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886A -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 Google Patents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886A
KR20200106886A KR1020207017256A KR20207017256A KR20200106886A KR 20200106886 A KR20200106886 A KR 20200106886A KR 1020207017256 A KR1020207017256 A KR 1020207017256A KR 20207017256 A KR20207017256 A KR 20207017256A KR 20200106886 A KR20200106886 A KR 2020010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tructure
busbar
support
hin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트 푸러
Original Assignee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filed Critical 푸러 운트 프레이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1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7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전도 버스바(3)를 지지하고 지지 구조(1)로부터 상기 버스바(3)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디바이스(4)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바이스(4)는, - 상기 전류를 절연하고, 버스바-측 단부(40)와 상기 버스바-측 단부(40)에 반대되는 지지 구조-측 단부(41)를 구비하는 장간애자(18); - 상기 버스바-측 단부(40)에 억지끼워맞춤 방식(50)으로 연결되고, 버스바-측 베이스(44)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44)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18)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44)에 대해 제1 각도(20)로 걸리는 버스바-측 벽(46)을 구비하는 버스바-측 힌지 플레이트(42); -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41)에 억지끼워맞춤 방식(51)으로 연결되고, 지지 구조-측 베이스(45)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45)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18)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45)에 대해 제2 각도(22)로 걸리는 지지 구조-측 벽(47)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본 발명은 전류-전도 버스바를 지지하고 지지 구조로부터 상기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빔의 형태인 지지 구조를 가지는 지지 디바이스로서 천장의 형태인 지지 구조에 일 단부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천장으로부터 바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것은 독일특허문헌 DE 20 2009 013 786 U1에 나타나 있다. 장간애자(long rod insulator)는 상기 빔에 장착되고, 그는 상기 빔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빔에 반대되는 그의 단부에 오버헤드(overhead) 전도 레일을 유지한다. 천장으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전도 레일까지의 거리는 상기 장간애자를 상기 빔을 따라 이동시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버스바의 고정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들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류-전도 버스바, 구체적을 전도 레일을 지지하고 상기 버스바를 지지 구조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전류를 절연하기 위한 것이고, 버스바-측 단부와 상기 버스바-측 단부에 반대되는 지지 구조-측 단부를 구비하는 장간애자와, 상기 버스바-측 단부에 폼-핏 방식으로 연결되고, 버스바-측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에 대해 제1 각도로 걸리는 버스바-측 벽을 구비하는 버스바-측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에 폼-핏 방식으로 연결되고, 지지 구조-측 베이스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에 대해 제2 각도로 걸리는 지지 구조-측 벽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특정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지지 구조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가 걸리게 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천장의 하측에서 상기 오버헤드 전도 레일의 높이에 대한 다양한 조정 가능성들을 허용하기 위하여 서두에서 언급된 상기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빔을 가능한 길게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고려에 기초한 것이다. 이 길이에 관하여, 그러나, 적절한 설치 공간이 요구되고, 이는 때로는 불가능하며, 특히 터널 내에서 그렇다. 하나의 가능성은 상기 버스바가 상기 천장에 매우 근접해서 지지된다면 상기 빔을 그에 따라 짧게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경우들에서, 각 빔은 그에따라 개별적으로 제조되어야만 할 것이다. 반대로,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다른 접근법을 채택한 것이고 상기 장간애자의 상기 버스바-측 단부 및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 모두를 선회 조인트를 이용하여 선회 조인트로서 지지하여, 여기서 상기 천장의 형태인 상기 지지 구조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간격이 간단한 선회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상기 버스바를 부착하기 위한 설치 공간은 그에 따라 개별적인 요소들의 개별적인 조절을 위한 필요 없이, 설치 지지 간격에 대해서만 단독으로 의존하게 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 구조에 평행하게 부착될 수 있고 서두에서 언급된 상기 지지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불필요하게 요구되는 설치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일 뿐인,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경사진 채로 빔에 대해 부착되지 않아도 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유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 사이에 걸리는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서,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는 저비용 및 높은 유지력으로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상기 유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를 관통한다. 