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85B1 -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85B1
KR101130685B1 KR1020090032780A KR20090032780A KR101130685B1 KR 101130685 B1 KR101130685 B1 KR 101130685B1 KR 1020090032780 A KR1020090032780 A KR 1020090032780A KR 20090032780 A KR20090032780 A KR 20090032780A KR 101130685 B1 KR101130685 B1 KR 10113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ductive
insulating
railroad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310A (ko
Inventor
조상훈
홍두영
민병찬
허영태
문상필
문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85B1/ko
Priority to MYPI2011004963A priority patent/MY166734A/en
Priority to PCT/KR2010/002342 priority patent/WO2010120130A2/ko
Publication of KR2010011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60L5/39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from thir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력을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외부 전력부와 연결되고, 철도차량의 집전부가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외부 전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상기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도전레일; 및 상기 궤도방향을 따라 상기 도전레일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를 이루고, 상기 도전레일들을 절연하는 절연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를 제시한다.
철도차량, 집전, 도전레일, 절연레일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Power rail assembly for railroad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력을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종류는 전동차, 전철, 열차, 고속전철, 기관차, 객차, 화차, 자기부상차량 등이 있으며, 철도차량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정해진 궤도를 따라 운행된다.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도전레일설비 방식이다.
여기서, 철도차량의 궤도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 등의 외부 전력부가 철도차량의 궤도를 따라 여러 개로 분산된다.
따라서, 도전레일설비의 도전레일은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을 따라 외부 전력부별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서, 각각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외부 전력부와 연계된다. 그리고, 각 구간의 도전레일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되지 않도록, 각 구간의 도전레일들을 절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각 구간의 도전레일들의 절연을 위해 각 구간의 도전레일을 소정의 절연거리만큼 이격하여 설치함에 따라서, 이 절연구간부로 인해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좋지 않고, 각 구간의 도전레일이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기계적 강도 등 동적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전레일 사이에 절연레일을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로서 설치한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레일의 비접촉부에 의해 장기적으로도 절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외부 전력부와 연결되고, 철도차량의 집전부가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외부 전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상기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도전레일; 및 상기 궤도방향을 따라 상기 도전레일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를 이루고, 상기 도전레일들을 절연하는 절연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를 제시한다.
상기 절연레일은, 상기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을 따라 일부분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타부분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비접촉되는 비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은 상기 비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철도차량의 집전부 측 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의 홈은 상기 궤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의 비접촉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에 따른 길이가, 상기 도전레일에 전달되는 전력의 전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의 종단면은, 상기 도전레일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절연레일을 지지하는 절연레일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는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이 상기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는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의 홈에는,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가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도전레일 사이에 절연레일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로서 설치됨으로써, 도전레일이 절연레일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등 동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도전레일 사이에 절연레일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로서 설치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절연레일의 일부분은 비접촉부로 형성됨으로써, 절연레일의 접촉부가 잦은 마찰 등으로 인해 도체화되더라도 절연레일의 비접촉부에 의해 절연이 항상 충분히 유지될 수 있어서,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절연레일의 비접촉부가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절연거리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층에 의한 도통이 방지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는, 절연레일의 비접촉부가 궤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집전부가 절연레일의 비접촉부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100)는, 철도차량(10)의 차륜과 접촉되어 철도차량(10)의 운행을 안내하는 한 쌍의 궤조(20) 이외 에, 철도차량(10)의 궤도방향과 병행하도록 철도 궤도면 또는 지지 블록(2) 등에 설치되어,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미끄럼 마찰됨으로써, 철도차량(10)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전레일설비(100)는, 레일체(110)로서,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미끄럼 마찰 가능토록 설치되어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120)을 포함한다.
도전레일(120)은 복수 개가 철도차량(10)의 궤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레일(120)은 도전레일 지지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부(122) 및, 본체부(122)에 의해 지지되고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마찰 접촉되는 차량 접촉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접촉부(124)는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비용 절감 등을 위해 본체부(122)와 탈착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도전레일(120)은 일부 구간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도록 궤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절연거리만큼 이격 설치된다.
또한 도전레일설비는(100)는 궤도방향을 따라 도전레일(120)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110)를 이루고, 도전레일(120)들을 절연하는 절연레일(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연레일(132)이 도전레일(120) 사이에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110)로 설치됨으로써, 도전레일(120)이 절연레일(132)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등 동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레일(120) 사이가 절연레일(13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움푹 파인 곳이 없기 때문에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가 요동없이 접촉될 수 있어서,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절연레일(132)은 절연성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처리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절연레일(132)은 도전레일(12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레일(132)과 함께 절연구간부(130)를 이루고 도전레일(120)과 결합된 절연레일 지지체(13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도전레일(120)과 보다 용이하고 단순하게 하나의 레일체(110)를 이룰 수 있다. 절연레일 지지체(134) 또한 절연성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처리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 개의 도전레일(120) 중 일부는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조인트 플레이트(150)에 의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도전레일(120)들 중 일부는 그 중간에 절연레일(132)을 두지 않은 상태로 궤도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고, 도전레일(120)이 온도 변화로 인하여 팽창 및 수축되는 것을 흡수할 수 있는 신축흡수부(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절연구간부(130)를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절연레일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절연레일(132)은 궤도방향을 따라 일부분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접촉부(132A)를 형성하고, 타부분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비접촉되는 비접 촉부(132B)를 형성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절연레일(132)의 접촉부(132A)는 철도차량의 집전부와의 잦은 마찰로 인해 철도차량의 집전부 등으로부터 쇳가루 등이 절연레일(132)의 접촉부(132A)의 표면에 떨어짐으로써, 도체화되어 절연성을 잃을 수 있다. 반면, 절연레일(132)의 비접촉부(132B)는 철도차량의 집전부와의 접촉이 원천 봉쇄됨으로써 도체화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절연레일(132)은 장시간 지나더라도 항상 절연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사이클이 길어질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고, 절연레일(132)의 절연성 상실로 인한 신뢰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절연레일(132)은 비접촉부(132B)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철도차량의 집전부 측 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비접촉부(132B)가 설계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우수 등으로 인해 절연레일(132)이 젖어 수분층이 형성되면, 이 수분층에 의해 도전레일(120)과 절연레일(132)이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그런데, 절연레일(132)의 비접촉부(132B)가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절연레일(132)의 공간거리 및 절연거리가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절연레일(132)이 오손되어도 전기저항이 커져 전기 통전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레일(132)에 의한 절연성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절연레일(132)의 비접촉부(132B)를 이루는 홈은 궤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레일(132)의 비접촉부(132B)는 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철도차량의 집전부 입장에서는 웅덩이와 같은 장애물이 될 수 있는데, 폭방향을 따라 일부분만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마찰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집전부가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레일(132)은 도전레일(120)과 일체화된 레일체(110)를 이루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종단면이 도전레일(120)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절연레일 지지체(134)는 철도차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이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과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연레일 지지체(134)는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134A)이 형성됨으로써,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과 물리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지지할 수 있다.
절연레일 지지체(134)는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볼트 체결방식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레일 지지체(134)의 홈(134A)에는, 절연레일 지지체(134)가 절연레일(132) 및 도전레일(120)과 체결부재 특히 볼트(B1,B2)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134C, 134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절연레일(132)은 그 접촉부(132A)에 절연레일 지지체(134)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32C)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레일(120)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연레일 지지체(134)와의 결합을위한 체결홀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절연레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전레일설비 120; 도전레일
130; 절연구간부 132; 절연레일
132A; 접촉부 132B: 비접촉부
134; 절연레일 지지체 134A; 홈
140; 도전레일 지지체 150; 조인트 플레이트
160; 신축 흡수부

