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22B1 -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 Google Patents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522B1
KR100599522B1 KR1020030101624A KR20030101624A KR100599522B1 KR 100599522 B1 KR100599522 B1 KR 100599522B1 KR 1020030101624 A KR1020030101624 A KR 1020030101624A KR 20030101624 A KR20030101624 A KR 20030101624A KR 100599522 B1 KR100599522 B1 KR 10059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il
clip
elastic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482A (ko
Inventor
김순철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5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10Fishplates with parts supporting or surrounding the rail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16Fishplates for joining rails of different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량이 ±62.5mm∼±300mm로 비교적 길게 하며, 텅레일 가공 형상에 따라 텅레일 두부가 두꺼워 수명이 오래가도록 하며, 완전 탄성체결식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PC침목의 사용으로 인하여 궤도의 도상이 안정화하며, 상판 회전형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기본레일측 고정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패드에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 절연블록이 탄성클립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일측에 클립걸이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에 탄성클립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에 눌림쇠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타측 복부와 상판상에 걸쳐 레일지지대가 볼트와 너트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 절연블록이 탄성클립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타측에 클립걸이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에 탄성클립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에 눌림쇠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PC침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Description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Flexible joint equipment side end expansion joint for PC sleep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3,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이동레일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 E-E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이동레일의 가공 이론교점을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레일이동지지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도 14의 조절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도 14의 레일지지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침목계재 체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침목계재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쇼울더를 도시한 예시도,
도 21은 도 19의 침목이동방지앵글을 도시한 예시도,
도 22는 도 19의 탄성클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3은 도 19의 고정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수직상면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수직상면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26은 도 24의 A-A 선 단면도,
도 27은 도 24의 B-B ∼ E-E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신축시
기본레일 이탈방지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29는 도 28의 A-A 선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신축시
기본레일 이탈방지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31은 도 30의 B-B선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신축시
기본레일 이탈방지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3,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회전식
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4는 도 33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35는 도 33의 A부분 확대 평면도,
도 36은 도 35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패드 12 : 상판
14 : 이동레일 16 : 절연블록
18 : 탄성클립 20 : 클립걸이
22 : 클립플레이트 24 : 조절플레이트
26 : 눌림쇠 28 : 레일브레이스
30 : 볼트 32 : 너트
34 : 텅레일 36 : 텅레일 첨단부
38 : 지점 40 : 텅레일 저부
42 : 절단부 44 : 레일이동지지구
46 : 조절판 48 : 쇼울더
50 : 앵글고정돌기 52 : 침목이동방지앵글
54 : 오목홈 56 : 걸림턱
58 : 돌출부 60 : 요홈
62 : 침목 64 : 조절편
66 : 경사부 67 : 레일지지대
68 :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 69 : 이동레일저부
R : 곡선 R1 : 곡선
R2 : 곡선
