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387Y1 - 휴대폰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387Y1
KR200278387Y1 KR2020020005672U KR20020005672U KR200278387Y1 KR 200278387 Y1 KR200278387 Y1 KR 200278387Y1 KR 2020020005672 U KR2020020005672 U KR 2020020005672U KR 20020005672 U KR20020005672 U KR 20020005672U KR 200278387 Y1 KR200278387 Y1 KR 200278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phone
leaf spring
housing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근
Original Assignee
(주)뉴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로시스 filed Critical (주)뉴로시스
Priority to KR2020020005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38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분리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착탈될 수 있는 휴대폰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폰 커넥터는 하우징,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여 하우징에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부, 커넥터 단자부의 양 측면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 및 탄성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 커넥터의 삽입 및 이탈 양 방향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로크 돌기를 포함한다. 로크 돌기가 삽입 및 이탈 양 방향에 대해서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적절함 힘에 의해서 커넥터가 삽입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커넥터는 간단하게 휴대폰에 착탈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커넥터{CONNECTOR FOR A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휴대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로크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적절한 힘을 가해 인터페이스부에 착탈될 수 있는 휴대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 점차 널리 보급됨으로써 휴대폰과 관련된 응용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의 기능을 부가하거나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충전기능을 포함한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컴퓨터와 휴대폰을 연결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장치 및 휴대용 휴대폰 전원공급장치 등이 휴대폰과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10) 및 커넥터(20)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휴대폰(10)과 커넥터(2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20)는 휴대폰(10)의 인터페이스부(15)에 삽입됨으로써 휴대폰(10)과 연결된다. 커넥터(20)는 하우징, 커넥터 단자부(35), 커넥터 단자부(35)의 양측에 장착된 판 스프링(30), 바깥을 향하여 판 스프링(30)에 형성된 걸림 돌기(25) 및 판 스프링(30)과 연결되는 분리 버튼(40)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 돌기(25)에는 커넥터(2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20)를 인터페이스부(1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양측의 걸림 돌기(25)는 안쪽으로 밀리게 되어 커넥터(2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지만, 일단 걸림 돌기(25)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부(15)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 돌기(25)가 걸리면서 커넥터(20)가 휴대폰(10)에 고정된다.
고정된 커넥터(20)는 걸림 돌기(25)에 의해서 휴대폰(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양측의 분리 버튼(40)이 눌러져야 커넥터(20)가 걸림 돌기(25)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하지만, 걸림 돌기(25)에는 한 진행방향에 대해서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20)는 분리 버튼(40) 또는 그에 상응하는 별도의 해제부품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 버튼(40)이 꼭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는 소형화되기 어려우며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게다가, 특히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와 같이 콤팩트한 설계가 요구되는 경우라면, 분리 버튼을 포함하는 것은 커넥터를 설계함에 있어서 많은 제한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를 휴대폰에 삽입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휴대폰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휴대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삽입 또는 이탈에 필요한 적절한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착탈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휴대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및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휴대폰과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판 스프링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판 스프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커넥터를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 및 요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판 스프링 및 요철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커넥터 120, 220, 320 : 하우징
140, 240, 340 : 커넥터 단자부 150, 250, 350 : 판 스프링
160, 260, 360 : 로크 돌기 270,370 : 요철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결합되어 휴대폰과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휴대폰 커넥터는 커넥터의 하우징, 하우징에 장착되어 인터페이스부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부, 커넥터 단자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 및 탄성 부재에 형성되며 커넥터의 삽입/이탈 양 방향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로크 돌기를 포함한다.
