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167A -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167A
KR20190004167A KR1020170084414A KR20170084414A KR20190004167A KR 20190004167 A KR20190004167 A KR 20190004167A KR 1020170084414 A KR1020170084414 A KR 1020170084414A KR 20170084414 A KR20170084414 A KR 20170084414A KR 20190004167 A KR20190004167 A KR 2019000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excreta
dir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8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167A/ko
Publication of KR2019000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와; 탱크의 상부에 오물(분뇨, 생
활하수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일체로 설치된 덮개와; 탱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울을 탈수하는 제1
탈수조와; 제1탈수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물을 건조하는 히팅부와; 제1탈수조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1탈수조를 회전시키
는 구동부와; 히팅부와 구동부의 시간,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히팅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컨
트롤러와 연결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탈수조로 유입된 오물(분뇨, 생활하수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을 탈수하고, 건조시키므로 종래에 건조되지 않은 분뇨의 양보다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들며, 오물(분뇨. 생활하수의 슬
러지, 축산폐수 등)을 탈수, 건조시키므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악취 등
의 발생이 적고, 오물을 처리할 시에 탱크에서 제1탈수조를 들어올려 차량에 적재하는 것만으로 처리할 수 있어 종래에 분
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시간보다 빠르게 처리하고, 건조된 슬러지는 연료, 자연비료로 사용하는 효과
가 있다.

Description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Disposal device for dehydration and evaporation offilth in 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아파트, 다세대 등), 숙박업소, 대중목
욕탕, 관공서, 학교, 휴게실, 콘도미니엄, 가축을 기르는 농가(축산업)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거주하거나 여러 가축을 기르
는 농가에서 배출되는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이 정화조로 유입되면 탈수하고, 건조시켜 오물의 부피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며, 처리가 용이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란 분뇨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탱크를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정화조는 두 개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부패조, 산화조, 소독조로 구성되어 화장실에서 유입되는 오수는 먼저 부패조에서 약 48시간 괴어 있는 동안 침
전분리하는 과정을 행하며, 오물은 현기성세균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일부는 액화가스화 되어 그 용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부패, 분해에 의한 유기물은 무기물 화 되어 안정되고, 오수는 다음 산화조로 이동되며 여기에서 주방이나 욕실에
서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쇄석면 을 흐르는 사이에 호기성 균의 작용과 쇄석층 내의 유통하는 공기와 접촉에 의하여
산화된다.
처리된 오수는 소독조에서 염소용액의 주입을 받아 소화기 계통의 병원균을 살균한 후 방류된다.
정화조는 가능한 한 화장실에 접근하여 설치하여야 하나 넓은 부지에 몇개의 건물이 있을 때는 부지와 화장실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부패조를 2개소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을 분리조 라고 한다.정화조의 위치가 낮아 하수도로 자연방류가 안 될 때에는 방류수를 펌프로 처리한다.
두 번째는 가정(아파트, 다세대 등), 숙박업소, 대중목욕탕, 관공서, 학교, 휴게실, 콘도미니엄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거주
하거나 이용하는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오물은 정화조로 유입되어 일정기간 동안 모여지고 모여진 상태의 오물을 오물처리
수거 차량을 통해 수거한 후 특정 지역에서 정화처리하는 것이다.
