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12B1 -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812B1
KR101105812B1 KR1020090127300A KR20090127300A KR101105812B1 KR 101105812 B1 KR101105812 B1 KR 101105812B1 KR 1020090127300 A KR1020090127300 A KR 1020090127300A KR 20090127300 A KR20090127300 A KR 20090127300A KR 101105812 B1 KR101105812 B1 KR 10110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hole
tunnel
rigi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69A (ko
Inventor
창상훈
이기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02Details
    • B60M1/08Arrangements for energising and de-energising power line sections using mechanical actuation by the pass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교차되는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에 팬터그래프가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차선이 고정되는 전차선고정구와, 상기 전차선이 터널의 천정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에 교차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가 지지되며 상기 터널의 입구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전차선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팬터그래프에 의해 상기 브래킷에 지지되는 전차선고정구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완화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교차되는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에 팬터그래프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켜,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의 피로의 원인이 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티너리, 강체전차선, 힌지, 브래킷

Description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DIRECT LEAD-IN DEVICE FOR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본 발명은 커티너리 가선과 강체전차선의 이행구간에서 집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차량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에 고속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철도차량은 전차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운행되고 있다. 이때, 전기철도차량은 주행시 필요한 전력을 가설된 전차선 및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를 통하여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설되는 전차선의 안전성은 전기철도차량의 주행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차선의 가선방식으로는 가공식(Over Head Catenary System), 제3 궤조식(Thrid Rail System) 그리고 강체식(Rigid-bar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 기서 가공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 지상구간에 적용되고 있으나, 전차선과 조가선을 함께 가선해야 한다.
따라서, 터널에는 조가선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는 강체식 전차선을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강체식 전차선을 터널내의 전차선으로 도입하는 경우 터널의 입구에서 커티너리가선과의 이행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이행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에 강체식전차선(1)이 설치되고, 터널의 외측에 조가선(2)과 전차선(3)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차선(3)은 터널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강체식전차선(1)과 오버랩 되면서 설치된다. 이때, 전차선(3)은 터널의 내측으로 약50M까지 진입된 상태이면서 커티너리 형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기존 지하구간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에 강체식전차선(1)이 설치될 때, 강체식전차선(1)의 일단이 터널의 외측으로 약35M정도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전차선(3)은 조가선(2)과 함께 터널의 입구 까지 설치된다. 이때, 전차선(3)은 강체식전차선(1)과 오버랩 되면서 커티너리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터널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팬터그래프가 오버랩되며, 커티너리 형상으로 설치된 전차선(3)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면서 강체식전차선(1)에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전차선(3)이 터널의 내측으로 약50M의 거리(Ll)까지 진입되어 설치되거나, 강체식전차선(1)이 터널의 외측으로 약35M의 거리(L2)까지 돌 출되도록 설치되므로, 각각의 설비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지지물이 많이 소요되어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교차되는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에 팬터그래프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터그래프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의 끝단이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널의 높이에 따라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의 끝단이 슬라이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전차선에 발생되는 응력이 더욱 용이하게 완화될 수 있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차선이 고정되는 전차선고정구와, 상기 전차선이 터널의 천정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에 교차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가 지지되며 상기 터널의 입구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전차선에 접촉 된 상태로 이동되는 팬터그래프에 의해 상기 브래킷에 지지되는 전차선고정구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완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차선고정구는 상기 전차선의 외측면을 양측에서 홀딩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결속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널의 입구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부재와, 상기 반원부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홀과, 상기 중심홀을 기준으로 상기 반원부재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홀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단에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외측홀에 대응되도록 회전홀과 이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조절홀과, 상기 중심홀 및 