본 발명은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레일은 레일의 온도변화가 최대 60∼80℃ 정도이므로 그 중간온도에서 장대레일을 부설할 경우에는 부설된 장대레일이 통상적으로 100M을 기준으로 각 레일 양단의 최대 신축량은 20∼30㎜ 정도가 되고, 레일의 특성상 온도상승시 레일의 열팽창으로 인하여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남에 따라 각 레일의 양단이 밀착될 때는 열팽창의 힘에 의해 레일의 폭 방향으로 레일의 밀림이 발생되어 궤도의 선폭이 뒤틀리게 되어 철도의 주행시 탈선 등이 발생되므로 레일의 연결부는 항상 소정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건을 고려하여 레일간 간격을 6㎜로 할 경우에는 레일의 신축량을 흡수하기가 어려워 레일의 연결부에 별도의 신축이음매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열차의 주행시 열팽창에 의한 레일 신축량을 고려한 레일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대레일의 부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레일의 신축 이동량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 - 0005895호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를 제안한바, 그 기술적 구성은 "베이스에 결합수단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에 용접되면서 탄성클립이 삽입토록 클립걸이 형성되는 클립플레이트가 하부를 지지하며, 선단부의 하부 일측을 지지토록 탄성클립이 삽입되는 클립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선단부의 타측 복부 및 하부를 지지토록 탄성클립이 삽입되는 클립플레이트의 일측에 간격의 미세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눌림쇠와 조절플레이트를 통하여 지지되는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수단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에 용접되는 클립걸이가 고정되고, 하부를 지지토록 상기 클립걸이에 탄성클립이 삽입되는 텅레일 및;
상기 텅레일의 선단부에 설치되면서 텅레일의 복부 및 하부를 지지토록 베이스플레이트에 클립플레이트를 개재하여 탄성클립이 삽입토록 클립걸이가 형성되는 레일고정브레이스가 결합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고정되는 텅레일 고정부와;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 머리부에 텅레일의 선단이 밀착토록 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면 하부를 지지토록 텅레일 고정부가 결합되는 클립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레일의 타측면 복부 및 하부를 지지토록 탄성클립이 삽입되는 클립플레이트의 일측에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는 레일접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레일접촉부의 신축량을 극대화하고, 이동레일과 텅레일이 탄성클립에 의해 고정되어 체결이나 해체가 신속함은 물론 열차의 주행시 진동 등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열차의 충격을 완충시키며, 선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선로의 불안정 및 진동과 소음 등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이동레일에 있어 텅레일과 밀착시 이동레일이 텅레일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차륜이 신축이음매장치에 접촉시 텅 레일과 이동레일을 동시에 접하는 구간이 생성됨으로 인하여 차륜폭 보다 크게 레일의 폭이 접촉하면 차륜의 주행성능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레일 마모와 플로우 발생시 단차가 발생되어 레일과 차륜 파손의 원인이 되며 주행성도 나빠지게 된다.
둘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이동레일과 텅레일이 접하는 구간의 끝단에서는 레일저부의 폭이 가장 넓어지는 구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의 폭이 넓어 유지보수 작업시 자갈을 다지기 위한 장비가 간섭되어 자갈 다지기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셋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인 구조는 이동레일과 텅레일로 구성되며, 또한 이동레일과 텅레일의 양측으로 조절식 레일브레이스를 개재하여 볼트나 탄성클립을 이용하여 체결토록 하는 구조로서, 이동레일 측과 텅레일 측 보수를 조절식 레일브레이스를 채택함으로써, 레일브레이스의 이동에 의한 궤간 변형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궤간의 변형이 발생시 숙련자가 아니면 정확히 이를 교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넷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침목에 구멍을 뚫고 나사스파이크를 침목이동방지 앵글과 침목에 박아서 체결하는 방식으로 체결 작업이 번거롭고 진동에 의해 나사스파이크가 풀려 침목이 고정되지 않고 좌우로 유동이 발생된다.
다섯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텅레일에 있어서 텅레일은 원활한 신축을 위하여 첨단부를 뾰족하게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 형상은 열차가 통과시 중량에 의한 강도와 내마모성, 수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이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신축장치의 성능이 결정된다.
여섯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중간에 고정식 텅레일이 있으며, 양측에 이동레일이 있는 양단 신축형의 경우에는 중간의 텅레일이 이동레일의 신축량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가 생기며, 이럴 경우에는 신축이음매장치를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바, 만약 재설정하지 않으면 이동레일이 신축을 일으킬 경우 레일 장출과 좌굴의 원인이 되어 열차의 안전운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
일곱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침목에 대하여 베이스가 평행하게 설치가 됨으로써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인 텅레일과 이동레일의 복부에 정확히 밀착이 되지 않음에 따라 차륜 및 레일에 따른 신축량에 의한 횡압에 정확히 접촉하기가 어렵고,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는 베이스를 회전시키거나 레일 브레이스의 접촉방향을 레일의 굽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침목과 베이스의 제품이 다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여덟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베이스를 탄성클립으로 체결하면 쇼울더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좌우 유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레일의 선형 맞춤과 궤간의 변형이 발생된다.
