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065B1 -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065B1
KR101203065B1 KR1020100001238A KR20100001238A KR101203065B1 KR 101203065 B1 KR101203065 B1 KR 101203065B1 KR 1020100001238 A KR1020100001238 A KR 1020100001238A KR 20100001238 A KR20100001238 A KR 20100001238A KR 101203065 B1 KR101203065 B1 KR 10120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ble
heating device
electric hea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825A (ko
Inventor
황광하
박광련
황경종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4Heating of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02Methods or apparatus for removing ice or snow from railway tracks, e.g. using snow-ploughs ; Devices for dislodging snow or ice which are carried or propelled by tramway vehicles ; Moving or removing ballast
    • E01H8/08Methods or apparatus for removing ice or snow from railway tracks, e.g. using snow-ploughs ; Devices for dislodging snow or ice which are carried or propelled by tramway vehicles ; Moving or removing ballast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heated clearing instruments, melting in situ; Clearing devices which melt the dislodged snow; Clearing exclusively by means of rays or streams or gas or stream, or by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 내부의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팅요소를 구비하여 분기기의 포인트부, 크로싱부의 레일과 상판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보호판과; 상기 상판과 보호판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보호판과; 상기 상판과 보호판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로 구성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포인트부의 레일 하부에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Electricity heating installation for railroad turnout and this establishment method}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 내부의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팅요소가 구비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기는 철도 차량이 본 레일에서 다른 방향의 레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 분기지점에 설치되어 본선레일의 측면에 위치된 가변레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즉 본선레일 측으로 붙이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한 전철기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 강우 또는 강설 후 기온이 급강하하면 가변레일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잇는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가변레일이 이동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철도차량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진입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변레일의 이동이 완전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철도차량이 레일로부터 탈선될 우려마저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은 매우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고, 그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는 철도레일의 끝 부분, 즉 레일의 첨단부분에 전기저항으로 가열하는 발열선을 설치하여, 기온이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발열선에서 발생한 열이 철도레일을 가열하여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방식은 가변레일과 상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가변레일이 상판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철도레일 부분을 가열하면 융설에는 문제가 없으나, 최근에는 철도레일의 분기구조가 고속분기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철도레일의 고속분기방식은 가변레일이 상판과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철도레일과 상판이 일정거리 이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변레일에 발열선을 설치하더라도 상판으로 열의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판이 결빙될 우려가 있고, 이 경우에는 상판 위를 이동하는 가변레일이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864702호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레일의 분기부 융설시스템에 있어서, 침목(10) 상에 고정된 상판(12)과, 상기 상판(12) 상부에 설치된 고정레일(20)과, 상기 상판(12) 상부에 설치되고, 궤도 전철기(31)의 구동에 연동하여 철로를 변경하는 가변레일(30) 및 상기 상판(12) 하부에서 전력선(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상판(12)의 저면에 접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설용 히팅요소(50)로 구성되고, 상기 융설용 히팅요소(50)는 침목(10)에 고정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에서 인출되고,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열관(56)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54)를 관통한 플랜지(55)에 전력선(60)을 원터치로 결합가능하게 하는 커넥터(70)가 체결되고, 상기 커넥터(70)는 전력선(60)을 고정한 커플러(71)와 플랜지(55)에 고정된 너트(75)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71) 외주면에는 스냅링(79)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너트(75)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냅링(79)의 외측 면이 안착되는 요홈(78)이 형성되어, 커플러(71)와 너트(75)가 상호 스냅링(79)을 매개로 체결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은 상판 내부를 히팅요소 발열관을 삽입하기 위한 홈을 가공하여 상판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히팅요소 발열관이 외부로 인출되어 발열관의 상판 접촉부분의 열전도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은 분기기 각 부분에 대한 발열관이 다수 설치되기 때문에. 그 설치장소가 협소한 구간에는 발열관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셋째, 종래의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은 분기기의 크로싱부에 발열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크로싱 하부에 상판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크로싱 내측에의 직접적인 융설기능의 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 내부의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팅요소를 구비하여 분기기의 포인트부, 크로싱부의 레일과 상판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보호판과; 상기 상판과 보호판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보호판과; 상기 상판과 보호판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과; 상기 발열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로 구성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포인트부의 레일 하부에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은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 내부의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팅요소를 구비하여 분기기의 포인트부, 크로싱부의 레일과 상판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포인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C부분 정면도,
도 8은 도 6의 A부분 측면도,
도 9는 도 8의 A, B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전기 히팅장치 설치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탄성클립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히팅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히팅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히팅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 3,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케이블가이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VP부분 정면도,
