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84A -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 Google Patents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84A
KR20170109284A KR1020160033189A KR20160033189A KR20170109284A KR 20170109284 A KR20170109284 A KR 20170109284A KR 1020160033189 A KR1020160033189 A KR 1020160033189A KR 20160033189 A KR20160033189 A KR 20160033189A KR 20170109284 A KR20170109284 A KR 2017010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kids
sides
rigid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361B1 (ko
Inventor
조호령
박재원
김재상
권삼영
박철민
박윤철
박순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102016003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8Section insulators; Secti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34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adapted to engage an overhead transmission line, e.g. for branching
    • H01H31/36Contact moved by pantograp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절연구분장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일시스템으로 기계적 강도의 유지에 의한 충분한 절연거리(누설거리)의 확보에도 수평유지가 최대한 제공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양측에 분리된 강체 전차선(R/L)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팬터그래프에 전기가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스키드(300)와,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부 절연봉(110)(120) 및 이들의 양측에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를 블록몸체(2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좌,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연결금구(200)로 구성된 절연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100)는 수직방향의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을 체결하고 분리된 양측의 상기 강체 전차선(R/L)을 결속하는 강체 R-바(400)를 결속하는 한 쌍의 연결금구(200)로 구성되어 4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는 하부 접촉면을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보다 하측으로 일정거리가 돌출되도록 조립된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SECTION INSULATOR FOR RIGID TROLLEY LINE}
본 발명은 전기철도의 강체 전차선 간의 접속 개소를 절연시키면서 전동차의 집전장치가 충격을 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구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체 전차 선로용에 적합하게 개선하여 강체 전차선 간의 접속에 따른 충분한 절연거리의 확보에도 수평 조정이 용이하고 절연부가 전기적 절연특성 및 미끄럼 특성이 우수한 테프론 절연물로 제공되어 내마모성의 개선에 의한 수명 보장 및 4각 박스 형태의 조립상태로 안정적인 기계적 구조가 제공되고, 한 쌍의 스키드의 교체에 의해 교류용에서 직류용의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보장되는 강체 전차선로 전용으로 적합한 절연구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철도와 같은 전기철도는 고속화는 물론 대용량화 및 운행시간 간격이 단축되고 있어 주행의 핵심기능의 하나인 전차 선로와 성능, 안전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차 선로는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여 말한다.
한편,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상기한 전차 선로 및 차량의 팬터그래프(pantograph)의 집전장치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어 있고, 이렇게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 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
즉, 급전방식은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분류된다.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서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서 설치 필요성이 있는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상기 가공식은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된 급전방식으로서, 세분화되어 현수 조가방식과 강체 조가방식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상기 현수 조가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장치 등 주변장치가 필요하므로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현수 조가방식의 전차 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해서 설비가 가능함으로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과 협소한 터널 구간에서는 정기적인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 전차선의 마모시에 교체 또는 보수 및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후자의 상기 강체 조가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한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강체 전차선의 높이는 강체와 전차선을 포함한 높이가 약 120mm 정도이며, 저전압(DC 750V 또는 1500V)에서 지지물 및 전기적 이격을 고려한 전차선의 집전 접촉과 터널 상부 천장 사이의 소요 높이는 약 300m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강체 전차 선로는 설치 소요공간이 작으므로 신설 터널에서 건설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에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강체 전차선은 Rigid Bar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 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 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DC 구간에는 T-Bar 를 적용하고, AC 구간에는 R-Bar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강체 전차 선로 구간에 설비되는 절연구분장치는 터널구간에 설비되어야 함으로서 강체 전차선과 강체 전차선 간의 누설거리 확보를 위한 기계적 접속에도 수평조절이 어렵고, 터널 내부 습기나 비산 먼지 등에 의해 오염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구분장치는 대부분이 터널 외부에서 설비되는 가공식의 전차선 절연구분장치로서, 일 예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구분장치는 상호 분리된 전차선(1)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전동차가 통과할 때 전기가 공급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1쌍의 스키드(10)와, 이들 스키드(10) 사이에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지지하면서 절연하는 절연봉(20)과, 전동차의 선로를 구성하는 조가선(3)의 절연봉(4)에 스키드(10)를 각각 매달은 상태로 텐션을 조절하는 턴버클(30)로 이루어졌다.