커넥터 단자부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결합되면서 인터페이스부의 내벽에 밀려 양측의 로크 돌기가 각각 커넥터 단자부의 측벽에 근접하게 되고, 로크 돌기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 내벽에 형성된 걸림홈에 로크 돌기가 걸림으로써 커넥터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고정된다. 반대로 커넥터를 이탈하려는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진다면, 로크 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커넥터는 인터페이스부에서 이탈된다. 탄성 부재는 로크 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로크 돌기가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단자부의 양측에 고정된 판 스프링 또는 단자부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이 탄성 부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로크 돌기에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면 본 고안의 탄성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을 탄성 부재로 사용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 스프링의 일 단부는 커넥터 단자부의 양측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로크 돌기는 판 스프링의 타 단부에서 바깥을 향하며 형성된다. 판 스프링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움직이는 외팔보로서 상기 타측에 형성된 로크 돌기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로크 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력에 의해 로크 돌기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고정되어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커넥터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커넥터에서의 판 스프링은 걸림 돌기가 인터페이스부의 걸림홈으로부터 단순히 이탈되지 않게 하는 기능만 갖지만, 본 고안의 커넥터에서의 판 스프링은 적정한 힘을 경계로 커넥터의 착탈을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판 스프링의 목적 및 효과를 비교할 때, 종래 및 본 고안의 판 스프링은 현저하게 구별된다.
판 스프링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로크 돌기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 스프링의 일측에 커넥터 단자부의 측벽을 지지할 수 있는 라운드형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은 커넥터 단자부의 측벽에 지지되면서 로크 돌기의회전 중심이 되며, 로크 돌기의 걸림홈에 대한 마찰력을 보강 및 조절할 수 있다. 즉, 요철과 로크 돌기의 간격이 짧아질수록 더 강한 힘으로 커넥터와 휴대폰을 고정시키게 되며, 요철과 로크 돌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커넥터와 휴대폰 사이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커넥터(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커넥터의 하우징(120), 하우징(120)에 장착되는 커넥터 단자부(140), 커넥터 단자부(140)의 양측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150) 및 판 스프링(150)에서 바깥을 향하여 형성되는 로크 돌기(160)를 포함한다.
판 스프링(150)은 탄성 부재로서 로크 돌기(160)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로크 돌기(160)는 거의 반원형으로 판 스프링(150)에 형성된다. 로크 돌기(160)는 커넥터(100)가 삽입 및 이탈되는 양 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로크 돌기(160)가 판 스프링(150)과 함께 회전하여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된다.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는 한 방향의 경사면만 갖는 걸림 돌기 및 커넥터를 이탈시키기 위한 분리 버튼을 구비하며, 커넥터의 삽입과는 달리 분리 버튼을 눌러야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 버튼의 사용은 커넥터 내부 구조를 복잡하게 하며, 별도의 버튼을 위한 공간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점에서 설계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종래의 커넥터와 비교한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로크 돌기(160)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커넥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하우징(220), 커넥터 단자부(240), 판 스프링(250), 로크 돌기(260) 및 요철(270)을 포함한다. 요철을 제외한 하우징, 단자부, 판 스프링 및 로크 돌기(220,240,250,260)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120,140,150,160)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 단자부(240)의 양 측벽에는 판 스프링(250) 및 요철(270)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돌기(260)의 일부는 그루브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커넥터(200)의 커넥터 단자부(240)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210)에 삽입되고 양측의 로크 돌기(260)가 인터페이스부(210) 내부의 결합홈(215)에 결속됨으로써커넥터(200)가 휴대폰과 연결 및 고정된다.
요철(270)은 단자부(240)의 측벽을 향하여 만곡점을 형성하며, 만곡점이 단자부(240)의 측벽에 지지되어 로크 돌기(26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요철(270)은 요철이 없는 경우 보다 강한 지지력으로 로크 돌기(26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커넥터(200)를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요철(270)을 거의 반원형에 가까운 곡면으로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삼각형 기타 다각형의 형상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300)의 판 스프링(35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판 스프링(350)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판 스프링(3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커넥터(300)를 일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및 본체의 하우징(320), 하우징(3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부(340), 커넥터 단자부(340)에 인접하여 하우징(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건전지 수납부(380), 커넥터 단자부(340)에 양측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350), 판 스프링(350)에 형성되는 로크 돌기(360) 및 요철(370)을 포함한다. 하우징(320)은 커넥터 및 휴대용 충전기의 본체의 하우징으로서 단자부 및 판 스프링(340,350)을 수용하는 동시에 건전지 수납부(380) 및 건전지로부터 단자부(340)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장치를 포함한다.
