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569B1 -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 Google Patents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569B1
KR101872569B1 KR1020150191357A KR20150191357A KR101872569B1 KR 101872569 B1 KR101872569 B1 KR 101872569B1 KR 1020150191357 A KR1020150191357 A KR 1020150191357A KR 20150191357 A KR20150191357 A KR 20150191357A KR 101872569 B1 KR101872569 B1 KR 10187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rail
railway
support member
rail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124A (ko
Inventor
홍두영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5019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5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60L5/39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from thir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3/00Easily dismountable or movable tracks, e.g. temporary railways;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1B23/02Tracks for light railways, e.g. for field, colliery, or mine use
    • E01B23/06Switches; Portable switches; Turnouts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전철용 도전레일 설비 중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 상기 도전레일을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도전레일을 인접하는 도전레일과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신축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Third rail system applied to articulated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중인 전철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레일 설비 중 굴절형 분기기에 적합한 제3 궤조 전차선로에 관한 것이다.
열차는 궤도를 이탈할 수 없는 상태에서 운행되므로,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경로를 바꾸려면 선로상의 특수 설비인 분기기(분기장치)가 필요하다. 분기기는 선로의 종류와 형태에 적합하도록 구비되는데, 경량전철이나 자기부상열차 등과 같이 구조물을 설치하여 열차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보통 일반철도에서 사용되는 고정형 분기기 대신에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여 열차가 운행할 수 있는 굴절형 분기기가 사용된다.
굴절형 분기기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675314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83371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거더(girder)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거더를 소정 각도로 굴절 이동시켜 궤도를 선택함으로써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
한편, 종래기술의 경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굴절형 분기기의 관절부위에 상응하여 제3 궤조 전차선로도 동일한 굴절형 구조로 제작되어 운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형 분기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거더(11, 12)의 좌우 측면에 각 거더의 길이 및 관절 각도에 상응하여 제3 궤조 전차선로(21, 22)를 고정 설치하여 굴절형 분기기가 굴절되는 위치에 따라 제3 궤조 전차선로도 동일하게 굽힘이 일어나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굴절형 분기기의 관절부위(즉, 거더와 거더 사이)에는 전차선로 관절부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경우, 굴절형 분기기에 제3 궤조 전차선로를 설치하기 위해 각 거더의 길이 및 관절 각도에 따라 제3 궤조 전차선로의 길이 및 각도 등을 정밀 제작해야 하였으며, 설치 시에도 전차선로 관절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각 부품을 위치에 맞게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분기기용 전차선로의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위치 선정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차량에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유지보수 시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531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37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절형 분기기를 구성하는 각 거더의 길이 및 관절 각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절형 분기기의 관절부위에 전차선로 관절부를 형성하지 않고 각 거더에 구비되는 전차선로를 끊김없이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 상기 도전레일을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도전레일을 인접하는 도전레일과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신축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유동형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포트 베이스; 상기 서포트 베이스에 결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애자;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되는 고정형 크로 베이스; 및 상기 고정형 크로 베이스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전레일을 끼움 방식으로 지지하는 크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포트 베이스; 상기 서포트 베이스에 결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애자;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되는 유동형 크로 베이스; 및 상기 유동형 크로 베이스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전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접촉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고, 각 슬라이딩 바는 상기 도전레일과 결합되는 도전레일 결합부; 상기 도전레일 결합부로부터 얇은 바 형태로 돌출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대응하는 상대측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 홈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홈 관통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제1 거더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도전레일; 제2 거더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도전레일; 상기 제1 도전레일을 상기 제1 거더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도전레일을 상기 제2 거더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도전레일과 상기 제2 도전레일을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신축이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절형 분기기를 구성하는 각 거더의 길이 및 관절 각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제3 궤조 전차선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굴절형 분기기의 관절부위에 전차선로 관절부를 형성하지 않고 각 거더에 구비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를 끊김없이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전력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분기기용 전차선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유지보수 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2방향 굴절형 분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부재가 도전레일을 고정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지지부재가 도전레일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에 의해 2개의 도전레일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궤조(Third rail) 방식은 궤도를 따라서 운행하는 열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또 다른 궤도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열차에는 급전 궤도와 접촉하는 금속 집전 장치가 설치되며, 차륜이 놓여 있는 궤도를 또 다른 극으로 하여 회로가 구성된다. 제3 궤조 방식은 전차선을 공중에 설치할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 전차선보다 설치비가 저렴하고 시야를 방해하는 전차선이 없어 미관상으로도 우수하여 경량전철이나 자기부상열차 등에 널리 사용된다.
