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509B1 -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 Google Patents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509B1
KR101775509B1 KR1020150121234A KR20150121234A KR101775509B1 KR 101775509 B1 KR101775509 B1 KR 101775509B1 KR 1020150121234 A KR1020150121234 A KR 1020150121234A KR 20150121234 A KR20150121234 A KR 20150121234A KR 101775509 B1 KR101775509 B1 KR 101775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hain
driving
rail
sprocke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192A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15012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5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메인체인 측에 힌지 결합된 차고가 순환 회전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순환 회전하는 메인체인; 메인체인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메인체인 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차고; 상기 메인체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전환 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체인은, 링크판들; 상기 링크판들을 연결시키는 링크핀들; 상기 링크핀들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롤러; 및 상호 대향하는 양 링크판 간을 고정하는 구동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핀들에 제공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전달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의 구조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CIRCULA TOWER TYPE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누적된 차량의 증가에 비하여 주차 공간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현재는 신축 건물을 지을 때 건축 규정에 따라 일정한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만 한다.
대게의 경우 지하 공간이나 옥상, 또는 특정 층 전체나 건물의 측면 공간 등을 주차 공간으로 확보한다. 그러나 그런 전통적인 주차 공간의 확보 방법은 특히 도심에서 대지나 건물의 층당 면적이 주는 절대적인 수용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주차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대의 차량을 수직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주차 설비를 구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별도의 주차설비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관한 것이다.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에 순환 회전하는 메인체인을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메인체인에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차고가 결합되어 있어서,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차고도 순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장치를 가진다. 레일장치는 메인체인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레일과 메인체인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레일로 구성된다. 즉, 메인체인은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측레일에 의해 외측이 지지 및 안내될 수 있고, 내측레일에 의해 내측이 지지 및 안내될 수 있는 상태로 순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는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부에 두는 상부 구동식과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하부에 두는 하부 구동식으로 나뉜다. 하부 구동식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042034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부 구동식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423481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부 구동식보다 상부 구동식이 구동 효율면에서는 우수하다. 그러나 상부 구동식은 구동력 전달과정이 복잡하고, 구동부가 주차장비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유지 보수가 어렵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상부 구동식보다는 하부 구동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하부 구동식은 메인체인의 하부 전체 영역에 구동력을 가하는 대형 스프로켓 구동식과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내측레일의 일 측에서 메인체인의 하부 작은 영역에 구동력을 가하는 소형 스프로켓 구동식이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은 소형 스프로켓 구동식과 관련된다.
소형 스프로켓 구동식은 종래기술로서 제시된 공개공보의 도 9에서와 같이 하부 영역에 외측레일(32, 공보상에는 '외측가이드'로 명명됨)과 함께 내측레일(31, 공보상에는 '내측가이드'로 명명됨)이 구성되어야 한다. 물론, 메인체인(20)은 외측레일(32)과 내측레일(31)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내측레일(31) 측으로는 메인체인(20)의 순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형 스프로켓(72, 공보상에는 '구동로터'로 명명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 스프로켓(72)은 견인홈(72a)에 삽입되는 롤러(27)에 구동력을 가한다.
참고로 종래기술로서 제시된 공개공보의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체인(20)은 링크판(21, 공보상에는 '단위링크판'으로 명명됨)들의 양단부가 각각 링크핀(22, 23)에 의해서 엇갈리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 링크핀(22, 23)에는 롤러(2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27)는 메인체인(20)이 내측레일(31) 또는 외측레일(32)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는 접촉점이 된다. 따라서 롤러(27)의 자전으로 인해 메인체인(20)이 내측레일(31)이나 외측레일(32)에 의해 지지되는 접촉점에서 마찰이 대폭 경감된 상태로 내측레일(31)이나 외측레일(32)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롤러(27)들 사이에는 긴 링크판(21) 중단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고정핀(25)이 위치한다.