회전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외측홀과 조절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응력완화수단은 상기 전차선고정구와, 상기 브래킷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응되도록 상기 브래킷에 형성되는 힌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힌지홀은 상기 회전축이 이동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차선고정구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교차되는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에 팬터그래프가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켜, 터널의 강체 전차선과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의 피로의 원인이 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차선의 커티너리가 형성된 부분에 팬터그래프가 접촉되어 슬라이딩시 전차선이 상부로 가압되거나 처짐에 따라 전차선의 끝단에 발생되는 응력을 흡수 할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터널의 높이에 따라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 끝단이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강체전차선에 팬터그래프가 접촉시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강체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커티너리 형상의 전차선을 터널의 입구까지만 설치하면 되므로, 종래와 달리 전차선의 길이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차선(20)이 고정되는 전차선고정구(10)와, 상기 전차선(20)이 터널(T)의 천정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40)에 교차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10)가 지지되며 상기 터널(T)의 입구에 설치되는 브래킷(30)과, 상기 전차선(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팬터그래프(P)에 의해 상기 브래킷(30)에 지지되는 전차선고정구(1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완화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차선(20)은 터널(T)의 외측에서 입구까지 커티너리형상으로 배치되고, 강체 전차선(40)은 터널(T)의 천정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차선고정구(10)가 전차선(20)의 끝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브래킷(30)에 지지되며, 브래킷(30)은 터널의 입구에 설치된다. 또한, 강체 전차선(40)은 터널의 입구외측으로 돌출되되, 전차선고정구(10)를 지나는 길이만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차선(20)과 강체 전차선(40)이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되, 전차선(20)과 강체 전차선(40)의 서로 마주보는 끝 부분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면, 전차선(20)과 강체 전차선(40)은 서로 교차되면서 연계되므로, 전동차(도시생략)의 이동시 팬터그래프(P)는 전차선(20)에서 강체 전차선(40)으로 또는 강체 전차선(40)에서 전차선(20)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응력완화수단(50)은 전차선고정구(10)와 브래킷(30)이 서로 지지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팬터그래프(P)가 전차선(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때 팬터그래프(P)가 접촉되는 부분은 전차선이 상부로 가압되고 팬터그 래프(P)가 통과된 부분은 전차선이 하부로 처짐에 따라 전차선(20)에는 상하요동이 발생되어 전차선(20) 끝단에 응력이 발생되므로, 브래킷(30)에 전차선고정구(10)가 지지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응력완화수단(50)에 의해 전차선고정구(10)가 지지되는 부분에서 응력이 해소되게 된다. 그러므로, 팬터그래프(P)는 전차선(20)에서 강체 전차선(40)으로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차선고정구(10)는 상기 전차선(20)의 외측면을 양측에서 홀딩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를 결속시키는 결속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차선(20)의 외측면에는 대칭되며 전차선(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측면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측면홈(21)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부재(11)의 하단에는 각각 홀딩돌기(12)가 형성된다. 또한, 결속구(13)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1)에 각각 형성된 결속홀(14)과, 복수개의 결속홀(14)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속구(1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속구(13)는 볼트와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부재(11)의 홀딩돌기(12)가 측면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속구(13)를 복수개의 결속홀(14)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여서 결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차선고정구(10)는 브래킷(30)에 지지되어 터널(T)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30)은 상기 터널(T)의 입구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1)와, 상기 베이스부재(31)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33)로 구성 될 수 있다. 이때, 전차선고정구(10)가 응력완화수단(5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상기 응력완화수단(50)은 전차선고정구(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50a)과, 상기 제1관통홀(50a)과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3)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50b)과, 상기 제1관통홀(50a) 및 제2관통홀(50b)에 삽입되는 회전부재(50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50c)는 암수결합되며 중앙부분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제1관통홀(50a) 및 제2관통홀(50b)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고정구(10)는 가이드부재(33)에 응력완화수단(50)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전차선(20)에 상하요동이 발생되면 전차선(20)은 회전핀(50c)을 축으로 상하회동 됨으로써 전차선(20)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력완화수단(50)은 상기 전차선고정구(10)가 상기 브래킷(30)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10)에 형성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에 대응되도록 상기 브래킷(30)에 형성되는 힌지홀(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51)은 전차선고정구(10)의 일단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브래킷(30)의 가이드부재(33)는 베이스부재(31)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되,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차선고정구(10)는 응력완화수단(50)에 의해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의 사이에 설치되게 된 다.