첫 번째의 경우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거의 없으며, 두 번째와 같이 화장실의 변기를 통해 버려지는 분뇨를 모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두 번째와 같이 분뇨를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경우, 분뇨가 부패는 진행이 될 수 있으나, 부패에 따른 분
뇨의 양은 줄어들지 않으므로 분뇨를 수거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그 양이 많으므로 시간, 인력 및 차량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일이 차량을 통해서만이 운반됨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화조로 유입되는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을 탈수하고,
건조시켜 그 양을 줄여 처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운반 시 오수가 포함된 양보다 적으므로 이동이 용이한 정화조 오
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을 처리하는 양이 줄어듦에 따라 시간, 투입 인력, 운반을 위한 차량이 건조되
지 않은 분뇨를 처리하는 용량보다 적어짐으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을 처리하는 비용이 적게 들어가
는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시킨 슬러지를 자연비료 또는 연료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하
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와; 탱크의 상부에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일체로 설치된 덮개와; 탱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물를 탈수하는 제1탈수조와; 제1탈
수조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물을 건조시키는 히팅부와; 제1탈수조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1탈수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히팅부와 구동부의 시간,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히팅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와 연
결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는 제1탈수조로 유입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
을 탈수하고, 건조시키므로 종래에 건조되지 않은 오물의 양보다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물을 탈수, 건조하므로 오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악취 등의 발생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물을 처리하는 할 시에 탱크에서 제1탈수조를 들어올려 차량에 적재하는 것만으로 오물을 처리할 수 있어 종래에
오물을 처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오물을 치우고 정화조 내부를 청소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는 일체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1탈수조를
들어낸 상태에서 탱크의 내부 청소를 행할 수 있어 정화조의 보수, 유지가 용이하며, 건조된 슬러지는 연료 또는 자연비료
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구
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10)가 구성되고, 탱크(10)의 상부 외주연에는 소정
간격을 가지며 힌지 체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부재(11)가 설치된다.
탱크(10)의 하부 일측에는 제1배출관(12)이 형성되고, 제1배출관(12)이 형성된 타측에는 밸브(14)가 설치된 제2배출관
(13)이 형성된다.
탱크(10)의 상부에는 덮개(20)가 설치되며, 덮개(20)에는 탱크(10)에 형성된 고정부재(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
(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20)의 중앙부에는 통공(21)이 형성되고, 통공(21)에는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사폐수)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22)이 설치된다.탱크(10)의 내측에는 제1탈수조(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탈수조(30)의 저면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되며, 제1
탈수조(30)에는 회전할 시에 오물에 포함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30a)이 형성된다.
제1탈수조(30)의 결합홈(32)에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고, 제1결합돌기(33)에는 히팅부(38)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접
점(34)이 설치되며, 결합홈에는 구동부와 결합하였을 시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싱(35)이 설치된다.
제1탈수조(3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1탈수조(30)가 회전할 시에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바퀴(37)를 가지는 설치부재(36)가
설치된다.
제1탈수조(30)의 내주연에는 오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히팅부(38)가 설치되고, 히팅부(38)는 히팅선 또는 띠 형태의 동판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탈수조(30)로 유입되는 오물에서 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제1탈수조(30)의 저부에 구동부(40)가 설치된다.
구성부(4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돌기(33)에 결합되어 제1탈수조(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42)
이 구성되고, 회전축(42)은 상부에 회전체(42a)가 설치되며, 회전체(42a)의 상부에는 제1결합돌기(33)와 결합되어 회전력
을 전달하는 제2결합돌기(42b)가 형성되며, 제2결합돌기(42b)의 상부 중앙부에는 제1접점(34)과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
하는 제2접점(42c)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42)의 상부에 설치된 제2접점(42c)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회전축(42)의 중앙부로 전원선이 연결되고,
회전축(42)의 하부 외주연에 설치된 제3접점(42d)이 형성되며, 전원선은 제2접점(42c)과 제3접점(42d)의 사이에 연결되
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3접점(42d)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회전축(42)의 일측에 제4접점(42e)이 설치되어 회전 시에도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접촉되며, 이러한 구성은 모터의 브러시의 작용과 같이 회전시에도 계속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
한 것이다.
회전축(42)의 일측에는 제1기어(43)가 설치되며, 제1기어(43)의 저부에는 회전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이 내
설된 지지부재(43a)가 설치된다.
제1기어(43)의 일측에는 제2기어(4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기어(44)의 일측에는 제3기어(4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기어(45)의 일측에는 제3기어(45)가 설치되며, 제3기어(45)의 일측에는 제3기어풀리(미도시)가 설치된다.
제3기어(45)의 일측에는 모터풀리(46a)가 설치된 모터(46)가 설치되고, 모터(46)의 동력을 제3기어(45)로 전달될 수 있도
록 제3기어풀리와 모터풀리(46a) 사이에 벨트(47)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탈수조(30)의 결합홈(3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점(34)이 설치된 제1결
합돌기(33)(도 3에서는 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성부(40)의 회전축(42)에는 회전축풀리(42f)가 설치되어 제1탈수조(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32)에 결합된
다.
