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682Y1 - 욕탕물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욕탕물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682Y1
KR200303682Y1 KR20-1999-0009348U KR19990009348U KR200303682Y1 KR 200303682 Y1 KR200303682 Y1 KR 200303682Y1 KR 19990009348 U KR19990009348 U KR 19990009348U KR 200303682 Y1 KR200303682 Y1 KR 20030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ayer
supply pipe
waste water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513U (ko
Inventor
원종암
Original Assignee
원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암 filed Critical 원종암
Priority to KR20-1999-0009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6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5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01D2024/125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spray head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이 밀폐되게 결합되는 몸통의 내부에 자갈층, 모래층, 활성탄층을 차례로 적충시키고 활성탄층의 상부에서 오, 폐수를 공급하여 멸균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몸통의 내부에 스팁을 공급하고 순환시키도록 하는 스팀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스팀순환코일(34)에 스팀을 순환시켜주므로 열기가 모래층(21)활성탄층(20)자갈층(22)으로 전열되어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기에 의해 이끼, 곰팡이, 세균이 발생하거나 반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통과하는 오폐수의 멸균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스팀분사 노즐(37-1)에서 분출되는 스팀에 의해서는 모래층(21)이 부풀려져 공간이 확보되어지므로 오폐수가 보다 신속히 통과되어 정수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스팀의 열기에 의해 멸균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스팀은 욕탕을 운용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운용비용을 추가시키지 않으면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욕탕물 여과장치{a filter for a bath}
본 고안은 주로 목욕탕에서 오, 폐수를 여과시키는데 사용되는 여과장치를 개선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뚜껑이 밀폐되게 결합되는 몸통의 내부에 자갈층, 모래층, 활성탄층을 차례로 적충시키고 활성탄층의 상부에서 오, 폐수를 공급하여 멸균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몸통의 내부에 스팁을 공급하고 순환시키도록 하는 스팀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로 공중목욕탕 또는 사우나시설과 같이 여러사람에 의해 많은 물(온수, 냉수)로 소비하는 곳에 설치하여 오염된 오폐수를 멸균, 정화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욕탕물용 여과장치를 개선하여서 된 것이다.
종래에도 공중목욕탕 또는 사우나 시설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오, 폐수를 멸균정화시켜줄 수 있도록 된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여과장치(1)를 들수 있다.
종래의 여과장치(1)는 각종여과물질이 내장되는 몸통(2)과 몸통(2)의 상단을 덮어주는 뚜껑(10)으로 되어있는데,
몸통(2)의 플랜지부(3)와 뚜껑(10)의 플랜지부(11)의 당접면 사이에 밀폐링(9)을 끼워서 밀폐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몸통(2)의 외주상측에는체결핸들(15)이 나사결합되는 볼트봉(14)이 힌지부(13)에 의해 굴대설치되어있고 뚜껑(10)의 플랜지부(11)에는 체결편(12)을 일체로 외향형성하여 볼트봉(14)에 체결핸들(15)을 나사결합시켜줌으로서 뚜껑(10)을 몸통(2)에 고정시켜주도록 되어있다.
상기 몸통(2)은 그의 내부하측에 배출공(4-1)이 뚫어진 받침판(4)이 고정되어 있는데 각 배출공(4-1)의 상측으로는 스트레이너(5)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 중앙에는 정화수배출관(7)이 연통되게 설치되어있으며, 받침판(4)의 상측으로는 자갈층(22)과 모래층(21) 및 활성탄층(20)이 적층되어 있고 몸통(2)의 측면을 통하여 내부로 설치되는 오폐수공급관(8)은 그 선단이 활성탄층(20)이 상측으로 노출되어진 상태에서 분사노즐(8-1)이 장착되어있다.