이러한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제일 먼저 장착될 수 있게 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 전체가 하나의 부재로서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장착되어야 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너트들이 함께 상기 적층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는 또한, 예를 들어 유지보수 목적으로, 다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대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제공되고, 그를 통해서는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이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유지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설치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 내에서 안내되어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의 베어링 면을 가로지르고, 상기 베어링 면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덮혀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상기 유지 플레이트의 바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이러한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에 의해 대략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을 포함하고, 그에 대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한 조절 가능 간격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고급의 전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 상의 설정된 높이로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의 베어링 면을 벗어나 연장하고, 상기 베어링 면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덮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서 언급된 유지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 내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과 독립적으로 이동되고 자리 잡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 및/또는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은 상기 슬롯 방향으로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의 길이에 대비하여 적어도 2배 길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폼-핏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그들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버스바-측 및 상기 지지 구조-측 벽들을 연결하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벽들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고, 상기 장간애자의 상기 버스바-측 또는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들에 대해 파지티브하게(positively)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장간애자는 상기 폼-핏 연결이 완성되기 전에 조립 과정에서 위치될 수 있어서, 상기 장간애자는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제1 및 제2 각도들 각각은 정점을 갖고, 상기 폼-핏 요소들은 상기 정점들을 중심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폼-핏 요소들은 특정한 각도상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서, 시간-소비 측정 및 레벨 조정 작업을 위한 필요 없이 조립과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폼-핏 요소들은 상기 정점들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많은 다양한 환경들과 무관하게 표준 버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버스바-측 및 상기 지지 구조-측 벽들은 스크류 연결 수단을 이용해 폼-핏 방식으로 상기 버스바-측 및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들에 연결된다. 스크류 연결들은 표준 요소들에 의해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각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벽을 가로지르는 지주를 포함하고, 그는 상기 개별 힌지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상기 개별 힌지 플레이트의 벽을 지지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벽들은 좌굴에 대항하여 안정화된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특별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별 지주 및 상기 장간애자의 상기 개별 단부는 각 힌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벽의 반대 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주들 및 상기 장간애자의 단부들은 상대와 간섭하지 않아서, 상기 장간애자는 기본적으로 상기 힌지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어떠한 각도상 위치에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특히 보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주는 상기 장간애자의 길이 방향에서 보여질 때 상기 버스바-측 힌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주에 반대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주들로부터의 지지력은 상기 장간애자를 통해서 상기 두 개의 