종래기술과 같이 내측레일(31)과 외측레일(32)의 간격이 일정하여 그 사이에 메인체인(20)이 소형 스프로켓(72)에 의해 이동하면서 구동되는 구조의 경우에, 소형 스프로켓(72)의 구동에 의해 내ㅇ외측레일(31, 32)과 롤러(27)의 접촉 마찰이 없으면 이론적으로는 상부 구동식과 동일한 구동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체인(20)에 구비된 롤러(27)는 외측레일(32)과 내측레일(31) 사이에서 공전과 자전을 한다. 만일 소형 스프로켓(72)이 메인체인(20)에 구비된 롤러(27)에 힘을 가하는 구조에서, 소형 스프로켓(72)과 접촉되는 부위에서는 롤러(27)가 외측레일(32)에 접촉된 상태로 안정되게 자전하면서 공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소형 스프로켓(72)의 구동에 의해 롤러(27)가 공전하면서 외측레일(32) 측으로 미는 힘(F)이 작용하고, 또한 스프로켓(72)과 접촉된 롤러(27)가 스프로켓(72)의 접촉에 의한 자전을 하게 되므로 외측레일(32)과 롤러(27)는 진행 속도의 차이로 인해 마찰하게 된다. 즉, 롤러(72)는 스프로켓(72)과의 접촉에 의해 자전과 동시에 외측레일(32) 방향으로 강한 힘(F)을 받게 되면서 롤러(27)와 외측레일(32)이 심하게 마찰된다. 그로 인해 롤러(27)의 공전과 자전이 방해를 받아서 끼임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심리적인 불안함을 주고, 롤러(27)나 외측 레일(32)의 마모와 구동력의 손실 및 구조적인 안정성의 훼손을 가져온다.
따라서 종래기술로서 제시된 공개공보의 도 9에서와 같이 소형 스프로켓(72)에 의해 롤러(27)가 자전하면서 힘(F)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내ㅇ외측레일(31, 32)과 마찰되는 부분에서 외측레일(32)을 일부 절개함으로써 롤러(27)와 외측레일(32) 간의 접촉 마찰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외측 레일(32)이 있어야만 상부구동식과 같은 구동효율을 얻을 수가 있는데, 해당 절개 부분에서는 외측레일(32)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가 없게 되고 만다.
이와 같이 하부에 외측레일(32)이 없을 경우, 차고들에 실린 모든 차량의 하중이 하방으로 작용하여 메인체인(20)이 하방으로 늘어지면 소형 스프로켓(72)에 의한 구동력의 양호한 전달이나 메인체인(20)의 적절한 지지 및 안내에 불량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메인체인(20)이 탈선하는 등 구동효율이 떨어지고 구조적인 안정성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소형 스프로켓의 설치로 인하여 내측레일의 해당 부분에 빈 공간이 발생함으로 메인체인이 원활히 이송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로서 제시된 공개공보의 도 8에서는 소형 스프로켓(72)의 두께를 절반 정도로 얇게 구성하고, 롤러(27)의 폭 절반은 소형 스프로켓이 지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반쪽이 제거된 내측레일(31)이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할 때에는 소형 스프로켓(72)의 두께가 얇아서 강도가 약하였고, 구동력도 롤러(27)의 일 측에 치우치게 가해져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으로 인해 늘어난 메인체인(20)은 외측레일(32)이 절개된 부위로 처지게 된다. 그러면 메인체인(20)과 스프로켓(72)의 맞물림이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서 구동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부에 별도의 조절장치(업계에서는 'Take-Up장치'라 함)를 설치해야 되고, 해당 조절장치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메인체인(20)의 상방으로 당겨 메인체인(20)과 스프로켓(72)의 맞물림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절장치를 구비해야 되고, 또 사용 중 주기적으로 메인체인(20)을 상방으로 올리는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제조 원가가 높고 유지 보수비가 많이 드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특히 소형 스프로켓이 하부 영역에서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조에서, 하부 영역에 설치된 외측레일의 일부를 절개할 필요가 없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소형 스프로켓의 두께를 줄일 필요가 없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는, 순환 회전하는 메인체인; 상기 메인체인의 내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체인의 외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2 레일; 상기 메인체인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재;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는 다수의 차고; 상기 메인체인이 하방 이동에서 상방 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 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으로 순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체인은, 상호간에 연결된 개수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는 링크판들; 상기 링크판들을 연결시키는 링크핀들; 상기 링크핀들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롤러들; 및 상기 안내롤러들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핀들에 제공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전달기; 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로켓에는 상기 구동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동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핀은 상기 구동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로켓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스프로켓의 구동력을 받는다.
