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109B1 -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109B1
KR101057109B1 KR1020090032792A KR20090032792A KR101057109B1 KR 101057109 B1 KR101057109 B1 KR 101057109B1 KR 1020090032792 A KR1020090032792 A KR 1020090032792A KR 20090032792 A KR20090032792 A KR 20090032792A KR 101057109 B1 KR101057109 B1 KR 10105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conductive rail
coupl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317A (ko
Inventor
조상훈
홍두영
민병찬
허영태
문성필
문성환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109B1/ko
Priority to PCT/KR2010/002342 priority patent/WO2010120130A2/ko
Priority to MYPI2011004963A priority patent/MY166734A/en
Publication of KR2010011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5/00Arrangements along running rails or at joints thereof for current conduction or insulation, e.g. safety devices for reducing earth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전력을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를 제시한다.
철도, 도전레일설비, 금구, 편위, 각도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Cant Support Assembly in using Power rail for railroad car}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전력을 철도차량으로 전달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종류는 전동차, 전철, 열차, 고속전철, 기관차, 객차, 화차, 자기부상 등이 있다. 또한, 철도차량은 철도차량을 움직이는 동력의 종류에 따라 증기,내연,전기로 나뉜다. 이 중 전기철도차량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정해진 궤도를 따라 운행된다.
철도차량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도전레일 방식이다.
이와 같은 도전레일방식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와 마찰 접촉되면서 외부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철도차량이 충분히 외부전력을 공급받으면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가 매우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전레일의 설치 위치 조정이 정밀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전레일을 지지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를 제시한다.
상기 베이스는 편위조정용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편위조정용 체결부;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삽입되는 편위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편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의 편위조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체결홀과 합치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상대 회전방향을 따라, 그 끝단부 측의 높이가 그 중앙부 측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상기 서포트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공간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끼움공간 형성부는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끼움공간 형성부는, 상기 서포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의 양쪽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토퍼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스토퍼용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의 양쪽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하나의 레일 결합용 홀 및, 상기 도전레일 측과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서포트를 회전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서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용 홀이 형성된 회전축용 체결부 및, 상기 회전축용 체결부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스토퍼 패널; 일측이 상기 스토퍼 패널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탈착가능토록 끼워지는 스토퍼 볼트; 상기 스토퍼 볼트와 체결되는 스토퍼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는 도전레일의 위치 각도, 편위 조정 등이 가능토록 도전레일을 지지함으로써, 도전레일의 설치 위치 조정이 정밀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100)는, 철도차량(10)의 차륜과 접촉되어 철도차량(10)의 운행을 안내하는 한 쌍의 궤조(20) 이외에, 철도차량(10)의 궤도방향과 병행하도록 철도 궤도면 또는 지지 블록(2) 등에 설치되어,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미끄럼 마찰됨으로써, 철도차량(10)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전레일설비(100)는, 레일체(110)로서,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미끄럼 마찰 가능토록 설치되어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에 외부 전력을 공급하는 도전레일(120)을 포함한다.
도전레일(120)은 복수 개가 철도차량(10)의 궤도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레일(120)은 도전레일 지지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부(122) 및, 본체부(122)에 의해 지지되고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와 마찰 접촉되는 차량 접촉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접촉부(124)는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비용 절감 등을 위해 본체부(122)와 탈착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도전레일(120)은 일부 구간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도록 궤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절연거리만큼 이격 설치된다.