이때, 상기 각 스키드(10)는 전차선에 뒤쪽이 각각 체결되고 팬터그래프가 직접 접촉되는 1쌍의 러너(11)와, 이러한 러너(11)의 선단에 각각 부착되고 방전을 유도하는 아킹혼(12)이 구성되며, 상기 1쌍의 러너(11)는 전차선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함과 아울러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길이가 긴것과 짧은 것이 서로 연결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절연구분장치는 조가선에 매다는 형식이고, 한 쌍의 스키드의 고정 지지가 양측에 분리된 전차선에 직접 조립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시공작업이 매우 어렵고 견고한 지지구조가 제공되지 못하며, 전동차의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대한 절연부를 형성하는 절연봉의 직접마찰에 따른 마모로 발생하는 카본 분진에 의한 오손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적용 용도에 맞게 개선한 절연구분장치가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원기술들의 절연구분장치 역시, 팬터그래프와 접촉 유지에 따른 수평지지력이 연결금구 상부에 구비된 고리에 행거이어를 연결하여 조가선에 매다는 형태의 설치방식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협소한 조건의 터널 구간에 적용되는 강체 전차선로의 절연구분장치로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강체 전차선 간의 수평지지가 중요하고 충분한 절연거리 확보가 주요한 특성으로 수평 조정이 용이하면서 견고한 구조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가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55557호(2012.06.05.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264312호(2014.05.08.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415134호(2014.06.27. 등록)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절연구분장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일시스템으로 기계적 강도의 유지에 의한 충분한 절연거리(누설거리)의 확보에도 수평유지가 최대한 제공되어 팬터그래프와의 습동에 따른 스키드의 편마모를 최소화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내구성 및 표면 오손의 세척성이 보장되며, 특히 강체 전차선과 팬터그라프와의 전기적 접촉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수평유지를 조정이 용이하여 강체 전차선 접속 개소의 경점(硬点, hard spot)을 완화할 수 있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의 스키드 사이에 보조 스키드의 설치 또는 양측의 스키드의 개별 교체가 가능하여 일 부품 교체에 의한 경제성이 보장되고, 접속 개소인 강체 전차선과 강체 전차선 간을 연결함에 있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변형 및 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절연봉이 단일의 연결금구에 의해 4각 박스 형태의 연결된 절연부를 형성하여 장기간에 사용에도 안전성이 보장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는,
양측에 분리된 강체 전차선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팬터그래프에 전기가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스키드와,
상기 한 쌍의 스키드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부 절연봉 및 이들의 양측에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를 블록몸체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좌,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연결금구로 구성된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수직방향의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의 양측을 체결하고 분리된 양측의 상기 강체 전차선을 결속하는 강체 R-바를 결속하는 한 쌍의 연결금구로 구성되어 4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는 하부 접촉면을 상기 연결금구의 블록몸체보다 하측으로 일정거리가 돌출되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 하부 절연봉 각각은 에폭시 인발(pultrusion) 공법으로 성형 된 코어의 외부에 테프론 절연물로 된 튜브를 열간 끼워 맞춤으로 조립한 코어봉과, 상기 코어봉의 양측에 오링을 개재하여 금속캡으로 압착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 하부 절연봉은 상기 연결금구의 일측에 가공된 병렬의 상, 하부 조립공에 금속캡으로 각각 조립되되, 상기 상부 절연봉은 상기 상부 조립공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가공된 나사공을 통하여 외측에서 나사 끼움되는 조임볼트가 상기 금속캡의 축방향에 가공된 나사홈과 나사결합으로 조임되어 결속되고, 상기 하부 절연봉은 상기 하부 조립공에 끼움되고 축방향과 교차방향으로 가공된 한 쌍의 나사공에 조임되는 한 쌍의 무두볼트에 의해 한 쌍의 세팅홈이 결속되어 조립되며,
상기 연결금구는 상기 하부 조립공의 대향 측에 상기 강체 R-바의 양측 내면형상에 맞게 돌출된 일체의 R-바 조립돌기에 상기 강체 R-바를 끼움하고 체결볼트 및 너트로 결속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테프론 절연물로 된 튜브를 애자용 실리콘재료로 다수의 쉐이드를 성형한 절연봉을 적용하여 절연에 따른 누설거리를 증대시킨 절연구분장치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 스키드 사이에는 상기 테프론 절연물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보조스키드가 상기 좌, 우측 스키드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팬터그래프의 집전판 한쪽 부분의 압상에 따른 스키드와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증대시킨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 간의 절연구분장치로서 견고한 설치구조로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면서 수평지지가 견고하고, 절연부을 구성하는 절연봉에 팬터그래프가 습동하지 않는 구조로 제공되어 카본소재의 팬터그래프의 집전판 습동에 따른 전도성이 있는 카본의 표면 오염이 차단되어 절연특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체 전차선을 고정하는 R-바와 R-바 간의 수평 조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부를 형성하는 절연봉을 내구성 및 표면 오손의 세척성이 뛰어난 테프론 절연물로 피복되어 장기간의 사용 수명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의 스키드의 개별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교류용 스키드에서 직류용 스키드의 교체에 의해 AC 25kV 용에서 DC 1.5kV 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범용성 및 경제성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절연봉 및 연결금구가 4각 박스 구조로 제공되어 연결금구에 연결된 R-바와 R-바의 수평유지 및 조정이 용이하고 진동에 대한 수직 및 수평하중에 대해 대응하여 안전성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차선 절연구분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차선 절연구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의 사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의 분해 사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일부 발췌도 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발췌도 이다.
