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29Y1 -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 Google Patents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29Y1
KR200270729Y1 KR2020010032609U KR20010032609U KR200270729Y1 KR 200270729 Y1 KR200270729 Y1 KR 200270729Y1 KR 2020010032609 U KR2020010032609 U KR 2020010032609U KR 20010032609 U KR20010032609 U KR 20010032609U KR 200270729 Y1 KR200270729 Y1 KR 200270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eel box
bridge deck
pierc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32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 고핑의 상부 중앙과 이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교좌장치에 의해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거치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강재박스 거더가 뜻하지 않게 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 이동 동작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상판과 연결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거치상태가 횡방향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저지하여 교량상판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져 전도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각 고핑의 상부 중앙에 앵커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되, 양측면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 브라켓과;
상기, 교각 고핑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에 안치된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상호간에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상부 강재 브라켓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SLIDING PREVENT APPARATUS OF BRIDGE'S SLAB}
본 고안은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 고핑의 상부 중앙과 이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교좌장치에 의해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거치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강재박스 거더가 뜻하지 않게 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 이동 동작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상판과 연결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거치상태가 횡방향으로 전도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 또는 강이나 바다와 같은 해상에 시공되는 교량은 구조공학 또는 측량공학 분야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상,하부구조로 나누어 설명되어 진다.
여기서, 상부구조라 함은 차량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교량상판과 바닥틀 및 주형 그리고 강재박스 거더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라 함은 상기 상부구조를 거치하여 이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교좌장치와 교대, 교각 및 기초(말뚝 기초, 우물통 기초 등)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 교량은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부구조가 하부구조에서 이탈을 하여 낙교되는 문제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이는, 교량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는 상호간에 소정의 연결 고정은 취하고는 있지만 외부적인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시 교량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로부터 횡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제 2 의 대형참사로 직결되는 문제현상을 자주 발생시켰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각 고핑의 상부 중앙과 이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교좌장치에 의해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거치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강재박스 거더가 뜻하지 않게 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 이동 동작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상판과 연결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거치상태가 횡방향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저지하여 교량상판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져 전도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교각고핑의 상부 중앙에 앵커 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있되, 양측면에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 브라켓과;
상기, 교각 고핑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 상에 안치된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상호간에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상부 강재 브라켓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의 요부 구성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교량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졌을 경우 나타내는 문제점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교각 12 : 교각 고핑
14 : 교량상판 16 : 강재박스 거더
18 : 교좌장치 20 : 상부 강재 브라켓
22 : 하부 고정 브라켓 24 : 완충부재
26 : 앵커 볼트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의 요부 구성 상태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고핑(12)의 상부 중앙에는 양측면에 완충부재(24)가 부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 브라켓(22)이 앵커 볼트(26)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교각 고핑(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교좌장치(18)에 의해 교각 고핑(12)의 상부와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안치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16)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22)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있는 상부 강재 브라켓(20) 2조 한쌍이 앵커 볼트(26)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상판(14)과 연결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16)의 거치상태가 횡방향으로 변화할 경우 이를 저지하여 이와 같은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 낙교로 이어져 제 2 의 대형 참사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강재박스 거더(16)가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강재박스 거더(16)의 하부에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상부 강재 브라켓(20)이 상기 교각 고핑(12)의 상부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하부 고정 브라켓(22)에 의해 저지되어 횡방향으로 더이상의 이동이 취해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22)의 양측면에는 완충부재(24)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부 강재 브라켓(20)이 마찰을 빚게 될 경우 브라켓 상호간의 마찰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각 고핑의 상부 중앙과 이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교좌장치에 의해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거치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하부에 강재박스 거더가 뜻하지 않게 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 이동 동작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어, 대지진 또는 대홍수 등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하거나 또는 관리소홀로 교량상판과 연결되어 있는 강재박스 거더의 거치상태가 횡방향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저지하여 교량상판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져 전도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각 고핑(12)의 상부 중앙에 앵커 볼트(26)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되, 양측면에는 완충부재(24)가 부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 브라켓(22)과;
    상기, 교각 고핑(12)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18) 상에 안치된 강재박스 거더(16)의 하부에 상호간에 일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체결 고정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상부 강재 브라켓(20)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KR2020010032609U 2001-10-25 2001-10-25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Expired - Fee Related KR200270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09U KR200270729Y1 (ko) 2001-10-25 2001-10-25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09U KR200270729Y1 (ko) 2001-10-25 2001-10-25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729Y1 true KR200270729Y1 (ko) 2002-04-03

Family

ID=7307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0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0729Y1 (ko) 2001-10-25 2001-10-25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39B1 (ko) *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통행차량 이탈 저지용 교량 상판도로
KR100835711B1 (ko) *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도로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교량 상판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739B1 (ko) *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통행차량 이탈 저지용 교량 상판도로
KR100835711B1 (ko) * 2008-03-05 2008-06-09 (주)성지토목기술공사 도로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교량 상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9413A1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KR100680180B1 (ko) 교좌장치
KR102048296B1 (ko) 외력흡수형 부잔교
KR200270729Y1 (ko) 교량상판의 횡방향 미끄럼 방지시설
IEMURA et al. Report on the tsunami damage of bridges in Banda Aceh and some possible countermeasures
CN109537440B (zh) 一种桥台引道结构
KR100651663B1 (ko) 트러스 교량의 횡진동 저감 및 교량인상시 전도방지용보강장치
KR102605012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교량 점검로
CN219260697U (zh) 一种适用于高烈度地区码头栈桥的减隔震接岸结构
KR100303287B1 (ko)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JP2000226815A (ja) 落橋防止構造
KR200270730Y1 (ko) 교량상판의 종방향 이동 방지시설
KR102250263B1 (ko) 연속화 공법을 위한 교좌장치의 임시 서포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거더의 연속화 공법
KR200256838Y1 (ko) 교량상판 낙교 방지시설
CN213142770U (zh) 一种x型高架桥减震支座
KR100393418B1 (ko) 교량용 내진형 탄성받침과 그 시공방법
KR200319141Y1 (ko) 부반력 및 이동 제어장치가 설치된 탄성받침
JP2004036341A (ja) 浮体式橋梁の係留システム
KR200253554Y1 (ko) 교량 상판 전도 방지시설
JPH11240484A (ja) 浮体構造物
KR100588447B1 (ko) 교량의 교각과 거더의 일체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7700530B2 (ja) 橋梁及び橋梁の構築方法
JP2004360797A (ja) 免震構造体
KR200372778Y1 (ko) 에이치 형강 변단면 교량의 에스알씨 교각 일체화 구조
KR200256867Y1 (ko)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0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0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