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376B1 -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376B1
KR102047376B1 KR1020190037883A KR20190037883A KR102047376B1 KR 102047376 B1 KR102047376 B1 KR 102047376B1 KR 1020190037883 A KR1020190037883 A KR 1020190037883A KR 20190037883 A KR20190037883 A KR 20190037883A KR 102047376 B1 KR102047376 B1 KR 10204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d
coupling
tunn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욱
천종운
이운용
조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코
Priority to KR102019003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6Suspension ins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벽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관과, 전차선 또는 조가선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잡아주는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상기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지지관과 연결관을 연결하는 연결금구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암애자와, 상기 제2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애자를 포함하는 터널 브래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tunnel br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at the same}
본 발명은 터널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침입에 의한 제품 고장을 방지하여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표면에 쌓인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절연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널 브래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상측에 팬터그래프(pantograph) 등의 집전장치를 설치하고, 선로의 상측에 전차선로를 구비하여 상기 전차선로에 상기 집전장치가 접촉되게 함으로써 철도 차량에 고압의 전력을 공급하여 철도 차량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차선로는 조가선 및 전차선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조가선은 전주 또는 터널 등에 고정되는 지지대에 결합되어 전차선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전차선은 조가선에 의해 선로의 상측에 지지되며, 집전장치와 직접 접촉되어 철도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차선로 터널의 내벽에는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해 터널 브래키트가 설치되는데, 도 1은 터널 브래키트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브래키트(10)는, 터널 벽(1)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2) 및 지지관(3)에 일직선의 봉 형상을 갖는 터널 브래키트(10)가 설치되고, 상기 터널 브래키트(10)의 연결관(5) 끝단의 좌우측으로는 연결금구(5) 또는 고정금구(6)가 설치된다. 즉, 일측에 지지관(3)과 터널 브래키트(10)의 연결관(5)은 연결금구(5)를 통해 결합되고, 타측에 터널 브래키트(10)의 연결관(5)은 전차선 고정금구(6)를 통해 결합되고, 연결관(5)의 일측에 암애자(7)가 결합된다.
특히, 터널 브래키트(10)는 애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 및 기계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전철구간 터널에서 설치되는 애자(7)의 수량은 옥외 애자 수량과 비교할 경우 전체 비중에서 약 10%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애자와 관련된 장애는 대부분 터널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애가 발생하는 터널은 노출 개소와는 별개로 점검 환경이 원활하지 않고, 특히, 터널 브래키트(10)의 장애원인은 터널 내에 쌓이는 오염물질이 애자에 부착되어 표면누설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운행되는 열차의 종류와 터널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나, 철, 규소, 알루미늄, 칼슘 등으로 분석되고 있고,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머제 터널브래키트의 애자 부분은 실리콘 고무가 주로 적용되고 있어, 실리콘 고무의 경우는 쉽게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터널 내의 애자류 세척 주기는 1년에 한번 정도로 고압분사기를 이용하여 세척하지만, 완전히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워 부착되었던 오염물질로 인해 전기적인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연결 금구(4)는 지지관(3)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힌지부와 볼트 결합되는 연결고리 형태 등으로 구성되는데, 장시간 사용시에는 이러한 볼트 결합의 풀림 현상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 탈락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2013년 성곡 2터널 사례와 같이, 연결되는 터널 브래키트가 탈락되어 애자 부분과 전차선 연결관(5)이 분리되어 각각 선로 떨어지거나 전차선에는 클립만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10-2016-0092200(2016.08.0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널브래키트의 표면에 쌓인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애자 몸체에 O링 삽입홈을 만들어 제조시 O링을 삽입한 후 금구에 삽입 및 압착하여 애자와 같은 절연물의 계면부의 기밀 및 수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터널 브래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널 벽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관과, 전차선 또는 조가선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잡아주는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상기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지지관과 연결관을 연결하는 연결금구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암애자와, 상기 제2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애자를 포함하는 터널 브래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 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를 커버하는 제1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제1 홈에 상기 암애자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홈에 제1 오링이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관과 연결 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커버하는 