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64B1 -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64B1
KR0140664B1 KR1019940031771A KR19940031771A KR0140664B1 KR 0140664 B1 KR0140664 B1 KR 0140664B1 KR 1019940031771 A KR1019940031771 A KR 1019940031771A KR 19940031771 A KR19940031771 A KR 19940031771A KR 0140664 B1 KR0140664 B1 KR 014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detergent
foam
decomposi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033A (ko
Inventor
권호철
이성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664B1/ko
Publication of KR96001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세탁후 세탁조내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고농도의 세제액을 모아 자외선램프에 의해 광분해를 한 다음 배출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며,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리시키므로 헹굼횟수를 줄여 세탁수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외조(9)의 일측에 통공(12a)이 형성된 격벽(12)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거품챔버(11)와, 상기 거품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거품챔버내의 세탁수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15)와, 상기 거품발생기와 연결통로(17)로 연결되어 액화된 세제액이 담겨지는 분해조(16)와, 상기 분해조의 거품인입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거품을 액화시키는 거품분쇄기(18)와, 상기 분해조내에 설치되어 추출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해시키는 램프(24)와, 상기 분해조와 제1배수관(25)사이에 연결된 제2배수관(28)에 설치되어 분해조에서 분해된 세제액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2배수밸브(29)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제1도는 종래의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거품을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외조 11:거품챔버
12:격벽 12a:통공
13:에어펌프 15:거품발생기
16:분해조 18:거품분쇄기
24:램프 26:오버플로우공
27:오버플로우관 28:제2배수관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세탁후 세탁조내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고농도의 세제액을 모아 자외선램프에 의해 광분해를 한 다음 배출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며,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리시키므로 헹굼횟수를 줄여 세탁수의 사용량을 절감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대지오염등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따라 가정에서의 배출되는 세제에 의해 수질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탁시 세제의 사용량을 줄이자는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케이스(1)의 상부에 급수밸브(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밸브와 연결된 급수호스(3)는 케이스(1)에 내장된 세제자동투입기(4)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자동투입기의 내부에는 세제통(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세탁조(6)내에 세탁을 위한 세탁물을 넣고 펄세이터(7)를 좌, 우로 회전시키면 모터(8)에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모터에 걸리는 부하로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여 마이콤에서 투입할 세제량과 세탁시간 그리고 급수량을 결정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투입할 세제량과 세탁시간 그리고 급수량을 결정하고 나면 모터(8)의 구동은 중단되고, 급수밸브(2) 가 개방되므로 세탁조(6)내에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세제자동투입기(4)내의 세제통(5)에 담겨져 있던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세탁조(6)내로 공급된다.
상기 세탁조(6)내에 설정된 량의 급수가 이루어지면 모터(8)가 구동하여 펄세이터(7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세탁행정이 수행된다.
마이콤에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배수밸브(10)를 개방하여 세탁조(6)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고 헹굼행정, 배수행정, 탈수행정을 차례로 수행한 다음 모터(8)의 구동을 중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세제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남아 있던 세탁수를 하수구를 통해 방류하게 되므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탁완료후 배수직전에 세탁수내의 세제를 분해한 다음 배수하는 세탁기가 알려진 바 있다.
상기 세제정화장치로는 산화제 또는 중화제를 투입하여 정화시키는 장치, 오존수를 이용하는 장치, 활성탄 및 막을 이용하여 세제를 정화시키는 장치등이 있다. 그러나 산화제 또는 중화제를 투입하여 정화시키는 장치는 소비자가 산화제를 세탁기내에 계속 투입하여야 되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였고, 오존수를 이용하는 장치는 오존발생 및 오존수를 만드는 장치가 복잡하며 오존가스의 발생으로 악취가 발생되었으므로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활성탄 및 막을 이용하여 세제를 정화시키는 장치는 고가의 활성탄 및 막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되었으므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및 초음파를 이용하는 정화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또한 많은 양의 세탁수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세탁완료 직전에 세탁수내에 포함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리해 낸 다음 적은 양의 세제액만을 정화시켜 배수하므로써 수질오염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리해내므로 헹굼수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외조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거품챔버와, 상기 거품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거품챔버내의 세탁수에 포함된 세제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와, 상기 거품발생기와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액화된 세제액이 담겨지는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의 거품인입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거품을 액화시키는 거품분쇄기와, 상기 분해조내에 설치되어 추출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해시키는 램프와, 상기 분해조와 제1배수관사이에 연결된 제2배수관에 설치되어 분해조에서 분해된 세제액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2배수밸브로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세탁기의 외조(9)일 측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품챔버(11)를 격벽(12)으로 구획 형성하여 외조와 다수개의 통공(12a)으로 통하여지게 하고 상기 거품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외조(9)의 하부에 고정된 에어펌프(13)와 에어호스(14)로 연결되는 거품발생기(15)를 설치하여 에어펌프(13)가 구동함에 따라 거품챔버(11)내에 있는 세탁수에서 거품을 일으키게 한다.
