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702B1 -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702B1
KR100864702B1 KR1020070010885A KR20070010885A KR100864702B1 KR 100864702 B1 KR100864702 B1 KR 100864702B1 KR 1020070010885 A KR1020070010885 A KR 1020070010885A KR 20070010885 A KR20070010885 A KR 20070010885A KR 100864702 B1 KR100864702 B1 KR 10086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now melting
high speed
fixe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322A (ko
Inventor
정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상역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상역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상역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7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4Heating of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02Methods or apparatus for removing ice or snow from railway tracks, e.g. using snow-ploughs ; Devices for dislodging snow or ice which are carried or propelled by tramway vehicles ; Moving or removing ballast
    • E01H8/08Methods or apparatus for removing ice or snow from railway tracks, e.g. using snow-ploughs ; Devices for dislodging snow or ice which are carried or propelled by tramway vehicles ; Moving or removing ballast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heated clearing instruments, melting in situ; Clearing devices which melt the dislodged snow; Clearing exclusively by means of rays or streams or gas or stream, or by s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도레일의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 침목(10) 상에 고정된 상판(12)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고정레일(20)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되고 궤도 전철기(31)의 구동에 연동하여 철로를 변경하는 가변레일(30) 및 상기 상판(12) 하부에서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상판의 저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설용 히터(50)를 포함함으로써 가변레일과 상판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관한다.

Description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Snow removal system for division point of railroad tra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의 히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의 히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싱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구조에 따른 종단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커플러 내부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구조에 따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침목 12 : 상판
20 : 고정레일 21 : 고정부재
30 : 가변레일 31 : 궤도 전철기(轉轍機)
32 : 연결로드 33 : 이송로드
50 : 융설(融雪)용 히터 51 : 브라켓
52 : 제 1고정홀 53 : 수평부
54 : 수직부 55 : 플랜지
56 : 발열관 57 : 히팅코일
58 : 절연분말 59 : 평탄면
60 : 전력선 70 : 커넥터
71 : 커플러 75 : 너트
73, 78 : 요홈 79 : 스냅링
80 : 베이스 81, 91 : 앵커홀
82 : 제 2고정홀 90 : 커버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분기기가 적용된 가변레일의 하부에 위치한 상판을 융설용 히터로 직접 가열하여 선로 분기부의 결빙으로 철로 궤도 변경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철도레일의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기(轉轍機)는 철도 차량이 본 레일에서 다른 방향의 레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일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서 본선 레일의 측면에 위치된 가변 레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즉 본선 레일 측으로 붙이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 비가 오거나 눈이 온 후 기온이 급강하하면 가변레일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있는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가변레일이 이동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철도 차량을 목적하는 방향으로 진입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가변레일의 이동이 완전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철도 차량이 레일로부터 탈선될 우려마저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매우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고, 그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는 철도레일의 끝 부분, 즉 레일의 첨단(尖端) 부분에 전기저항으로 가열하는 발열선을 설치하여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발열선에서 발생한 열이 철도레일을 가열하여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가변레일과 상판이 직접 접촉되어, 가변레일이 상판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방식이므로 철도레일 부분을 가열하면 융설에 문제가 없었으나, 최근에는 점차 철도레일의 분기 구조가 고속분기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 방식은 가변레일이 상판과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철도레일과 상판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변레일에 발열선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상판으로 열전도가 되지 않고 있으므로 상판이 결빙될 우려가 있고, 이 경우에는 상판 위를 이동하는 가변레일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철도레일의 분기부에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 방식의 적용이 점차 확산됨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가변레일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상판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변레일이 이동되지 않는 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철도레일의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부 융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의 융설용 히터(발열관)에서 발생된 열이 상판으로 충분히 전도되게 하여 상판으로의 열 전도 효율을 높이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철도레일의 고속 또는 로즈가동 분기부 융설용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 침목 상에 고정된 상판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고정레일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되고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철로를 변경하는 가변레일 및 상기 상판 하부에서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상판의 저면에 접한 융설용 히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각 레일은, 단일 분기부 또는 크로싱 분기부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융설용 히터는, 침목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 기 브라켓으로부터 인출된 발열관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침목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되도록 제 1고정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발열관과 전력선의 연결 매개체인 플랜지가 관통하는 수직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관은 내부에 히팅코일이 설치되고 상기 히팅코일 주변에는 마그네샤와 같은 절연분말이 충진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관의 상판 접촉 부분은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탄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의 단일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철도 전철기(轉轍機)의 고속 분기 시스템은,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일정 간격으로 연설된 다수의 침목(10) 상에 간격이 평행한 한 쌍의 고정레일(20)이 위치되고, 고정부재(21)는 고정레일(20)을 침목(10)에 고정하기 위해 일부는 침목(10)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고정레일(20)을 가압하여 누르는 형태로 설치된다. 본원 실시예에서 고속 분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용하는 것일 뿐 이에 국한시키지 않고 로즈가동 분기 시스템도 포함됨을 본원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 다.