제2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부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제3 홈에 상기 지지애자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4 홈에 제2 오링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외부 하우징은 테프론 재질이고, 상기 제1 로드 또는 제2 로드는 FRP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널 브래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공의 테프론 봉을 형성하고 형성된 테프론 봉의 중공부에 FRP 봉을 삽입하는 제1 단계와, 측단면으로 상기 테프론 봉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테프론 봉의 일측면에 단면이 원형인 다수개의 제2 홈을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의 표면 처리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홈에 애자 갓을 부착하고, 상기 제2 홈에 오링을 삽입하는 제4 단계와, 금구류와 조립 및 압착을 수행하고 결합부의 계면에 실링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는, 연결관과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지지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터널브래키트 제조방법을 통해, 수분침입에 의한 제품 고장을 방지하여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폴리머제 제품(사출)에 비해 테프론제 제품은 표면의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지지애자를 추가하여 절연거리를 늘려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터널 브래키트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터널 브래키트 탈락을 예시한 사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100)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터널 브래키트(100)의 제조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100)는, 터널 벽(미도시)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관(13)과, 전차선 또는 조가선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잡아주는 전차선로 고정금구(미도시)와, 상기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결합되는 연결관(15)과, 상기 지지관(13)과 연결관(15)을 연결하는 연결금구(1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금구(14)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역 "ㄱ"자 형태의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즉, 본 발명에서는 연결 금구(14)에 별도의 연결 힌지부와 볼트 결합되는 연결고리 형태를 구비하지 않으며, 하나의 터널 브래키트로 전차선과 조가선을 모두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일체형 연결금구(14)에 따라, 상기 연결관(15)과 상기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16)와, 상기 지지관(13)과 상기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2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15)과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16) 상에는 암애자(17)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관(13)과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26) 상에는 지지애자(27)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연결금구(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연결힌지부 또는 볼트 결합이 필요치 않으므로 이러한 볼트 결합의 풀림 현상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관(13) 및 연결관(15)이 연결금구(14)를 통해 연결되고, 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16, 26)에 암애자(17) 및 지지애자(27)를 형성하여, 터널 브래키트(100)를 전기적으로 절연 및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기존의 암애자(17) 하나를 구비한 경우보다 지지애자(27)을 더 추가 구성할 경우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의 터널 브래키트(100)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터널 브래키트(100)의 제조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브래키트(100)에서 일체형 연결금구(14)에 따라, 상기 연결관(15)과 상기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16)와, 상기 지지관(13)과 상기 연결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26)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결합부(16)는 연결관(15)과 연결 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를 커버하는 제1 외부 하우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6)는 지지관(13)과 연결 금구(14)를 결합시키는 제2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커버하는 제2 외부 하우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결합부(16, 26)는 동일한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금구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달리할 뿐이므로,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결합부(16)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제2 결합부(26)의 구성에 대해 보충한다.
먼저, 테프론 봉(112)을 제작한다(S110). 이때, 중공의 테프론 봉(112)을 형성하고 형성된 테프론 봉(112)의 중공부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봉(111)을 삽입한다. 즉, 제1 결합부(16)는 제1 외부 하우징으로서 중공의 테프론 봉(112)과 제1 로드로서 FRP 봉(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6)도 동일한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금구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달리할 뿐이므로, 제2 외부 하우징으로서 중공의 테프론 봉과 제2 로드로서 FRP 봉으로 구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프론 봉(112)의 직경이 FRP 봉(11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테프론 봉(112)은 중공부를 가지며, 테프론 봉(112)의 중공부에 FRP 봉(111)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통해, FRP 봉(111)의 외주면을 테프론 봉(112)이 감싸서 커버하게 되므로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프론 재질은 비점착성, 저마찰계수로 인해 세척시 쉽게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 테프론 봉(112)에 제1 홈(113) 및 제2 홈(114)을 가공한다(S120). 즉, 도 5b를 참조하면, 측단면으로 상기 테프론 봉(1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홈(113)을 형성한다.