도 10은 도 7의 "F" 부 발췌 확대도 이다.
도 11은 도 10의 "G" 부 발췌 확대도 이다.
도 12는 도 7의 IV-IV선 발췌 확대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강체 전차선 간의 절연구분장치로서, 충분한 절연거리를 갖도록 한 테프론 절연물로 피복된 절연봉을 4각 박스형태로서 형성하고 R-바와 R-바의 수평 당김에 의한 견고한 지지로 수평지지가 유지되고, 상기 절연부를 형성하는 절연봉을 내구성 및 표면 오손의 세척 성이 뛰어난 테프론 절연물로 피복하여 장기간의 사용 수명을 보장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앙에 배치되는 상, 하부 절연봉(110,120)과,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좌, 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금구(200)를 포함하는 절연부(100)와, 상기 각 연결금구(200)의 전, 후면에 조립 지지되는 한 쌍의 스키드(300) 및 외면에 조립되는 강체 R-바(4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부(100)는 수직방향의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과,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을 체결하고 분리된 양측의 강체 전차선(R/L)을 각각 결속한 상태로 상기 강체 R-바(400)를 조립하는 한 쌍의 연결금구(200)에 의해 4각 박스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는 러너(310)의 하부 접촉면을 상기 연결금구(200)보다 하측으로 일정거리(H)가 돌출되도록 조립되어 전동차의 팬터그래프와 습동하여도 상기 하부 절연봉(120)과 마찰 간섭이 없도록 제공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은 인발(pultrusion) 공법으로 성형 된 FRP코어(112)(122)의 외부에 테프론 절연물로 된 튜브(113)(123)를 열간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 코어봉(111)(121)과, 상기 코어봉(111)(121)의 양측에 오링(116)(126)을 개재하여 압착 결속되는 금속캡(115)(125)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발공법으로 성형된 봉형상의 상기 FRP코어(112)(122) 외부에 테프론 절연물(113)(123)로 된 튜브를 열간 끼워 맞춤으로 조립하되, 상기 테프론 절연물(113)(123)로 된 튜브의 양측 단부 외주면에 한 쌍의 오링홈(114)(124)을 성형한 상태로 각각의 코어봉(111)(121)을 1차로 제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한 쌍으로 성형 된 각각의 상기 오링홈(114)(124)에 한 쌍의 오링(116)(126)을 끼움하고, 상기 각각의 금속캡(115)(125)을 끼운 상태에서 다이스와 같은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캡(115)(125)의 외부를 압착하여 각각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절연봉(110)의 상부 금속캡(115)은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나사홈(117)이 가공되고, 상기 하부 절연봉(120)의 하부 금속캡(125)은 축방향과 교차방향으로 전, 후측에 한 쌍의 세팅홈(127)이 가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금구(200)는 동일구조로서,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에 대향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각각은 블록 몸체(210)의 일측 상, 하부에 상, 하부 조립공(220)(2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조립공(230)의 대향 측인 타측에 R-바 조립돌기(240)가 일체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상부 조립공(220)은 축방향으로 나사공(221)이 관통되고, 상기 하부 조립공(230)은 축방향과 교차하여 상기 하부 금속캡(125)에 가공된 한 쌍의 세팅홈(127)과 대응하여 한 쌍의 나사공(231)이 관통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R-바 조립돌기(240)는 강체 전차선(R/L)을 클램핑하는 상기 강체 R-바(400)의 양측 내면형상에 맞게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금구(200)가 조립되어 4각 박스 형태로 절연부(100)를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부(100)는 좌, 우 양측의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에 가공된 상기 상, 하부 조립공(220)(230)에 상부 절연봉(110)의 양측 상부 금속캡(115)과 하부 절연봉(120)의 양측 하부 금속캡(125)으로 각각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조립공(220)의 축 방향으로 가공된 나사공(221)을 통하여 외측에서 나사 결합하는 조임볼트(B-1)로 상기 상부 금속캡(115)의 나사홈(117)과 나사 조임 하여 상기 양측의 연결금구(200) 사이에 상부 절연봉(110)이 배치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결속한다.