또한 도전레일설비(100)는 궤도방향을 따라 도전레일(120)들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110)를 이루고, 도전레일(120)들을 절연하는 절연레일(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연레일(132)이 도전레일(120) 사이에 하나로 연결된 레일체(110)로 설 치됨으로써, 도전레일(120)이 절연레일(132)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등 동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레일(120) 사이가 절연레일(132)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움푹 파인 곳이 없기 때문에 철도차량(10)의 집전부(12)가 요동없이 접촉될 수 있어서, 철도차량의 습동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절연레일(132)은 절연성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처리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절연레일(132)은 도전레일(12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레일(132)과 함께 절연구간부(130)를 이루고 도전레일(120)과 결합된 절연레일 지지체(13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도전레일(120)과 보다 용이하고 단순하게 하나의 레일체(110)를 이룰 수 있다. 절연레일 지지체(134) 또한 절연성을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처리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 개의 도전레일(120) 중 일부는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조인트 플레이트(150)에 의해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도전레일(120)들 중 일부는 그 중간에 절연레일(132)을 두지 않은 상태로 궤도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고, 도전레일(120)이 온도 변화로 인하여 팽창 및 수축되는 것을 흡수할 수 있는 신축흡수부(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전레일 지지체(140)는, 도전레일(120)과 결합되는 클로우(142)(claw)와, 철도 궤도면 또는 지지 블록(2) 등에 고정 설치되는 금구(146, 148)와, 금구(146, 148)에 의해 도전레일(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금구(146, 148)와 클로우(142)를 연결토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애자(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금구(146, 148)는 제1형/제2형 궤도에 설치되는냐 여부 등에 따라 적합한 종류의 금구(146, 148)가 적용될 수 있도록, 복수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금구(146, 148)는 편위 조정, 즉 직선 좌표의 위치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된 제1형 금구(146)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금구(146, 148)는 각도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된 제2형 금구(148)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형 금구(148)는 나아가, 다음과 같이 편위 조정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제2형금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제2형금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형금구(148)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도전레일의 일측, 즉 지지블록 등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200)(base)와, 베이스(200)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도전레일 측, 보다 정확하게는 애자(144)와 결합되는 서포트(300)(suppor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300)가 베이스(2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도전레일의 위치 각도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작업이 용이하다.
여기서, 제2형금구(148)(148)는 각도 조절을 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베이스(200)와 서포트(300)를 회전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회전축(400)과,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베이스(200)와 서포트(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스토퍼(500)(stopper)'라 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서포트(300)를 베이스(200)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제1스토퍼(500)에 의해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회전 상태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각도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제2형금구(148)(148)의 구조가 단순하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회전축(400)은 베이스(200)와 서포트(30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와 같이 베이스(200)와 서포트(300)의 분리,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0)의 편위 조정이 가능토록 베이스(200) 및 서포트(30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회전축(400)은 탈착 가능토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 예와 같이 베이스(200)와 서포트(30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타입으로 간소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500)는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회전 상태를 구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무방하며, 특히 다음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하고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500)는 일측이 서포트(300)에 고정되는 스토퍼 패널(510)과, 일측이 스토퍼 패널(510)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베이스(200)에 탈착가능토록 끼워지는 스토퍼 볼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스토퍼 볼트(520)'라 한다)와, 제 1스토퍼 볼트(520)와 체결되는 스토퍼 너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스토퍼 너트(530)'라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스토퍼 볼트(520)와 제1스토퍼 너트(530)의 체결에 따라, 베이스(200) 위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 볼트(520)의 길이가 조정되고(도 5의 화살표 A 참조), 서포트(300)가 스토퍼 패널(510)을 통해 제1스토퍼 볼트(520)와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200) 위로 돌출된 제1스토퍼 볼트(520)의 길이에 따라 서포트(300)가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베이스(20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 후(도 5의 화살표 B 참조) 그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각도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각도의 정밀 조정이 가능하고, 이를 위한 구성이 매우 간소하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패널(510)은 서포트(300)와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서포트(30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구조적 간소화 및 제조 용이성,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의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스토퍼 패널(510)은 제2형금구(148)와 애자(144)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B)에 의해 서포트(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512A)이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패널(510)은, 조작 용이성 등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서포트(30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서포트(300)와 면접촉되는 제1패널부(512)와, 애자(144) 등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제1패널부(512)로부터 베이스(200)를 향해 절곡된 제2패널부(514)와, 제1스토퍼 볼트(520)와 용이하고 간소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패널부(514)로부터 절곡된 제3패널부(5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패널부(512)는 서포트(300)와 애자(144)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서포트(300)와 베이스(200) 사이 공간을 통해 서포트(300)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제3패널부(516)는 