-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분기기의 멈춤쇠
KR100838679B1 (ko) * 2006-12-19 2008-06-16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CN105821719A (zh) * 2016-04-08 2016-08-03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号码道岔的限位器
CN116000947A (zh) * 2022-12-23 2023-04-25 国家电网有限公司 间隔棒安装机器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66B1 (ko) * 2005-12-24 2007-08-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분기기의 멈춤쇠
KR100838679B1 (ko) * 2006-12-19 2008-06-16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CN105821719A (zh) * 2016-04-08 2016-08-03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号码道岔的限位器
CN116000947A (zh) * 2022-12-23 2023-04-25 国家电网有限公司 间隔棒安装机器人
CN116000947B (zh) * 2022-12-23 2024-05-17 国家电网有限公司 间隔棒安装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09361A (ja) レール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支持体
GB2490118A (en) Bollard assembly for preventing vehicular access
CN1653245A (zh) 凿杆的固定装置
KR20050070941A (ko)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48052Y1 (ko)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KR100838679B1 (ko) 철도 분기기용 고정부 간격재
KR20190056711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체결장치
KR200322061Y1 (ko) 침목 고정용 형강
KR200279097Y1 (ko)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KR200175366Y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맨홀
KR20160084948A (ko)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KR200212266Y1 (ko) 레일에 일체형으로 체결된 차막이 장치
CA2307982C (en) Compromise rail
KR100599522B1 (ko)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KR102154318B1 (ko)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
ES2210921T3 (es) Tuerca corredera en ranura para la fijacion de un componente en una estructura de soporte.
KR200322457Y1 (ko) 침목시스템
KR200348056Y1 (ko) 철도레일 절단부 응급복구용 이음매 체결장치
KR100578562B1 (ko) 궤도회로 구간용 절연이음부재를 이용한 레일 연결장치
KR200310818Y1 (ko) 중장비용노면보호장치
JP2550785B2 (ja) レール敷設構造
KR200404249Y1 (ko) 침목성형장치
KR20010008917A (ko) 철도 체결장치
KR200348055Y1 (ko)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KR200221067Y1 (ko) 통신용 단자블록의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