이러한 결속에 의해 상기 하부 절연봉(120)은 양측의 하부 금속캡(125)이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 몸체(210)의 각 하부 조립공(230)에 끼움한 상태로 임시 고정되고, 상기 하부 조립공(230)의 축 방향과 교차방향으로 가공된 한 쌍의 나사공(231)을 통하여 한 쌍의 무두볼트(B-2)를 나사 조립하여 상기 하부 금속캡(125)에 가공된 한 쌍의 세팅홈(127)이 결속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상, 하부 절연봉(110)(12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금구(20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결금구(200)는 상기 R-바 조립돌기(240)에 강체 R-바(400)을 끼움하고 각각에 대응하여 가공된 관통공(241)(410)에 체결볼트 및 너트(B-N)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R-바 조립돌기(240)의 양측 외면에 강체 R-바(400)의 내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속된다.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는 분리된 강체 전차선(R/L)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 스키드(300)는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에 가공된 볼트(211)와 강체 R-바(400)에 중간 부분과 뒤쪽이 체결볼트와 너트(B-N)로 각각 체결되어 전동차의 팬터그래프가 직접 접촉되는 1쌍의 러너(310)와, 상기 러너(310)의 선단에 각각 부착되고 방전을 유도하는 아킹혼(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1쌍의 러너(310)는 상기 하부 절연봉(12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함과 아울러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에 배치되는 길이가 상이한 양측의 러너(310)는 V자 절곡 연결판(330)의 중앙 절곡부와 양측 단부는 가공된 구멍을 통하여 체결볼트 및 너트(B-N)에 의해 길이가 긴 것이 공간적으로 포개지도록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연부(100)의 구성하는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이 상기 테프론 절연물(113)(123)로 된 튜브를 애자용 실리콘재료로서 다수의 쉐이드(113a)(123a)를 성형한 절연봉을 적용하여 절연에 따른 누설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협소한 터널구간에서 강체 전차선(R/L) 간의 절연거리를 보다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스키드(300) 사이에는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보조스키드(350)가 상기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 좌, 우측 스키드(300)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구비하여 전동차의 팬터그래프 집전판 한쪽 부분의 압상에 따른 스키드(300)와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최근 증설되고 있는 고속철도(전철)에 상용화가 가능하고 설비에 따른 경제성 및 설치장소에 구애 없이 동상의 터널구간에 범용사용이 가능하여 산업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00 : 절연부 110 : 상부절연봉
111, 121: 코어봉 112, 122: FRP코어
113, 123: 테프론 절연물 114, 124: 오링홈
115, 125: 금속캡 116, 126: 오링
120 : 하부절연봉 200 : 연결금구
210: 블록몸체 220: 상부 조립공
230: 하부 조립공 240: R-바 조립돌기
300 : 스키드 400 : 강체 R-바

Claims (5)

  1. 양측에 분리된 강체 전차선(R/L)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팬터그래프에 전기가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스키드(300)와,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부 절연봉(110)(120) 및 이들의 양측에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를 블록몸체(2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좌,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연결금구(200)로 구성된 절연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100)는 수직방향의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을 체결하고 분리된 양측의 상기 강체 전차선(R/L)을 결속하는 강체 R-바(400)를 결속하는 한 쌍의 연결금구(200)로 구성되어 4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는 하부 접촉면을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보다 하측으로 일정거리가 돌출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2. 양측에 분리된 강체 전차선(R/L)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팬터그래프에 전기가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스키드(300)와,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 사이에 설치되는 FRP코어(112)(122)의 외부에 테프론 절연물(113)(123)로 된 튜브를 열간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 코어봉(111)(121)과, 상기 코어봉의 양측에 오링(116)(126)을 개재하여 압착 결속되는 금속캡(115)(125)으로 구성된 상, 하부 절연봉(110)(120) 및, 이들의 양측에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를 블록몸체(2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좌,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연결금구(200)로 구성된 절연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100)는 수직방향의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양측을 체결하고 분리된 양측의 상기 강체 전차선(R/L)을 결속하는 강체 R-바(400)를 결속하는 한 쌍의 연결금구(200)로 구성되어 4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는 하부 접촉면을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 보다 하측으로 일정거리가 돌출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3. 양측에 분리된 강체 전차선(R/L) 사이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기계적으로 구분되고 팬터그래프에 전기가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스키드(300)와,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 사이에 설치되는 상, 하부 절연봉(110)(120) 및 이들의 양측에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스키드(300)를 블록몸체(210)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좌,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연결금구(200)로 구성된 절연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은 FRP코어(112)(122)의 외부에 테프론 절연물(113)(123)로 피복 성형된 코어봉(111)(121)과, 상기 코어봉의 양측에 오링(116)(126)을 개재하여 압착 결속되는 금속캡(115)(125)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금구(200)의 블록몸체(210)의 일측에 가공된 병렬의 상, 하부 조립공(220)(230)에 상기 금속캡(115)(125)으로 각각 조립되되,
