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371A - 5방향 궤도분기기 - Google Patents

5방향 궤도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371A
KR20140083371A KR1020120153044A KR20120153044A KR20140083371A KR 20140083371 A KR20140083371 A KR 20140083371A KR 1020120153044 A KR1020120153044 A KR 1020120153044A KR 20120153044 A KR20120153044 A KR 20120153044A KR 20140083371 A KR20140083371 A KR 2014008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girder
locking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5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371A/ko
Publication of KR2014008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4Switches; Frogs;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방향 궤도분기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동거더본체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크랭크 암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는 2개의 가이드 롤러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을 가이드하여, 5방향으로 원활하게 분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로킹핀이 원활하게 가이드되어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5방향 궤도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방향 궤도분기기{TRACK BRA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5방향 궤도분기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동거더본체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크랭크 암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는 2개의 가이드 롤러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을 가이드하고 자기부상열차에 적용할 수 있는 5방향 궤도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5방향 궤도분기기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94314호(문헌 1)에 나타난 것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86104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91595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84827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2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952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15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7161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2661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2447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75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1170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11702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문헌1에서 거더(1)는 선회기구(G1~G4)에 의해 선회된다. 선회기구(G1~G4)는 모터(M)가 회전하면, 샤프트(S)의 수평회전동력을 수직회전동력으로 전환시켜 각 크랭크 암(CA)을 회전시키고, 크랭크 암(CA)이 슬롯(SL)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어서, 거더(1)를 좌우로 선회시키게 된다.
선회되는 정도에 따라 거더(1)는 연결 거더(4) 또는 고정궤도거더(2,3)에 위치하게 된다.
위 거더(1)는 좌측 거더, 중앙 거더 및 우측 거더 등 여러개의 관절로 조합되어 회전하는 구조이고, 좌측 거더는 중앙 거더 및 우측 거더에 비하여 길이가 긴 장거더이다. 장거더인 좌측 거더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는 핀 타입의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기기는 3방향으로만 분기를 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5방향으로 원활하게 분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로킹핀이 원활하게 가이드되어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5방향 궤도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5방향 궤도분기기는, 가동거더본체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크랭크 암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는 2개의 가이드 롤러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을 가이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5방향 궤도분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동거더본체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크랭크 암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는 2개의 가이드 롤러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을 가이드하여, 5방향으로 원활하게 분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로킹핀이 원활하게 가이드되어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분기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5방향 궤도분기기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5방향 궤도분기기 연결거더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5방향 궤도분기기 로킹장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5방향 궤도분기기 모터 설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5방향 궤도분기기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5방향 궤도분기기는, 가동거더본체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800)과,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800)을 구동하는 모터(900)와, 상기 크랭크 암(800)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700)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60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600)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620)과, 상기 로킹핀(6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640)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620)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6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6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630)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630)는 2개의 가이드 롤러(631)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620)을 가이드한다.
고정거더(100)는 지면에 대하여 고정된다.
고정거더(100)의 우측 단부에는 레일(110)이 형성된다.
레일(110)은 고정거더(10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즉, 레일(110)은 폭 방향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도 2개가 설치되어 있어서, 총 4개가 설치된다.
레일(110)은 상부 플레이트(111), 하부 플레이트(112) 및 위 상부 플레이트(111) 및 하부 플레이트(112)를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 플레이트(113)로 구성되어 단면이 디귿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111) 및 하부 플레이트(112)의 양쪽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110)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 플레이트(111) 및 하부 플레이트(11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거더본체는 고정거더(100)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상기 가동거더본체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선회 운동한다.
상기 가동거더본체는 일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시작단 거더 역할을 하는 제1단경간 거더(210)와, 상기 제1단경간 거더(210)에 연결되는 제2단경간 거더(220)와, 상기 제2단경간 거더(220)에 연결되는 제3단경간 거더(230)와, 상기 제3단경간 거더(230)에 연결되는 제4단경간 거더(240)와, 상기 제4단경간 거더(240)에 연결되는 제1장경간 거더(300)를 포함한다.
