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30Y1 - 욕조 - Google Patents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30Y1
KR200274330Y1 KR2020020004231U KR20020004231U KR200274330Y1 KR 200274330 Y1 KR200274330 Y1 KR 200274330Y1 KR 2020020004231 U KR2020020004231 U KR 2020020004231U KR 20020004231 U KR20020004231 U KR 20020004231U KR 200274330 Y1 KR200274330 Y1 KR 200274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water
tub
bathtub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근
Original Assignee
김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근 filed Critical 김승근
Priority to KR2020020004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3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욕조의 측부에 와류발생수단을 구비하여 목욕시 목욕물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피로를 쉽게 풀 수 있음은 물론 여과수단 및 가열수단을 부가하여 목욕중 목욕물의 이물질 제거 및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욕조는, 내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욕조(10)에 있어서, 욕조(10)의 측면 하측에는 다수의 배수구멍(11)을 형성하고 이 배수구멍(11)의 외측에는 보조공간부(12)를 일체로 성형하여 와류발생수단(20)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조{Bathtub}
본 고안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의 측부에 와류발생수단을 구비하여 목욕시 목욕물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피로를 쉽게 풀 수 있음은 물론 여과수단 및 가열수단을 부가하여 목욕중 목욕물의 이물질 제거 및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신체 피부의 때를 불려 밀거나 몸을 담가 피로를 풀기 위한 목욕 수단으로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 있는 고형의 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욕조는 현재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 설치되어 있고, 목욕시 피로를 풀기 위해 수도를 통하여 온수를 욕조내로 공급한 다음 목욕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온수만의 목욕으로는 현대인들의 피로를 쉽게 풀어주기가 힘들고 또 목욕중 신체로부터 일어나는 이물질 등이 그대로 목욕물에 침투하기 때문에 약간의 불쾌감이 발생할 뿐 아니라 목욕중 시간이 경과하면 물이 식기때문에 또 다시 수도로부터 온수를 제공받아야 한다.
따라서, 일반 가정에서도 목욕시 피로를 용이하게 회복시켜 줄 수 있고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목욕을 상쾌하게 할 수 있는 목욕 수단, 욕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욕조내의 물에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서 목욕시 신체의 피로를 더욱 빨리 회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목욕중에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목욕물을 정화시킴으로써 더욱 상쾌한 목욕을 할 수 있으며 또 물이 식더라도 별도의 온수의 공급없이 상기 여과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욕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조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욕조
20. 와류발생수단
30. 순환파이프
40. 여과수단
50. 가열수단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욕조는, 내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욕조에 있어서, 욕조의 측면 하측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하고 이 배수구멍의 외측에는 보조공간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와류발생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와류발생수단은 배수구멍 외측에 모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욕조 내의 물은 순환파이프를 통하여 순환되도록 하되 이 순환파이프에 여과수단과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신체로부터 배출되어 목욕물에 침투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데워 다시 욕조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체에 누적된 피로를 더욱 빨리,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음은 물론,적당한 물의 온도와 깨끗한 물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아주 상쾌한 목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 10은 내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욕조이다.
욕조(10)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측면 하측에는 다수의 배수구멍(11)이 형성되며, 이 배수구멍(11)의 외측, 즉 욕조(1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보조공간부(12)를 욕조(10)와 일체로 성형한다. 여기서 배수구멍(11)의 일부는 욕조(10)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목욕 후 물이 배출구(13)로 빠져나갈 때 보조공간부(12)의 물도 남김없이 같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공간부(12)의 내부에는 와류발생수단(20)을 구비하며, 와류발생수단(20)은 배수구멍(11) 외측, 즉 보조공간부(12)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스크류(22)를 설치하고 스크류(22)는 보조공간부(12)의 외측부에 위치한 모터(21)에 연결되어 회동되어 진다.
한편, 욕조(10) 내의 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목욕물을 순환파이프(30)를 통하여 순환되도록 하되 이 순환파이프(30)에 여과수단(40)과 가열수단(50)을 설치한다.