힌지 플레이트들 간에 전달되어서, 두 힌지 플레이트들에서 두 벽들은 양 방향에서 좌굴에 대항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몇몇 장홀들은 각 힌지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이들은 상기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이 중심점을 향해 연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버스바를 향한 상기 파스너들의 지역 공차들은 보상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상기 지지 구조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간격이 간단한 선회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상기 버스바를 부착하기 위한 설치 공간은 그에 따라 개별적인 요소들의 개별적인 조절을 위한 필요 없이, 설치 지지 간격에 대해서만 단독으로 의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들 및 이들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측면에서 오버헤드 전도 레일의 길이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궤도 섹션을 대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제1 상태에서 도 1로부터의 궤도 섹션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제2 상태에서 도 1로부터의 궤도 섹션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장간애자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a는 도 1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의 힌지 플레이트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로부터의 상기 힌지 플레이트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7c는 도 7b로부터의 상기 힌지 플레이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a 내지 도 7c로부터의 상기 힌지 플레이트와 도 1로부터의 상기 디바이스에서 개략적인 측면도 내의 지지 플레이트 및 유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보이며,
도 8b는 도 8a로부터의 상기 적층체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8c는 도 8a로부터의 상기 적층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d는 도 8a로부터의 상기 적층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표기하였고, 한 번씩만 설명되었다. 도면들은 단순히 개념적인 것이며, 특히, 실제적인 형상 비율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여기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형태인 전류-전달 버스바를 지지하고 일 측면에서는 지지 구조인 천장(1)으로부터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디비아스(4)를 가지고 천장(1)으로 덮혀진 궤도 섹션(2)이 개략적으로 보여진다. 덮혀진 궤도 섹션(2)은, 도 1에 나타내지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터널, 지하도나 덮혀진 정거장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궤도 섹션(2)에서, 궤도(8)는 주행방향(6)을 따라 연장하고, 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은 전기 철도 차량은 궤도(8)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철도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은 궤도(8) 상에서 궤도 섹션(2) 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10)에서 보여지며, 이로부터 도시하지 않았으은 상기 전기 철도 차량은 팬터그래프로서 알려진 방식으로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길이는 온도 변화와 같은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주행방향(6)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한 기계적인 응력을 회피하기 위하여, 디바이스(4)는 이러한 길이 변화를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구조가 확대된 프로파일 도시(14)의 도움으로 간략하게 기술되기 전에, 트랙(8) 상측에서 천장(1)에 대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설치가 제일 먼저 간략히 설명된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와 천장(1) 사이에, 앞서 언급된 디바이스(4)는 디바이스(4)의 선택적인 일부인 지지 플레이트(15)에 의해 제 자리에 걸리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5)는 현재 설계안에서 강력한 앵커들(17)의 형태인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에 의해 천장(1)에 걸리게 된다. 강력한 앵커들(17)은 알려진 방법으로 천장(1) 측에 앵커링된다. 천장(1)에 반대되는 측에서, 강력한 앵커들(17)은 참조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수나사산을 가지고, 그들 각각에는 두 개의 너트들(52)이 나사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15)는 그에 나사 결합되는 두 개의 너트들(52) 사이에서 각각의 강력한 앵커들(17)에 폼-핏 방식(form-fit manner)으로 걸려져서, 지지 플레이트(15)는 천장(1)으로부터 조절 가능 간격(19)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의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논의될 것이다.