아홉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장치는 이동레일과 텅레일의 신축량이 증가하면 이동레일 끝단이나 텅레일의 끝단이 레일을 잡아주는 베이스를 벗어나게 됨으로써 이탈한 레일이 신축작용시 베이스에 걸려 신축 작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축량이 ±62.5mm∼±300mm로 비교적 길게 하며, 텅레일 가공 형상에 따라 텅레일 두부가 두꺼워 수명이 오래가도록 하며, 완전 탄성체결식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PC침목의 사용으로 인하여 궤도의 도상이 안정화하며, 상판 회전형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이동레일측 고정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상판패드에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 절연블록이 탄성클립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일측에 클립걸이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에 탄성클립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에 눌림쇠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타측 복부와 상판 상에 걸쳐 레일지지대가 볼트와 너트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 절연블록이 탄성클립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타측에 클립걸이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에 탄성클립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 상에 눌림쇠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A-A, B-B, C-C선 단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이동레일을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및 예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지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예시도이며,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침목계재 체결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9의 각종 부품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텅레일 수직상면 가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신축시 이동레일 이탈방지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3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회전식 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 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 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 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에 일정한 두께의 폭을 가지며 후단으로 가면서 곡선(R 1)을 텅레일(34)의 두부 폭의 1/2지점까지 가공하고, 나머지 1/2부분은 반대곡선(R 2)으로 S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에 일정한 두께의 폭을 가지며 후단으로 가면서 곡선(R 1)을 텅레일(34)의 두부 폭의 1/2지점보다 더 가공하여 약 2/3지점까지 1차 곡선(R 1)을 형성하고, 나머지 1/3은 반대곡선(R 2)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의 일정한 두께에서 1개의 곡선(R)으로 텅레일(34) 두부형상이 형성되는 지점(38)까지 C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14)은 그 상부를 이동레일(14)의 외측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가공하여, 차륜접촉폭을 90∼97mm 사이로 맞추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이 접하는 구간의 끝단에서는 접촉부분의 저부폭간 거리가 240mm 초과시 이동레일(14) 및 텅레일 저부(40)를 일정부분 절단하여 절단부(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14)은 그 복부 일측면에 레일이동지지구(44)가 밀착되고, 상기 레일이동지지구(44)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 및 너트(32)로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이동지지구(44)와 레일지지대(67) 사이에 다수개의 조절판(46)을 삽입 설치한다.
한편, 상기 침목이동방지앵글(52)은 그 아래에 쇼울더(48)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쇼울더(48)에는 앵글고정돌기(50)를 형성하고, 상기 앵글고정돌기(50)에 침목이동방지앵글(52)이 설치하며, 상기 침목이동방지앵글(52)상에 탄성클립(18)을 설치하여, 상기 탄성클립(18)으로 침목이동방지앵글(52)을 눌러 주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텅레일(34)에는 텅레일(34)의 저부(40)를 오목하게 오목홈(54)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54)에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의 걸림턱(56)이 걸리도록 형성하여, 텅레일(34)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양측 끝단을 상판(12)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를 일정한 곡선(R)으로 하는 원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12)의 양끝단에 절연블록(16)을 삽입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양측 끝단 상부에 돌출부(58)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블록(16) 하면의 접촉면에 다수개의 요홈(60)을 형성하여, 상기 상판(12)이 일정 간격 회전시 돌출부(58)를 절연블록(16)의 요홈(60)에 삽입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12)과 절연블록(16)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조절편(64)을 삽입하고, 상기 조절편(64)을 외부로 돌출시켜 상판(12)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는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은 침목 2개에 걸친 넓은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14)의 끝단 저부(69)를 일정부분 가공하여 레일의 신축시 상판(12)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이동레일 저부 접촉면(69)의 측면을 레일이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부(66)를 형성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의 각 개량부분별로 나 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1. 신축이음매장치의 곡선가공 설정
텅레일(34)은 레일의 열에 의한 신축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좌우로 이동을 반복하고 이를 위하여 텅레일 첨단부(36)를 뾰족하게 가공하는데, 이러한 가공은 텅레일 첨단부(36)가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하며, 또한 신축량에 따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리하여, 상기 텅레일(34)의 첨단부(36)에는 일정두께의 폭을 가지며 후단으로 가면서, 곡선(R 1)을 레일 두부 폭의 1/2지점까지 가공하며, 이후부터는 반대 곡선(R 2)에 의해 나머지 1/2을 가공하여 전체적으로 S자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이동레일(14)과 접촉시 일정강도를 유지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을 보장함은 물론 접촉에 따른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곡선(R 1)을 텅레일(34) 두부 폭의 1/2지점보다 더 가공하여 약 2/3지점까지 1차 곡선(R 1)을 형성하며, 나머지 1/3가량은 반대측 곡선(R 2)으로 가공함으로써 텅레일 첨단부(36)의 두께는 조금 얇아지나, 1차 곡선(R 1) 가공시 접선각이 커져 2차 곡선(R 2) 가공의 길이가 짧아져 텅레일(34)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본 발명의 신축이음매장치의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양단 신축에서는 텅레일(34) 두부의 가공을 텅레일(34) 두부 전체에 대하여 일정한 두께에서 1개의 곡선(R)으로 레일 두부형상이 형성되는 지점(38)까지 가공하여 C자 형태로 가공한다.