상기 순환파이프(30)는 물이 유입되는 일단은 욕조(10)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또 순환된 물이 다시 욕조(10)로 유출되는 타단은 욕조(10)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파이프(30)상에는 욕조(10)내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60)가 설치되며,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수단(40)은 각각 1, 2차로 나누어 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차여과재(41)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 여과시키게 되며 2 차여과재(42)는 1차여과재(41)에서 걸러내지 못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이로 인해 목욕중에도 신체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욕조내로 재순환시키면서 깨끗한 물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수단(40)에 의해 여과된 물은 방향전환밸브(70)를 거치면서 상기 가열수단(50)을 통과하게 되며 가열되어 욕조내로 순환하면서 목욕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와류발생수단(20) 및 펌프(60), 방향전환밸브(70),가열수단(50)은 욕조(10)의 일측에 별도 설치한 컨츄롤러(8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목욕물의 상태에 따라 목욕자의 조작으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되어 진다.
예를 들어, 컨츄롤러(80)를 조작하여 와류발생수단(20)을 작동시키면 모터(21)가 구동하여 스크류(22)를 회동시키게 되고 보조공간부(12)내에 채워진 물이 와류를 일르키면서 배수구멍(11)을 통해 욕조(10)내의 물까지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욕조는, 목욕중 신체에 물의 와류를 가해 안마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피로의 회복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한 후 물의 재사용을 할 수 있으므로 불쾌감이 없이 깨끗한 물에서 아주 상쾌한 목욕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욕중에 식은 물을 가열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물의 공급이 필요없게 되므로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욕조(10)에 있어서, 욕조(10)의 측면 하측에는 다수의 배수구멍(11)을 형성하고 이 배수구멍(11)의 외측에는 보조공간부(12)를 일체로 성형하여 와류발생수단(20)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수단(20)은 배수구멍(11) 외측에 모터(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3. 제 1항에 있어서, 욕조(10) 내의 물은 순환파이프(30)를 통하여 순환되도록 하되 이 순환파이프(30)에 여과수단(40)과 가열수단(5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KR2020020004231U 2002-02-08 2002-02-08 욕조 KR200274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31U KR200274330Y1 (ko) 2002-02-08 2002-02-08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31U KR200274330Y1 (ko) 2002-02-08 2002-02-08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30Y1 true KR200274330Y1 (ko) 2002-05-04

Family

ID=7311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31U KR200274330Y1 (ko) 2002-02-08 2002-02-08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72B1 (ko) * 2002-08-09 2007-07-06 정은수 다기능 욕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72B1 (ko) * 2002-08-09 2007-07-06 정은수 다기능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34258A (ja) 洗濯乾燥機
KR200274330Y1 (ko) 욕조
KR100480993B1 (ko) 하반신 반신욕 욕조
JP6897927B2 (ja) 洗濯機
JP2015136424A (ja) 洗濯機
KR200250683Y1 (ko) 하반신 목욕용 이동식 욕조장치
JPH1057941A (ja) 排水再利用装置
JP2889204B2 (ja) 浴室内水流発生装置
JP2016067631A (ja) エアマットレスの洗浄装置
KR200489826Y1 (ko) 월풀욕조 자동세척장치
KR200438994Y1 (ko) 대중 목욕탕용 이용수 여과 장치
KR0140664B1 (ko)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JPH04300551A (ja) 濾過器付ジェットバスポンプ
JPH07185574A (ja) 浴湯の循環調整装置
KR200303682Y1 (ko) 욕탕물 여과장치
KR200208470Y1 (ko) 욕탕용 여과장치
KR20080112869A (ko) 수처리장치가 구비된 욕탕
KR100402731B1 (ko) 건강욕조
KR20140100265A (ko) 반신욕과 전신욕을 할 수 있는 습식 사우나 욕조
JPH07178388A (ja) 浴槽用温水浄化装置
KR200308891Y1 (ko) 오수재활용장치
JPH05169074A (ja) 浴槽水、浴槽及び浴室を浄化する装置
KR100249480B1 (ko) 수중안마장치로의 용수공급기능을 갖는 대중탕용 오수여과장치
KR200411175Y1 (ko) 인버터 펌프를 이용한 수영장내 온탕 물공급장치
JPH10338960A (ja) 温水洗浄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