상기 스프로켓에는 상기 삽입홈들 사이에 상기 안내롤러가 삽입될 수 있는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롤러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스프로켓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구동핀의 축중심은 상기 구동핀의 양 측에 있는 롤러들의 회전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내측으로 비껴있다.
상기 구동핀은 상기 외측레일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의 돌출궤도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있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홈이 구비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전후측에서 돌출되어진 돌출테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전환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전환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환부분은 상기 스프로켓이 설치된 부위에 상기 돌출테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을 가진다.
상기 구동핀들에 설치되는 구동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구동롤러와 접촉하면서 상기 구동핀들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는, 순환 회전하는 메인체인; 상기 메인체인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체인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2 레일; 상기 메인체인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재;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는 다수의 차고; 상기 메인체인이 이동 방향이 전환하는 전환 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으로 순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체인은, 상호 간에 연결된 개수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는 링크판들; 상기 링크판들을 연결시키는 링크핀들; 및 상기 링크핀들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롤러들;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전달기; 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의 돌출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있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홈이 구비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전후측에서 돌출되어진 돌출테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전환 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전환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환부분은 상기 스프로켓이 설치된 부위에 상기 돌출테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레일에 접촉되는 안내롤러 대신에 안내롤러들 사이에 설치된 구동핀에 구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안내롤러가 자전과 공전을 마음대로 할 수 있어서 스프로켓과 제2 레일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끼임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안내롤러나 제2 레일의 마모도 방지된다. 그리고 그만큼 구동력의 손실도 방지된다.
또한, 제2 레일을 절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레일이 안내롤러를 지지 및 안내하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이 하부 구동식이지만 상부 구동식과 같은 구동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부위에 지지판을 설치한다. 즉, 안내롤러가 제1 레일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이송될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판을 부착함으로써 메인체인이 제1 레일 상에서 연속적으로 지지 및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강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의 구조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스프로켓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제2 레일이 연속적으로 있어서 메인체인이 처질 이유가 없으므로 조절장치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원가를 줄일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된 메인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메인체인에서 한 쌍의 링크판을 발췌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메인체인에 적용된 안내롤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메인체인에 적용된 구동핀과 안내롤러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도2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제1 레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2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제1 레일의 전환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환부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에 적용된 구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장치에 적용된 스프로켓을 발췌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프로켓과 안내롤러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공지되었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2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200)는, 메인체인(210), 제1 레일(220), 제2 레일(230), 6개의 결합부재(240), 6개의 차고(250), 구동장치(260) 및 프레임(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체인(210)은 도 3에서와 같이 전후 한 쌍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메인체인(210)과 더불어 제1 레일(220), 제2 레일(230), 6개의 결합부재(240) 및 프레임(270)도 전후 한 쌍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설명의 간략함과 명료함을 위해 전방의 구성에 대한 설명만으로 후방의 구성에 대한 설명까지 갈음한다.
메인체인(210)은 예를 들어 총 36쌍의 링크판(211)을 포함한다. 이러한 36쌍의 링크판(211)들은 상호 연결되어서 메인체인(210)의 길이를 결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링크판(211)은 도 4의 발췌 사시도에서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의 링크판(211a, 211b)을 의미한다. 또한, 메인체인(210)은 링크핀(LP)들, 안내롤러(GR)들, 구동핀(DP) 및 구동롤러(DR)들을 가진다.
링크핀(LP)은 서로 이웃하는 2쌍의 링크판(211)들 간을 상호 연결시키면서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의 링크판(211a, 211b)도 결합시킨다.