디바이스(4)는 또한 장간애자(18)를 가지고, 그는 제1 각도(20)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에 대해 그리고 제2 각도(22)로 천장(1)에 대해 경사진다. 디바이스(4)의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논의될 것이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은 보상 디바이스(24)에 의해 이 디바이스(4)에 걸려지는데, 보상 디바이스(24)는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길이 변화, 예를 들어 열적 팽창에 의해 초래된 길이 변화를 보상한다. 보상 디바이스(24)는 기본적으로 가위 조인트(25, scissor joint), 또한 가위 암으로 지칭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데, 그는 주행방향(6)을 따라 신장되거나 주행방향(6)에 반하여 수축될 수 있다. 가위 조인트(25)는 주행방향(6)에서 볼 때 디바이스(4)의 하단에 볼트들(16)에 의해 연결된다. 주행방향(6)에서 볼 때 상단 측에서, 가위 조인트(25)는 높이 방향(10)을 따라서 그리고 그에 반하여 작용하는 감쇠기(26)를 통해 스크류들(16)로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에 연결되어서, 보상 디바이스(24)는 길이 변화를 보상하는 것에 더하여 오버헤드 전도 레일(3)에 대한 진동을 또한 감쇠할 수 있다. 주행방향(6)에서 볼 때 보상 디바이스(24)의 후방 측에 위치한 반-회전 디바이스(27)는 길이 방향(6) 및 높이 방향(10)에 대해 수직한 횡방향(28)에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이 감쇠기(26)를 중심으로 피봇하거나 트위스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바이스(4)의 설계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사항이 논의되기 전에,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구조는 확대된 프로파일 도시(14)를 이용하여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높이 방향(10)에서 볼 때,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은 두 개의 이격된 클램핑 암들(30)이 높이 방향(10)에 대해 수직하고 또한 반하여 돌출되는 상부에 위치하는 교차 암(29)을 가진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은 주행방향(6)에서 볼 때 여러 부분 설계안을 가지고, 그에 의해 개별 부분은 이음 철판들(31)에 의해 서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음 철판들(31)은 스크류에 의해 오버헤드 전도 레일(3)에 설치된다. 혀-및-홈 연결부들(32)은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교차 암(29)에 반대되는 측에서, 각 클램핑 암(30)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도시되는 않는 조립체 차량을 위한 트랙(33)을 갖는데, 그들의 각각은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중앙선(34)으로부터 벗어나게 지향된다. 높이 방향(10)에서 볼 때, 각 트랙(35)의 하부측으로부터, 클램핑 암(36)은 중심선(34)을 향해 연장한다. 접촉 와이어(37)는 두 개의 클램핑 암들(36) 간에 클램핑된다.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구조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문헌 DE 20 2004 009 420 U1로부터도 알려져 있어서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각각에서 도 1의 궤도 섹션(2)의 일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의 상측의 천장(1)의 높이(38)는, 높이 방향(10)에서 볼 때 오버헤드 전도 레일(3)에 대한 장간애자(18)의 제1 각도(20)와 함께 천장(1)에 대한 장간애자(18)의 제2 각도(22)를 변화시킴에 의해 디바이스(4)에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D2 20 2009 013 786 U1에서의 오버헤드 전도 레일의 현수에 비교되는 큰 이점은, 높이 방향(10)에서 볼 때, 부품들이 오직 높이(38)의 위쪽에서만 설치되어야 하므로,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은, 예를 들어 오버헤드 전도 레일(3) 아래서 운행되는 기차를 방해하는 수직 설치 빔들 없이, 천장(1)에 매우 가깝게 도입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디바이스(4)의 실시예에 대해, 디바이스(4)의 일 부분을 다른 도시로서 보이는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바이스(4)는 장간애자(18)를 포함하는데, 그는 오버헤드 전도 레일(3)을 지향하는 버스바-측 단부(40)와 버스바-측 단부(40)에 반대되는 천장-측 단부(41)를 가지고, 천장-측 단부(41)는 천장(1)을 지향하고 또한 지지 구조 단부(41)로도 지칭된다.
장간애자(18)의 버스바-측 단부(40)에는 보상 디바이스(24)가 도 1에서 보여지는 스크류들(16)을 이용해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버스바-측 힌지 플레이트(42)가 위치한다.
장간애자(18)의 천장-측 단부(41)에는 지지 플레이트(15)가 도 1에서 보여지지 않는 스크류들을 이용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로도 지칭되는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가 위치한다.
각 힌지 플레이트(42,43)는 도 4 및 도 5에서 버스바 측에서 참조 번호 44로 표시되고 천장 측에서는 참조번호 45로 표시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각 힌지 플레이트(42,43)는 대응하는 힌지 플레이트 상에 세워진 벽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버스바측 벽은 참조번호 46으로 표시되고 지지 구조측에서는 참조번호 47로 표시된다. 각 힌지 플레이트(42)에서 대응하는 벽(46,47)은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4,45) 상에서 지주(strut)에 의해 지지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이 지주는 버스바 측에서는 참조번호 48로 표시되고 천장 측에서는 참조번호 49로 표시된다. 주행방향(6)에서 볼 때, 이러한 지주들(48,49)은 횡방향(28)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되게 배치되는데, 이는 버스바-측 지주(48)는 도 4의 사시도에서 보이지 않는 이유가 된다.
장간애자(18)의 단부들(40,41)은 폼-핏 연결을 통해 대응하는 힌지 플레이트(42,43)의 벽들(46,47)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버스바-측 폼-핏 연결은 참조번호 5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천장-측 폼-핏 연결은 참조번호 51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폼-핏 연결(50,51)은 대응하는 힌지 플레이트(42,43)의 벽(46,47) 및 장간애자(18)의 대응하는 단부(40,41)를 통과하는 스크류(16)에 의해 이루어진다. 너트(52)는 각 스크류(16)에 대해 나사 결합된다. 마찰 연결들(50,51)을 향상하기 위하여, 와셔 및/또는 스프링 와셔들은 상기 볼트들 및 상기 너트들 밑에 위치할 수 있고, 이들은 도 4 및 도 5에서 참조번호 53으로 표시된다.
장간애자의 기본 구조는 잘 알려져 있고, 간결함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더하여, 장간애자(18)의 단부들(42,43)은 도 6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장간애자(18)의 단부들(40,41)은 스프링 형태를 가져서, 그들은 평탄 스프링 상부측(54) 및 스프링 상부측(54)에 반대되는 스프링 하부측(55)을 가진다. 스프링 상부측(54)에서, 장간애자(18)의 각 단부(40,41)는 대응하는 마찰 연결(50,51)과 계합된다. 스프링 하부측(55)은 대응하는 힌지 플레이트(42,43)의 벽(46,47) 상에 위치한다.