오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폐수는 분사노즐(8-1)을 통하여 활성탄층(20)의 위로 분사되어지고, 활성탄층(20)의 위로 분사되어진 오폐수는 활성탄층(20)을 통과하면서 일부의균과 이물질이 멸균되고 일차적으로 정화되어진 후 모래층(21)과 자갈층(22)을 차례로 통과하여 정화되어지며, 정화수는 스트레이너(5)로 유입되어 배출공(4-1)을 통해 집수부(6)에 집수되고 정화수배출관(7)을 통해 배출되어서 소정의 장소로 이동되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여과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분사노즐(8-1)을 통하여 분사되는 오폐수는 활성탄층(20)과 모래층(21) 및 자갈층(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지는데, 이들이 항상 젖어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기간이 경과할수록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모래층(21)은 통과하는 오폐수에 의해 점진적으로 아래쪽으로 다져지면서 오폐수의 통과율이 떨어지게 되며,
모래층(21)과 자갈층(22)은 공간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결국 정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여타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여과장치에 스팀이 몸통의 내부에서 순환되어지도록 하는것과 스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분사시켜 주도록 하는 스팀장치를 부가결합하여서 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순환되는 스팀의 열기에 의해 내부를 항상건조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세균을 멸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멸균 및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적층되는 활성탄층과 모래층 및 자갈층을 건조상태로 유지시켜주고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모래층이 아래쪽으로 다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간율을 높여줌으로서 정화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들 활성탄과 모래층 및 자갈층을 보다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작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고 설치비용도 상승되지 않으며, 욕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재활용함으로서 증기의 이용율을 높이면서 운용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지 않도록 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상단에 플랜지부(3)가 형성된 몸통(2)의 외주상측에 체결핸들(15)이 나사결합된 볼트봉(14)을 힌지부(13)로 굴대설치하고 뚜껑(10)의 플랜지부(10)에는 체결편(12)을 일체로 회향형성하여 몸통(2)의 플랜지부(3)와 뚜껑(10)의 플랜지부(10)의 사이에 밀폐링(9)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볼트봉(14)을 체결편(12)에 끼우고 체결편(12)의 상측에서 체결핸들(15)을 나사결합시키도록 하며,
상기 몸통(2)의 저면 중앙에 정화수배출관(7)을 구비하고 내부하측에는 배출공(4-1)이 뚫어진 받침판(4)을 고정시키되 배출공(4-1)의 위에는 스트레이너(5)를 구비하며, 받침판(4)의 위에는 자갈층(22), 모래층(21), 활성탄층(20)을 차례로 적층시키되 몸통(2)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공급관(8)의 상단이 활성탄층(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오폐수공급관(8)의 상단에 분사노즐(8-1)을 장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몸통(2)의 내부의 중간부에 하측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순환시키고 배출시켜주는 스팀순환코일수단(34)과 스팀을 분사시켜주는 스팀순환수단(34)으로 구성되는 스팀장치(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되어있으므로, 오폐수공급관(8)의 분사노즐(8-1)을 통해 오폐수를 분사공급시켜주면 오폐수가 활성탄층(20)과 모래층(21)및자갈층(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멸균정화되어지고 스트레이너(5)와 배출공(4-1)을 통해 집수부(6)에 집수되어 정화수배출관(7)을 통해 배출되어지며,
스팀순환코일수단(34)에는 스팀이 공급순환되면서 활성탄층(20)모래층(21)자갈층(22)을 건조상태로 유지시켜주고, 스팀분사수단(37)에 의해서는 스팀이 분사되면서 모래층(21)을 상측으로 불어올려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여과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탕물 여과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여과장치 2 : 몸통
3 : 플랜지부 4 : 받침판
5 : 스트레이너 6 : 집수부
7 : 정화수, 배출관 8 : 오폐수공급관
9 : 밀폐링 10 : 뚜껑
11 : 플랜지부 12 : 체결편
13 : 힌지부 14: 볼트봉
15 : 체결핸들 20 : 활성탄층
21 : 모래층 22 : 자갈층
30 : 스팀장치 31 : 스팀주공급관
32 : 분기엘보 33, 36 : 스팀가지공급관
34 : 스팀순환코일부 35 : 회수배출관
37 : 스팀분사노즐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장치(1-1)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단 외주에 플랜지부(3)가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정화수배출관(7)이 구비된 몸통(2)에서 외주의 상측부에 체결핸들(15)이 나사 결합되는 볼트봉(14)을 힌지부(13)로 굴대설치하고,
뚜껑(10)의 플랜지부(11)에는 체결편(12)을 외향으로 형성하여 볼트봉(14)을 체결편(1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편(1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볼트봉(14)에 체결핸들(15)을 나사결합시켜주도록 하되 몸통(2)의 플랜지부(3)와 뚜껑(10)의 플랜지부(11)의 대향면 사이에 밀폐링(9)을 개입시켜서 뚜껑(10)과 몸통(2)을 밀폐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몸통(2)의 내부 하측에는 배출공(4-1)이 뚫어진 받침판(4)을 구비하되 받침판(4)을 몸통(2)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받침수단에 의해 받쳐주되 밀폐링과 같은 밀폐수단에 의해 외주면을 밀폐상태로 하여 주어도 무방하며, 각 배출공(4-1)의 상단에는 정화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5)를 구비하였다.
