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05Y1 - 레일본드 - Google Patents

레일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05Y1
KR200465705Y1 KR2020110007921U KR20110007921U KR200465705Y1 KR 200465705 Y1 KR200465705 Y1 KR 200465705Y1 KR 2020110007921 U KR2020110007921 U KR 2020110007921U KR 20110007921 U KR20110007921 U KR 20110007921U KR 200465705 Y1 KR200465705 Y1 KR 200465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adjacent
rail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우
하승원
하승훈
Original Assignee
하태우
하승훈
하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우, 하승훈, 하승원 filed Critical 하태우
Priority to KR2020110007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5/00Arrangements along running rails or at joints thereof for current conduction or insulation, e.g. safety devices for reducing earth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이웃하는 레일을 연결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일측에 제공되는 레일 이음매부와, 레일 이음매부 및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호전류를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하도록 신호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레일본드에 있어서, 신호전류 공급부는 레일 이음매부의 양끝단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너트박스 연결부와; 제 1 연결 홀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2 연결 홀과,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편조선과; 제 1 연결 홀과 제 2 연결 홀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 볼트너트; 및 제 3 연결 홀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쟘바핀을 포함하는 레일본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본드{Railbond}
본 고안은 레일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본드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일측에 제공되어 신호전류를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하도록 제공되었다.
최근에는,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동차와의 마찰을 억제하면서, 제작시간과 취부시간을 줄여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레일본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개선된 레일본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므로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에 밀착되어 전동차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작시간과 취부시간을 줄일 수가 있어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가 있는 레일본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빠르게 유지보수시킬 수가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레일본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전류 공급부가 열화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신호전류의 레벨을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유지시킬 수가 있어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레일본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이웃하는 레일을 연결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일측에 제공되는 레일 이음매부와, 레일 이음매부 및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호전류를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하도록 신호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레일본드에 있어서, 신호전류 공급부는 레일 이음매부의 양끝단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너트박스 연결부와; 제 1 연결 홀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2 연결 홀과,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편조선과; 제 1 연결 홀과 제 2 연결 홀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 볼트너트; 및 제 3 연결 홀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쟘바핀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되;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중앙 통제 센터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전류 감지/알림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전류 감지/알림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되;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를 발광시키면서 중앙 통제 센터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상부에 더 제공되되, 전동차의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가 더 제공되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통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에너지 축적부가 더 제공되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며,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는 신호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다른 타측에 제공되고 에너지 축적부 및 신호전류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쟘바핀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신호전류를 전달할 때에, 신호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현재 신호전류값을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고, 에너지 축적부를 통해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가 되도록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조절하여 신호전류 공급부로 전달하는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레일본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므로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에 밀착되어 전동차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작시간과 취부시간을 줄일 수가 있어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빠르게 유지보수시킬 수가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신호전류 공급부가 열화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신호전류의 레벨을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유지시킬 수가 있어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레일 이음매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너트박스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편조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풀림방지 볼트너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쟘바핀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레일 이음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너트박스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편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풀림방지 볼트너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쟘바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레일 이음매부(102)와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포함한다.
레일 이음매부(102)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을 연결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일측에 제공된다.
신호전류 공급부(104)는 레일 이음매부(102) 및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호전류를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신호전류 공급부(104)는 너트박스 연결부(104a), 편조선(104b), 풀림방지 볼트너트(104c), 쟘바핀(104d)을 포함한다.
너트박스 연결부(104a)는 레일 이음매부(102)의 양끝단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홀(104a1)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때, 너트박스 연결부(104a)는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가 있다.
편조선(104b)은 제 1 연결 홀(104a1)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2 연결 홀(104b1)과,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연결 홀(104b2)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이때, 편조선(104b)은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가 있다.
풀림방지 볼트너트(104c)는 제 1 연결 홀(104a1)과 제 2 연결 홀(104b1)을 고정시키도록 제공되고, 쟘바핀(104d)은 제 3 연결 홀(104b2)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을 고정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풀림방지 볼트너트(104c)와 쟘바핀(104d)은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중앙 통제 센터(108)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제공되고, 신호전류 공급부(104)의 쟘바핀(10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중앙 통제 센터(108)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위치를 알릴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와 발광부(1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제공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공급부(104)의 쟘바핀(10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발광부(11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의 일측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발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110)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110)를 발광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와 중앙 통제 센터(108) 및 발광부(1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중앙 통제 센터(108)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제공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공급부(104)의 쟘바핀(10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발광부(11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의 일측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발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110)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110)를 발광시키면서, 중앙 통제 센터(108)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R1, R2)를 알릴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112), 에너지 축적부(114), 신호전류 감지부(116),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11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112)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상부에 더 제공되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동차(미도시)의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에너지 축적부(114)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112)를 통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에너지 축적부(1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112)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112)를 통해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기 에너지에 해당하는 전류를 정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에너지 축적부(1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미도시)를 통해 정류된 전류를 축적시키도록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신호전류 감지부(116)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타측에 제공될 수가 있으며, 신호전류 공급부(104)의 쟘바핀(104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118)는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다른 타측에 제공될 수가 있고, 에너지 축적부(114) 및 신호전류 감지부(1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118)는 신호전류 공급부(104)의 쟘바핀(104d)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신호전류를 전달할 때에, 신호전류 감지부(116)를 통해 감지된 현재 신호전류값을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118)는 에너지 축적부(114)를 통해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가 되도록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조절하여 신호전류 공급부(104)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레일 이음매부(102)와 신호전류 공급부(1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므로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에 밀착되어 전동차(미도시)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작시간과 취부시간을 줄일 수가 있어 제작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는 중앙 통제 센터(108)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중앙 통제 센터(108)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위치를 알릴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와 발광부(1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110)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110)를 발광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106)와 중앙 통제 센터(108) 및 발광부(1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발광부(110)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발광부(110)를 발광시키면서, 중앙 통제 센터(108)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R1, R2)를 알릴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 2, 3, 4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의 위치를 빠르게 유지보수시킬 수가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레일(R1, R2)로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112), 에너지 축적부(114), 신호전류 감지부(116),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11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레일본드(100)는 에너지 축적부(114)를 통해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현재 신호전류값이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가 되도록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조절하여 신호전류 공급부(104)로 전달하게 되므로, 신호전류 공급부(104)가 열화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신호전류의 레벨을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유지시킬 수가 있어 신호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서로 이웃하는 레일을 연결하도록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일측에 제공되는 레일 이음매부와, 상기 레일 이음매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호전류를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하도록 신호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레일본드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는,
    상기 레일 이음매부의 양끝단에 제공되고, 제 1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너트박스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 홀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2 연결 홀과,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제 3 연결 홀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편조선과;
    상기 제 1 연결 홀과 상기 제 2 연결 홀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 볼트너트; 및
    상기 제 3 연결 홀을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쟘바핀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되;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현재 신호전류값이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중앙 통제 센터로 상기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본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상기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현재 신호전류값이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발광부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되;
    상기 신호전류 감지/알림부는,
    상기 발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여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며, 상기 현재 신호전류값이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발광부에 발광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면서 상기 중앙 통제 센터로 상기 기준 신호전류범위를 벗어난 지점의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본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상부에 더 제공되되, 전동차의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가 더 제공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통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에너지 축적부가 더 제공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쟘바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전달되는 현재 신호전류값을 감지하는 신호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의 다른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에너지 축적부 및 상기 신호전류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쟘바핀을 통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레일로 상기 신호전류를 전달할 때에, 상기 신호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현재 신호전류값을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에너지 축적부를 통해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신호전류값이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신호전류범위가 되도록 적정 신호전류의 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신호전류 공급부로 전달하는 신호전류 레벨 조절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레일본드.
KR2020110007921U 2011-08-31 2011-08-31 레일본드 KR200465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21U KR200465705Y1 (ko) 2011-08-31 2011-08-31 레일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21U KR200465705Y1 (ko) 2011-08-31 2011-08-31 레일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705Y1 true KR200465705Y1 (ko) 2013-03-06