이는 양단에서는 텅레일(3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레일(14)이 신축시 텅 레일(34) 외측에서 이동하면 되므로 굳이 S곡선으로 가공치 않고 C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해도 신축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차륜과의 접촉에 따른 가공
이동레일(14) 상부를 이동레일(14)의 외측 아래 방향으로 일정각도 가공함으로써 차륜접촉폭을 90∼97mm 사이에 맞춰 차륜에 대한 주행안전성과 레일에 마모 및 플로우 발생시 플로우가 레일의 외측으로 발생시켜 단차의 발생을 없앰으로서 신축부에서 안정된 열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3. 저부가공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접촉부분의 저부폭간 거리가 240mm를 초과하면 끝단의 저부를 일정부분 절단하여 절단부(42)를 형성하여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4. 일측 고정식 신축이음매장치
이동레일(14)측 레일지지대(67)를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텅레일(34)측만 조절함으로써, 이동레일(14)측을 기준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텅레일(34)측만 조절하여 궤간과 선형을 맞추면 되므로 쉽게 보수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레일(14)측과 고정식 레일지지대(67)도 완전히 고정되면 이동레일(14)의 마모와 이상변형에 의한 선형 변형에 대처할 수 없음으로 조절판(46)을 삽입하여, 선형의 변형이 발생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면에 레일이동지지구(44)와 조절판(46) 및 레일지지대(67)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식 레일지지대(67)의 제작시 최적의 상태에서 조립하여 상판(12)에 용접 또는 여타의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후, 상기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신축량에 따라 반대측 텅레일(34)쪽의 조절식 레일브레이스(28)를 이용하여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 사이의 간격과 접촉량 등을 미세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식 레일지지대(67)와 이동레일지지구(44) 사이에는 다수개의 조절판(46)을 미리 삽입하여 궤간의 축소, 확대 발생시 제거 또는 삽입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5. 침목계재 설치구조
침목(62)에 삽입된 쇼울더(48)에 침목이동방지앵글(52)을 부착하여 탄성클립(18)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쇼울더(48)에 형성된 앵글고정돌기(50)에 침목이동방지앵글(52)을 삽입하고, 탄성클립(18)으로 상부를 눌러줌으로 체결작업이 간편하고 탄성에 의한 일정한 체결력이 유지되며, 풀림에 의한 침목(68)의 유동이 없고, 앵글고정돌기(50)에 의하여 축력에 의한 압력에 한층 더 잘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한다.
6. 텅레일 첨단부 두부가공
1차적으로 텅레일(34)의 두부에서 열차차륜 주행면은 직선으로 가공하며 반대측 이동레일(14) 접촉면은 앞에서 언급한 S자 형상으로 가공한다.
텅레일(34) 첨단부(36)의 차륜접촉부 두께(단면 B-B의 두부폭)는 최소강도를 고려하여 2∼8mm로 하며, 상기 텅레일 첨단부(36)의 정점(Y)은 텅레일(34)의 중심선에서 8∼15mm 범위에 존재하여 열차의 자중과 충격에 안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텅레일(34) 두부상면의 가공은 텅레일(34)의 첨단부(36)에서 두부폭이 일정 폭을 갖는 V 3 구간까지 1차로 가공(L 2)을 하여 차륜이 접촉시 일정한 유도각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차륜의 진입과 레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텅레일(34)의 첨단부(36)에서 일정거리 200∼500mm 까지 2차 가공(L 1)을 시행하여 열차가 진입시 텅레일 첨단부(36)가 차륜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텅레일 첨단부(36)를 보호하고 자연스러운 열차의 주행을 유도하도록 한다.