상기 거품챔버(11)의 일측으로는 세탁수에서 발생된 거품을 부피가 줄어든 상태의 세제액으로 저장하여 분해하는 분해조(16)를 연결통로(17)로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분해조(16)의 거품인입측에는 인입되는 거품을 잘게 분쇄하여 액화시키는 거품분쇄기(18)를 설치한다.
상기 거품분쇄기(18)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해조(16)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9)와, 상기 모터의 축(20)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21)와, 상기 회전체와리브(22)로 연결되어 분해조(16)의 인입측으로 유입되는 거품을 분쇄하는 원통형상의 망(23)으로 구성한다.
세제액이 액화된 상태로 추출되어 담겨지는 상기 분해조(16)내에는 추출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해시키는 램프(24)를 설치하여 상기 램프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는 고농도의 세제액을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분해하기 위함인데, 이때 상기 분해조(16)의 내벽에 광촉매제인 티타늄 옥사이드(TiO2)를 도포하여 주면 세제액의 분해가 촉진된다.
그리고 분해조(16)의 중간부위에는 분해조내에 저장되는 세제액이 일정량이상일 때 제1배수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공(26)을 형성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공(26)과 제1배수관(25)사이에는 오버플로우관(27)을 연결한다.
이는 분해조(16)내에 담겨지는 고농도의 세제액이 거품분쇄기(18)까지 차여 상기 거품분쇄기가 거품을 분쇄시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해조(16)의 하부와 제1배수관(25)사이에는 제2배수관(28)을 연결하고 상기 제2배수관상에는 분해조내에서 분해된 세제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배수밸브(29)를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로써, 세탁 프로그램은 급수-세탁-배수-급수-헹굼-탈수의 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세탁조(6)내에 세탁물을 집어넣고 급수밸브(2)를 개방하여 급수를 시작하면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탁통(5)을 통과하면서 세제와 함께 세탁조(6)내로 유입된다.
그후, 세탁조(6)내에 유입되는 세탁수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센서(도시는 생략함)가 이를 감지하여 세탁수의 공급을 중단함과 동시에 모터(8)를 구동하여 펄세이터(7)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세탁공정이 수행되는데, 이때 세탁물은 투입된 세제에 의해 오염물이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세탁이 이루어지고 나면,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10)가 열리기 수분 전에 세탁수내에 포함되어 있던 세제를 추출하는 행정이 진행된다.
이와같이 세탁수내에 포함된 세제를 추출하는 행정이 진행될 때 거품챔버(11)내에는 통공(12a)을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어 외조(9)의 수위와 동일하게 채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농도의 세제액을 추출하기 위해 외조(9)의 하부에 고정된 에어펌프(13)가 동작하여 에어호스(14)를 통해 압축공기를 거품발생기(15)로 공급하면 거품발생기에서 기포가 발생되므로 세탁수내에 포함된 세제에 의해 거품이 발생되어 거품챔버(11)내에 차이게 된다.
상기 거품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과 세제의 주성분인 계면활성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품챔버(11)의 상부로 밀려 올라가는데, 계면활성제의 친수기부분이 물과 접촉하여 물방울을 만들게 되므로 물에 대한 계면활성제농도는 세탁수의 농도보다 월등히 높게 된다.
즉, 세제가 다량 포함된 거품은 거품챔버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물(순수한 세탁수)이 제거되고, 농도가 높은 세제액의 거품만이 연결통로(17)를 통해 분해조(16)내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거품발생기(15)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연결통로(17)를 통해 분해조(16)내로 유입될 때 분해조의 인입부측에 설치된 거품분쇄기(18)가 거품을 잘게 분쇄하여 액화시켜 분해조내에 담겨지도록 한다.
상기한 거품분쇄기(18)가 거품을 잘게 분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19)의 구동으로 모터축(20)에 리브(22)로 고정된 원통형의 망(24)이 빠르게 회전될 때 유입되는 거품이 원심력에 의해 망(23)에 부딪혀 잘게 분쇄되어 하방으로 흘러 내리게 되므로 액화된 상태로 분해조(16)내에 담겨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되어 분해조(16)내에 담겨지는 세제액이 오버풀로우공(26)까지 차여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분해조내에 세제액이 차여지면 오버플로우공(26)과 오버플로우관(27)으로 연결된 제2배수관(28)-제1배수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제액 추출작용으로 외조(9)내에 담겨진 세탁수의 세제농도가 기준치이하로 낮아지면 제1배수밸브(30)를 개방하여 외조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게 된다.