서포트(300)와 베이스(200) 사이 공간보다는 그 바깥쪽에 위치됨으로써, 제1스토퍼 볼트(520) 및 제1스토퍼 너트(530)가 주변과 간섭없이 구성 및 조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제3패널부(5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스토퍼 볼트(520)가 탈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 홀(51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 볼트(520)는 스토퍼 패널(510)과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제조 용이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을 위해 탈착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 볼트(520)는 스토퍼 패널(510)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 스토퍼 패널(510)의 양쪽에 위치되어 제1스토퍼 볼트(520)에 각각 체결되는 이중 너트(540)에 의해 스토퍼 패널(510)과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형금구(148)는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회전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서포트(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서포트(300)의 양쪽에서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베이스(20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스토퍼(600)'라 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토퍼(6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베이스(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포트(300)의 양쪽에 각각 밀착되는 제2스토퍼 볼트(610) 및, 제2스토퍼 볼트(610)와 나사 체결되는 제2스토퍼 너트(6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형금구(148)는 상술한 위치 각도 조정은 물론, 편위 조정도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조적 간소화 및 소형화 등을 위해, 서포트(300)보다는 베이스(200)가 다음과 같이 편위 조정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베이스(200)는 편위조정용 체결부재(260)가 체결되는 체결홀(250A)이 형성된 편위조정용 체결부(250)와, 편위조정용 체결부재(260)에 의해 지지블록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편위조정용 체결부(250)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삽입되는 편위조정홀(220)이 형성됨과 아울러 서포트(300)와 결합되는 본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편위조정용 체결부(250)는 본체부(210)의 편위조정홀(220)에 삽입되어 편위조정용 체결부(250)의 편위조정방향(도 5의 화살표 D 참조)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체결홀(250A)이 형성된 블록(252)과, 블록(252)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블록(252)의 체결홀(250A)과 합치되는 체결홀(250A)이 형성된 보스(2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편위조정용 체결부(250)의 블록(252)은 본체부(210)의 편위조정홀(220) 내 단턱(222)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또한, 편위조정용 체결부(250)는 본체부(210)의 편위조정홀(220)에 삽입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부(210)의 편위조정홀(220)의 내부에 형성된 맞물림부(224)와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부(250B)가 형성될 수 있다. 편위조정용 체결부(250)의 맞물림부(250B)와 본체부(210)의 맞물림부(224)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편위조정용 체결부(250)는 본체부(210)의 편위조정홀(220)에 삽입된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토록, 본체부(210)의 눈금(220)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는 눈금 기준선(250B)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의 본체부(210)는, 상술한 제1스토퍼 볼트(52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스토퍼 볼트용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볼트용 홀(212)은 제1스토퍼 볼트(52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베이스(200)의 본체부(210)는, 서포트(300)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서포트(300)를 향해 돌출된 결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4)는 회전축(400)에 의해 서포트(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400)이 탈착 가능토록 체결되는 회전축용 홀(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용 홀(214A)은 회전축(400)이 볼트 체결처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4)는 회전축용 홀 형성부분(214B)이 다른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보강될 수 있다. 결합부(214)는 서포트(3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상대 회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4)는 베이스(200)에 대한 서포트(300)의 상대 회전방향을 따라, 그 끝단부 측의 높이가 그 중앙부 측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됨으로써, 서포트(300)가 간섭없이 결합부(214)의 끝단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21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결합부(214)는 서포트 측 일면에, 제2스토퍼(600), 보다 정확하게는 제2스토퍼 볼트(61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스토퍼용 가이드홈(214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스토퍼용 가이드홈(214C)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214)와 끼움공간 형성부(216,217) 사이 공간이 좁더라도 제2스토퍼 볼트(61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스토퍼 볼트(610)의 체결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14)는 하나 또는 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서로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베이스(200)와 서포트(3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결합부(214) 사이 공간에 의해 조립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의 본체부(210)는 서포트(300)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14)와의 사이에 서포트(30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공간 형성부(216,217)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공간 형성부(216,2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0)의 편위 조정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해, 서포트(300)를 중심으로 서포트(300)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끼움공간 형성부(216,2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0)의 탈착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서포트(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끼움공간 형성부(216,217) 는, 베이스(200)가 보강될 수 있도록 상술한 베이스(200)의 결합부(214)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끼움공간 형성부(216,217)는 제2스토퍼(600), 보다 정확하게는 제2스토퍼 볼트(610)가 탈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도록, 스토퍼용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300) 또한 도 6의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00)의 편의 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포트(300)는 회전축(400)이 끼워지는 회전축용 홀(322)이 형성된 회전축용 체결부(320)와, 회전축용 체결부(320)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결합되고 도전레일 측, 즉 애자(144)와 결합되는 본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300)의 회전축용 체결부(320)와 본체부(310)는 상술한 베이스(200)의 본체부(210)와 편위조정용 체결부(250)에 의한 편위조정을 참조할 수 있는바, 회전축(400)의 편위조정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포트의 본체부(310)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특히 도전레일 측, 즉 애자(144)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312) 및, 레일 