회전축풀리(42f)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점(42c)이 설치된 제2결합돌기(42b)(도 3에서는 미도시)가
형성된다.
회전축풀리(42f)의 저부에는 히팅부(3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전원공급부재(48)가 설치되고, 회전전원공급부
재(48)와 회전축풀리(42f)의 사이에는 베어링(49)이 설치되어 회전축풀리(42f)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전원공급부재(4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모터의 브
러시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제1탈수조가 회전되더라도 히팅부(38)에 연결되는 전원선은 꼬이지 않는다.
히팅부(38)와 구동부(40)의 시간,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가 설치되고, 히팅부(38)와 구동부(40)에 전원을 인
가할 수 있도록 전원부(60)가 컨트롤러(50)와 연결된다.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3에 구성된 탱크(10) 덮개(20) 제1탈수조(30) 구동부(40) 컨트롤러(50) 전원부(60)의 구성은 동일하게 형구성
된다.
다만, 제1탈수조(30)의 내측에 제2탈수조(31)를 설치하여 구동부(40)에 의해 제2탈수조(31)가 회전할 시에 내측 담아지
는 오물과 함께 탈수되며, 이때 탈수된 오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제2탈수조(31)의 내측에도 히팅부(38)가 제1탈수조(3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탈수조(31)에는 제1탈수조로 오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배출공(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배출공(31a)은 제2탈수조(31)에서 탈수 시에 완전하게 탈수되지 못한 오물을 제1탈수조(30)로 유입되도록 하
여 연동회전하는 제1탈수조(31)와 제2탈수조(32)에 의해 완전하게 탈수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정(아파트, 다세대 등), 숙박업소, 대중목욕탕, 관공서, 학교, 휴게실, 콘도미니엄, 가축을 기르는 농가(축산)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거주하거나 여러 가축을 기르는 농가에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 등)이 유입관(22)을 통해 탱
크(10)에 유입되면, 탱크(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탈수조(30)로 모아 진다. 제1탈수조(30)로 유입된 오물이 소정
일 수가 지나면, 예를 들어, 유입되는 오물을 15일, 30일 등과 같은 간격을 두고 탈수, 건조를 반복적으로 행한다.
탈수하는 과정은 소정 기간 동안 오물이 쌓이면, 컨트롤러(50)에서 구동부(40)의 모터(46)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모터(46)가 구동하면서 모터풀리(46a)에 설치된 벨트(47)를 연동시켜 제3기어(45)를 회전시킨다.
제3기어(45)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은 제2기어(44), 제1기어(43)를 통해 회전축(42)으로 전달된다.
이때 회전축(42)의 외주연에 설치된 제2접점(42c)과 제3접점(42d)은 접촉된 상태이며,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축(42)의 회
전을 방해하거나 또는 전원선이 꼬이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회전축(42)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체(42a)가 회전하면서 제2결합돌기(42b)를 회전시키면, 제2결합돌기(42b)와 결합되어
있는 제1결합돌기(33)가 같이 회전한다.
제1결합돌기(33)가 회전하므로 제1결합돌기(33)가 설치되어 있는 제1탈수조(30)가 같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제1탈수조
(30)의 내측에 담아져 있는 오물은 물과 분리되는데, 이때 오물에 포함되어 있는 물은 제1탈수조(30)에 형성된 제1배출공
(30a)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은 제1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컨트롤러(50)에 의해 제1탈수조(30)의 회전이 정지(전원차단)하면, 컨트롤러(50)는 제1탈수조(30)의 내주연에 설
치된 히팅부(38)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된 히팅부(38)는 소정 시간 동안 물이 빠진 상태의 변에 열을 가하여 남아 있는 수분을 증발시킨다.
상기와 같이 오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탈수하고, 건조시키므로 탈수와 건조를 행하지 않은 오물보다 그 양이 현저하게 줄어
들고, 오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악취 등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오물이 만충 된 경우, 제1탈수조(30)가 설치되어 있는 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20)를 분리하는데, 이때 덮
개(20)에 설치된 유입관(22)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을 체결부재(23)를 통해 연결상태를 해제시킨다.