철도 레일을 분기하는 분기 지점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레일(20) 내측에 또 다른 한 쌍의 가변레일(30)이 위치하고, 상기 가변레일(30)의 길이방향의 선단 부분에는 각 레일(20)(30)과 침목 사이에 상판(12)이 개재된다. 즉, 가변레일(30)의 분기부 지점에는 침목(10) 상에 상판(12)이 고정되고, 상기 상판(12) 위에 고정레일(20)과 가변레일(30)이 위치한다.
이때, 궤도 전철기(31)의 구동에 의해서 가변레일(30)이 우측 고정레일 또는 좌측 고정레일에 접촉되거나 분리되게 하면 철도 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속 분기 작동은, 먼저 필요에 의해 철도레일의 궤도 수정이 요구되면, 궤도 전철기(31)가 구동하고, 궤도 전철기(31)의 구동력은 연결로드(32)를 매개로 하여 이송로드(33)를 좌 또는 우측으로 이송시키며, 이때 이송로드(33)의 각 선단에 연결 고정된 한 쌍의 가변레일(30)이 이송로드(33)의 이송 방향에 따라 연동하여 철로의 궤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가변레일(30)은 상판(12)과 어느 정도 공간(거리)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가변레일(30) 또는 고정레일(20)의 첨단 부분에 설치된 발열선만으로는 상판(12)의 융설 작업 수행이 어려우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2)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발열하는 융설용 히터(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설용 히터(50)는 상판(12)의 저면에 접촉 부착된 것으로, 이와 같은 융설용 히터(50)의 구성과 특징을 도 3과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의 히터의 설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그 융설용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융설용 히터(50)는 크게 침목(10)에 고정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열관(56)으로 대별된다.
상기 브라켓(51)은 상판(12) 저면에 접한 발열관(56)이 움직이지 않도록 침목(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매개체로서, 수평부(53)와 수직부(54)로 구성되며, 이 브라켓(51)이 직접 침목(10)에 결합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51)과 침목(10) 사이에 받침 역할을 하는 베이스(80)가 더 개재될 수 있는데, 특히 베이스(80)의 경우에는 한번에 여러 개의 브라켓(5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8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침목(10)의 상면, 또는 베이스(80)의 상면에 접하는 수평부(53)는 제 1고정홀(5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고정홀(52)에는 볼트(도 3 참조, 부호 미표기)와 같은 조임수단이 관통하여 침목(10)에 삽입 고정되므로, 브라켓(51)은 침목(10)에 단단히 고정되며, 이때 베이스(80)가 개재된 경우에는 베이스(80)에도 상기 제 1고정홀(52)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부(53)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54)는 플랜지(55)가 관통하고, 상기 플랜지(55)는 발열관(56)과 전력선(60)을 연결함과 동시에 브라켓(51)에 발열관(56)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조임너트 등에 의해서 브라켓(51)의 수직부(54)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열관(56)은, 플랜지(55)에서 인출되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다시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상판(12)의 저면(底面)에 접촉 설치되고, 도 3의 확대도와 도 4의 절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관(56) 내부에는 히팅코일(57)이 연설되며, 상기 히팅코일(57)의 주변, 즉 발열관(56)의 내부 공간에서 히팅코일(57)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 내에는 마그네샤 분말과 같이 절연분말(58)이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분말(58)은 