결합부(312)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314,3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300)의 본체부(310)는 구조적으로 간소하면서도 베이스(200) 및 애자(144)와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2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패널(510) 및 애자(144)와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의 레일 결합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 결합부(214)는 도전레일 측, 즉 애자(144)와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 기(3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끼움돌기(312B)에 의해, 서포트(300)와 애자(144)의 결합 위치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서포트(300)와 애자(144)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재(B)를 회전 중심으로 하는 서포트(300)와 애자(144)의 상대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314,315)에는 각각, 상술한 회전축(400)의 편위 조정을 위해 편위조정용 홈(314A, 3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적용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제2형금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제2형금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철도차량 12; 집전부
100; 도전레일설비 110; 레일체
120; 도전레일 132; 절연레일
140; 도전레일 지지체 142; 클로우
144; 애자 146; 제1형금구
148; 제2형금구 150; 조인트 플레이트
160; 신축흡수부 200; 베이스
300; 서포트 400; 회전축
500; 제1스토퍼 600; 제2스토퍼

Claims (15)

  1.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상대 회전방향을 따라 그 끝단부 측의 높이가 그 중앙부 측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3.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상기 서포트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끼움공간 형성부는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끼움공간 형성부는, 상기 서포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의 양쪽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스토퍼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는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스토퍼용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6.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서포트의 양쪽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7.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레일 결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9. 철도차량의 집전부에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도전레일을 지지토록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하나의 레일 결합용 홀 및, 상기 도전레일 측과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편위조정용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편위조정용 체결부;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전레일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삽입되는 편위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편위조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편위조정용 체결부의 편위조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체결홀과 합치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12. 삭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서포트를 회전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회전축;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서포트의 회전 상태를 구속토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서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축용 홀이 형성된 회전축용 체결부 및,
    상기 회전축용 체결부가 편위 조정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도전레일 측과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이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스토퍼 패널;
    일측이 상기 스토퍼 패널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에 탈착가능토록 끼워지는 스토퍼 볼트;
    상기 스토퍼 볼트와 체결되는 스토퍼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KR1020090032792A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KR10105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92A KR101057109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PCT/KR2010/002342 WO2010120130A2 (ko) 2009-04-15 2010-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및 그 금구
MYPI2011004963A MY166734A (en) 2009-04-15 2010-04-15 Conductive rail facility for railway vehicles and fit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92A KR101057109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7A KR20100114317A (ko) 2010-10-25
KR101057109B1 true KR101057109B1 (ko) 2011-08-17

Family

ID=4313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92A KR101057109B1 (ko) 2009-04-15 2009-04-15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1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8B1 (ko) 2007-07-26 2008-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위치조절장치
JP2009013734A (ja) * 2007-07-09 2009-01-22 Central Japan Railway Co レール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イプレート並びに軌間調整コ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734A (ja) * 2007-07-09 2009-01-22 Central Japan Railway Co レール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イプレート並びに軌間調整コマ
KR100859448B1 (ko) 2007-07-26 2008-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위치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17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671B2 (en) Bogie lateral movement-limiting system
US8348035B2 (en) Pressing-on device for a current collector and method for energy transmission
CN109664798A (zh) 用于导电轨组件的膨胀接头及导电轨组件
CN109208398B (zh) 道岔和跨座式轨道系统
JPH02167643A (ja) ワーク用搬送装置
KR101057109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KR101130687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US20110155864A1 (en) Device for fixing a switch setting device on stock rails of a rail switch
WO2020006821A1 (zh) 一种转向架及轨道车辆
US5291834A (en) Rail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JP4370237B2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フェイルセイフ機構
CN102084061B (zh) 导轨膨胀装置
JP6582348B2 (ja) 集電装置及び車両
KR20150094237A (ko) 급전 레일의 신축흡수장치
KR101109073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의 금구
KR20200106886A (ko)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CN115195803B (zh) 一种用于变轨距转向架调节装置及变轨距转向架
KR101130685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US9227577B2 (en) Acoustic insulation device for mobile vehicle
JP2015160576A5 (ko)
CN203198769U (zh) 中低速磁浮整体绝缘支撑装置
JP6973748B2 (ja) パンタグラフ
CA2042406A1 (en) Rail for a magnetic levitation vehicle
KR101269230B1 (ko) 철도차량용 도전레일설비
JPH04503544A (ja) 磁気浮上式車両のための走行路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