    상기 상부 절연봉(110)은 상기 상부 조립공(22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가공된 나사공(221)을 통하여 외측에서 나사조립되는 조임볼트(B-1)가 상기 금속캡(115)의 축방향에 가공된 나사홈(117)과 나사결합으로 조임되어 결속되고, 상기 하부 절연봉(120)은 상기 하부 조립공(230)에 끼움되고 축 방향과 교차방향으로 가공된 한 쌍의 나사공(231)에 조임되는 한 쌍의 무두볼트(B-2)에 의해 상기 하부 금속캡(125)에 가공된 한 쌍의 세팅홈(127)이 결속되어 조립되며,
    상기 연결금구(200)는 상기 하부 조립공(230)의 대향 측에 상기 강체 R-바(400)의 양측 내면형상에 맞게 돌출된 일체의 R-바 조립돌기(240)에 상기 강체 R-바(400)를 끼움하고 체결볼트 및 너트(B-N)로 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절연봉(110)(120)의 테프론 절연물(113)(123)을 애자용 실리콘 재료로서 다수의 쉐이드(113a)(123a)를 성형하여 절연에 따른 누설거리를 증대시킨 것을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스키드(300) 사이에는 상기 테프론 절연물(113)(123)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보조스키드(350)가 상기 하부 절연봉(120)의 양측 좌, 우측의 스키드(300)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20160033189A 2016-03-21 2016-03-21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190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89A KR101902361B1 (ko) 2016-03-21 2016-03-21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89A KR101902361B1 (ko) 2016-03-21 2016-03-21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84A true KR20170109284A (ko) 2017-09-29
KR101902361B1 KR101902361B1 (ko) 2018-09-28

Family

ID=6003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89A KR101902361B1 (ko) 2016-03-21 2016-03-21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854A (zh) * 2018-04-09 2018-08-24 北京瑞可达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分段绝缘器刚性悬挂
KR102047376B1 (ko) * 2019-04-01 2019-11-21 주식회사 웰코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KR20210129319A (ko) * 2020-04-17 2021-10-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 세척 장치
KR20210129320A (ko) * 2020-04-17 2021-10-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용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6743B2 (es) 2005-10-06 2007-08-16 Metro De Madrid, S.A. Aislador de seccion para catenaria rigida.
KR101264312B1 (ko) 2011-12-28 2013-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열 구조로 구성된 교류/직류 구분용 절연구분장치
KR101415134B1 (ko) * 2013-02-04 2014-07-04 서울메트로 직류용 절연구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854A (zh) * 2018-04-09 2018-08-24 北京瑞可达电力机械有限公司 一种分段绝缘器刚性悬挂
KR102047376B1 (ko) * 2019-04-01 2019-11-21 주식회사 웰코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KR20210129319A (ko) * 2020-04-17 2021-10-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 세척 장치
KR20210129320A (ko) * 2020-04-17 2021-10-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차선용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361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JP4744605B2 (ja) 剛体電車線用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KR100440818B1 (ko) 전동차량용탄성및강성의콘택라인시스템을결합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KR200454907Y1 (ko)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US9845025B2 (en) Rigid T-rail conductor system
KR20200001023U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20130087778A (ko) 신축이음장치
KR101415134B1 (ko) 직류용 절연구분장치
KR20170043437A (ko) 신축이음장치
KR200491262Y1 (ko) 파이형 전차선 병행 습동장치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1810796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DK2613962T3 (en) Stretch separation device for a busbar conduit system
KR101316676B1 (ko) 전차선 보수용 클램핑장치
KR200463795Y1 (ko) 전철용 급전선의 가선지지금구
KR102579550B1 (ko) 전차 선로용 급전선 지지앵글 클램프
EP4063185A1 (en) Hanger clamp for holding a conductive profile,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railtrack comprising such a hanger clamp
KR20180075189A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KR102579541B1 (ko)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EP4194260A1 (en) Busbar for holding a contact wire,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railtrack comprising such a busbar
KR102376386B1 (ko) 강체 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20170039432A (ko) 강체전차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