커넥터(300)는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휴대폰(305)을 충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는 커넥터 단자부(140,240)를 수용하기 위한 독립적인 하우징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320)이 커넥터 단자부(340)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문제점으로 지적된 대로, 하우징(320)에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분리를 위한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은 설계 상 곤란하며 구조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및 이탈을 위한 양 방향 각각에 대해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로크 돌기(360)를 구비하고 요철(370)을 통해 탄성력을 강화함으로써 종래의 커넥터가 갖는 기능을 더 편안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판 스프링(350)에 고정 홈(355)을 형성하고, 하우징(320)에 고정 홈(355)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판 스프링(350)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 및 요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판 스프링 및 요철의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시된 판 스프링(450), 고정 홈(455) 및 요철(470)은 제3 실시예 및 도 7에서 설명된 판 스프링(350), 고정 홈(355) 및 요철(370)과 실질적으로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3 실시예의 로크 돌기(360)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에 의해서 로크 돌기(460)를 형성한다. 요철로 로크 돌기(460)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 내면에 흠집을 형성하지 않으며, 커넥터를 착탈함에 있어 부드럽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커넥터 단자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 요소를 도시한 것이지만, 요철 및 로크 돌기의 방향을 달리하여 타측에 장착되는 구성 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튼을 누르는 등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커넥터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착탈될 수 있다. 간단한 한 방향 운동으로 휴대폰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장치의 연결이 간단해지며, 특히 운전 중 커넥터의 분리 및 삽입이 곤란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그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철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설계할 수 있지 때문에 원하는 조건의 커넥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휴대폰에 장착된 인터페이스부에 결합하여 휴대폰과 외부의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휴대폰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인터페이스부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부;
    상기 커넥터 단자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탄성 수단; 및
    상기 탄성 수단에 형성되며 커넥터의 삽입 및 이탈 양 방향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로크 돌기를 구비하는 휴대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로크 돌기가 형성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돌기는 반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및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돌기는 판 스프링의 일측이 만곡되어 형성된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요철의 만곡점이 상기 커넥터 단자부의 측벽을 향하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일측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홈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고정 홈이 배치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커넥터 단자부의 양측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에 배치된 금속구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외면에 노출되어 로크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넥터.
KR2020020005672U 2002-02-26 2002-02-26 휴대폰 커넥터 KR200278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2U KR200278387Y1 (ko) 2002-02-26 2002-02-26 휴대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2U KR200278387Y1 (ko) 2002-02-26 2002-02-26 휴대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387Y1 true KR200278387Y1 (ko) 2002-06-21

Family

ID=7311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72U KR200278387Y1 (ko) 2002-02-26 2002-02-26 휴대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3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14Y1 (ko) 2011-11-15 2016-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멀티 체결형 터미널
CN110091739A (zh) * 2019-02-20 2019-08-06 河南速达电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连接件及具有其的充电口总成、电动汽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14Y1 (ko) 2011-11-15 2016-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멀티 체결형 터미널
CN110091739A (zh) * 2019-02-20 2019-08-06 河南速达电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连接件及具有其的充电口总成、电动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6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glasses
US6944294B2 (en) Mobile phone hand-free holder
US20080169393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JP3612632B2 (ja) 携帯電話機用車載アダプタ
JP4499014B2 (ja) バッテリー接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KR1017564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20030022633A1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KR200278387Y1 (ko) 휴대폰 커넥터
US5954531A (en)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US6767256B1 (en) Cigarette lighted adaptor with mechanical stepper joint
US7012403B2 (en) Charger with replaceable signal line for a car
KR20060005591A (ko)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JP2007143256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及び電子機器用充電器
KR100960959B1 (ko) 스프링 커넥터 핀
JP4212525B2 (ja) 充電装置
JPH10294157A (ja) 携帯電話の中継コネクタ構造
JP4133900B2 (ja)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JP3514662B2 (ja) バッテリパックの着脱構造
JP2006157982A (ja) アダプタ
JP2006217738A (ja) 充電装置
JP3978399B2 (ja) 携帯電話機用アダプタ
JP3100201U (ja) バックカートリッジ連結構造体
KR200171711Y1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