상기 받침판(4)의 상측으로는 통상의 자갈층(22)과 모래층(21)과 활성탄층(20)을 차례로 적층시켜주고, 몸통(2)의 측면에는 오폐수공급관(8)을 유입시켜주되 그 상단이 활성탄층(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분사노즐(8-1)을 장착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은 종래의 여과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며,
본 고안은 종래의 여과장치(1)에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스팀장치(30)를 부가적으로 결합하여서 된 여과장치(1-1)이다.
몸통(2)의 내부의 중간부와 하측부에 스팀순환수단(34)과 스팀분사수단(37)을 구비하였다.
스팀순환수단(34)은 동파이프와 같은 통상의 파이프를 일정한 크기로 회전시켜 스팀순환코일(34-1)을 형성하되 스팀을 공급·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팀순환코일(34-1)의 파이프의 양단에는 몸통(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스팀가지공급관(33)과 회수배출관(35)을 연결하였는데, 상기 스팀순환코일(34-1)은 몸통(2)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폐수공급관(8)과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으로 공급관(8)을 통과시켜주었다.
또 스팀분사수단(37)은 상면에 분사공(37-1)이 뚫어진 파이프를 연결하여 스팀분사노즐(37-1)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스팀분사노즐(37-1)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면으로 분사공(37-1)지고 내부가 관통형으로 된 것이면 그 구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분사노즐(37-1)에는 몸통(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스팀가지관(36)을 연통되게 연결하였다.
상기 스팀순환코일(34-1)의 스팀가지공급관(33)과 스팀분사노즐(37-1)의 스팀가지공급관(36)에는 밸브(33-1)(36-1)를 각각 장착하여 스팀과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밸브(33-1)(36-1)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들 수 있으며, 필요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지공급관(33)(36)은 분기엘보(32)에 의해 스팀주공급관(31)에서 분기시켜 주었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오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폐수는 분사노즐(8-1)에 의해 활성탄층(20)의 위로 분사되어지고, 분사된 오폐수는 활성탄층(20)과 모래층(21)및 자갈층(22)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멸균 및 정화되어지며, 정화된 물은 스트레이너(5)와 배출공(4-1)을 통하여 집수부(6)로 집수된 후 정화수배출관(7)을 통하여 배출되어서 소기의 장소로 이동되어진다.
이와같은 정화의 과정은 종래의 여과장치(1)와 동일하며, 스팀장치(3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스팀주공급관(31)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은 분기엘보(32)에 의해 스팀가지공급관(33)(36)으로 각각 분기되어 공급되는데, 각 밸브(33-1)(36-1)의 개폐여부에 따라 스팀순환코일(34-1)과 스팀분사노즐(37-1)에 스팀이 공급된다.
스팀순환코일(34-1)측의 밸브(33-1)는 거의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스팀은 스팀가지공급관(33)을 통하여 스팀순환코일(34-1)에 유입되어 순환된 후 회수배출관(35)을 통하여 소기의 장소로 회수되어진다.
스팀분사노즐(37-1)측의 밸브(36-1)는 스위치수단에 의해 인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전자제어 장치에 따른 기히 설정된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작동시켜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36-1)가 작동되면 스팀은 스팀가지공급관(36)을 통하여 스팀분사노즐(37-1)로 공급되고 분사공(37-1)을 통하여 분출되어진다.