안내롤러(GR)는 링크핀(LP)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레일(220) 또는 제2 레일(230)에 접촉하면서 제1 레일(220) 또는 제2 레일(230)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된다. 이러한 안내롤러(GR)는 도 5에서와 같이 삽입부분(IS)과 돌출테부분(T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삽입부분(IS)은 후술될 제1 레일(220) 또는 제2 레일(230)의 돌출궤도부분(TP)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S)을 가진다. 그리고 돌출테부분(TS)은 삽입부분(IS)의 삽입홈(S)이 형성되도록 삽입홈(S)의 전후 측에서 안내롤러(GR)가 회전하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테(T1, T2)를 가진다.
구동핀(DP)은 링크핀(LP)들 사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2개의 링크판(211a, 211b)의 강성을 보강한다.
구동롤러(DR)는 구동핀(DP)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할 전환부분(221)의 곡선과는 접촉하지만 지지판(SP)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구동롤러(DR)은 구동장치(26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받는다. 따라서 구동롤러(DR)들 간의 상호 간격은 등간격을 이루어야 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구동롤러(DR)가 생략되고 구동핀(DP)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구동핀(DP)의 축중심(SO)은 양측에 있는 안내롤러(GR)의 회전중심(RO)보다 내측으로 비껴 있다. 따라서 구동핀(DP)은 구동장치(260)의 스프로켓(264) 측에 구동핀(DP)의 강도가 허용하는 한 최대한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스프로켓의 피치원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적은 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후술할 스프로켓(26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6에서 설명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식으로 안내롤러(GR)를 구동시킬 경우 스프로켓(264)의 피치원은 P1이 되고, 본 발명과 같이 구동롤러(DR)를 구동시킬 경우 스프로켓(264)의 피치원은 P2로 P1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스프로켓(264)의 피치원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도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스프로켓(264)의 크기가 작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물론, 구동핀(DP)과 구동롤러(DR)는 무한정 스프로켓(264)의 중심(O)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그 한계는 구동롤러(DR)가 전환부분(221)의 곡선이 맞닿는 곳까지 가능하므로, 구동롤러(DR)의 직경이 작을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구동핀(DP)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굵기를 가져야하므로, 구동롤러(DR)의 외경을 무작정 축소할 수는 없다. 당연히, 구동핀(DP)은 제2 레일(230)과 이격된다.
제1 레일(220)은 메인체인(210)의 내측을 지지 및 안내한다. 제1 레일(220)은 도 7에서와 같이 그 단면을 참조하면 안내롤러(GR)의 삽입홈(S)에 삽입되는 돌출궤도부분(TP)을 가진다. 즉, 돌출궤도부분(TP)이 삽입홈(S)에 삽입되기 때문에 안내롤러(GR)가 제1 레일(220)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돌출궤도부분(TP)은 제2 레일(230)에도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레일(220)은 메인체인(210)의 진행 방향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전환되는 곡선부분인 전환부분(221, 도 2 참조)을 가진다.
도 8에서와 같이 전환부분(221)은 하방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형으로서 그 하단 부위에는 구동장치(260)의 스프로켓(264)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ITS)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홈(ITS)은 스프로켓(264)과 메인체인(210)이 접촉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환부분(221)은 설치홈(ITS)이 형성된 구간에서도 안내롤러(GR)를 지지하기 위해 안내롤러(GR)의 돌출테부분(TS : T1, T2)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SP)이 설치홈(ITS)을 가로지르는 구조로 스프로켓(264)의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설치홈(ITS)이 형성된 구간에서도 안내롤러(GR)는 설치홈(ITS)에 함몰되지 않고 전환부분(221)의 반원형 피치원에 맞추어 이송이 가능하다. 즉, 안내롤러(GR)는 설치홈(ITS) 부분에서도 이송이 단속되지 않고 연속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구동롤러(DR)는 제1 레일(220)의 곡선부분과 지지판(SP)의 곡선부분 사이의 단차(K)에 의해서 지지판(SP)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2 레일(230)은 안내롤러(GR)의 외측을 지지 및 안내한다. 이러한 제2 레일(230)은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스프로켓(264)이 설치된 하부 영역에서도 절개된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6개의 결합부재(240)는 각각 일 측이 특정 링크판(211a)들에 결합되고 타 측이 6개의 차고(250)에 힌지 결합된다.