마그네샤 분말을 포함하여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절연 특성을 가진 분말이라면 제한이 없고, 또한 상기 융설용 히터(50)는, 상기 발열관(56)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여 상판(12)의 저면과 접촉될 때 접촉면적을 크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관(56)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발열관(56)의 외주면과 상판(12)의 저면은 상호 선 접촉되는 구조이므로, 발열관(56)의 열이 상판(12)에 잘 전달되지 않는 등 열전도 효율이 좋지 않고, 이는 과대 전력을 소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발열관(56)의 상면을, 예컨대 프레스기와 같은 압착 수단으로 가압하여 평탄한 평탄면(59)을 갖도록 하면, 평탄면(59)과 상판(12)의 저면이 상호 면 접촉되어 열전도 효율이 상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의 크로싱 분기부 융설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로서, 한 쌍의 평행한 철로레일 2개 선로가 크로스(cross) 형태로 상호 교차되는 부분의 고속 분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크로싱 고속 분기부 역시 가변레일의 위치를 이 동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송로드(33)가 구비되고, 이송로드(33)가 연결된 침목(10) 상에는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상판(12)이 설치되며, 그 주변의 복수의 침목(10) 상에도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상판(12a)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2) 및 고정상판(12a)의 결빙을 방지하고 융설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융설용 히터(50)를 상판(12) 및/또는 고정상판(12a) 저부에 설치하고, 이때 각 상판(12)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융설용 히터(50)를 설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열 전도를 이룰 수 있고, 고정상판(12a)에 설치된 것과 같이 1개의 히터(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융설용 히터(50)에 연결된 전력선(60)은,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철도레일의 첨단 부분에 설치되던 발열선의 전기 공급용 배선을 이용하면,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또한 고장으로 인한 보수 또는 교체시에는 브라켓(51)의 수평부(53)에 체결된 볼트만 제거하면 융설용 히터(50)를 침목(10)으로부터 간단히 탈거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조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커넥터 내부 구조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54)를 관통하여 고정된 플랜지(55)에 커넥터(70)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70)는 전력선(60)을 원터치로 체결가능하게 되어 히터를 설치할 때 전력선(60)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하며, 커 넥터(70)의 세부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커넥터(70)는, 커플러(71)와 너트(75)로 구성되어 이들이 상호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75)는 일측에 플랜지(55)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플랜지고정부(7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용홈(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러(71)는 일측에 전력선(7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전력선고정부(72)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너트(75)의 수용홈(77)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형태이다.