Claims (9)

  1. 철도차량의 운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차륜과 접촉되는 한 쌍의 궤조와 별개로 상기 궤조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외부 전력부와 연결되며, 철도차량의 집전부가 미끄럼 접촉되어, 상기 외부 전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상기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도전레일;
    상기 도전레일을 지지하고, 절연 기능을 가지는 도전레일 지지체;
    상기 도전레일과 도전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전레일과 함께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를 이루며, 절연 기능을 가지는 절연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레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절연레일 양쪽에 배열된 도전레일과 도전레일은 서로 다른 외부 전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연레일은 상기 철도차량의 궤도방향을 따라 일부분이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타부분이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비접촉되는 비접촉부를 형성하며;
    상기 비접촉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집전부 측 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레일의 홈은 상기 궤도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레일의 종단면은, 상기 도전레일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6. 청구항 1,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절연레일을 지지하는 절연레일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는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이 상기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는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의 홈에는, 상기 절연레일 지지체가 상기 절연레일 및 상기 도전레일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20090032780A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113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80A KR101130685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MYPI2011004963A MY166734A (en) 2009-04-15 2010-04-15 Conductive rail facility for railway vehicles and fitting thereof
PCT/KR2010/002342 WO2010120130A2 (ko) 2009-04-15 2010-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및 그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80A KR101130685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0A KR20100114310A (ko) 2010-10-25
KR101130685B1 true KR101130685B1 (ko) 2012-04-02

Family

ID=4313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80A KR101130685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85B1 (ko) * 2009-04-15 2012-04-02 오성기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1872569B1 (ko) * 2015-12-3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US20230203761A1 (en) * 2021-12-28 2023-06-29 Caterpillar Global Mining Equi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power rail seg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860A (ja) * 1994-11-29 1996-06-11 Daifuku Co Ltd レール装置
JP2003221801A (ja) * 2002-01-31 2003-08-0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絶縁方式
KR20100114310A (ko) * 2009-04-15 2010-10-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860A (ja) * 1994-11-29 1996-06-11 Daifuku Co Ltd レール装置
JP2003221801A (ja) * 2002-01-31 2003-08-0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レール絶縁方式
KR20100114310A (ko) * 2009-04-15 2010-10-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0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685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CN104169121A (zh) 用于在架空式充电站对车辆的电储能器充电的电流传输设备
CN110509820B (zh) 用于连接导电轨的连接装置及具有其的导电轨组件
KR101106038B1 (ko) 고무차륜 에이지티 경량전철용 전차선로
KR100381343B1 (ko) 경량전철용 횡방향형 제3궤조 집전장치
US5249654A (en) Surface rail for composite continuous rail
WO1993005979A1 (en) Support rail for composite continuous rail
KR20120049429A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철도궤도
KR101130687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AU2691292A (en) Continuous surface rails
DE10313698A1 (de) Einrichtung zur Stromversorgung elektrisch betriebener Schienenfahrzeuge
CN109159721A (zh) 无缝接触轨膨胀连接装置
KR101269230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1109073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KR100307501B1 (ko) 경량전철 제3궤조 집전장치
JPS5912801B2 (ja) 懸垂鉄道用レ−ル橋絡部
CN218986367U (zh) 一种单轨列车供电轨斜坡组件
RU2691492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оезд и напольный элемент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езда
US263132A (en) Electro-magnetic railway
RU2357034C2 (ru) Накладка стыкова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TW202224987A (zh) 用於車輛的導軌和導軌的軌道組
RU1467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шумоизоляции рельса
US455342A (en) knight
KR100864702B1 (ko)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KR101057109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