이와같이, 스팀이 스팀순환코일(34-1)을 순환하게 되면 스팀순환코일(34-1)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모래층(21)이 뜨거워지게 되고 그 열기는 상하측에 적층되어 있는 활성탄층(20)과 자갈층(22)에까지 전열되어지므로, 이들 활성탄층(20), 모래층(21), 자갈층(22)은 항상 건조상태로 유지되어져서 이끼나 곰팡이등이 발생하거나 세균이 발생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팀분사노즐(37-1)에서 스팀이 분사되어지면 분사되는 스팀의 분출압력에 으해 모래층(21)이 상측으로 부풀려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스팀이 모래의 사이사이로 유입되면서 모래를 부풀려주게 되므로 모래층(21)은 공간이 많이 확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오폐수는 보다 신속하게 통과하면서 정화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팀순환코일(34)에 스팀을 순환시켜주므로 열기가 모래층(21) 활성탄층(20)자갈층(22)으로 전열되어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기에 의해 이끼, 곰팡이, 세균이 발생하거나 반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통과하는 오폐수의 멸균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스팀분사 노즐(37-1)에서 분출되는 스팀에 의해서는 모래층(21)이 부풀려져 공간이 확보되어지므로 오폐수가 보다 신속히 통과되어 정수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스팀의 열기에 의해 멸균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스팀은 욕탕을 운용하기 위하여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운용비용을 추가시키지 않으면서 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2)

  1. 상단에 플랜지부(3)가 형성된 몸통(2)의 외주상측에 체결핸들(15)이 나사결합된 볼트봉(14)을 힌지부(13)로 굴대설치하고 뚜껑(10)의 플랜지부(10)에는 체결편(12)을 일체로 회향형성하여 몸통(2)의 플랜지부(3)와 뚜껑(10)의 플랜지부(10)의 사이에 밀폐링(9)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볼트봉(14)을 체결편(12)에 끼우고 체결편(12)의 상측에서 체결핸들(15)을 나사결합시키도록 하며,
    상기 몸통(2)의 저면 중앙에 정화수배출관(7)을 구비하고 내부하측에는 배출공(4-1)이 뚫어진 받침판(4)을 고정시키되 배출공(4-1)의 위에는 스트레이너(5)를 구비하며, 받침판(4)의 위에는 자갈층(22), 모래층(21), 활성탄층(20)을 차례로 적층시키되 몸통(2)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공급관(8)의 상단이 활성탄층(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오폐수공급관(8)의 상단에 분사노즐(8-1)을 장착시키며, 몸통(2)의 내부에 스팀순환코일수단(34)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몸통(2)의 내부설치되는 스팀순환코일수단(34)을 오폐수공급관(8)의 외측에 감아주고, 그하측에는 스팀분사노즐(37-1)이 구비된 스팀가지공급관(36)을 설치하되, 스팀가지공급관(36)을 몸통(2)의 외측에서 스팀주공급관(31)과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탕물 여과장치.
  2. 삭제
KR20-1999-0009348U 1999-05-29 1999-05-29 욕탕물 여과장치 KR20030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48U KR200303682Y1 (ko) 1999-05-29 1999-05-29 욕탕물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348U KR200303682Y1 (ko) 1999-05-29 1999-05-29 욕탕물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3U KR20000021513U (ko) 2000-12-26
KR200303682Y1 true KR200303682Y1 (ko) 2003-02-14

Family

ID=4940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348U KR200303682Y1 (ko) 1999-05-29 1999-05-29 욕탕물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13B1 (ko) * 2015-12-17 2017-08-31 (주)에스지알테크 이동식 수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13B1 (ko) * 2015-12-17 2017-08-31 (주)에스지알테크 이동식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13U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3136A1 (en) Night-soil treatment apparatus
CS205132B2 (en) Device for holding and treatment of sludge
KR200303682Y1 (ko) 욕탕물 여과장치
KR200208470Y1 (ko) 욕탕용 여과장치
US20050016910A1 (en) Waste water filtering and recycling system
CN105078332A (zh) 一种水循环淋浴系统
KR200385756Y1 (ko) 샤워 폐수의 여과장치
JPH1057941A (ja) 排水再利用装置
JPH10121529A (ja) 生活排水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25501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JP3055773B2 (ja) し尿分離装置
KR100898147B1 (ko) 오수처리장치 및 이에 따른 오수처리방법
CN217247079U (zh) 一种天麻种植菌材用处理装置
KR200202942Y1 (ko) 인체배설물 자동소각장치의 오븐 커버구조
JPH09240802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800211B1 (ko) 집수조와 자동 기화장치를 갖는 소변 자동처리장치
KR200163999Y1 (ko) 돼지분뇨탈수기
JP2807655B2 (ja) 汲み取り及び下水不要の便尿の無臭化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JP2894553B1 (ja) 公衆トイレ用便尿処理槽
KR950007392Y1 (ko) 고농도 유기물의 처리장치
KR1017834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CN2530952Y (zh) 洗浴之水矿泉化循环使用系统装置
KR20034385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04167A (ko)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KR100249480B1 (ko) 수중안마장치로의 용수공급기능을 갖는 대중탕용 오수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