장간애자(18)의 각 단부(40,41)는 도 4 및 도 5로부터 스크류들(16)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56)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각 개구부(56)는 대응하는 개구부(54)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장간애자(18)의 단부들(40,41)에서 스프링(55)의 상부측 상에서는, 기어이(58) 형태의 폼-핏 요소들이 개별 개구부(56)의 밖에서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어이(58) 모두가 도 6에서 그들의 고유 참조번호들을 부여받지는 않는다.
장간애자(18)의 단부들(40,41)에서 기어이(58)는 대응하는 폼-핏 요소들 내로 폼-핏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횡방향(28)을 따르는 방향 그리고 그에 반하는 방향으로 힌지 플레이트들(42,43)의 벽들(47,48) 상에 위치하는 기어이(58)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3개의 다른 측면에서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들(41) 중 하나의 도시를 보이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들 모두는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천장-측 벽(47)은 장간애자(18)가 천장측에 위치하는 측 상에 앞서 설명된 기어이(58)를 가진다. 간명하기 하기 위하여, 모든 기어이가 그들의 고유 참조번호를 갖지는 않는다.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의 기어이(58)가 횡방향(28) 내에서 장간애자(18)의 천장-측 단부(41)에서 기어이(58) 내로 삽입된다면, 그들은 도 5에서 참조번호 59로 표시된, 회전축(57)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파지티브 핏(positive fit)을 형성한다.
스크류(16)의 통과를 위하여, 천장-측 벽(47)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볼 때 장간애자(18)의 대응하는 천장-측 단부(41)와 유사하게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개구부(61)를 가진다.
장착을 위하여, 장간애자(18)의 천장-측 단부(41)는 두 개의 개구부들(56,61)의 회전축들(57,60)이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의 벽(47)의 기어이(58) 상에 위치한다. 기어이(58)의 회전적으로 대칭적인 위치 덕분에, 회전 정점들(57,60)은 이제 제2 각도의 정점으로서 기능하여서, 장간애자(18)는 특정한 제2 각도들(22)로서 천장(1)에 장착될 수 있고 설치 과정에서 과도한 조정 기구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4개의 장홀들(62)은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를 관통하여 연장되는데, 그들은 회전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중심점을 중심으로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의 외측에서 서로 간에 정렬된다. 이러한 장홀들(62) 중 오직 세 개만이 도 7c의 사시도에서 보여진다.
마지막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의 디바이스(4)에서 지지 플레이트(15)에 대해 참고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지 플레이트(15)는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의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 및 후술할 유지 플레이트(64)와 함께 적층체(66)를 형성한다. 이러한 적층체(66)에 있어서, 높이 방향(10)으로,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는 가장 바닥에 위치하고 지지 플레이트(15)는 천장-측 힌지 플레이트(43)의 천장-측 벽(47)에 반대되는 측에서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 상에 위치한다.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에 반대되어, 지지 플레이트(15)는 유지 플레이트(15)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적층체(66)에 있어서, 횡방향(28)에서 볼 때, 지지 플레이트(15)는 지지지 플레이트 길이(67)를 가지고,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는 베이스 플레이트길이(68)를 가지고, 또한 유지 플레이트(64)는, 간결함을 위하여, 도 8b에만 표시되는 유지 플레이트 길이(69)를 가진다. 주행방향(6)에서 볼 때, 적층체(66)에서 지지 플레이트(15)는 지지 플레이트 폭(70)을 가지고,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는 베이스 플레이트 폭(71)을 가지고 유지 플레이트(64)는, 간결함을 위해서, 오직 도 8a에서만 표시되는 유지 플레이트 폭(72)을 가진다. 지지 플레이트는 주행방향(6) 및 횡방향(28) 모두 내에서 최대의 폭 및 길이를 가진다.