여기서, 브래킷(30)의 가이드부재(33)에 힌지홀(53)이 형성되고, 전차선(20)이 고정된 전차선고정구(10)의 고정부재(11) 양측에 대칭되게 회전축(51)이 형성되어, 힌지홀(53)에 회전축(51)이 회전되게 삽입된다. 그러면, 전동차의 팬터그래프(P)가 전차선(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때, 팬터그래프(P)가 접촉되는 부분은 전차선이 상부로 가압되고 팬터그래프(P)가 통과된 부분은 전차선이 하부로 처짐에 따라 전차선(20)에는 상하요동이 발생 발생된다. 이때, 요동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는 전차선(20)의 끝 부분은 힌지홀(53)에서 회동됨으로써 요동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응력완화수단(50)에 의해 전차선(20)의 진동이 완화되므로, 팬터그래프(P)의 이동에 의한 전차선(20)의 피로는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홀(53)은 상기 회전축(51)이 이동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홀(53)은 가이드부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팬터그래프(P)의 이동시 전차선(20)에 발생되는 요동에 의해 전차선(20)의 끝단에 설치된 회전축(51)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힌지홀(53)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축(51)이 장방형의 힌지홀(53)에서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되므로, 전차선(20)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더욱 빠르게 흡수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차선고정구(10)와 상기 브래 킷(30)의 사이에 탄성부재(5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부재(55)는 전차선고정구(10)의 고정부재(11) 후단과 브래킷(30)의 베이스부재(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고정부재(11)의 후단에 고정돌기(15)가 형성되고, 베이스부재(31)의 전면에 베이스돌기(37)가 형성되어, 고정돌기(15) 및 베이스돌기(37)에 탄성부재(55)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55)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회전축(51)이 장방형의 힌지홀(53)에서 왕복 이동될 때, 탄성부재(55)에 의해 요동의 흡수력은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1)은 힌지홀(53)에서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볼트부재(51a)와, 볼트부재(51a)에 결합되는 너트부재(51b)와, 볼트부재(51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회전관(51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차선고정구(10)의 일단을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볼트부재(51a)에 하나의 회전관(51c)을 삽입시킨 상태로 가이드부재(33)의 힌지홀(53)과 전차선고정구(10)의 일단에 동시에 삽입시킨다. 계속해서, 전차선고정구(10)의 일단에 관통된 볼트부재(51a)에 다른 회전관(51c)을 삽입시키고 너트부재(51b)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복수개의 회전관(51c)은 복수개의 힌지홀(53)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회전관(51c)에 의해 전차선고정구(10)는 가이드부재(33)의 사이에서 더욱 부드럽게 이동되게 된다.
한편,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터널(T)의 입구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1)와, 상기 베이스부재(31)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33)와, 상기 가이드부재(33)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재(31)는 고정부재(도시생략)인 앵커볼트 등에 의해 터널(T)의 입구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재(31)에는 가이드부재(33)가 형성되되, 복수개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 사이에 전차선고정구(1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구(35)에 의해 가이드부재(3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가이드부재(33)에 지지되는 전차선고정구(10)의 지지되는 각도도 조절되게 된다. 따라서, 터널(T)과 전차선(20)의 설치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구(35)는 상기 베이스부재(31)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부재(35a)와, 상기 반원부재(35a)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홀(35b)과, 상기 중심홀(35b)을 기준으로 상기 반원부재(35a)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홀(35c)과, 상기 가이드부재(33)의 후단에 형성되는 회전홀(35d)과, 상기 외측홀(35c)에 대응되도록 회전홀(35d)과 이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33)에 형성되는 조절홀(35e)과, 상기 중심홀(35b) 및 회전홀(35d)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축(35f)과, 상기 외측홀(35c)과 조절홀(35e)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절핀(35g)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35f)이 중심홀(35b) 및 회전홀(35d)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 에서 회전축(35f)을 중심으로 가이드부재(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33)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조절핀(35g)을 외측홀(35c)과 조절홀(35e)에 삽입시켜서 고정하면, 가이드부재(33)는 반원부재(35a)에서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구(35)를 이용하면 터널(T)에 전차선(20)이 설치되는 전차선(20)의 각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응력완화수단(50)에 의해 커티너리형상의 전차선(20)과 강체전차선(40)의 교차구간이 약 10M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전차선(20) 또는 강체전차선(40)의 길이 및 설비의 전체적인 길이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재료절감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차선이 설치되는 터널마다 널리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티너리 전차선이 터널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강체전차선이 터널의 외측까지 진출되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터널입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전차선고정구가 전차선을 홀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홀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구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차선고정구
20 : 전차선
30 : 브래킷
35 : 각도조절구
40 : 강체전차선
50 : 응력완화수단

Claims (7)

  1. 전차선(20)이 고정되는 전차선고정구(10);
    상기 전차선(20)이 터널(T)의 천정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40)에 교차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10)가 지지되며 상기 터널(T)의 입구에 설치되는 브래킷(30);