이때, 테프론 봉(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제1 홈(113) 상에 암애자(17)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갓이 해당되는 각각의 제1 홈(113)과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제1 홈(113)은 갓 부착용 홈 형태의 역할을 수행한다(도 6a 참조). 또한, 테프론 봉(112)의 일측면에 단면이 원형인 다수개의 제2 홈(114)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제2 홈(114)에 오링(18)이 삽입되어 밀착력을 강화시키므로, 제2 홈(114)은 오링(18) 삽입을 위한 홈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6a 참조).
이어, 제1 홈(113) 및 제2 홈(114)의 표면 처리 및 접착제를 도포한다(S130).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13)의 표면 처리는 식각액을 통한 에칭 및 프라이머 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어 표면처리 된 제1 홈(113)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때, 갓 부착용 제1 홈(113)은 테프론 봉(11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프론 재질이며, 암애자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갓은 실리콘 고무 재질이므로, 테프론 재질의 에칭을 위한 적합한 식각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라이머 처리도 필수적이다. 이후,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테프론과 실리콘 고무가 잘 접착되게 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어, 제1 홈(113)에 애자 갓을 부착하고, 제2 홈(114)에 오링을 삽입한다(S140). 즉, 도 5b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갓 부착용 홈(113)에 애자 갓(17)을 부착하고 상기 오링 삽입용 홈(114)에 오링(18)을 삽입한다. 이때, 제1 및 제2 결합부(16, 26)는 좌우측면이 모두 결합면이므로 제2 홈(114)은 좌측 및 우측면 모두 형성되고 오링이 양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홈(113)에 암애자 갓(17)과 지지애자 갓(27)을 삽입한다.
이어, 금구류와 조립 및 압착을 수행하고 결합부의 계면에 실링처리를 수행다(S150). 이는 오링을 삽입한 후에 금구 압착하고 계면 실링을 수행하여 애자 계면부의 기밀 및 수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6)는 오링(18)이 삽입된 FRP 봉(111)이 일측은 연결관(15)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고, 타측은 우측 연결금구(14)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된다. 즉, FRP 봉(111)의 우측 단부는 연결관(15)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 맞춰져 압착 결합되고, FRP 봉(111)의 좌측 단부는 우측 연결금구(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 맞춰져 압착 결합된다.
또한, 제2 결합부(26)도 오링이 삽입된 FRP 봉의 좌측 단부는 지지관(13)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 맞춰져 압착 결합되고, FRP 봉의 우측 단부는 좌측 연결금구(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 맞춰져 압착 결합된다.
또한, 제1 결합부(16) 및 제2 결합부(26)가 오링이 삽입된 후 좌우측의 연결금구(14) 또는 지지관(13) 및 연결관(15)과 압착 결합되고 나서, 이후 압착 결합되는 접합 계면에 실란트를 처리한다. 이러한 실링을 통해 접합 계면에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부(26)의 좌/우측단부에 마개 금구(미도시)를 형성하여, 그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일체형 연결금구(14)는 좌측 단부는 제2 결합부(26)와 오링 조립 후 압착 결합되고, 우측 단부는 제1 결합부(16)와 오링 조립 후 압착 결합된다. 이에 일체형 연결금구(14)의 좌측 단부는 제2 결합부(26)의 FRP 봉이 삽입되는 제1 연결금구 중공부가 형성되고, 연결금구(14)의 우측 단부는 제1 결합부(16)의 FRP 봉이 삽입되는 제2 연결금구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금구 중공부와 제2 연결금구 중공부는 상호 연결되지 않으므로, 각 연결금구 중공부는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FRP 봉과 결합되는 일면은 개방되고 결합되지 않는 타면은 폐쇄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체형 연결금구(15)에서 제1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과 제2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이 상호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2 연결금구 중공부와 연결되는 지지관(13)과 제1 연결금구 중공부와 연결되는 연결관(15)의 기능이 상호 다르기 때문이다. 즉, 일체형 연결금구의 제2 연결금구 중공부는 터널 벽의 지지프레임 및 지지관(13)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고, 일체형 연결금구의 제1 연결금구 중공부는 전차선과 조가선이 연결되는 연결관(15)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라, 제2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이 제1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보다 2배 이상 설정하여 터널 브래키트 자체의 처짐도 줄이고 전차선로의 자중에 의한 굴곡하중을 견딜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FRP 봉(111)과 상기 연결관(15)은 전차선과 조가선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지지하므로, 전차선로(전차선 및 조가선)의 하중이 인가될 경우 견딜수 있는 좌굴강도를 해석하여 이에 적합하게 연결관(15)의 직경 및 길이를 설정하며, 연결관(15)의 직경은 지지관(13)의 직경보다는 1/2 이하 범위에서 설정되고, 길이는 지지관(12)의 길이보다 1.5배 이상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15)은 경량이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되는 애자 갓(17, 27)은 같은 크기로 복수 개 형성하며, 가능한 애자 갓의 크기는 줄이는 대신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고, 절연 형성을 위해 적정한 수로 배치한다.