한편, 경량전철이나 자기부상열차 등과 같이 구조물을 설치하여 열차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열차의 경로를 바꾸기 위해 궤도구조물인 굴절형 분기기를 사용한다. 굴절형 분기기는 복수개의 거더(girder)로 형성되어 각각의 거더를 소정 각도로 굴절 이동시켜 2방향, 3방향, 5방향 등의 궤도를 선택함으로써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2방향 굴절형 분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선로(100)는 굴절형 분기기(110)에 의해 2개의 주회로(102, 104)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굴절형 분기기(110)는 복수개의 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의 경우 3개의 거더(111, 112, 11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거더(111)는 장경간 거더로 구현하였고, 제2 및 제3 거더(112, 113)는 단경간 거더로 구현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거더(111, 112, 113)는 이송장치(미도시)를 통해 굴절 이동됨으로써 분기 운동을 한다.
도 2에서는 2방향 굴절형 분기기를 예시하였지만, 3방향, 5방향 등 여러 방향의 굴절형 분기기도 구현될 수 있다. 굴절형 분기기는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해 각 관절마다 굽혀지는 각도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는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거더로 형성할 경우 3방향 분기기는 최대 11.5°, 5방향 분기기는 최대 23°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형 분기기는 이동 방향이 많을수록 굽힘 각도 및 길이가 길어져 전차선로에 많은 응력과 이동거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궤조 전차선로는 굴절형 분기기의 굽힘에 따라 굽힘이 많게 되고 또한 굴절형 분기기의 굽힘 반복운동에 의해 피로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굴절형 분기기의 굽힘에 상응하고 굴절형 분기기의 굽힘 반복운동에 의한 피로하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는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121, 122), 상기 도전레일을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고정형 지지부재(130)와 유동형 지지부재(140), 그리고, 상기 도전레일을 인접하는 도전레일과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신축이음부재(150)를 포함한다.
도전레일(121, 122)은 열차의 집전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3 궤조로서 파워레일(Power rail)이라고도 한다. 도전레일은 전류를 흐를 수 있는 알루미늄 본체와 차량의 집전 장치가 접촉하는 동합금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전레일의 동합금 접촉부와 차량의 집전 장치가 접촉되는 방식에 따라 상단 접촉 방식, 측면 접촉 방식, 하단 접촉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경우에는 하단 접촉 방식으로 구현한 것이다.
지지부재(130, 140)는 도전레일(121, 122)을 굴절형 분기기(110)의 좌우 측면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는 고정형 지지부재(130)와 유동형 지지부재(14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지지부재는 굴절형 분기기(110)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사용한다. 예컨대, 굴절형 분기기(110)의 양 단부에는 고정형 지지부재(130)를 사용하고, 그 외 부분에는 유동형 지지부재(140)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부재가 도전레일을 고정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지지부재(130)는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131), 서포트 베이스(support base)(132), 절연 애자(insulator)(133), 고정형 크로 베이스(claw base)(134), 크로(claw)(1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한 쌍의 고정 앵커(anchor)(136a, 136b)를 포함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31)는 고정형 지지부재(130)를 굴절형 분기기(110)의 일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차의 진동이나 분기기의 굴절에 대한 완충작용을 위해 예컨대 굴곡부를 형성하여 탄성을 갖는 금속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베이스(132)는 서포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어 지지부재의 주요부를 지탱하면서 하중을 서포트 플레이트(131)로 분산시킨다.