    상기 전차선(2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팬터그래프(P)에 의해 상기 브래킷(30)에 지지되는 전차선고정구(1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응력완화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고정구(10)는
    상기 전차선(20)의 외측면을 양측에서 홀딩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1)와,
    상기 고정부재(11)를 결속시키는 결속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0)은
    상기 터널(T)의 입구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31)와,
    상기 베이스부재(31)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33)와,
    상기 가이드부재(33)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구(35)는
    상기 베이스부재(31)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부재(35a)와,
    상기 반원부재(35a)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홀(35b)과,
    상기 중심홀(35b)을 기준으로 상기 반원부재(35a)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홀(35c)과,
    상기 가이드부재(33)의 후단에 형성되는 회전홀(35d)과,
    상기 외측홀(35c)에 대응되도록 회전홀(35d)과 이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33)에 형성되는 조절홀(35e)과,
    상기 중심홀(35b) 및 회전홀(35d)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회전축(35f)과,
    상기 외측홀(35c)과 조절홀(35e)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절핀(35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완화수단(50)은
    상기 전차선고정구(10)가 상기 브래킷(30)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전차선고정구(10)에 형성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에 대응되도록 상기 브래킷(30)에 형성되는 힌지홀(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53)은 상기 회전축(51)이 이동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고정구(10)와 상기 브래킷(30)의 사이에 탄성부재(5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KR1020090127300A 2009-12-18 2009-12-18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KR10110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00A KR101105812B1 (ko) 2009-12-18 2009-12-18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00A KR101105812B1 (ko) 2009-12-18 2009-12-18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69A KR20110070469A (ko) 2011-06-24
KR101105812B1 true KR101105812B1 (ko) 2012-01-17

Family

ID=4440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00A KR101105812B1 (ko) 2009-12-18 2009-12-18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74B1 (ko) 2014-06-10 2015-11-26 전찬석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KR102299807B1 (ko) * 2021-01-11 2021-09-08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전원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124B2 (ja) * 2013-04-05 2017-03-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ロリ線構造
KR101892492B1 (ko) * 2016-10-07 2018-08-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팬터그래프용 암
KR102599071B1 (ko) * 2016-12-26 2023-11-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CN110254238B (zh) * 2019-06-25 2024-04-19 西南交通大学 一种列车双极集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71A (ko) * 2002-04-16 2003-10-23 (주)신우디엔시 터널용 가동브라켓
EP1932712A1 (en) * 2005-10-06 2008-06-18 Metro de Madrid, S.A. Section insulator for a rigid catenary
KR20090029947A (ko) * 2007-09-19 2009-03-2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전차선 브래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71A (ko) * 2002-04-16 2003-10-23 (주)신우디엔시 터널용 가동브라켓
EP1932712A1 (en) * 2005-10-06 2008-06-18 Metro de Madrid, S.A. Section insulator for a rigid catenary
KR20090029947A (ko) * 2007-09-19 2009-03-2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전차선 브래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74B1 (ko) 2014-06-10 2015-11-26 전찬석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KR102299807B1 (ko) * 2021-01-11 2021-09-08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전기철도 전원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69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812B1 (ko)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 이행구간의 연결장치
CA2918923C (en) Contact device and charging contact unit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vehicle to a charging station
CN204696562U (zh) 一种引流线可调固定装置
KR200497341Y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6740277B (zh) 一种轨道交通接触网支撑装置
EP2819879B1 (de) Isolationsträger für eine stromschiene für elektrisch getriebene schienenfahrzeuge
CN110626215A (zh) 一种顺线路自动可调弹性悬挂线夹
CN105887588B (zh) 一种中低速磁浮道岔主梁抑振构造
CN107444191B (zh) 磁浮车辆及其迫导向机构
KR20110010940U (ko)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KR20140144971A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CN102785590B (zh) 一种无螺栓汇流排弹性线夹
CN209024988U (zh) 一种易安装的声屏障
CN104590055A (zh) 可调式限位定位支座
CN202782747U (zh) 一种无螺栓汇流排弹性线夹
CN206015443U (zh) 一种中低速磁浮道岔主梁抑振构造
EP2789498B1 (de) Nachspanneinrichtung für Kettenfahrleitungen elektrischer Bahnen
CN105784385A (zh) 一种车辆碰撞试验的壁障固定装置
KR101007992B1 (ko) 전차선로 사조조정기
KR100920338B1 (ko) 가동 브래킷 홀더
RU2759355C1 (ru) Способ отвода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16786944U (zh) 一种配置调节式支撑机构的闸道栏杆
CN205248465U (zh) 用于钢轨的导线安装装置
CN204488533U (zh) 可调式限位定位支座
CN209162708U (zh) 新型城市道路与交通工程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