이와같이 세탁수내의 세제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세탁물에 남아있는 세제량도작아지게 되므로 헹굼이 용이해지게 된다.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되고 나면,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를 제거하기 위해 간이탈수를 함과 동시에 제1배수밸브(30)를 닫고 헹굼을 위한 급수를 한다.
급수완료후 헹굼초기에는 거품발생기(15)를 동작시키지 않고 분해조(16)내에 담겨진 고동도의 세제액을 분해하기 위해 분해조내에 설치된 램프(24)를 점등시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해하게 되는데, 이때 분해조(16)의 내벽에는 티타늄 옥사이드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세제액의 분해작용이 촉진된다.
이와같이 분해조(16)내의 세제액을 분해시키고 난 다음에는 제2배수관(28)상에 설치된 제2배수밸브(29)를 개방하여 분해된 세제액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세탁물을 일정시간 헹굼후 다시 거품발생기(15)를 동작시켜 전술한 바와같이 헹굼수중에 포함된 세제액을 분해조(16)내로 추출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급수를 하면서 헹굼행정을 수행하고, 분해조(16)내에 담겨진 고농도의 세제액도 램프(24)의 점등으로 분해하여 제2배수관(28)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게 되므로 세탁에 따른 세제의 방류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수내에 포함되어 있던 세제액을 분리하여 세제액의 농도가 낮은 세탁수만을 배수하게 됨은 물론 추출된 고농도의 세제액은 분해조에서 램프의 자외선에 의해 분해한 다음 배출하게 되므로 세제액이 방류에 따른 수질오염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또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리시킨 다음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헹굼시 세탁물내에 포함된 세제의 양이 최소화되고, 이에따라 헹굼시의 세탁수소비량을 줄이게 되는 효과도 얻게된다.

Claims (4)

  1. 외조의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거품챔버와, 상기 거품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거품챔버내의 세탁수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와, 상기 거품발생기와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액화된 세제액이 담겨지는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의 거품인입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거품을 액화시키는 거품분쇄기와, 상기 분해조내에 설치되어 추출된 고농도의 세제액을 분해시키는 램프와, 상기 분해조와 제1배수관 사이에 연결된 제2배수관에 설치되어 분해조에서 분해된 세제액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2배수밸브로 구성하여서 된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해조내벽애 고농도 세제액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티타늄옥사이드를 도포하여서 된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분해조의 상부에 오버플로우공을 형성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공과 제1배수관 사이에는 오버플로우관을 연결하여서 된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거품분쇄기는 저장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리브로 연결되어 저장통의 인입측으로 유입되는 거품을 분쇄하는 원통형상의 망으로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KR1019940031771A 1994-11-29 1994-11-29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KR014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71A KR0140664B1 (ko) 1994-11-29 1994-11-29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71A KR0140664B1 (ko) 1994-11-29 1994-11-29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33A KR960018033A (ko) 1996-06-17
KR0140664B1 true KR0140664B1 (ko) 1998-08-17

Family

ID=1939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771A KR0140664B1 (ko) 1994-11-29 1994-11-29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003A (zh) * 2019-12-04 2021-06-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洗涤剂盒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3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564B2 (ja) 洗濯機
JP5242153B2 (ja) 洗濯機
US20110048078A1 (en) Washing machine
KR101608195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JP2006034716A (ja) 洗濯機
JP2007195866A (ja)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US6506309B1 (en) Ozone dissolving system for a reservoir
JPH08299669A (ja) 洗濯機の濯ぎ方法
JP2007195865A (ja)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JPH0919694A (ja) オゾン浄化装置
JP2007160080A (ja) 洗浄装置
KR0140664B1 (ko) 세탁기의 세탁수정화장치
JP4439386B2 (ja) 洗濯機
JP2003144793A (ja) 洗濯装置
CN206342448U (zh) 一种结合波轮清洗的超声波洗鞋机
JP2006110092A (ja) 洗濯機
JP3752643B2 (ja) 用廃水および循環水の浄化装置
JP2004000536A (ja) 洗濯方法
JP2986628B2 (ja) 電気洗濯機の排水処理装置
KR970000053B1 (ko) 세탁기의 세탁수 정화장치
KR0121125B1 (ko) 세탁기의 배수정화장치
KR20230139419A (ko) 폐염수 재활용장치
KR0156209B1 (ko) 세탁기의 오존가스 발생장치
KR01729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