절연 애자(133)는 서포트 베이스(132)와 고정형 크로 베이스(134) 사이에 구비되어 도전레일(121)을 흐르는 전류가 굴절형 분기기(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절연 애자(133)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에폭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형 크로 베이스(134)는 절연 애자(133)에 결합되어 크로(135)를 지탱한다. 크로(135)는 고정형 크로 베이스(135)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도전레일(121)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레일(121)은 크로(135)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 양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라인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크로(135)는 도전레일(121)을 끼움 방식으로 지지하며 도전레일(121)은 그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형 지지부재(130)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 앵커(136a, 136b)는 크로(135)의 양 측면에서 도전레일(121)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도전레일(121)이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시킨다. 한 쌍의 고정 앵커(136a, 136b)는 굴절형 분기기(1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형 지지부재들 중에서도 최측단에 위치하는 고정형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지지부재가 도전레일을 고정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지지부재(140)는 서포트 플레이트(141), 서포트 베이스(142), 절연 애자(143), 유동형 크로 베이스(144), 한 쌍의 롤러(145a, 145b)를 포함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41)는 유동형 지지부재(140)를 굴절형 분기기(110)의 일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차의 진동이나 분기기의 굴절에 대한 완충작용을 위해 예컨대 굴곡부를 형성하여 탄성을 갖는 금속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베이스(142)는 서포트 플레이트(141)에 결합되어 지지부재의 주요부를 지탱하면서 하중을 서포트 플레이트(141)로 분산시킨다.
절연 애자(143)는 서포트 베이스(142)와 유동형 크로 베이스(144) 사이에 구비되어 도전레일(121)을 흐르는 전류가 굴절형 분기기(1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절연 애자(143)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에폭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동형 크로 베이스(144)는 절연 애자(143)에 결합되며, 그 일 단부에는 한 쌍의 롤러(145a, 145b)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레일(121)은 한 쌍의 롤러(145a, 145b)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 양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라인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롤러(145a, 145b)는 도전레일(121)을 끼움 방식으로 지지하며 도전레일(121)은 그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롤러(145a, 145b)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롤러(145a, 145b)에 끼움되는 도전레일(121)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됨으로써, 굴절형 분기기(110)가 굴절 이동될 때 도전레일(121)이 그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즉, 한 쌍의 롤러가 배향된 방향)으로 다소 유동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에 의해 2개의 도전레일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150)는 2개의 도전레일(121, 122) 사이에 구비되어 해당 도전레일(121, 122)을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이음부재(150)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sliding bar)(150a, 150b)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부재(150)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150a, 150b)로 구성되고, 각 슬라이딩 바(150a, 150b)는 도전레일 결합부(151a, 151b),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a, 152b), 슬라이딩 홈(153a, 153b), 슬라이딩 홈 관통부(154a, 154b)를 포함한다.
도전레일 결합부(151a, 151b)는 신축이음부재(150)가 연결하고자 하는 도전레일(121, 122)과 결합되는 부분이고,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a, 152b)는 도전레일 결합부(151a, 151b)로부터 얇은 바(bar) 형태로 도출된 복수개의 플레이트(plate)로서 대응하는 상대측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b, 152a)와 상호 교차 끼움 방식으로 접촉된다.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a, 152b)의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홈(153a, 153b)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a, 152b)의 일 단부에는 슬라이딩 홈 관통부(154a, 154b)가 구비되어 대응하는 상대측 복수개의 접촉 플레이트(152b, 152a)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53b, 153a)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슬라이딩 바(150a, 150b)가 그 길이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되어 신축가능한 이음(Expansion Joint)을 제공한다.