6개의 차고(250)는 차량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각각 6개의 결합부재(240)를 통해 메인체인(2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체인(210)의 순환회전에 연동하여 순환회전하게 된다.
구동장치(260)는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도에서와 같이 구동모터(261), 구동체인(262), 회전축(263) 및 스프로켓(26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261)는 스프로켓(264)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체인(262)은 구동모터(261)의 회전력을 회전축(263)에 전달하는 전달기로서 구비된다.
회전축(263)은 전후 방향으로 길며, 구동체인(2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스프로켓(264)은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되며, 회전축(263)에 결합되어서 회전축(26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스프로켓(264)에는 도 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5개의 구동홈(DS)들과 5개의 롤러홈(RS)들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구동홈(DS)의 개수는 실시하기에 따라서 4개 또는 6개도 가능하다.
5개의 구동홈(DS)들은 상호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구동롤러(DR)들이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홈(DS)에 삽입된 구동핀(DP)들은 스프로켓(264)에 접촉됨으로써 스프로켓(264)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즉, 구동홈(DS)에 삽입된 구동핀(DP)을 통해서 메인체인(210)으로 스프로켓(264)의 구동력이 제공된다.
롤러홈(RS)들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안내롤러(GR)가 삽입되며, 안내롤러(GR)와 스프로켓(264)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롤러홈(RS)들에 삽입된 안내롤러(GR)는 스프로켓(264)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프로켓(264)의 어떠한 구동력도 스프로켓(264)과 이격된 안내롤러(GR)를 통해 메인체인(210)에 제공되지 못한다. 당연히 스프로켓(264)이 안내롤러(GR)로 구동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안내롤러(GR)가 자유자재로 공전과 자전을 할 수가 있으므로, 안내롤러(GR)가 스프로켓(264)과 제2 레일(230) 사이에 끼일 여지가 없다.
프레임(270)은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200)의 주요 부위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구동모터(261)가 작동하면 스프로켓(264)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메인체인(210)의 구동핀(DP)이 스프로켓(264)의 구동홈(DS)에 삽입되기 때문에, 스프로켓(264)의 구동력은 구동핀(DP)을 통해 메인체인(210)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메인체인(210)은 정해진 순환 궤도를 따라 순환 회전하게 된다. 물론, 안내롤러(GR)가 스프로켓(264)의 롤러홈(RS)에 삽입되기는 하지만, 안내롤러(GR)와 스프로켓(264)이 상호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롤러(GR)는 제2 레일(230)에 접촉한 상태로 자전 및 공전하면서 순환 경로 상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설치홈(ITS)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치홈(ITS)을 가로지르는 구조로 구비된 지지판(SP)이 안내롤러(GR)의 돌출테부분(TS)을 지지하기 때문에 안내롤러(GR)의 내측은 경우에 따라서 지지판(SP)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송지지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200: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210 : 메인체인
211a, 211b : 링크판 LP : 링크핀
GR : 안내롤러
IS : 삽입부분 S : 삽입홈
TS : 돌출테부분
DP : 구동핀
DR : 구동롤러
220 : 제1 레일
221 : 전환부분
SP : 지지판
230 : 제2 레일
240 : 결합부재
250 : 차고
260 : 구동장치
261 : 구동모터
262 : 구동체인
264 : 스프로켓
DS : 구동홈 RS : 롤러홈
270 : 프레임

Claims (9)

  1. 순환 회전하는 메인체인;
    상기 메인체인의 내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메인체인의 외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제2 레일;
    상기 메인체인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재;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메인체인의 순환 회전에 따라 함께 순환 회전하는 다수의 차고;
    상기 메인체인이 하방 이동에서 상방 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 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으로 순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한 각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체인은,
    상호간에 연결된 개수에 의해 상기 메인체인의 길이를 결정하는 링크판들;
    상기 링크판들을 연결시키는 링크핀들;
    상기 링크핀들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롤러들; 및
    상기 안내롤러들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메인체인을 순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핀들에 제공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구동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동홈들이 상호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홈들 사이에 상기 안내롤러가 삽입될 수 있는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로켓;