도 21은 도 19의 VP부분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A, B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 내에 고정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레일에 고정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과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포인트부 히팅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포인트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VC부분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A부분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B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전기 히팅장치의 설치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어, 포인트부(P)의 레일(SR, TR)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 사이의 레일(SR) 저부에 고정클립(600)이 케이블(550)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SR)의 복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상기 레일(SR)의 복부에 케이블가이드(630)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가이드(630)에 케이블커넥터(620)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SR)의 복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상기 레일(SR)의 복부에 고정스프링(650)이 케이블(550)을 감싸는 상태로 볼트(670)와 너트(680)로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로 구성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를 포인트부(P)의 레일 하부에 고정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어, 포인트부(P)의 레일(SR, TR) 하부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설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은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열판(300)이 삽입되어, 분기기의 포인트부(P)의 레일과 상판(100)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2] 크로싱부 히팅장치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고정클립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고정클립(610)은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철사의 1/3의 위치를 구부려서 레일의 저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본레일(SR)의 저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탄성클립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탄성클립(610)은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강판의 1/2 정도로 구부린 후, 상기 구부린 부분의 일측에 볼트공이 형성된 구조로, 크래들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히팅케이블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들로서, 상기 케이블커넥터(620)는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B)의 케이블(550)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케이블가이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케이블가이드(630)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레일(SR, WR)의 복부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블가이드(630) 내에 케이블커넥터(620)가 부착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VP부분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VP부분 측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A, B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크로싱 내에 고정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가 레일에 고정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는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 B)가 크로싱부(C)의 내측에 탄성클립(610)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클립(610)에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 B)가 고정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B)를 크로싱부(C)의 웽레일(WR) 복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윙레일(WR)의 복부에 탄성클립(61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클립(610)에 케이블가이드(630)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가이드(630)에 케이블커넥터(62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커넥터(620)에 케이블(550)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는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 B)가 크로싱부(C)의 내측에 탄성클립(61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클립(610)에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 B)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설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은 궤도 전철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전기력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발열판(300)이 삽입되어, 분기기의 포인트부(P)의 레일과 상판(100) 사이의 공간에 스며든 물이나 눈이 결빙되어 궤도 변경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상판 110: 요홈
200: 보호판 210: 절개홈
300: 발열판 400: 발열판 조립체
410: 저항체 420: 케이블
500: 판상체 510: 플레이트
512: 끼움홈 520: 방수박스
530: 발열관 540: 케이블 쉬스
550: 케이블 600: 고정클립
610: 탄성클립 620: 케이블커넥터
630: 케이블가이드 650: 고정스프링
670: 볼트 680: 너트
A: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B: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C: 크로싱부
P: 포인트부 SR: 기본레일
TR: 텅레일 WR: 윙레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어, 포인트부(P)의 레일(SR, TR) 하부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4.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요홈(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210)이 형성된 보호판(200)과; 상기 상판(100)과 보호판(200) 간에 내장되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발열판(300)과; 상기 발열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항체(410)가 구비됨과 동시에 케이블(420)이 구비된 발열판 조립체(400)와; 상기 케이블(420)이 끼워지도록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되는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A, B)가 크로싱부(C)의 내측에 탄성클립(610)으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사각형상의 판상체(500)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됨과 동시에 일정한 직경의 끼움홈(512)이 형성된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수박스(520)와; 상기 방수박스(5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발열관(530)과; 상기 방수박스(52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블 쉬스(540)와; 상기 케이블 쉬스(540)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550)로 구성된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B)를 크로싱부(C)의 웽레일(WR) 복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상기 윙레일(WR)의 복부에 탄성클립(61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클립(610)에 케이블가이드(630)를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가이드(630)에 케이블커넥터(62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커넥터(620)에 케이블(550)을 연결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설치방법.