한편, 신축이음부재(150)는 굴절형 분기기(110)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도전레일의 중간 중간에 여러 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굴절형 분기기(110)의 관절부위(즉, 거더와 거더 사이)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굴절형 분기기(110)가 제1 거더(111), 제2 거더(112), 제3 거더(113)로 구성될 경우, 신축이음부재(150)는 제1 거더(111)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도전레일과 제2 거더(112)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도전레일 사이에 그리고 제2 거더(112)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도전레일과 제3 거더(113)를 통과하는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3 도전레일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굴절형 분기기(110)의 굴절 이동에 상응하여 도전레일이 완만하게 굴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부재(150)는 굴절형 분기기(110)의 관절부위 외에 개별 거더(111, 112, 113)의 중간 중간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굴절형 분기기(110)의 굴절 이동에 상응하여 도전레일이 보다 더 완만하게 굴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신축이음부재(150)의 양측에 연결되는 도전레일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유동형 지지부재(1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주선로(100)나 주회로(102, 104)와 연결되는 굴절형 분기기(110)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고정형 지지부재(1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부재(150) 근처에 위치하는 유동형 지지부재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유동형 지지부재보다 한 쌍의 롤러(145a, 145b) 사이의 거리를 조금 더 넓게 구현하여, 신축이음부재(150)의 인장과 압축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로서,
    전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
    상기 도전레일을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유동형 지지부재; 및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접촉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를 구비하며, 상기 도전레일을 인접하는 도전레일과 전기 도통 상태로 굽힘 방향에 따라 바깥쪽 부분은 늘어나고 안쪽 부분은 줄어들도록 연결시키는 신축이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형 크로 베이스; 및 상기 고정형 크로 베이스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전레일을 끼움 방식으로 지지하는 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유동형 크로 베이스; 및 상기 유동형 크로 베이스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전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도전레일이 그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전레일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포트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 베이스와 상기 고정형 크로 베이스 사이에 결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애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형 지지부재는,
    상기 크로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도전레일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도전레일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앵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형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의 일 측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서포트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 베이스와 상기 유동형 크로 베이스 사이에 결합되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바는
    상기 도전레일과 결합되는 도전레일 결합부;
    상기 도전레일 결합부로부터 얇은 바 형태로 돌출된 복수개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대응하는 상대측 슬라이딩 바의 슬라이딩 홈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홈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형 분기기는 일 측면에 제1 도전 레일이 구비된 제1 거더 및 일 측면에 제2 도전 레일이 구비된 제2 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도전레일을 상기 제1 거더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도전레일을 상기 제2 거더의 일 측면에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재는 상기 제1 도전레일과 상기 제2 도전레일을 전기 도통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신축이음부재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도전레일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유동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신축이음부재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도전레일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동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재는 상기 굴절형 분기기와 연결되는 주선로 또는 주회로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도전레일을 고정 지지하는 제1 고정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구조물 자체가 이동하여 선로의 경로를 변경하는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KR1020150191357A 2015-12-31 2015-12-31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KR10187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57A KR101872569B1 (ko) 2015-12-31 2015-12-31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57A KR101872569B1 (ko) 2015-12-31 2015-12-31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24A KR20170080124A (ko) 2017-07-10
KR101872569B1 true KR101872569B1 (ko) 2018-06-28

Family

ID=5935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357A KR101872569B1 (ko) 2015-12-31 2015-12-31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5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05Y1 (ko) 2011-08-31 2013-03-06 하태우 레일본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14B1 (ko) 2005-12-30 2007-01-29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부상 열차용 분기기의 이송장치
KR101130685B1 (ko) * 2009-04-15 2012-04-02 오성기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1130687B1 (ko) * 2009-04-15 2012-04-02 오성기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1267650B1 (ko) * 2011-07-27 2013-05-27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케이블 이동보호장치
KR20140083371A (ko)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5방향 궤도분기기
KR101636792B1 (ko) * 2014-02-11 2016-07-06 오성기전주식회사 급전 레일의 신축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05Y1 (ko) 2011-08-31 2013-03-06 하태우 레일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24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765C2 (ru) Энергосистема электрифицированной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без обратн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о всем процессе и без сетей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на интервалах
CN105358361B (zh) 滑接导线、集电器以及滑接导线系统
EP3260326B1 (en) Temperature compensation device for rigid overhead catenary
KR20140110324A (ko) 지지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1746281B (zh) 一种刚性接触网膨胀接头
JP2012528029A (ja) 鉄道線路,トローリー線路及び地下鉄線路の活線を支持するためのカンチレバー
BRPI0900257B1 (pt) Circuito de alimentação elétrica
US8398031B2 (en) Rail system, particularly for an electric pallet track
CN108973782A (zh) 城轨交通刚柔结合悬挂接触网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JP2021518738A (ja) 車両を充電ステーションに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高速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995056A (zh) 带有两个刚性导电轨和一个分段绝缘器的装置
KR101925149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872569B1 (ko)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20130122982A (ko)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RU2518116C2 (ru) Система воздушной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20150094237A (ko) 급전 레일의 신축흡수장치
CN102343834A (zh) 一种刚性分段绝缘器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KR20110082990A (ko)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블록의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 장치
CN207608774U (zh) 一种道岔
KR101230608B1 (ko) 급전선로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세그멘트화하기 위한 급전장치
CN213501931U (zh) 用于承载接触线的系统以及接触网交叉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