각 거더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있어서, 양자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각 방향에 설치된 고정거더(100)의 간격(d)이 분기구간에서 열차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2700mm이상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구비하여 5방향으로 분기하더라도 거더 사이의 2.3도 이내가 되어 거더간 꺽임부위에 제약없이 더욱 원활하게 5방향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거더의 하부에는 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500)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500)로 인해 상기 가동거더본체가 원호 궤적을 다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연결거더(400)는 고정거더(100)와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연결한다.
연결거더(400)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제1장경간 거더(300)의 끝단에 힌지(410)로 연결되어 있어서, 제1장경간 거더(30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연결거더(400)의 좌측 단부에는 축이 설치되어 있고, 위 축에는 안내롤러(4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거더(400)가 상기 가동거더본체가 함께 선회하여 고정거더(100)에 접근하면, 위 안내롤러(420)가 레일(110)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후, 상부 플레이트(111) 하면 및 하부 플레이트(112) 상면에 의해 연결거더(400)가 정확한 위치로 고정거더(10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600)를 포함한다.
로킹장치(600)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620)과, 상기 로킹핀(6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640)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620)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6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6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630)를 포함한다.
로킹핀(620)은 실린더(61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킹핀(620)은 실린더(610)에 설치되어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650)에 핀을 통해 설치된다.
피스톤(650)에서 로킹핀(620)과 연결되는 끝단에는 돌출부(65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651)는 피스톤(650)을 둘러싸는 지브라와 로킹핀(620)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651)는 피스톤(650)이 끼워지는 관통공(654)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54)은 하부에 편심되게 배치되어, 돌출부(651)가 피스톤(650)에 설치되게 되면 돌출부(651)는 피스톤(650) 및 로킹핀(620)의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돌출부(651)에는 하부에 관통공(654)에 연통되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653)이 형성되어, 돌출부(651)가 피스톤(6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돌출부(651)를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돌출부(651)의 상부에는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볼트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체결공에 볼트(652)가 설치되어 돌출부(651) 상부는 로킹핀(620)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652)가 돌출부(651)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부(651)의 상부가 로킹핀(6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상 용이한 이점이 있다.
로킹핀 리시버(640)는 고정거더(100)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550)에 설치될 수 있다.
로킹핀 리시버(640)는 궤도의 폭방향으로 롤러(641)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롤러(641)는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641)는 오목롤러로 구비된다.
로킹핀 리시버(640)에는 롤러(641)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판(643)에 제1감지부재(642)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감지부재(642)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64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감지부재(642)는 롤러(641) 사이에 로킹핀(620)이 배치되는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감지부재(642)는 로킹핀(620)이 유입되는 입구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감지부재(642)로 인해, 로킹핀(620)의 끝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로킹이 원활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기기를 제어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핀 가이드(630)는 연결거더(400)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핀 가이드(630)는 2개의 가이드 롤러(631)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620)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롤러(631)는 좌우 방향으로 2개, 폭방향으로 2개, 모두 4개의 로울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롤러(631) 역시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다.
가이드 롤러(631)는 오목롤러로 구비되어, 로킹핀(620)이 가이드 롤러(631) 사이에 삽입될 때 사각형상의 로킹핀(620)과 상기 오목롤러의 오목부(632)와 접한다.
오목부(632)는 가이드 롤러(631)의 중간 부분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형성된다. 즉, 오목부(632)는 가이드 롤러(631)의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형성된다.