지지 플레이트(15)에는 횡방향(28)을 따라 연장하는 장홀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5)는 외측에서 2개의 장홀들(74)과 내측에서 2개의 장홀들(75)을 가진다. 외측 장홀들(74)은 내측 장홀들과 지지 플레이트(15)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장홀들(74,75)은 도 8d에서 표시된 단일한 장홀 길이(76)를 가진다.
외측의 장홀들(74)에 있어서, 강력한 앵커들(17)은 지지 플레이트(15) 내에서 횡방향(28)으로 요구되는 대로 위치할 수 있고, 너트들(52)을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15)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강력한 앵커들(17)이 그에 따라 천장(1)에 고정된다면, 지지 플레이트(15)는 강력한 앵커들(17)의 설치 공차들을 보상하기 위하여 횡방향(28)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오버헤드 전도 레일(3)는 원하는 위치에서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64)로부터,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은 유지 플레이트(64)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스크류 볼트들(78)의 형태로서 높이 방향(10)에 반하여 돌출된다. 유지 플레이트(64)에 대한 스크류 볼트들(78)의 연결은 원하는 대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 볼트들(78)은 유지 플레이트(64)에서 적절하고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관통홀 내로 가압된다. 이는 스크류 볼트들(78)이 높이 방향(10)에 반하여 도 8c 및 도 8c의 사시도에서 또한 보여지는 이유이다.
지지 플레이트(15) 상에 위치할 때, 스크류 볼트들(78)은 내측 장홀들(75)을 관통하여 안내되어서 유지 플레이트(64)는 내측 장홀들(75) 내에서 횡방향(28)으로 원하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유지 플레이트(64)는 횡방향(28)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확한 자리 잡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 길이방향 슬롯들(74)은 강력한 앵커들(17)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너트들(52)이 유지 플레이트(64)의 변위 경로를 막지 않는 방식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천장-측 베이스 플레이트(45)는 스크류 볼트들(78) 상에 위치하는데, 그들은 내측 장홀들(75)을 통해 안내되고 너트들(52)로서 적층체(66)에 대해 고정된다.

Claims (10)

  1. 전류-전도 버스바(3)를 지지하고 상기 버스바(3)를 지지 구조(1)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디바이스(4)로서,
    - 상기 전류를 절연하기 위한 것이고, 버스바-측 단부(40)와 상기 버스바-측 단부(40)에 반대되는 지지 구조-측 단부(41)를 구비하는 장간애자(18);
    - 상기 버스바-측 단부(40)에 폼-핏 방식(50)으로 연결되고, 버스바-측 베이스(44)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44)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18)가 상기 버스바-측 베이스(44)에 대해 제1 각도(20)로 걸리는 버스바-측 벽(46)을 구비하는 버스바-측 힌지 플레이트(42);
    - 상기 지지 구조-측 단부(41)에 폼-핏 방식(51)으로 연결되고, 지지 구조-측 베이스(45)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45) 상에 세워지고 상기 장간애자(18)가 상기 지지 구조-측 베이스(45)에 대해 제2 각도(22)로 걸리는 지지 구조-측 벽(47)을 구비하는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 및
    - 상기 지지 구조(1)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가 걸리는 지지 플레이트(15)를 포함하는, 디바이스(4).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플레이트(64)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플레이트(64), 상기 지지 플레이트(15) 및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5)가 상기 유지 플레이트(64)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 사이에 걸리는 적층체(66)를 형성하는, 디바이스(4).
  3. 제2항에 있어서,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78)은 상기 유지 플레이트(64)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5) 및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를 관통하는, 디바이스(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78)은 너트들(52)이 함께 상기 적층체(66)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을 포함하는, 디바이스(4).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15)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5)에 제공되고, 그를 통해서는 힌지 플레이트 파스너들(78)이 안내되는, 디바이스(4).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5)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5) 상의 베어링 면을 가로지르고, 상기 베어링 면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에 의해 덮혀지는, 디바이스(4).
  7. 선행하는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5)에 제공되고,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17)은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15)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4)을 관통할 수 있는, 디바이스(4).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파스너들(17)를 포함하고,
    그에 대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5)는 상기 지지 구조(1)에 대한 조절 가능 간격(19)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디바이스(4).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5) 상의 베어링 면을 벗어나 연장하고, 상기 베어링 면은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에 의해 덮혀지는, 디바이스(4).