7. 텅레일 저부 가공후 걸림턱을 설치하여 텅레일 이동을 방지
텅레일(3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텅레일(34)의 저부(40)를 오목하게 오목홈(54)을 형성하고, 상기 텅레일 저부(40)에 설치되는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에 걸림턱(56)을 형성하여 텅레일(34)의 오목홈(54)이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의 걸림턱(56)에 걸려 일정한계 이상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8. 회전식 상판 배열에 따른 상판위치 조절 및 상판고정
상판(12)이 침목(68) 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며, 상기 상판(12)이 회전하는 원리는 상판(12)의 양측 끝단을 상판(12)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를 곡선(R)으로 하는 원을 형성하고, 양끝단에는 절연블록(16)을 삽입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판(12)의 양끝단 상부에 돌출부(58)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블록(16) 하면의 접촉면에 다수의 요홈(60)을 형성하여, 상판(12)이 일정 간격 회전시 돌출부(58)가 절연블록(16)의 요홈(60)에 삽입됨으로써 안정된 절연효과와 회전방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선형과 궤간 정정의 용이성을 위하여 절연블록(16)과 상판(12) 사이에 일정두께의 조절편(64)을 삽입하여 상판(12)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절편(64)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일정량 조절편(64)을 외부로 돌출시켜 상판(12) 측면에 접촉되도록 'ㄷ'자 형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9. 신축시 레일 끝단의 상판 이탈방지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끝단이 만나는 부분의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은 침목 2개에 걸친 넓은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을 설치함으로써 신축량이 커지더라도 이동레일(14)이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동레일(14)이 신축시 상판(12)을 벗어났다가 재진입시 발생될 수 있는 상판(12)과의 간섭 문제 및 이로 인한 침목(62)의 밀림 등 신축 작용의 문제요소를 제거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이동레일(14)의 끝단 저부(69)를 일정부분 가공하여 이동레일(14)이 신축시 상판(12)을 원활히 진입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12)의 이동레일(14)의 저부 접촉면(69)의 측면을 이동레일(14)이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경사부(66) 형성하여 가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신축량이 ±62.5mm∼±300mm로 비교적 긴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텅레일 가공 형상에 따라 텅레일 두부가 두꺼워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완전 탄성체결식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PC침목의 사용으로 인하여 궤도의 도상이 안정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는 상판 회전형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기본레일측 고정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에 일정한 두께의 폭을 가지며 후단으로 가면서 곡선(R1)을 텅레일(34)의 두부폭의 1/2 지점까지 가공하고, 나머지 1/2부분은 반대곡선(R2)으로 S자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3.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에 일정한 두께의 폭을 가지며 후단으로 가면서 곡선(R1)을 텅레일(34)의 두부폭의 1/2 지점보다 더 가공하여 약 2/3지점까지 1차 곡선(R1)을 형성하고, 나머지 1/3은 반대곡선(R2)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4.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34)은 그 첨단부(36)의 일정한 두께에서 1개의 곡선(R)으로 텅레일(34) 두부형상이 형성되는 지점(38)까지 C자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5.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은 그 상부를 이동레일(14)의 외측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가공하여, 차륜접촉폭을 90∼97mm 사이로 맞추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6.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이 접하는 구간의 끝단에서는 접촉부분의 저부폭간 거리가 240mm 초과시 이동레일(14)과 텅레일 저부(40)를 일정부분 절단하여 절단부(4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7.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은 그 복부 일측면에 레일이동지지구(44)가 밀착되고, 상기 레일이동지지구(44)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 및 너트(32)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동지지구(44)와 레일지지대(67) 사이에 다수개의 조절판(46)을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9.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18)으로 침목이동방지앵글(52)을 눌러주도록 설치하되, 침목이동방지앵글(52)은 그 아래에 쇼울더(48)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쇼울더(48)에는 앵글고정돌기(50)를 형성하고, 상기 앵글고정돌기(50)에 침목이동방지앵글(52)이 설치하며, 상기 침목이동방지앵글(52)상에 탄성클립(18)을 설치하여, 상기 탄성클립(18)으로 침목이동방지앵글(52)을 눌러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0.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34)에는 텅레일(34)의 저부(40)를 오목하게 오목홈(54)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54)에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의 걸림턱(56)이 걸리도록 형성하여, 텅레일(34)의 이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1. 삭제