핀 가이드(630)에도 가이드 롤러(631)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판(633)에 제2감지부재(632)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감지부재(632)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6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감지부재(632)는 가이 롤러(631) 사이에 로킹핀(620)이 배치되는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2감지부재(632)는 로킹핀(620)이 유입되는 입구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감지부재(632)로 인해, 로킹핀(620)의 끝단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돌출부(65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로킹 및 가이드가 원활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기기를 제어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동거더본체 및 연결거더(400)가 선회하여 고정거더(100)에 접근하는 경우 안내롤러(420)가 레일(110)에 의해 안내되어 정 위치에 도달한다. 이후 로킹핀(620)이 실린더(610)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631) 및 롤러(64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거더본체 및 연결거더(400)가 정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가동거더본체 및 연결거더(400)를 선회시키는 경우, 실린더(610)에 의해 로킹핀(620)을 롤러(641)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선회시킨다.
이와 같이 로킹핀(620)이 원활하게 가이드되어 로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900)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제1장경간 거더(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판넬(3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하 서술되는 크랭크 암(800)을 구동한다.
모터(900)의 축에는 제1연결부재(910)와, 제1연결부재(910)에 축이음되는 제2연결부재(920)가 연결되어 있다.
제1연결부재(910)는 감속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9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모터(900) 및 제1연결부재(9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브라켓(912)이 제1하우징(911) 하부에 형성된다.
제1브라켓(91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판넬(301)에 볼팅체결된다.
나아가, 제1하우징(911)에는 제1브라켓(912)과 모터(9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직지지판넬(913)이 형성된다. 수직지지판넬(913)은 판넬(301)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넬(301)에 수직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수직지지판넬(913)로 인해, 모터(900)가 더욱 안정적으로 판넬(30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900)는 판넬(30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거더의 진동등이 바로 모터(90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모터(9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920)는 모터(900)의 수평회전동력을 수직회전동력으로 전환시키는 부재이다.
제2연결부재(920)는 제2하우징(92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2하우징(921)의 하부에는 제2연결부재(9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브라켓(9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브라켓(92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판넬(301)에 볼팅체결된다. 제2브라켓(922)에는 제2연결부재(920)의 축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다. 나아가, 제1관통공에 연통되도록 판넬(301)에도 제2연결부재(920)의 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다.
크랭크 암(800)은 모터(900)에 제1,2연결부재(910,9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제1장경간 거더(300)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암(800)은 제2연결부재(920)의 축에 설치되어, 제1장경간 거더(300)의 판넬(301)의 하부에 배치된다.
크랭크 암(800)은 거더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거더의 외측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크랭크 암(800)은 모터(900)에 의해서 회전된다.
크랭크 암(800)의 양 끝단의 하부에는 롤러(8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롤러(810)의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다.
크랭크 암(800)의 하부에는 롤러(810)의 축(811)이 삽입되는 삽입공(801)이 형성된다. 축(811)은 상단에 축경부(815)가 형성되고, 축경부(81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축(811)이 크랭크 암(8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롤러(810)의 설치 및 교체 등이 용이하다. 또한, 축경부(815)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시 축경부(815)보다 직경이 큰 부분이 롤러(810)가 정해진 위치에 오면 걸리게 되어 있어서, 설치위치가 정해지게 되어 설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축(811)은 크랭크 암(800)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축(811) 하부에 롤러(810)가 끼워져서 크랭크 암(800) 하부로 부터 이격되도록 롤러(810)가 배치된다.
축(811)과 롤러(810) 사이에는 베어링(812)이 배치되어 롤러(810)가 원활하게 회전된다.
또한, 축(811)의 하단 둘레에는 걸림턱(813)이 형성되어 베어링(812)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축(811)에는 베어링(812)의 상부와 크랭크 암(800) 하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링(814)이 끼워져서 베어링(812)의 위치가 고정된다.
암가이드(700)는 상기 크랭크 암(800)를 가이드하며 지면에 고정설치된다.
암가이드(700)는 롤러(810)가 삽입 및 가이드 되는 가이드홈(701)이 형성되며, 가이드홈(701)은 롤러(810)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부분에 확경부가 형성되어 롤러(810)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암가이드(700)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거더본체가 선회했을 때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된다.