    상기 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전달기;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스프로켓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홈에 삽입된 상기 구동핀을 통해 상기 메인체인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롤러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스프로켓과는 이격되지만 상기 제2 레일에 접촉하여 자전 및 공전을 하며,
    상기 구동핀은 상기 제2 레일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의 축중심은 상기 구동핀의 양 측에 있는 롤러들의 회전중심을 잇는 선으로부터 내측으로 비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제1 레일 또는 제2 레일의 돌출궤도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있는 삽입부분; 및
    상기 삽입홈이 구비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전후측에서 돌출되어진 돌출테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전환구간에서 상기 메인체인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전환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환부분은 상기 스프로켓이 설치된 부위에 상기 돌출테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핀들에 설치되는 구동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구동롤러와 접촉하면서 상기 구동핀들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9. 삭제
KR1020150121234A 2015-08-27 2015-08-27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KR101775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34A KR101775509B1 (ko) 2015-08-27 2015-08-27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34A KR101775509B1 (ko) 2015-08-27 2015-08-27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92A KR20170025192A (ko) 2017-03-08
KR101775509B1 true KR101775509B1 (ko) 2017-09-07

Family

ID=5840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34A KR101775509B1 (ko) 2015-08-27 2015-08-27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27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CN107859391A (zh) * 2017-11-02 2018-03-30 江苏凯宫隧道机械有限公司 垂直循环立体车库的传动装置
CN108005441A (zh) * 2017-12-13 2018-05-08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摩天轮式停车场
CN108086747A (zh) * 2018-01-31 2018-05-29 深圳市奇见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循环车库的缓进式导轨
KR102132616B1 (ko) * 2018-08-15 2020-07-10 심근섭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용 구동장치
KR102444001B1 (ko) * 2020-08-20 2022-09-20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325Y1 (ko) * 1998-05-25 2000-08-01 이상업 로타리식 주차기의 구동장치
KR101371130B1 (ko) * 2012-12-13 2014-03-07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325Y1 (ko) * 1998-05-25 2000-08-01 이상업 로타리식 주차기의 구동장치
KR101371130B1 (ko) * 2012-12-13 2014-03-07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9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509B1 (ko) 수직 순환형 주차장비
US20040156699A1 (en) Vertical rotary parking system
CN100448735C (zh) 曲线式的装配和/或输送带
CA2500697A1 (en) Pallet conveyor with chain drive recirculating in a horizontal plane
JP5937010B2 (ja) 運搬機構を備えた案内構造体
JP2007144164A (ja) レクリエーション装置
KR20100042034A (ko)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KR101399369B1 (ko)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CA3195130A1 (en) A shuttle for propell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a racking system
RU2677735C2 (ru) Конвейе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CN110300830B (zh) 垂直循环型停车设备
US9499376B2 (en) Turnaround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US10494043B2 (en) Multi-strand flat top conveyor
KR100778758B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KR20170137805A (ko) 커먼 복귀 레일들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KR101371130B1 (ko)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KR101423481B1 (ko)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KR200349139Y1 (ko) 무대 와곤 이동장치
KR101678558B1 (ko) 균일 거더 굴절의 자기부상열차용 5방향 궤도분기기
KR20140083371A (ko) 5방향 궤도분기기
KR102175221B1 (ko)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CN215158302U (zh) 链式驱动分拣装置、分拣系统及链式驱动机构
KR20200138975A (ko) 커브 컨베이어
KR102132616B1 (ko)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용 구동장치
KR101748359B1 (ko) 안정 원호설정의 자기부상열차용 5방향 궤도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