  12.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양측끝단을 상판(12)의 중심에서 끝단까지의 거리를 일정한 곡선(R)으로 하는 원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12)의 양끝단에 절연블록(16) 삽입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양측끝단 상부에 돌출부(58)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블록(16) 하면의 접촉면에 다수개의 요홈(60)을 형성하여, 상기 상판(12)이 일정 간격 회전시 돌출부(58)를 절연블록(16)의 요홈(60)에 삽입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과 절연블록(16)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조절편(64)을 삽입하고, 상기 조절편(64)을 외부로 돌출시켜 상판(12)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4.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과 텅레일(34)의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을 설치하되, 침목 2개에 걸치도록 넓은 이동레일 이탈방지상판(68)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5. 상판패드(10)에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가운데 일측에 이동레일(1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일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이동레일(1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4)의 타측 복부와 상판(12)상에 걸쳐 레일지지대(67)가 볼트(30)와 너트(32)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레일부와; 상기 이동레일(14)측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2)의 가운데 타측에 텅레일(34)이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양측단에 절연블록(16)이 탄성클립(18)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판(12)의 타측에 클립걸이(20)가 형성된 클립플레이트(2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클립걸이(20)에 탄성클립(18)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클립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조절플레이트(24)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24)상에 눌림쇠(26)가 설치되며, 상기 조절플레이트(24)의 하부와 상기 텅레일(34)의 일측 복부에 걸쳐 레일브레이스(2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텅레일부로 구성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14)의 끝단 저부(69)를 일정부분 가공하여 레일의 신축시 상판(12)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은 그 상판(12)의 이동레일(14) 저부 접촉면(69)의 측면을 레일이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경사부(6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KR1020030101624A 2003-12-31 2003-12-31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KR10059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24A KR100599522B1 (ko) 2003-12-31 2003-12-31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24A KR100599522B1 (ko) 2003-12-31 2003-12-31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72U Division KR200348055Y1 (ko) 2003-12-31 2003-12-31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482A KR20050069482A (ko) 2005-07-05
KR100599522B1 true KR100599522B1 (ko) 2006-07-13

Family

ID=3725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624A KR100599522B1 (ko) 2003-12-31 2003-12-31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19A (ko) 2022-01-06 2023-07-13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철도레일 절단부 응급복구용 이음매 체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04A (ja) * 1994-03-11 1995-09-26 Daiwa Kogyo Kk Pcまくらぎ用伸縮継目
KR20000062129A (ko) * 1999-03-04 2000-10-25 이노우에 히로유키 분기기용 상판의 체결구조
KR20010097645A (ko) * 2000-04-25 2001-11-08 조영석 차량의 공조시스템용 실시간 원격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04A (ja) * 1994-03-11 1995-09-26 Daiwa Kogyo Kk Pcまくらぎ用伸縮継目
KR20000062129A (ko) * 1999-03-04 2000-10-25 이노우에 히로유키 분기기용 상판의 체결구조
KR20010097645A (ko) * 2000-04-25 2001-11-08 조영석 차량의 공조시스템용 실시간 원격시험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47504 *
1020000062129 *
2001976450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19A (ko) 2022-01-06 2023-07-13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철도레일 절단부 응급복구용 이음매 체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482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877B2 (en) Wheel guard device
CN103938504B (zh) 无铸件无塑料大调整量高弹性防盗的钢轨扣件
KR100599522B1 (ko)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KR200348055Y1 (ko) Pc침목용 탄성체결 편단 신축이음매장치
US20140263864A1 (en) Portable temporary turnout system for rails
US746774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KR200195543Y1 (ko) 가드레일 결합장치
US6758406B2 (en) Rail switch brace
KR100874182B1 (ko) 직결도상용 탄성체결 신축이음매장치
CN204738185U (zh) 弹条与垫板之间不易偏转的无砟轨道扣件系统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JP3559996B2 (ja) 伸縮継目のまくらぎ継材
US4326670A (en) Adjustable spring clip
JP6402401B2 (ja) レール間幅規定装置
KR100991269B1 (ko) 레일 제로 이음 장치
KR200197645Y1 (ko) 철도 레일의 신축 이음매 장치
KR200319313Y1 (ko) 차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 고정장치
KR200342447Y1 (ko) 신축이음매장치의 레일 체결구조
KR100324807B1 (ko) 철도레일의 신축이음매 장치
CA256200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guide rail support
RU237843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ширины коле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KR200348054Y1 (ko) 고무 차륜형 경량전철 신축이음매장치
JP3796722B2 (ja) 転轍機における玉受床板の固定方法および固定装置
KR100599520B1 (ko) 고무 차륜형 경량전철 신축이음매장치 및 신축이음매연결방법
KR100426659B1 (ko) 열차 탈선 방지용 가드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