Family

ID=5135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921U KR200465705Y1 (ko) 2011-08-31 2011-08-31 레일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124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126A (ko) * 1999-03-12 2002-01-29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동력 레일 및 가이드빔 어셈블리
KR200279097Y1 (ko) * 2002-03-25 2002-06-22 이종현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JP2003253601A (ja) * 2002-03-05 2003-09-1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の継目構造
KR100998708B1 (ko) * 2008-08-29 2010-12-07 김해곤 부스바 레일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126A (ko) * 1999-03-12 2002-01-29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동력 레일 및 가이드빔 어셈블리
JP2003253601A (ja) * 2002-03-05 2003-09-10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の継目構造
KR200279097Y1 (ko) * 2002-03-25 2002-06-22 이종현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KR100998708B1 (ko) * 2008-08-29 2010-12-07 김해곤 부스바 레일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124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KR101872569B1 (ko) 2015-12-3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166B2 (en) Ground-based power supply system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s
CN106030981B (zh) 非接触供电系统和送电装置
ES2732826T3 (es) Vehículo eléctrico e instalación de transporte asociada
JP5688546B2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7693630B1 (en) Snow melting system
KR200465705Y1 (ko) 레일본드
KR20140025529A (ko) 비접촉 급전 장치
CN106602745A (zh) 一种高压在线监测设备无线供电方法及装置
CN105416075A (zh) 一种受电弓和采用该受电弓的电动汽车
CN104114398B (zh) 分段的集电器靴组件
KR101842669B1 (ko)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CN107462803B (zh) 一种磁悬浮列车供电线路正极接地选线方法
JP2015100161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5459152B2 (ja) 接続端子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05099323A3 (de) Leuchtdiod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uchtdiodenanordnung
KR101321834B1 (ko) 배전가공전선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식 완철
JP5135193B2 (ja) 流電陽極方式による埋設パイプラインのカソード防食システム及びカソード防食方法
KR101102208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능동형 구간별 작동 전기목책기
KR200491262Y1 (ko)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KR20210054096A (ko) 팬터그래프 검측장치
US20130304299A1 (en) Method of adjusting the electrical supply voltage 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100730732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행거이어
KR200460764Y1 (ko) 순환전류 장애 방지용 곡선당김금구
CN101741017A (zh) 电气化铁路牵引供电系统用防雷保护间隙
CN104538812A (zh) 安装在轻轨上的滑触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