  10. 선행하는 제5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5) 및/또는 상기 외부-측 길이방향 슬롯들(75)은 상기 슬롯 방향으로 상기 지지 구조-측 힌지 플레이트(43)의 길이에 대비하여 적어도 2배 긴, 디바이스(4).
KR1020207017256A 2017-11-16 2018-10-13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KR20200106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7053.1A DE102017127053B3 (de) 2017-11-16 2017-11-16 Verkippt gehaltener Langstab-Isolator
DE102017127053.1 2017-11-16
PCT/IB2018/057953 WO2019097325A1 (de) 2017-11-16 2018-10-13 Verkippt gehaltener langstab-iso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886A true KR20200106886A (ko) 2020-09-15

Family

ID=6410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256A KR20200106886A (ko) 2017-11-16 2018-10-13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10307A1 (ko)
KR (1) KR20200106886A (ko)
CN (1) CN111406002A (ko)
DE (1) DE102017127053B3 (ko)
WO (1) WO20190973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41B1 (ko) * 2022-10-21 2023-09-19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7162B3 (de) * 2020-06-30 2021-09-23 Furrer & Frey Ag Vorrichtung zum Tragen eines Fahrdrahtes
CN114103736A (zh) 2020-08-28 2022-03-01 富雷尔福莱电气化设备(广州)有限公司 一种汇流排膨胀接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2758A1 (de) * 1986-09-26 1988-04-07 Deutsche Eisenbahn Consulting Oberleitungsstuetzpunkt insbesondere zur anbringung in eingleisigen tunneln
DE202004009420U1 (de) 2004-06-16 2004-10-21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Stromschiene
JP5052283B2 (ja) * 2007-10-16 2012-10-17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隧道内のき電線支持装置
IT1394380B1 (it) * 2009-05-25 2012-06-15 Bonomi Eugenio S P A Mensola di supporto per cavi di linee ferroviarie
DE202009013786U1 (de) 2009-10-09 2010-03-04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Stromschienenhaltevorrichtung
DK2429856T3 (da) * 2010-06-24 2014-11-10 Furrer & Frey Ag Strømskinnearrangement
DE102010033451A1 (de) 2010-08-05 2012-02-09 Furrer + Frey Ag Stromschienenanordnung
ES2549662T3 (es) * 2013-05-22 2015-10-30 Furrer + Frey Ag Dispositivo con dos barras conductoras rígidas y un aislador seccionador
DE102014000592A1 (de) * 2014-01-21 2015-07-23 Furrer + Frey Ag Stromschienenisolatorhalter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41B1 (ko) * 2022-10-21 2023-09-19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6002A (zh) 2020-07-10
EP3710307A1 (de) 2020-09-23
DE102017127053B3 (de) 2019-02-14
WO2019097325A1 (de)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328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KR20200106886A (ko)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간애자
CA2761930C (en) Cantilever for supporting live cables of railway, trolley and subway lines
KR101484722B1 (ko)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CA1203194A (en) Support rail arrangement and support system for suspension transport systems
RU25339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держателя контактных электропроводов на направляющей
JPH0219241B2 (ko)
KR200497341Y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2947126B (zh) 导电轨装置
EP0406840A1 (en) Cantilevered bracket structure to support the overhead electric contact line for railways
KR20170043221A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105812B1 (ko)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KR101572374B1 (ko)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KR20170035193A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CN110626215A (zh) 一种顺线路自动可调弹性悬挂线夹
CN2659766Y (zh) 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
KR20170109284A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DK2612789T3 (en) Method of connecting power rails
US11165230B1 (en) Roller assembly for use when drawing a cable through a cable tray
CN100333949C (zh) 电气化铁道刚性接触网的悬挂装置及方法
JP6776012B2 (ja) トンネル内吊架線支持装置
CN210760335U (zh) 一种顺线路自动可调弹性悬挂线夹
JP4082677B2 (ja) トンネル用剛体電車線の支持装置
CN109217212B (zh) 一种母线输电系统及其母线支撑装置
US5952609A (en) Support point for an overhead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