KR1020100001238A 2010-01-07 2010-01-07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20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38A KR101203065B1 (ko) 2010-01-07 2010-01-07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38A KR101203065B1 (ko) 2010-01-07 2010-01-07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25A KR20110080825A (ko) 2011-07-13
KR101203065B1 true KR101203065B1 (ko) 2012-11-20

Family

ID=4491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38A KR101203065B1 (ko) 2010-01-07 2010-01-07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46A (ko) 2018-11-20 2020-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철도 분기부 히팅장치
KR20200070716A (ko) 2018-12-10 2020-06-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혹한기 철도 분기부 선로전환기 장애 예방을 위한 안티 아이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티 아이싱 방법
KR20200117504A (ko) 2019-04-04 2020-10-1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히팅판과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철도 레일 분기부 히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942B1 (ko) 2020-11-26 2022-11-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철도 레일 분기부의 히팅장치
CN114718002B (zh) * 2022-03-29 2024-01-26 吕梁学院 一种铁路道岔融雪锁闭框架加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502A (ja) * 1996-12-25 1998-07-14 Shinyoushiya:Kk 分岐器用融雪方法及び床板融雪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502A (ja) * 1996-12-25 1998-07-14 Shinyoushiya:Kk 分岐器用融雪方法及び床板融雪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46A (ko) 2018-11-20 2020-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철도 분기부 히팅장치
KR20200070716A (ko) 2018-12-10 2020-06-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혹한기 철도 분기부 선로전환기 장애 예방을 위한 안티 아이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티 아이싱 방법
KR20200117504A (ko) 2019-04-04 2020-10-1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히팅판과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철도 레일 분기부 히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25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065B1 (ko) 철도 분기기용 전기 히팅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146933B1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용 분기기
KR20090093976A (ko) 레일 유도장치 궤도상의 물체 및 파편 제거 및 탈선 위험 감지 장치
KR102134925B1 (ko) 혹한기 철도 분기부 선로전환기 장애 예방을 위한 안티 아이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티 아이싱 방법
CN101512071B (zh) 支承件及用于加热支承件上的导向件的方法
CN205557201U (zh) 内嵌式电加热铁路道岔垫板融雪除冰装置
US20060286830A1 (en) High security device for capturing electric energy on the ground for supplying a landborne vehicle
CN104711905A (zh) 一种pc轨道梁融冰雪装置、铺设方法及pc轨道梁
CN104711906B (zh) 轨道梁融冰雪组件、pc轨道梁及其铺设方法
KR101931753B1 (ko) 철도레일 융설히터용 고정클립
US20160053440A1 (en) Wind, snow and sand protecting device for railways
CN105463954A (zh) Pc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和融冰雪方法
JP2015089999A (ja) 踏切内フランジウェイ部の融雪および凍結防止装置
CN210561497U (zh) 一种防结冰的箱形轨道梁
CN214536836U (zh) 一种电气化铁路隧道除冰装置
CN205368904U (zh) 钢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
KR100864702B1 (ko)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KR101276197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철도 분기기 융설장치
JP3948836B2 (ja) 融雪装置
CN203654099U (zh) 一种pc轨道梁融冰雪装置及pc轨道梁
CN109910621B (zh) 一种磁浮列车受流轨排障装置及其磁浮列车
KR20240043862A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 궤도용 분기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5329432U (zh) Pc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
KR200454759Y1 (ko) 전철기용 제설히터 고정장치
CN205368905U (zh) 钢混结合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