탱크(10)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20)는 고정부재(11)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를 분리한 후 덮개(20)를 탱크(10)에서
분리시키면, 덮개(20)의 통공(21)에 설치된 유입관(22)도 따라서 이탈된다.
탱크(10)의 상부에서 덮개(20)가 분리되면, 그 내측에 설치된 제1탈수조(30)가 나타나고, 제1탈수조(30)를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탱크(10)의 상부로 들어올려 완전히 빼낸다.빼낸 제1탈수조(30) 자체를 운반 차량에 실어 운반하거나, 또는 제1탈수조(30)에 담아진 건조된 오물을 차량에 옮겨 오물
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 제1탈수조(30)를 그대로 올려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빈 제1탈수조를 가져온 상태에서 건조된 오물이
채워져 있는 제1탈수조(30)를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오물을 비운 제1탈수조(30) 또는 새로이 가져온 제1탈수조(30)를 다시 탱크(10)의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제1탈수조(30)
의 저부에 형성된 결합홈(32)의 내측으로 구동부(40)의 회전축(42)의 상부가 인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이동시
키면, 제1결합돌기(33)가 제2결합돌기(42b)와 결합한다.
이때 제1결합돌기(33)와 제2결합돌기(42b)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탈수조(30)의 설
치가 용이하다.
제1탈수조(30)를 구동부(40)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덮개(20)를 탱크(1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오물을 치운 상태에서 탱크(10)의 내측을 청소할 시에는 탱크(10) 내부를 청소하고, 이때 발생하는 더러운 물은 제
2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물이 탈수되고, 건조되는 과정 또한 도 4에 도시된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서도 동일하게 작동된다
다만, 도 4의 다른 실시예는 제2탈수조(31)로 유입된 오물이 탈수되고, 탈수된 상태의 오물을 제1탈수조(30)와 제2탈수조
(31)에 설치된 히팅부(38)에 의해 각각 건조시키므로 오물의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확실하게 건조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물을 처리할 시에 탈수, 건조를 반복하므로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사폐수 등)의 양
이 줄어들고, 오물을 치우기 위한 과정도 한번에 이루어지므로 오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건조된 슬러지는 연료 또
는 자연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10)와;
    탱크(10)의 상부에 오물(분뇨, 생활하수 슬러지, 축산폐수)이 유입되는 유입관(22)이 일체로 설치된 덮개(10)와;탱크(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물을 탈수하는 제1탈수조(30)와;
    제1탈수조(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물을 건조시키는 히팅부(38)와;
    제1탈수조(3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제1탈수조(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히팅부(38)와 구동부(40)의 시간, 온도,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와;
    히팅부(38)와 구동부(4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50)와 연결되는 전원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
KR1020170084414A 2017-07-03 2017-07-03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KR20190004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14A KR20190004167A (ko) 2017-07-03 2017-07-03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14A KR20190004167A (ko) 2017-07-03 2017-07-03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67A true KR20190004167A (ko) 2019-01-11

Family

ID=6502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14A KR20190004167A (ko) 2017-07-03 2017-07-03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775B1 (en)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system
JPH08501054A (ja) 廃物の処分および処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1500782A (ja) 衛生廃水を処理する膜システム
MX2010011061A (es) Sistema descentralizado de separacion de aguas residuales en el origen.
JP2008043835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100681494B1 (ko)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90004167A (ko) 정화조 건조 및 탈수 처리장치
KR200410482Y1 (ko)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
CN206886928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101112007B1 (ko) 배수 정화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JP3140697B2 (ja) 循環式し尿処理装置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KR20070065680A (ko) 정화조 오물 탈수 및 건조 처리장치
JP2003145098A (ja) 廃水又は海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JPH022639B2 (ko)
KR101173850B1 (ko) 고액분리식 축산폐수처리장치
KR2018010607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930775B2 (ja) 高濃度有機性排水の浄化処理装置
KR20130138391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209702512U (zh) 一种化粪池污物处理装置
CN216890513U (zh) 一种高效环保型医疗废水处理设备
KR101746832B1 (ko) 그리스 트랩의 오수 정화장치
CN213955307U (zh) 一种垃圾热解气化用脱水装置
KR200440511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