크랭크 암(800)은 암가이드(7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선회시킨다.
모터(900)를 작동시키면 크랭크 암(80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되는 크랭크 암(800)은 암가이드(7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이동시킨다.
상기 가동거더본체 이동시 크랭크 암(800)은 상기 가동거더본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모터(900)에 의해서 회전한다. 즉, 크랭크 암(800)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대하여 자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거더본체와 함께 이동하는 공전운동을 한다.
한편, 상기 가동거더본체가 가운데 3way 2개의 암가이드(700)에 의해서 고정된다. 사용 빈도가 높은 고정거더(100)를 가운데 3way에 배치하면 정밀도가 더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크랭크 암(800)가 암가이드(700)를 연속적으로 타고 넘어가는 구조로 되어 5방향으로 분기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거더 210 : 제1단경간 거더
220 : 제2단경간 거더 230 : 제3단경간 거더
240 : 제4단경간 거더 300 : 제1장경간 거더
400 : 연결거더 500 : 링크
600 : 로킹장치 700 : 암가이드
800 : 크랭크 암 900 : 모터

Claims (1)

  1. 가동거더본체;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크랭크 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암을 구동하는 모터;
    상기 크랭크 암을 가이드하며 고정설치되는 암가이드;
    상기 가동거더본체의 이동완료 후에 상기 가동거더본체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는 궤도 길이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로킹핀 리시버와, 상기 가동거더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킹핀과 상기 로킹핀 리시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킹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는 2개의 가이드 롤러를 가져서 상기 로킹핀을 가이드하는 5방향 궤도분기기.
KR1020120153044A 2012-12-26 2012-12-26 5방향 궤도분기기 KR20140083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44A KR20140083371A (ko) 2012-12-26 2012-12-26 5방향 궤도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44A KR20140083371A (ko) 2012-12-26 2012-12-26 5방향 궤도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71A true KR20140083371A (ko) 2014-07-04

Family

ID=5173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044A KR20140083371A (ko) 2012-12-26 2012-12-26 5방향 궤도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3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429A (ko)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궤도분기기용 거더
KR20170080124A (ko)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429A (ko)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궤도분기기용 거더
KR20170080124A (ko)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664B2 (en) Track guided vehicle system
US5193767A (en) Girder type switch track
CN100448735C (zh) 曲线式的装配和/或输送带
US9212454B2 (en) Branching device and center guide-type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
KR101775509B1 (ko)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JP4485138B2 (ja) 2軸直動・旋回案内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装置
KR20140083371A (ko) 5방향 궤도분기기
KR20070047547A (ko) 이송대차 시스템
EP0960848B1 (en) Bridge crane
KR101664126B1 (ko)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 분기기용 슬라이드안내장치
KR100894314B1 (ko) 궤도 분기기의 록킹장치
KR20140083453A (ko) 5방향 궤도분기기
KR101678558B1 (ko) 균일 거더 굴절의 자기부상열차용 5방향 궤도분기기
KR20140083405A (ko) 5방향 궤도분기기
KR101748359B1 (ko) 안정 원호설정의 자기부상열차용 5방향 궤도분기기
KR200481497Y1 (ko)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 분기기용 가동안내판 록킹구조
KR20110082990A (ko)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블록의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 장치
KR20130120684A (ko) 3개의 단경간을 구비한 궤도분기기
KR20130120683A (ko) 3개의 단경간을 구비한 궤도분기기
CN114016336A (zh) 一种悬挂式轨道梁三股道换线系统
CN210561722U (zh) 一种适用于变坡度行走的桥检车门架系统
CN114013472A (zh) 一种悬挂式轨道单开车辆换线系统
KR20020078880A (ko)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JP3742080B2 (ja) シーサス型軌道分岐装置の中央回転桁
JP2002180405A (ja) 軌道分岐装置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