이처럼, 애자 갓 부분 이외의 제1 및 제2 결합부의 몸체(봉 부분)의 외피제로 내열성, 내약품성, 비점착성, 저마찰계수, 난연성 등이 우수한 테프론(불소수지)을 적용할 경우, 표면이 미끈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적게 부착되고 부착되더라도 세척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애자 갓이 부착되는 부위(홈부분)의 테프론을 표면처리(에칭, 프라이머 처리 등)하여 테프론과 고무류의 애자를 고성능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어, 테프론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테프론 표면에 고무류 등의 애자 갓이 쉽게 부착되지 못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의 오염물질 등이 브래키트 애자 부분에 누적되었을 때, 테프론제 특유의 비점착성, 저마찰계수 등으로 인해 세척시 쉽게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키트 지지관과 연결금구사이에 지지애자가 추가되어 폴리머제 터널 브래키트에 비해 절연거리가 더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적 성능이 훨씬 우수한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 13: 지지관
4, 14: 연결금구
5, 15: 연결관
16: 제1 결합부
17: 암애자
18: 오링
26: 제2 결합부
27: 지지애자
111: FRP 로드
112: 테프론 봉
113: 제1 홈(갓 삽입용 홈)
114: 제2 홈(오링 삽입용 홈)

Claims (7)

  1. 터널 벽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지지관과; 전차선 및 조가선을 상하 또는 좌우에서 잡아주는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상기 전차선로 고정금구와 결합되는 연결관과; 상기 지지관과 연결관을 연결하는 연결금구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과 상기 연결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암애자와; 상기 제2 결합부 상에 형성되는 지지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 금구를 결합시키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를 커버하는 테프론 재질의 제1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제1 홈에 상기 암애자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홈에 제1 오링이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지지관과 연결 금구를 결합시키는 제2 로드와, 상기 제2 로드를 커버하는 테프론 재질의 제2 외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부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제3 홈에 상기 지지애자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4 홈에 제2 오링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과 결합되고,
    상기 연결금구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로드가 삽입되는 제1 연결금구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금구 중공부에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제2 오링과 조립후 압착 결합되고,
    상기 연결금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로드가 삽입되는 제2 연결금구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금구 중공부에 상기 제1 로드가 상기 제1 오링과 조립후 압착 결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금구 중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제1 로드 및 제2 로드와 결합되는 일면은 개방되고 결합되지 않는 타면은 폐쇄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브래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또는 제2 로드는 FRP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브래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이 상기 제1 연결금구 중공부의 직경보다 2배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브래키트.