커플러(71)가 너트(75)에 체결되는 구조는 도 8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탄성을 가진 스냅링(79)을 매개로 하여 커플러(71)가 너트(75)에 연결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플러(71)에는 스냅링(79)의 내측 면이 안착되도록 요홈(73)이 구비되고, 상기 너트(75)에는 스냅링(79)의 외측 면이 안착되도록 요홈(78)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냅링(79)은 커플러(71)의 단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커플러(71)를 너트(75)의 수용홈(77)에 끼우면, 스냅링(79)의 외측 면이 너트(75)의 요홈(78)에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며, 이때 상기 커플러(71)는 너트(75)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므로, 전력선(6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조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침목(10)에 히터(50)를 설치함에 있어서, 히터(5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 커버를 설치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80)에는 상기 브라켓(51)의 수 평부(53)의 제 1고정홀(52)과 대응하여 연통하는 제 2고정홀(8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홀(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2개 설치하여 2개의 히터(50)를 병렬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도시된 예와 달리 제 2고정홀(82)을 1개소에 설치하여 하나의 히터(50)를 설치할 수 있는바, 이는 철도레일의 분기부 환경에 적합하도록 임의 설치가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제 2고정홀(82)은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5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80) 상에 고정되는 커버(90)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서 베이스(80) 상에 고정된 히터(50)의 브라켓(51) 부분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기 베이스(80)와 커버(90)에는 각각 상호 연통하는 복수의 앵커홀(81)(91)이 형성되어서 앵커볼트(부호 미표시)가 상기 각 앵커홀(81)(91)을 관통하여 침목(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80)와 커버(90)가 침목(10)에 결합되면, 커버(90)의 일측으로는 히터(50)의 발열관(56)이 인출되어 상판(12)의 저면에 접하게 되고, 커버의 타측으로는 전력선(60)이 커버의 후면에 형성된 전력선 유도홈(92)을 통해 인출되므로, 브라켓(51)을 포함한 플랜지(55) 및/또는 커넥터(7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레일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설치 장비나 구조물 또는 시설물 없이 융설용 히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나 보수를 위한 탈거 작업이 쉬워서 유지보수 비용이 저 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속 분기 방식이 적용된 철도레일 분기부에 있어 철도레일과 별개로 융설용 히터가 상판을 직접 가열하므로, 철도레일은 물론 상판의 결빙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가변레일 이동 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평탄면에 접촉된 상판으로 충분한 열을 전도하므로 최저 전력 소모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융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철도레일의 분기부 융설 시스템에 있어서,
    침목(10) 상에 고정된 상판(12)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고정레일(20)과,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되고 궤도 전철기(31)의 구동에 연동하여 철로를 변경하는 가변레일(30) 및
    상기 상판(12) 하부에서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상판의 저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설용 히터(50)를 포함하며,
    상기 융설용 히터(50)는, 침목(10)에 고정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에서 인출되고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열관(56)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54)를 관통한 플랜지(55)에 전력선(60)을 원터치로 결합가능하게 하는 커넥터(70)가 체결되고,
    상기 커넥터(70)는, 전력선을 고정한 커플러(71)와, 플랜지에 고정된 너트(75)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71) 외주면에는 스냅링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너트(75)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냅링(79)의 외측 면이 안착되는 요홈(78)이 형성되어서, 커플러(71)와 너트(75)가 상호 스냅링(79)을 매개로 체결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각 레일(20)(30)은,
    단일 고속 분기부 또는 크로싱 고속 분기부의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일(20)(30)이 크로싱 고속 분기부의 레일인 경우, 상판(12)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상판(12a)의 저면에도 각각 융설용 히터(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1)은,
    침목(10)의 상면 또는 침목에 고정된 베이스(80)의 상면에 접하여 체결되도록 제 1고정홀(52)이 형성된 수평부(53)와, 전력선(60)의 연결 매개체인 플랜지(55)가 관통하는 수직부(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56)은,
    내부에 히팅코일(57)이 설치되고, 상기 히팅코일 주변에 절연분말(58)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56)의 상판(12) 접촉 부분에 평탄면(5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10)과 브라켓(51)의 수평부(53)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80)와, 상기 베이스(80) 상에 히터(50)를 보호하도록 고정되는 커버(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80)는 브라켓(51)의 제1 고정홀(52)과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고정홀(82)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50)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80) 및 커버(90)에는 각각 볼트로서 침목(10)에 고정되도록 상호 연통하는 앵커홀(81)(9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 시스템.