  4. 제1항의 터널 브래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외부 하우징으로서 중공의 테프론 봉을 형성하고 형성된 테프론 봉의 중공부에 상기 제1 또는 제2 로드로서 FRP 봉을 삽입하는 제1 단계와,
    측단면으로 상기 테프론 봉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적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제1 홈 및 제3 홈을 형성하고, 상기 테프론 봉의 일측면에 단면이 원형인 다수개의 제2 홈 및 제4 홈을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홈 및 제2 홈과 제3 홈 및 제 4홈에 표면 처리 및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홈 및 제3 홈에 애자 갓을 부착하고, 상기 제2 홈 및 제4 홈에 각각 제1 오링 및 제2 오링을 삽입하는 제4 단계와,
    금구류와 조립 및 압착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부의 계면에 실링처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터널 브래키트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37883A 2019-04-01 2019-04-01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KR10204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83A KR102047376B1 (ko) 2019-04-01 2019-04-01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83A KR102047376B1 (ko) 2019-04-01 2019-04-01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376B1 true KR102047376B1 (ko) 2019-11-21

Family

ID=6869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83A KR102047376B1 (ko) 2019-04-01 2019-04-01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856A (ja) * 1994-09-30 1996-08-20 Sediver Soc Europ Isolateurs En Verre & Composite 光ファイバを具備した電気絶縁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060073733A (ko) * 2004-12-24 2006-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엇가고 듀얼브래킷 터널가선시스템
KR100615814B1 (ko) * 2005-03-25 2006-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분자 애자 제조방법
KR101242433B1 (ko) * 2011-09-22 2013-03-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기기용 부싱
KR20160092200A (ko) 2015-01-27 2016-08-04 한국철도공사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KR20170109284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평일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1798938B1 (ko) * 2017-03-27 2017-11-17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전기철도 터널용 이동식 고드름 파쇄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856A (ja) * 1994-09-30 1996-08-20 Sediver Soc Europ Isolateurs En Verre & Composite 光ファイバを具備した電気絶縁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060073733A (ko) * 2004-12-24 2006-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엇가고 듀얼브래킷 터널가선시스템
KR100615814B1 (ko) * 2005-03-25 2006-08-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분자 애자 제조방법
KR101242433B1 (ko) * 2011-09-22 2013-03-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기기용 부싱
KR20160092200A (ko) 2015-01-27 2016-08-04 한국철도공사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KR20170109284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평일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101798938B1 (ko) * 2017-03-27 2017-11-17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전기철도 터널용 이동식 고드름 파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1783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ая опора дл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конструкция ее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траверсы
RU2563475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линий пита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105932599A (zh) 带电更换特高压输电线路绝缘子串成套工具及其使用方法
KR102047376B1 (ko) 터널 브래키트 및 제조 방법
US10899249B2 (en) Strut insulators
CN108131081B (zh) 一种绝缘站台门总成构件
CN205622178U (zh) 用于输电线路钢管杆的电缆固定装置
CN215680263U (zh) 一种电气自动化工程用使用寿命长的绝缘子
KR20100011639U (ko) 곡선당김금구
JP2532889B2 (ja) 成形絶縁被覆で覆われる複合碍子
KR20190042171A (ko) 가공송전선용 중심인장선, 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 가공송선전을 포함하는 가공송전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A3019542A1 (en) Strut insulators
CN111969517A (zh) 一种特强高压异形电力电缆保护管及其制备方法
KR20060073733A (ko) 엇가고 듀얼브래킷 터널가선시스템
CN212667177U (zh) 一种铁路电气化接触网用的压接管
CN216973784U (zh) 一种钢结构建筑用的变形缝装置
CN216598198U (zh) 一种带有密封结构的柔性电缆连接装置
KR20230150667A (ko) 강체 전차선로 지지브래킷 구조
CN216904236U (zh) 一种梅花管接头
CN216929474U (zh) 一种抗压性能好的电力管
CN221080856U (en) High-temperature-resistant cable protection tube
CN218585821U (zh) 令克棒玻纤杆
KR200201341Y1 (ko) 고분자 애자 결합구조
KR20230150674A (ko) 강체 전차선로 R-bar용 현수타입 지지브래킷 구조
KR102618337B1 (ko) 원터치 배선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