KR1020070010885A 2007-02-02 2007-02-02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KR10086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85A KR100864702B1 (ko) 2007-02-02 2007-02-02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885A KR100864702B1 (ko) 2007-02-02 2007-02-02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322A KR20080072322A (ko) 2008-08-06
KR100864702B1 true KR100864702B1 (ko) 2008-10-23

Family

ID=3988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885A KR100864702B1 (ko) 2007-02-02 2007-02-02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56B1 (ko) 2009-12-30 2012-07-04 주식회사 대신티앤에스 철도 레일 가열장치용 전력선 커넥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9001A (ja) * 1987-12-25 1989-07-04 Hitachi Cable Ltd 鉄道用転轍機の凍結防止装置
JPH05132902A (ja) * 1991-11-14 1993-05-28 Central Japan Railway Co 鉄道分岐器の融雪装置
JPH08120637A (ja) * 1994-10-27 1996-05-14 Shinrokurou Kawamori 軌道内融雪パネル
JP2001311101A (ja) 2000-04-28 2001-11-09 Shinyosha:Kk レール加熱器
KR200281071Y1 (ko) * 2002-03-05 2002-07-13 은성정공(주)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
KR20020076218A (ko) * 2000-08-04 2002-10-09 (주)아비즈코퍼레이션 전철기용 텅레일부 융설장치
JP2002332602A (ja) * 2001-05-09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線路ポイント部融雪装置
JP2003278107A (ja) * 2000-12-13 2003-10-02 Shin Etsu Polymer Co Ltd 融雪路面敷設用通電発熱シース線
KR200342446Y1 (ko) 2003-09-29 2004-02-18 주식회사 태정전척 철도 분기기 히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9001A (ja) * 1987-12-25 1989-07-04 Hitachi Cable Ltd 鉄道用転轍機の凍結防止装置
JPH05132902A (ja) * 1991-11-14 1993-05-28 Central Japan Railway Co 鉄道分岐器の融雪装置
JPH08120637A (ja) * 1994-10-27 1996-05-14 Shinrokurou Kawamori 軌道内融雪パネル
JP2001311101A (ja) 2000-04-28 2001-11-09 Shinyosha:Kk レール加熱器
KR20020076218A (ko) * 2000-08-04 2002-10-09 (주)아비즈코퍼레이션 전철기용 텅레일부 융설장치
JP2003278107A (ja) * 2000-12-13 2003-10-02 Shin Etsu Polymer Co Ltd 融雪路面敷設用通電発熱シース線
JP2002332602A (ja) * 2001-05-09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線路ポイント部融雪装置
KR200281071Y1 (ko) * 2002-03-05 2002-07-13 은성정공(주)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
KR200342446Y1 (ko) 2003-09-29 2004-02-18 주식회사 태정전척 철도 분기기 히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56B1 (ko) 2009-12-30 2012-07-04 주식회사 대신티앤에스 철도 레일 가열장치용 전력선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322A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4768B1 (ru)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KR20110009102A (ko) 전철기 가열 시스템
CN101512071B (zh) 支承件及用于加热支承件上的导向件的方法
JP5127312B2 (ja) 分岐器における融雪・凍結防止装置
KR102134925B1 (ko) 혹한기 철도 분기부 선로전환기 장애 예방을 위한 안티 아이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티 아이싱 방법
KR101203065B1 (ko)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864702B1 (ko)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US20110155864A1 (en) Device for fixing a switch setting device on stock rails of a rail switch
CN208198117U (zh) 一种受电弓防冻装置
CN203198769U (zh) 中低速磁浮整体绝缘支撑装置
RU136809U1 (ru) Теплообм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тепловой системы обогрева стрелочного перевода
JP3948836B2 (ja) 融雪装置
KR20100114310A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KR100998708B1 (ko) 부스바 레일본드
KR200244110Y1 (ko) 터널용 결빙 방지장치
KR200454759Y1 (ko) 전철기용 제설히터 고정장치
KR101671674B1 (ko) 철도 레일 보완 모듈
JP2015232211A (ja) 融雪器
US20210189673A1 (en) Heating device for railway tracks
KR20230072729A (ko) 철도 분기부 결빙방지용 히팅장치
CN102465478A (zh) 一种铁路道岔电磁加热融雪装置及其制作方法
JP7153904B2 (ja) 床板
CN201473840U (zh) 用于铁路融雪加热系统的固定装置
CN109554967A (zh) 一种电热道岔融雪装置安装方法
CN109811710B (zh) 用于轨道梁的融冰组件、融冰装置和融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